洪範9
洪範9
七稽疑(칠계의) : 일곱째로 의심을 묻는다는 것은
擇建立卜筮人(택건립복서인) : 거북점과 시초점 하는 사람을 가려서 세우고서야
乃命卜筮(내명복서) : 이에 거북점과 시초점을 명하는 것입니다
曰雨(왈우) : 이르기를, “비가 오겠다.”
曰霽(왈제) : 이르기를, “비가 개겠다.”
曰蒙(왈몽) : 이르기를, “흐리겠다.”
曰驛(왈역) : 이르기를, “잇다르겠다.”
曰克(왈극) : 이르기를, “상극하겠다.”
曰貞(왈정) : 이르기를, “정괘다.”
曰悔(왈회) : 이르기를, “회괘다.”라고 할 것이니
凡七卜五(범칠복오) : 이 일곱 가지는 거북점에 다섯 가지
占用二(점용이) : 시초점에 두 가지가 쓰이며
衍忒(연특) : 변화를 이루어 정하는 것입니다
立時人(립시인) : 이 사람들을 세워
作卜筮(작복서) : 거북점과 시초점을 치되
三人占(삼인점) : 세 사람이 점쳤다면
則從二人之言(칙종이인지언) : 곧 두 사람의 말을 따르십시오
汝則有大疑(여칙유대의) : 당신에게 큰 의문이 있으면
謀及乃心(모급내심) : 당신의 마음에 물어보고
謀及卿士(모급경사) : 거북점과 시초점으로 물어보고
謀及庶人(모급서인) : 백성들에게 물어 보고
謀及卜筮(모급복서) : 거북점과 시초점으로 물어보십시오
汝則從(여칙종) : 그리하여 당신이 따르고
龜從(구종) : 거북이 따르고
筮從(서종) : 시초가 따르며
卿士從(경사종) : 귀족과 관리들이 따르고
庶民從(서민종) : 백성들이 따르면
是之謂大同(시지위대동) : 이것을 일컬어 <대동>이라고 하는 것으로서
身其康彊(신기강강) : 자신은 안락하여지고
子孫其逢吉(자손기봉길) : 자손들은 창성하게 될 것이니 길한 것입니다
汝則從(여칙종) : 당신이 따르고
龜從(구종) : 거북이 따르고
筮從(서종) : 시초가 따르면
卿士逆(경사역) : 귀족과 관리들이 거스르고
庶民逆吉(서민역길) : 백성들이 거스른대도 길할 것입니다
卿士從(경사종) : 귀족과 관리들이 따르고
龜從(구종) : 거북이 따르며
筮從(서종) : 시초가 따라도
汝則逆(여칙역) : 당신이 거스르고
庶民逆吉(서민역길) : 백성들이 거스른다 하여도 길할 것입니다
庶民從(서민종) : 백성들이 따르고
龜從(구종) : 거북이 따르고
筮從(서종) : 시초가 따라도
汝則逆(여칙역) : 당신이 거스르고
卿士逆吉(경사역길) : 귀족과 관리들이 거스르도 길할 것입니다
汝則從(여칙종) : 당신이 따르고
龜從(구종) : 거북이 따라도
筮逆(서역) : 시초가 거스르고
卿士逆(경사역) : 귀족과 관리들이 거스르도
庶民逆(서민역) : 백성들이 거스른다면
作內吉(작내길) : 안에서 하는 일은 길하고
作外凶(작외흉) : 밖에서 하는 일은 흉할 것입니다
龜筮共違于人(구서공위우인) : 거북점과 시초점이 다 같이 사람을 어기면
用靜吉(용정길) : 가만히 있으면 길할 것이고
用作凶(용작흉) : 움직이면 흉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