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괘(坤卦)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곤괘(坤卦)]
“서와 남은 벗을 얻고 동과 북은 벗을 잃는다.”고 한 것은 무슨 말인가?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에서는 모두 서와 남은 음방(陰方)이고 동과 북은 양방(陽方)이라고 하였는데, 저 동은 소양(少陽)에 해당하고 남은 태양(太陽)에 해당하며 서는 소음(少陰)에 해당하고 북은 태음(太陰)에 해당하는 것은 바꿀 수 없는 큰 원칙이거늘 남을 음방이라고 하고 북을 양방이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해석하는 자의 말에 의하면 “이는 후천팔괘(後天八卦)의 위치로 말한 것이다.”라고 하지만, 그것도 그렇지가 않다. 지금 문왕팔괘(文王八卦)를 고찰하여 보면 이(離)가 남에 있고 그 이는 화(火)에 해당하는데 그 화를 음이라고 할 수 있겠으며, 감(坎)이 북에 있고 그 감은 수(水)에 해당하는데 그 수를 양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설괘전(說卦傳)에 보면 진(震)ㆍ감(坎)ㆍ간(艮)을 건(乾)의 세 아들이라고 하고, 손(巽)ㆍ이(離)ㆍ태(兌)를 곤(坤)의 세 딸이라고 하였으며, 소자(邵子)가 후천팔괘의 위치를 논하면서, “건은 동과 북에서 세 아들을 거느리고 있고 곤은 서와 남에서 세 딸을 거느리고 있다.”고 하였는데, 정자(程子)와 주자(朱子)가 서와 남을 음방이라고 하고 동과 북을 양방이라고 한 것은 아마 여기에 근거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같은 무리의 벗을 잃게 되면 따돌림을 당하여 돕는 이가 없게 되므로 틀림없이 후회가 있게 마련인데, “마침내 경사가 있을 것이다.”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음(陰)은 혼자서는 생물(生物)을 할 수가 없으므로 반드시 같은 무리를 떠나 양을 따라가야 화육(化育)의 성과를 이룰 수 있으므로, 마침내 길(吉)한 경사가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에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도리로 말하면, “서와 남은 벗을 얻는다.”고 한 것은 무리를 이끌고 양(陽)을 따르는 것이니 이는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도(道)이고, “동과 북은 벗을 잃는다.”고 한 것은 무리와 관계를 끊고 양을 따르는 것이니 이는 무리가 흩어지고 벗이 없어지는 도이다. 무릇 윗사람을 섬기는 도리는 어진 이를 추대하고 능한 이에게 양보하며 무리를 이끌어 주어 서로 앞서려고 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고, 어진 이를 질투하고 능한 이를 미워하다가 따돌림을 당하여 외톨이가 되는 것보다 더 나쁜 것이 없다. 그래서 여러 괘(卦)의 효사(爻辭)를 고찰하여 보면, ‘벗이 모인다’느니 ‘벗이 이른다’느니 ‘그 무리와 함께 간다’느니 ‘이웃과 함께한다’느니 하는 것들은 모두 길(吉)한 말에 해당하고, ‘벗이 없어진다’느니 ‘무리가 흩어진다’느니 ‘무리를 끊고 올라간다’느니 하는 것들은 대체로 후회하는 말이 많은데, 이는 바꿀 수 없는 이치이다. 그런데 유독 곤괘(坤卦)의 단사(彖辭)에서만, 벗을 잃는 것에 대하여서는 길하다고 말하고 벗을 얻는 것에 대하여서는 길하다고 말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무리를 이끌어 주어 서로 앞세우려고 하는 것이라도 만약에 아부와 편당의 행위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길할 수 없고, 따돌림을 당하고 외톨이가 되었더라도 만약에 공정하기만 하다면 또한 마침내는 경사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래 글에서 종합하여 매듭짓기를 “안정(安貞)하여 길하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벗을 얻은 것과 벗을 잃은 것을 막론하고 정도(正道)에 편안할 수만 있으면 길하다는 것입니다.
건(乾)ㆍ곤(坤) 두 괘(卦)에만 문언(文言)이 있고 다른 괘에 없는 것은 어째서인가? 문단마다에 모두 ‘자왈(子曰)’이라고 하여 마치 후세 사람이 공자(孔子)의 말을 추송(追誦)하는 것처럼 하였으므로, 구양수(歐陽脩)도 문언은 공자가 지은 것이 아니라는 의심을 하였다. 이는 과연 분명한 증거가 있는가?
건과 곤은 《역경》의 시작이 되므로 공자께서 특별히 문언을 지어 더욱 자세하게 밝힌 것이니, 다른 괘는 이를 유추하여 알 수 있습니다. ‘자왈(子曰)’이라는 두 글자는 곧 후세의 학자들이 추가한 것으로 이는 마치 《맹자(孟子)》에서 ‘맹자왈(孟子曰)’이라고 한 것과 같은 예입니다. 구양수가 그것을 의심한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