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괘(蒙卦)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몽괘(蒙卦)]
육오(六五)를 ‘동몽(童蒙)’이라고 한 뜻을 자세히 말해 줄 수 있겠는가? 채허재(蔡虛齋 채청(蔡淸))의 말에 의하면 “육오의 동몽은 단사(彖辭)에서 말한 동몽과 같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나 단사에서 “내가 동몽을 구하는 것이 아니고 동몽이 나를 구한다.”고 한 것은 곧 구이(九二)가 육오(六五)를 가리켜 말한 것이니 단사와 효사(爻辭)에서 말한 ‘동몽’은 다른 뜻이 없을 것 같은데, 채씨(蔡氏)가 그렇게 말한 데에는 과연 견해가 있는가?
육오는 음효(陰爻)이고 또 간(艮)의 체(體)에 소남(少男)에 해당하므로 ‘동몽(童蒙)’이라고 한 것입니다. 대개 단사의 동몽은 몽매(蒙昧)한 것만을 말하였고, 효사의 동몽은 유약(柔弱)한 중(中)으로 순일(純一)한 덕이 있음을 말하였으니, 글의 표현은 비록 같으나 뜻은 조금 다릅니다.
동몽(童蒙)의 상이 있으면 그 점(占)이 반드시 길(吉)한 것은 어째서인가? 상전(象傳)에서 “동몽이 길한 것은 순하면서 겸손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대저 육오(六五)는 임금의 자리이니, 임금의 덕은 반드시 총명하고 지혜롭고 용기가 있고 강하고 굳건하고 분발하는 정신이 있어야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에 순하고 겸손함을 위주로 한다면 우유부단(優柔不斷)에 가깝지 않겠는가? 대체로 《역경》의 의례(義例)는 구(九)가 오(五)의 자리에 있고 육(六)이 이(二)의 자리에 있는 것을 가리켜 제자리라고 하고, 육이 오의 자리에 있고 구가 이의 자리에 있는 것을 가리켜 제자리가 아니라고 한다. 그런데 제자리일 경우에는 그 효사에 어렵다는 것이 많고 제자리가 아닐 경우에는 그 효사에 길하다는 것이 많으니, 그 이유는 어디에 있는 것인가? 과연 반복하며 토론하여서 그 깊은 뜻을 밝혀 줄 수 있겠는가?
오(五)는 강건(剛健)한 체(體)가 있고 육(六)은 유순(柔順)한 덕(德)이 있습니다. 동몽(童蒙)을 길하다고 한 것은 대개 그 체는 강건하면서 행하는 것이 순하기 때문입니다. 명(明) 나라 학자 채청(蔡淸)은 일찍이 이춘지(李春之)의 말을 인용하여 연역(演繹)하기를, “임금은 강건함을 체로 삼고 중심(中心)을 비우는 것을 용(用)으로 삼으며, 신하는 유순함을 체로 삼고 중심을 강하게 하는 것을 용으로 삼으면 위아래가 어울려서 그 뜻이 같게 되는 것이니, 그것이 구이(九二)와 육오(六五)가 길함이 많은 이유이다.”라고 하였는데, 그 말이 깊이 경문(經文)의 뜻을 얻은 것입니다.
상구(上九)에서 “침략자가 되는 것은 이롭지 않고 침략자를 막는 것은 이롭다.”고 한 것은 어느 것을 가리켜서 말한 것인가? “이는 다만 상구의 ‘격몽(擊蒙)’이라는 글로 인하여 이렇게 가정적인 말을 함으로써 그 몽매(蒙昧)함을 다스림에 있어 너무 사납게 할까 경계한 것이지, 상구가 진실로 침입자를 막는 상(象)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는 자도 있는데, 이는 아마도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성인(聖人)이 설명을 붙일 적에는 모두 자연스러운 괘효(卦爻)의 상에 근본하여 말하였지, 언제 사리(事理)에 맞지 않은 것을 날조하여 가설적인 말을 하였겠는가. 대개 이 괘(卦)의 상효(上爻)가 구(九)를 얻어서 변하게 되면 몽괘(蒙卦)가 사괘(師卦)로 되어 전쟁을 하는 상이 있다. 또 상구는 육삼(六三)과 상응(相應)이 되는데, 육삼은 어리석은 몽(蒙)이니 침략자가 되고 상구는 그 몽을 다스리니 침략자를 막는 것이 된다. “성인은 군사를 받아들이기도 하고 군사를 쓰기도 하는 자이므로, 그 점사(占辭)를 두 가지로 만들어 침략자가 되는 것은 이롭지 않고 침략자를 막는 것은 이롭다고 한 것이다.”라고 한 이 말은 원(元) 나라 학자 오징(吳澄)의 찬언(纂言)에 있는 것인데, 과연 경문(經文)의 뜻에 어긋나지 않는 것인가?
찬언(纂言)에서 《역경》을 풀이한 것은 상(象)의 변화만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그 말이 그러한 것입니다. 그러나 진실로 오징(吳澄)의 학설을 따르게 되면 “침략자가 되는 것은 이롭지 않다.”고 한 것은 곧 육삼(六三)의 점사(占辭)이니, 상구(上九)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서 군더더기 말이 됩니다. 아마도 경문의 간략하고 엄정한 체(體)는 아닌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