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집_
계몽전의_
5음(音)이 날[日]을 맡음
<납음도(納音圖)〉는 《소문(素問)》에 나타나 있다. 그 설명에 이르기를, “이는 곧 돌아서 서로 궁(宮)이 되는 법이다. 한 진(辰) 가운데에 각기 5음씩 들었으니, 12진이면 60음이 들었다. 예를 들어 말하면, 자(子)라는 진(辰)에, 갑자(甲子)는 금(金), 병자(丙子)는 수(水), 무자(戊子)는 화(火), 경자(庚子)는 토(土), 임자(壬子)는 목(木)인 것과 같은 것이다. 《한지(韓志)》에서 ‘같은 유(類)에서 짝[妻]을 얻고, 여덟을 건너서 서로 생(生)한다.’라고 한 것이 납음법(納音法)이다. 예를 들면, 갑자는 지(支)와 간(干)이 모두 양(陽)이므로, 거만하여 조화를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을축(乙丑)과 짝이 되는 것이니, 을축은 간(干)과 진(辰)이 모두 음이다. 그 나머지 자리도 다 같다.” 하였다.
여덟을 건너서 서로 생한다고 한 것은, 갑자 앞의 여덟째 자리 아래에서 임신(壬申) 금(金)이 나고, 또 여덟을 건너 아래에서 경진(庚辰) 금(金)이 난다. 그런 뒤에 왼쪽으로 가서 화(火)를 향하고, 화에 이르러서는 전례에 의하여 여덟 간격을 건너서 화를 생하고, 화를 세 번 아래에서 생한 뒤에 목(木)에 이르고, 목을 세 번 아래에서 생한 뒤에 수(水)에 이르고, 수를 아래에서 세 번 생한 뒤에 토에 이르며, 토를 세 번 아래에서 생한 뒤에 금에 이르면, 곧 한 바퀴가 된다. 다시 갑오(甲午)로부터 위에서 금을 생하여 차례대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여덟을 건너 자(子)가 난다는 것은 아래와 위의 두 자리를 제하고 한 말이다. 여덟을 건넌다는 것은 여덟 번째 자리가 아니다. 갑자(甲子)로부터 계유(癸酉)에 이르기까지 전체수가 모두 열이니, 이는 갑(甲)이 한 바퀴 도는 기운이다. 금(金)을 먼저 하는 이유는 오행 가운데서 금의 소리가 가장 드러나기 때문이다. 지(支)와 간(干)은 동(東)에서 오른쪽으로 가서 남으로 향하나, 5음은 서(西)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가서, 우행(右行)은 마땅히 좌행(左行)이라 할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 남으로 향한다. 양은 자(子)에서 나기 때문에 아래로 나게 되며, 음이 오(午)에서 나기 때문에 위로 나게 되는 것이니, 하늘의 기운은 아래로 내려가고, 땅의 기운은 위로 올라감을 말한 것이다. 생하는 것이 세 차례에 그치는 것은 3원(元)의 뜻이다.
○ 지금 고찰하건대, 오음(五音)은 오행의 음성(音聲)이다. 토는 궁(宮), 금은 상(商), 목은 각(角), 화는 치(徵), 수는 우(羽)가 되기 때문에, 이 그림에는 오행으로만 구분하여 납음(納音)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곧, 역가(曆家)에서 쓰는 배일법(配日法)과 음양가에서 쓰는 추수법(推數法)인데, 그 법이 양휘(楊輝)가 지은 《양씨산법(楊氏算法)》에 상세하므로 아울러 아래에 밝힌다.
양휘의 60갑자 납음을 일으키는 예
갑(甲)ㆍ기(己)ㆍ자(子)ㆍ오(午)는 9인 것과 같은 식으로 수(數)를 쌓아서, 수가 5에 차면 버리고, 남는 수를 셈하여 납음을 명한다. 대개 쇠와 나무는 스스로 소리를 내므로, 목은 3, 금은 4로 본래 수(數)를 쓰고, 물은 흙을 만나야 소리를 내고, 불은 물을 만나야 소리를 내며, 흙은 불로 구우면 소리를 내기 때문에, 화는 수(水)의 본래 수 1을 쓰고, 수는 토의 본래 수 5를 쓰며, 토는 화의 본래 수 2를 써서 납음으로 삼는다.
갑ㆍ기ㆍ자ㆍ오 ⑨ 을ㆍ경ㆍ축ㆍ미 ⑧ 병ㆍ신(申)ㆍ인ㆍ신(辛) ⑦ 정ㆍ임ㆍ묘ㆍ유 ⑥ 무ㆍ계ㆍ진ㆍ술 ⑤ 사ㆍ해 ④ 수ㆍ화 ① 화ㆍ토 ② 목ㆍ목 ③ 금ㆍ금 ④ 토ㆍ수 ⑤ 본신수(本身數)ㆍ차음수(借音數)
갑9 술5 을8 해4 [火] 합해서 26인데, 25를 빼고 남은 1, 즉 수(水)의 수를 빌려 음(音)으로 한다.
병7 자9 정6 축8 [水] 합해서 30인데, 25를 빼고 남은 5, 즉 토(土)의 수를 빌려 음으로 한다.
무5 인7 기9 묘6 [土] 합해서 27인데, 25를 빼고 남은 2, 즉 화(火)의 수를 빌려 음으로 한다.
경8 진5 신7 사4 [金] 합해서 24인데, 20을 빼고 남은 4가 본음(本音)이 된다.
임6 오9 계5 미8 [木] 합해서 28인데, 25를 빼고 남은 3이 본음이 된다.
[주D-002]진(辰) : 지지(地支)와 같은 말로, 자(子)ㆍ축(丑)ㆍ인(寅)ㆍ묘(卯)ㆍ진(辰)ㆍ사(巳)ㆍ오(午)ㆍ미(未)ㆍ신(申)ㆍ유(酉)ㆍ술(戌)ㆍ해(亥)로 되어 있다.
[주D-003]간(干) : 천간(天干)을 말하는 것으로, 갑(甲)ㆍ을(乙)ㆍ병(丙)ㆍ정(丁)ㆍ무(戊)ㆍ기(己)ㆍ경(庚)ㆍ신(辛)ㆍ임(壬)ㆍ계(癸)이다.
[주D-004]본래 수(數) : 수=1, 화=2, 목=3, 금=4, 토=5로 하도(河圖)에서 안 쪽에 있는 점의 숫자에 의한 것이다.
'주역 > 계몽전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계집_계몽전의_[본도서(本圖書) 제1] (0) | 2011.03.24 |
---|---|
퇴계집_계몽전의_[계몽전의 서(啓蒙傳疑序)] (0) | 201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