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사절(死節)의 진실
【번역문】
임진년의 변고에 도성이 함락되자 포로가 된 부녀가 헤아릴 수 없었다. 때로 혹 절개를 지키다 죽은 부녀에 대해서 난이 평정된 후 조정에 계문(啓聞)하여 정려(旌閭)하였다. 그런데 금년에 포로가 된 자는 그 진위를 알 수 없었던 까닭에 절개를 지키다 죽었다고 칭탁하여 정표가 내려지기도 하였으므로 외람되게 몰래 정려되는 것이 이처럼 심하였으니 어찌 그 진위를 분명히 알겠는가? 갑진년(선조37, 1604년)에 송운(松雲, 惟政(1544~1610)의 호)이 사신으로 일본에 갔었는데, 사절자라 하여 일본에 있으면서 본가에 서신을 전하려는 자가 역시 많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송운은 그 서신을 본가에 전하지 못하였으니 이는 지친들이 포로가 되었다고 이름나는 것을 꺼리면서도 거짓으로 절개를 위해 죽었다고 하기 위함으로, 그 서신을 보고자 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방방곡곡 정려된 자 중에는 혹 허위가 있다는 말이 있다.
【출전】寒皐觀外史v39 效顰雜記上
【원문】
壬辰之變都城䧟沒婦女被虜者不可紀極時或有
死節者事定之後啓聞㫌閭而當年被虜者人不
知真僞故托以死節亦至㫌表也竊吹濫巾甚矣
[주] 僧 惟政 号 松雲 一号泗溟 西山 大師 休靜 髙足也
何以明其然耶甲辰 松雲 使日本所謂死節者在
日本寄書本家者亦多而 松雲 不敢傳爲本家至
親忌被擄之名冐死節之名而不欲觀其書也則
坊坊曲曲大其門丹其漆者亦或有虛僞辭
'고전포럼 > 고전야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담을 측정하는 춘직으로 달성위가 선왕에게 고한 이야기를 얘기하다. (0) | 2010.08.18 |
---|---|
김상헌이 집에 머물 때에 근신했던 행적 (0) | 2010.08.18 |
기지로 한꺼번에 세 가지를 얻은 우씨 포수 (0) | 2010.08.18 |
계집종의 지혜 (0) | 201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