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곡집
심경집의(心經集義) 제2권(卷之二) 경(經) 하(下)
격물치지(格物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으로 나누어 4절을 만들었음.
수신(修身) 1절(一節)
[홍범오황극장(洪範五皇極章)]
[홍범오황극장(洪홍범(洪範)에, “다섯째는 황극(皇極)이니, 크게 중도(中道)를 건립(建立)하여 치우치고 비뚤어짐이 없어 선왕(先王)의 의(義)를 따르며 사사로운 좋아함을 하지 말아서 선왕의 도를 따르며 사사로운 미워함을 함이 없어서 선왕의 길을 따르라. 편(偏)이 없고 당(黨)이 없어 왕도(王道)가 툭 트이고 당이 없고 편이 없어서 왕도가 다스려지고 뒤집힘[反]과 기울어짐이 없으면 왕도가 바르고 곧으리라. 중도(中道)에 맞추어 행하면 천하가 중도로 돌아오리라. 대중(大中)의 도로 가르침을 베풀면 떳떳하게 되어 사람들이 임금의 훈(訓)에 따르리라.” 하였다. 주서(周書)
《대학》에, “이른바 그 집을 다스림이 그 닦는 데에 있다 함은 사람들이 그의 친하고 사랑하는 데에 가서 편벽되며 그의 천하게 여기고 미워하는 데에 가서 편벽되며 그의 두려워하고 존경하는 데에 가서 편벽되며 그의 애처롭게 여기고 불쌍히 여기는 데에 가서 편벽되며 그의 거만스럽고 게을리 함에 가서 편벽된다. 그러므로 좋아하는 이에게도 그 나쁜 것을 알며 미워하는 이에게도 아름다운 점을 아는 이가 천하에 드물다. 그러므로 속담에, ‘사람들이 제 자식의 나쁜 것을 모르며 제 이삭[苗]의 굵은 것을 알지 못한다.’ 한 말이 있다. 이것을 두고 몸이 닦이지 아니하면 그 집을 잘 다스리지 못한다 하는 것이다.” 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대인(大人)이라 하는 자가 있으니, 자기를 바르게 함에 남이 바르게 되는 사람이다.” 하였다. 《논어》에 공자가 이르기를, “당신이 바름으로써 거느리면 뉘가 감히 바르지 아니하리오.” 하였다.
집의(集義) 《주역》 무망괘(無妄卦)의 상(象)에, “천하에 우레가 행하매 만물이 다 거짓됨이 없나니[無妄] 선왕이 이것을 써서 때에 따라 만물을 무성하게 기른다.” 하였고, 육이(六二)에, “갈아서[耕] 수확하지 아니하고 치(菑 일세(一歲))하여 여(畬 2세전(二歲田))하지 아니하면 이로움이 갈[往] 바 있으리라.”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성인이 천하의 일에 해 주려고 하지 않고 다만 천리(天理)를 순하여 때를 따라 무성하게 만물을 기른다.” 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천하에 성(性)이라고 말하는 것은 고(故)일 뿐이니 고(故)란 것은 이(利 순함)로써 근본을 삼는다. 지(智)에 대하여 미워하는 바는 그것이 뚫고 파는[鑿] 때문이다. 만약 지(智)란 것이 우(禹)가 물[水]을 인도하듯 ‘순하게’ 한다면 지(智)를 미워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우(禹)가 물을 인도함은 일이 없이 순하게 하는 것이니, 만약 지(智)가 또한 일없는 방법을 한다면 지(智)가 큰 것이다. 하늘의 높음과 별[星]들의 먼 것도 그 고(故)를 구한다면 천세(千歲)의 날이 올 것도 앉아서 알 수 있으리라.” 하였다. 이루(離婁) 하(下)
‘정자에게’ 성냄을 옮기지 않음을 물으니, 정자가 말하기를, “다만 말하기를 범연히 하면 제군(諸君)들이 문득 쉽다고 할 것이니, 모름지기 무엇으로 인하여 성냄을 옮기지 않는다는 것을 느껴서 얻어야 한다. 순(舜)이 사흉(四凶)을 베일 적에 순이 무슨 관심을 하였으랴? 성인의 마음은 본시 성냄이 없는 것이다. 비유하건대, 밝은 거울과 같다. 사람이 한 사람에게 성내면서 다른 사람에게 성내지 않는 수가 있으니, 이와 같이 참아 내면 이미 의리를 매우 아는 것이다. 성인은 물(物)을 인하여 그대로 하는 것이요, 성냄이 있지 않다. 이것이 매우 어렵지 아니하겠는가? 군자는 물(物)을 부리고[役] 소인은 물에 부리어지는 것이니, 이제 기뻐할 만한 일과 성낼 만한 일을 보고서 자기가 조금이라도 거기에 따라간다면 이것은 또한 수고로운 것이다. 성인의 마음은 고요한 물[水]과 같으니라.”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만물이 모두 다만 한 개의 천리(天理)일 뿐이니 내가 무슨 상관이랴? ‘하늘이 죄 있는 자를 친다. 하늘이 덕 있는 이에게 명(命) 한다.’고 말한 것 같은 것은 모두 다만 이것이 천리가 자연히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할 것이니, 사람이 언제 관계하랴? 관계한다면 곧 이것이 사의(私意)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물(物)로써 물에 응하고 자기로써 물에 응하지 아니하면 아(我)가 없는 것이다. 대저 하늘이 물을 낼 적에 긴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고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으니, 군자는 그 큰 것을 얻었는지라, 어찌 작은 것으로 하여금 크게 할 수가 있으랴? 천리가 이와 같은데 어찌 거스리[逆]겠는가? 천하의 큼과 만물의 많음에 한마음으로써 처하게 되니 반드시 그 요점[要]을 얻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즉, 옛사람의 처사하는 것이 어찌 여유가 있지 않겠는가?” 하였다. 유록(劉錄)
정자가 말하기를, “도에 들어가는 데는 공경함만 같음이 없으니, 능히 치지(致知)를 하는데 공경함에 있지 않는 이는 없다. 지금 사람들은 마음의 주장이 정(定)하지 못하여 마음 보기를 도적과 같이 하여 제어하지 못하니 일이 마음을 병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일에 병된 것이다. 천하에 한 물건도 없어서 될 것이 없는 것이니, 싫어하지 못할 것이다.”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사람이 생각함이 많아서 능히 스스로 편안하지 못함은 다만 그의 마음의 주장이 정하지 못한 것이다. 마음의 주장이 정하게 되려면 오직 일[事]에 그쳐[止]야 하니, 남의 임금이 되어서는 인애(仁愛)함에 그쳐야 한다[《대학》]는 등류와 같은 것이다. 순(舜)이 사흉(四凶)을 베임 같은 것은 사흉이 악한 짓을 하였으므로 순이 따라서 베인 것이지 순이 무슨 상관이랴. 사람이 일에 그치지 못하면 다만 그 일에 끌려서 능히 물을 각기 물에 붙이지 못할 것이니, 물을 각기 물에 붙이면 이것이 물을 부리는 것이다. 물의 부리는 바가 되면 이것은 물에 부리어지는 것이다. 물이 있으면 반드시 법칙이 있는 것이니, 모름지기 일에 그쳐야 하는 것이다.”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배우는 자[學者]가 마음 생각이 분란(紛亂)하여 안정되지 못함을 걱정하나니, 이것은 천하에 공통된 병이다. 학자(學者)가 다만 마음을 세워야 할 것이니, 이 윗머리에는 진실로 생각한 점이 있다. 관(關) 이(伊)
맹자가 말하기를, “만물이 모두 나에게 갖추어져 있으니 몸에 돌이켜 보아 성(誠)하면 즐거움이 이보다 더 클 수가 없다. 서(恕)를 힘써 행하면 인(仁)을 구하는 데 이보다 가까울 수 없다.” 하였다. 진심(盡心) 상(上)
정자가 말하기를, “천지가 물(物)을 낼 적에 각기 부족한 이치가 없으니, 항상 천하의 군신(君臣)ㆍ부자(父子)ㆍ부부(夫婦)에 얼마만큼의 도리대로 만족하지 못한 곳이 있는가를 생각하라.” 하였다. 단록(端錄)
공자가 이르기를, “사(賜 자공(子貢)의 이름)야! 너는 나를 많이 배워서 기억하는 자라고 생각하느냐?” 하니, 자공(子貢)이 말하되, “그렇습니다. 아닙니까?” 하니, “나는 하나로써 꿰었느니라.”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도는 한 근본인데 마음으로써 성(誠)을 포함함이 성(誠)으로써 마음을 포함함만 못한다고 이르나니, 지성(至誠)으로써천지에 참(參)하는 것 이 지성으로써 사람과 물을 체득(體得)함만 같지 못하다. 이것은 근본이 둘이 되는 것이다. 근본이 둘이 아닌 줄을 알면, 곧 돈독히 공손하매 천하가 다스려지는 도이니라.” 하였다. 유록(劉錄)
정자가 말하기를, “크도다, 성인의 도여! 유행(流行)하여 만물을 발육시켜 높고 크기가 하늘보다도 지극하도다. 충만하여 크도다! 예의(禮儀)가 3백이요 위의(威儀)가 3천이로다. 그 사람을 얻어야 행하나니 지극한 덕이 아니면 지극한 도가 응취(凝聚)하지 않느니라 한 것이 모두 하나로 관통[一貫]한 것이다.” 하였다. 유록(劉錄)
또 말하기를, “한 물건이라도 포함되지 않으면 중(中)이 아니요, 한 일이라도 하지 않으면 중이 아니요, 한 번 숨쉴 동안이라도 존(存)하지 않으면 중이 아니다. 그것은 왜냐하면 편벽[偏]된 때문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도란 것은 잠시도 떠나지 못할 것이니 떠날 수 있다면 도가 아니다.’ 하였다. 이 도를 닦는 자는 그 보지 않는 데서 경계하며 삼가하고 그 듣지 않는 데서 두려워할 뿐이다. 이로 말미암아 쉬지 아니하면 하늘의 일이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는 경지(境地)를 점점 이룰 수가 있다.” 하였다. 유록(劉錄)
공자가 이르기를, “삼(參)아, 나의 도는 하나로 관통하느니라.” 하니, 증자가 “네[唯]” 하였다. 공자가 나간 뒤에 문인들이 묻기를, “무슨 말씀인가?” 하니, 증자가 말하기를, “부자(夫子)의 도는 충(忠)과 서(恕)일 뿐이다.” 하였다. 이인(里仁) 정자가 말하기를, “자기로써 남에게 미치는 것은 인(仁)이요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치는 것은 서(恕)이니, 도와의 거리가 멀지 아니하다는 것이 이것이다. 충서(忠恕)는 하나로 관통한 것이니, 충은 천리요 서는 인도(人道)다. 충은 거짓됨이 없는 것이요 서(恕)는 충을 행하는 바이다. 충은 체(體)요 서는 용(用)이니, ‘충은’ 대본(大本)이요 ‘서는’ 달도(達道)다. 이것이 ‘도에 가기가 멀지 않다.’는 것과 다른 것은 천(天 자연(自然))으로써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하늘의 명(命)이 깊고 멀어 마지않음은 충이요, 건도(乾道)가 변화하여 각기 성명(性命)을 바로함은 서(恕)이다.” 하였다. 유록(劉錄)
자공(子貢)이 묻기를, “만약 백성에게 넓게 베풀어 능히 많은 사람을 구제하는 사람이 있으면 어떠합니까? 인(仁)이라 하겠습니까?” 하니, 공자가, “어찌 인(仁)에만 그치리요, 반드시 성(聖)일진져! 요순(堯舜)도 여기에 있어서는 그 마음에 자기가 오히려 부족하다고 여기셨느니라. 대저 인(仁)한 자는 자기가 서고자 하여 남을 세워 주며 자기가 달(達)하고자 하여 남을 달하게 하나니, 가까운 데서 미루어 나로써 남에게 비(譬)하면 인(仁)의 방법이라 할 수 있을 뿐이다.” 하였다. 옹야(雍也)
정자가 말하기를, “인자(仁者)는 천지 만물로써 일체(一體)를 삼으니 자기 아닌 것이 없다. 천지 만물이 자기가 되는 줄 알아 얻는다면 어디에 이르지 못하리오. 만약 자기에게 가지지 못하면 자기와는 상관되지 않게 되어 손발이 불인(不仁)할 때에는 기운이 벌써 관통되지 못하여 모두 자기에게 속하지 아니한 것이다. 그러므로 넓게 베풀어 뭇사람을 건지는 것이라야 성인의 공효(功效)인 것이다. 인은 지극히 말하기 어려운 고로 다만 자기가 서고자 하여 남을 세워 주고 자기가 달하고자 하여 남을 달하게 한다. 능히 가운데서 미루어 나로써 남에게 비하면 인(仁)의 방법이라 이를 수 있다고만 말하여 학자들로 하여금 이와 같이 인을 보아 인의 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려 한 것이다.” 하였다. 여(呂)
자로(子路)가 말하기를, “부자(夫子)의 뜻을 듣기를 원하나이다.” 하니, 공자가 이르기를, “늙은 이를 편안하게 하며 벗이 믿어 주고 어린애는 품어 주겠다.”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부자(夫子)에 이르러는천지의 화공(化工) 이 만물에게 각기 마땅한 대로 부쳐줄 뿐이요, 자기는 수고롭지 않음과 같은 것이니, 이것이 성인의 하는 것이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먼저 이자(二子)의 말을 보고 뒤에 성인의 말을 보니 분명히 천지의 기상(氣象)이다.” 하였다. 공야장(公冶長)
중궁(仲弓)이 묻기를, “어찌 현재(賢才)를 알아서 발탁해 쓰겠습니까?” 하니 공자가 이르기를, “너의 아는 이를 발탁해 쓰면 너의 모르는 이를 사람들이 놓치겠느냐?” 하였다. 이 말에 대하여 명도가 말하기를, “사람이 각기 그 어버이를 어버이로 섬긴 후에야 남의 어버이도 어버이로 생각하고 제 어버이만 어버이로 하지 않는 것이니, 중궁(仲弓)과 성인의 마음 씀의 크고 작은 것을 볼 수 있다. 이 뜻을 미루면 한마음이 나라를 일으킬 수도 있고 한마음이 나라를 잃을 수도 있는 것이니, 다만 공(公)과 사(私)의 사이일 뿐이다.” 하였다.
《논어(論語)》에, 삼자(三子)가 뜻을 말하였는데, 점(點)이 덩그렁 비파[瑟]를 놓고 일어나서 대답하되, “삼자(三子)의 말한 바와는 다릅니다.” 하였다. 공자가 “무슨 관계가 있느냐? 각기 제 뜻대로 말할 뿐이다.” 하니, 증점(曾點)이 말하기를, “모춘(暮春)에 춘복(春服)이 만들어지거든 관자(冠者) 오륙(五六)인과 동자(童子) 육칠(六七)인과 함께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쐬며 읊조리고 돌아오겠습니다.” 하였다. 부자(夫子)는 탄식하며, “나는 점(點)을 좇겠노라.”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공자가 점을 허여(許與)하는 것은 대개 점이 성인의 뜻과 같아서 곧 요순(堯舜)의 기상이다. 자로(子路) 등은 본 바가 작다. 자로는 다만 나라를 예(禮)로써 다스리는 도리를 알지 못한 것이니, 만약 알았다면, 곧 이 기상이다.” 하고, 또 말하기를, “증점은 그 즐거움을 얻은 것을 말한 것이다. 공자의 뜻은 늙은이를 편안히 하며 벗이 믿게 하며 어린이를 품어 주어 만물로 하여금 각기 그 성(性)을 이루지 못함이 없게 하는 데 있는데, 중점이 그것을 알았으므로 공자가 탄식하며, ‘나는 점을 허여 하노라.’ 한 것이다.” 하였다. 선진(先進)
집의(集義) 《중용》에, 공자가 이르기를, “순(舜)은 대지(大知)이다. 묻기를 좋아하며 가까운 말을 살피기를 좋아하며 악한 것을 숨겨 주며 착한 것을 드러내어 주며 그 양단(兩端)을 잡아서 그 중(中)을 백성에게 쓰니, 그것이 순이 된 것이다.” 하였다.
○ 맹자가 말하기를, “순(舜)이 깊은 산 속에 살아서 목석(木石)과 함께 살며 사슴 및 돼지와 놀 적에는 그가 깊은 산중의 야인(野人)과 다른 것이 얼마의 사이가 아니었는데, 그가 한 착한 말을 듣고, 한 착한 행실을 기억하고는 강하(江河)의 물을 터놓으매 주루루하여 능히 막을 수 없는 것과 같았다.” 하였다. 진심(盡心) 상(上)
○ 맹자가 말하기를, “자로는 사람들이 자기에게 허물이 있는 것을 말해 주면 기뻐하였으며, 우(禹)는 착한 말을 듣고 절하였으며, 순(舜)은 큼이 있으니 착함을 남과 더불어 같이하여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며 남에게 취하여 착함을 하기를 즐겨하여 밭갈고 김을 매고 질그릇을 굽고 고기를 잡음으로부터 임금이 됨에 이르기까지 남에게 취함이 아님이 없었으니, 남에게서 취하여 착함을 하는 것은 이것이 남들과 더불어 착함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남과 더불어 착함을 하는 것보다 큼이 없느니라.” 하였다. 주(註)에 “천하의 착함을 공(公)으로 하여 사(私)로 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하였다. 주자(朱子)는 말하기를, “이 장(章)은 성현(聖賢)이 착함을 즐겨하는 성심이 처음부터 피차의 간격이 없으므로 남에게 있는 것이 나에게 넉넉하게 할 수가 있고, 나에게 있는 것이 남에게 미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전습록(傳習錄)》에,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순(舜)은 가까운 말을 살피고 꼴 베는 사람[芻蕘]에게 물었다.’ 하였으니, 이것이 가까운 말을 마땅히 살펴야 하고 꼴 베는 사람에게 마땅히 물어야 할 것인 뒤에 이와 같이 함이 아니라, 이 지(知)의 발로되고 유행함이 광명하고 둥글고 맑아서 다시 걸리고 막힌 곳이 없는 것이니, 이것을 대지(大知)라 이르는 바이다. 조금이라도 벌써 집착하고 뜻하고 기필함이 있으면 그 지(知)가 곧 작은 것이다. 강학(講學)하는 중에는 절로 버리고 취하고 분변함이 있으나, 그러나 마음에 나아가 착실히 공부를 하는데 모름지기 이와 같이 하여야 옳은 것이다.” 하였다.
○ 증자(曾子)가 말하기를, “능한 것으로써 능하지 못한 이에게 물으며 많은 것으로써 작은 이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것같이 하며 찼으면서도 비어 있는 것같이 하며 남이 나에게 범(犯)하여도 비교하지 않는 것은 전일에 나의 벗이 일찍이 여기에 종사하였었다.” 하였다. 주(註)에, “오직 의리(義理)의 무궁함을 알고 남과 나와의 간격이 있음을 알지 못한 것이다.” 하였다. 사씨(謝氏)가 말하기를, “이것은 넉넉한 것은 자기에게 있고 부족한 것은 남에게 있는 것을 알지 못한 것이며 잘한 것은 자기에게 있고 못한 것은 남에게 있다고 기필하지 않은 것이니, 아(我)가 없는 지경에 이른 이가 아니면 능히 하지 못할 것이다.” 하였다.
장자(張子)가 말하기를, “그 마음을 크게 하면 능히 천하의 물(物)을 나의 체(體)로 할 수 있는 것이니, 물에 체하지 못함이 있으면 마음이 밖이 있음이 된다. 세상 사람들의 마음은 보고 들음의 좁은 데에 그치나 성인은 성(性)을 다하므로 보고 들음으로써 그 마음을 구속하지 아니하며 천하를 볼 때에 한 물도 내가 아님이 없다. 맹자가 이르기를, ‘마음을 다하면 성(性)을 알고 하늘을 안다.’ 한 것이 이 때문이다. 하늘은 커서 밖이 없는 것이므로, 밖이 있는 마음은 족히 하늘의 마음에 합하지 못한다.”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소인 소장부(小丈夫)에게 대하여는 그를 작게 볼 필요가 없으니, 그는 본시 악한 것은 아니다.”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만물이 일체(一體)라고 말함은 다 이 이치가 있다. 다만 그 속에서 왔으므로 나면 일시에 나서 다 이치를 완전히 한 것이다. 사람들이 다만 스스로 사사로워서 자기의 형체 위에서만 생각하므로 도리를 볼 적에 다른 물을 작다고 한다. 자기의 몸을 해방하여 모두 만물의 중에 일반으로 본다면 얼마나 크게 쾌활하겠는가?” 하였다. 또 말하기를, “사람이 능히 이 한 개의 몸을 해방하여 공공(公共)으로 천지 만물의 중에 일반으로 놓아둔다면 무슨 구애됨이 있으리오. 비록 그 몸이 만 개인들 어찌 방해되리오. 석씨(釋氏)는 도리어 이 몸을 싫어하여 근진(根塵)을 다 버려야 한다 하니, 그것이 모두 스스로 사사로운 것임을 알 수 있다. 여(呂)
명도 선생은 그가 스스로 책임을 맡음이 중하므로 차라리 성인의 일을 배우다가 이르지 못할지언정 한 착함으로써 이름을 이루지 아니하려 하며 차라리 한 물(物)이라도 자기의 혜택을 입지 못하는 것으로써 자기의 걱정을 삼을지언정 일시의 이익으로써 자기의 공으로 삼으려 하지 아니하였다. 여(呂)
집의(集義) 《상서(商書)》 함유일덕(咸惟一德)에, “덕은 일정[常]한 스승이 없고 선(善)을 주장함이 스승이 되며, 선은 항상 한 주장이 없고 능히 일(一)함에 합한다.” 하였다. 《상서(商書)》
○ 맹자가 말하기를, “대인(大人)은 말을 꼭 신실하려고 기필하지 아니하며 행실을 꼭 과감하려고 기필하지 아니하고 오직 의(義)의 있는 바대로 하느니라.” 하였다. 이루(離婁) 하(下)
《논어》에, 미자(微子)는 떠나가고, 기자(箕子)는 종이 되고, 비간(比干)은 간(諫)하다가 죽었다.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은(殷) 나라에 세 인한 이[三仁]가 있다.” 하였다.
○ 맹자가 말하기를, “아래 위(位)에 거하여서도 자기의 어진 것으로써 위에 있는 불초(不肖)한 이를 섬기지 아니하는 이는 백이(伯夷)요,다섯 번 탕(湯)에게 나아갔다가 다섯 번 걸(桀)에게 나아간 이는 이윤(伊尹)이요 더러운 임금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며 작은 벼슬도 사양하지 아니한 이는 유하혜(柳下惠)이다. 삼자(三子)가 도가 같지 아니하나 그 귀추(歸趣)는 하나이다. 하나라는 것은 무엇인가? 인(仁)이다. 군자는 인(仁)일 뿐이니, 어찌 반드시 같으리오?” 하였다. 고자(告子) 하(下)
《중용》에, “군자는 그 지위에서 그대로 행하고 그밖의 것을 원하지 아니하나니, 군자는 들어가는 데마다 자득(自得)하지 아니함이 없느니라.” 하였다. 계사전(繫辭傳)에, “천지의 조화[化]를 범위(範圍)하여 허물되지 아니하며 만물을 곡진(曲盡)히 이루어 빠뜨리지 아니한다. 주야(晝夜)의 도에 통하여 안다. 그러므로 신(神)은 방(方)이 없고 역(易)은 체(體)가 없다.” 하였다. 상(上) 사(四) 본의(本義)에, “이것은 성인이 명에 이르는[至命] 일이다.” 하였다. 역(易)이라는 글은 글은 멀리할 수 없으며 도는 여러 번 옮겨서 변동하여 고정되지 않아 육위(六位)에 두루 유행하여 위아래가 일정함이 없어 강유(剛柔)가 서로 바뀌어져 일정한 표준이 될 수 없고 오직 변화함이 때에 맞추나니라. 하(下) 팔(八). 또 “성인이 천하 만물의 움직임을 보아 그 합하고 변통함을 보아서 거기에 맞추어 법과 예를 행하여 괘효(卦爻)마다 글을 붙여 그 길함과 흉함을 결단하였으니, 그러므로 효(爻)라 이른다.” 하고, 또 “화(化)하여 재정(裁定)하는 것은 변함에 있고 미루어 행하는 것은 통함에 있고 신(神)하게 하여 밝히는 것은 그 사람에 있고 묵(黙)하여 이루고 말하지 아니해도 신(信)함은 덕행에 있다.” 하였다. 상(上) 십이(十二).
공자 이르기를, “군자는 천하에 가(可)하다는 것도 없으며 불가하다는 것도 없어 오직 의에 좇을 것이니라.” 하였다. 이인(里仁) 공자가 이르기를, “함께 공부할 수 있어도 함께 도에 갈 수 없으며 함께 도에 갈 수 있어도 함께 입(立)할 수 없으며, 함께 입(立)할 수 있고도 권(權)할 수 없도다.” 하였다. 자한(子罕)
우(禹)와 직(稷)은 평세(平世)를 당하여 세 번 자기 집 문을 지나면서 들어가지 않았으매, 공자가 어질다 하셨으며, 안자(顔子)가 난세(亂世)를 당하여 누항(陋巷)에 거하면서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으매, 공자가 어질다 하셨다. 맹자가 말하기를, “우ㆍ직(禹稷)과 안회(顔回)가 도가 같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우ㆍ직과 안자가 처지를 바꾸면 다 그러하리라.” 하였다. 이루(離婁) 하(下). 또 말하기를,“증자와 자사(子思)가 도가 같다. 증자는 스승이며 부형(父兄)이요, 자사는 신하며 미천(微賤)한 이다. 증자와 자사가 처지를 바꾸면 다 그러하리라.” 하였다.
○ 또 말하기를, “자막(子莫)은 중(中)을 잡았으니, 중을 잡음이 근사하나 중을 잡아 권도[權]가 없음은 하나를 고집함과 같다. 하나를 고집하는 것을 미워함은 그것이 도를 해치는 때문이니, 하나를 들어서 백 가지를 패하는 것이다.” 하였다. 진심(盡心) 상(上)
맹자가 말하기를, “백이(伯夷)와 이윤(伊尹)이 도가 같지 않다.” 하고, 또 말하기를, “벼슬할 만하면 벼슬하며 그만둘 만하면 두고 오래 있을 만하면 오래 있고 속히 할 만하면 속히 하는 이는 공자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백 리의 땅을 차지하여 임금 노릇 하면 다 능히 제후(諸侯)에서 조회를 받아[朝] 천하를 얻을 수 있으며, 한 가지 불의(不義)한 짓을 행하고 한 사람의 죄없는 이를 죽여서 천하를 얻는 것은 다하지 아니하리니, 이것은 같은 것이다.” 하였다. 공손추(公孫丑) 상(上).
○ 또 말하기를, “백이는 성(聖)의 청(淸)한 이요, 이윤은 성(聖)의 임(任)한 이요, 유하혜(柳下惠)는 성(聖)의 화(和)한 이요, 공자는 성(聖)의 시(時)한 이다. 공자를 집대성(集大成)이라 한다.” 하였다. 만장(萬章) 하(下)
《중용》에, 중니(仲尼)가 이르기를, “군자는 중용이요, 소인은 중용에 반(反)하니, 군자의 중용은 군자로서 시중(時中)이요, 소인이 중용에 반함은 소인으로서 기탄(忌憚)이 없는 것이다.” 하였다.
공자가 이르기를, “은벽(隱僻)한 이치를 찾고 괴이함을 행하는 것을 후세에 칭도함이 있으나 나는 하지 않겠노라. 군자가 도를 따라 행하다가 중도에 패하나, 나는 그칠 수 없노라. 군자는 중용에 의(依)하여 세상을 피하여 살아 알아주는 이가 없어도 뉘우치지 않나니, 오직 성자(聖者)라야 능히 한다.” 하였다.
위는 도심정일(道心精一)의 용(用)이 된다.
황극(皇極) : 황(皇)은 크다는 뜻이요, 극(極)은 중(中)이란 뜻이다.
《논어》에 공자가 …… 아니하리오.” 하였다. : 계씨(季氏)가 정치하는 것을 물었으므로 공자가 이와 같이 답하였다.
천하에 성(性)이라고 …… 있으리라.” 하였다. : 경험으로 아는 사물의 법칙을 말한 것이다.
순(舜)이 사흉(四凶)을 베일 적에 : 순(舜)이 정치를 시작할 때에 공공(共工), 환도(驩兜), 곤(鯀), 삼묘(三苗) 네 악한 자를 베었다.
정자가 말하기를, …… 관(關) 이(伊) : 입관록(入關錄)에 기록된 이천(伊川)의 말이다.
천지에 참(參)하는 것 : 사람이 하늘과 땅에 끼어서 셋(參)이 된다는 뜻이다.
손발이 불인(不仁) : 손발이 마비되어 혈맥이 잘 통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자로(子路)가 말하기를, …… 원하나이다.” : 이 글 위에 공자가 먼저 안연(顔淵)천지의 화공(化工) : 만물을 만들어 내는 조물(造物)의 기술이란 뜻이다.
먼저 이자(二子)의 말을 보고 : 안연(顔淵) 계로(季路)가 먼저 공자의 물음에 대답하여 자기의 뜻을 말하였다.
중궁(仲弓)이 묻기를, …… 쓰겠습니까?” 하니 : 중궁이 공자에게 정치를 물으매 공자는 현재(賢才)를 들어 쓰라 하였으므로 중궁이 다시 물은 것이다.
미자(微子)는 떠나가고, …… 간(諫)하다가 죽었다. : 은(殷) 나라 임금 주(紂)가 다섯 번 …… 이윤(伊尹)이요 : 하(夏) 나라 걸(桀)이 포학한 정치를 할 때에 걸의 신하되는 제후(諸侯)인 탕(湯)이 백성을 건질 생각으로 자기의 신하 이윤(伊尹)을 보내어 걸에게 가서 그를 착한 정치로 보좌하게 하였다가 걸이 고치지 않으므로 탕에게로 왔다가 다시 가기를 여러 번 하였다 한다.
육위(六位) : 《주역》 괘(卦)의 육효(六爻)를 말한 것이다.
“함께 공부할 수 …… 수 없도다.” : 때에 따라 적당히 변통하여 권도(權道)를 쓰는 것이다.
우(禹)와 직(稷)은 …… 어질다 하였다. : 우(禹)와 직(稷)은 순(舜)의 신하로서 우는 홍수(洪水)를 다스리고 직은 백성에게 농사를 가르치노라고 바빴다 한다.
“증자와 자사(子思)가 …… 그러하리라.” 하였다. : 《맹자》의 본문에는 이 글 위에 증자가 무성(武城)에 있을 적에 월(越) 나라가 침입하였는데 혹자가 “왜 가지 않습니까?” 하니 “내 방에 사람을 넣지 말아라.” 하고는 피해 갔다가 난이 평정되자 돌아왔다. 자사(子思)는 위(衛) 나라에 있을 적에 제(齊) 나라가 침입하였는데, 혹자가, “왜 가지 않습니까?” 하니, “내가 가버리면 임금이 누구와 더불어 지키리오.” 한 말이 있고 계속하여 이 글이 있다.
範五皇極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