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한국고전종합DB에 발췌한 것입니다.

주역을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길 바랄 뿐입니다.

방문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괘(艮卦)  (0) 2010.12.22
익괘(益卦)  (0) 2010.12.22
대유괘(大有卦)  (0) 2010.12.22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이괘(履卦)  (0) 2010.12.22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간괘(艮卦)]

 

“그 등에 그치면 그 몸을 얻지 못하며, 그 뜰에 행하여도 그 사람을 보지 못한다.”고 한 것에 대하여 《정전(程傳)》에서는 ‘안의 욕심이 싹트지 않고, 밖의 물건에 접하지 않는 것’으로 풀이하였는데 진실로 그러하다면 이는 반드시 밖의 사물은 내버려 두고 생각을 단절하여 그 마음으로 하여금 불이 꺼진 재와 말라 죽은 나무와 같이 되게 하여야 비로소 제자리에 그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니, 불교에서 말한 ‘면벽공부(面壁工夫)’와 같은 것이 아니겠는가? 《본의(本義)》에서는 “그 몸을 얻지 못한다는 것은 그치고 있는 상태에서 그치는 것이고 그 사람을 보지 못한다는 것은 가면서 그치는 것이니, 동(動)과 정(靜)에 있어 각각 제자리에 그치되 다 정(靜)함을 위주로 한다.”고 하였다. 이 말이 아마도 정의(正義)인 것 같은데, 어떤지 모르겠다.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정자(程子)가 단전(彖傳)을 해석하면서 “동(動)과 정(靜)이 이(理)와 의(義)에 부합한다.”고 한 말이 있으니, 정자의 뜻도 동정을 겸하여 보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주자(朱子)가 일찍이 “그 단전을 해석한 뜻을 옮겨다가 단사(彖辭)를 풀이하면 의심이 없을 것이다.”라고 한 것입니다.


이 괘(卦)의 뜻은 정(靜)하면서도 그치고 동(動)하면서도 그치는 것으로, 모두 정함을 위주로 하고 있다. 《대학(大學)》에서 “정한 뒤에 편안할 수 있다.”고 한 것과 맹자(孟子)가 “마음을 수양하는 것은 욕심을 적게 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고 한 것과 주자(周子)가 “정을 위주로 하라.”고 한 것과 장자(張子)가 “마음을 비우고 정하게 한다.”고 한 것이 다 이 도(道)이다. 이는 바로 성문(聖門)의 요결(要訣)이며, 학자(學者)로서 해야 할 일이다. 옛사람의 이른바 좋은 상서로움이니 좋은 일이니 하는 것 중에는 이보다 더 나은 것이 없는데, 여기의 점사(占辭)에서는 “허물이 없다.”고 한 정도에서 그친 것은 어째서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군자의 학문은 안으로 반성하여 허물이 없게 하면 되는 것이지 밖에 있는 길흉(吉凶)이나 영욕(榮辱)에 대해서는 굳이 논할 것이 아닙니다. 명(明) 나라 학자 임희원(林希元)이 이 괘에서 “허물이 없다.”고 한 뜻에 대하여 논하기를, “위로 하늘 보기에 부끄러울 것이 없고 아래로 사람 대하기에 부끄러울 것이 없으면,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하였으니, 경문(經文)의 뜻을 깊이 터득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은 간괘(艮卦)이다.


 

[주D-001]면벽공부(面壁工夫) : 공부에 방해가 되는 외부의 사물을 보지 않기 위하여 벽을 향하고 앉아서 하는 수행법을 말한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재전서 경사강의자료 終  (0) 2010.12.22
익괘(益卦)  (0) 2010.12.22
대유괘(大有卦)  (0) 2010.12.22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이괘(履卦)  (0) 2010.12.22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익괘(益卦)]

 

‘혹익지십붕지귀불극위(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라고 한 것은 손괘(損卦)의 육오(六五) 효사(爻辭)와 같다. 대개 익(益)과 손(損)의 두 괘는 서로 반대가 되는데 익괘(益卦)의 육이(六二)는 곧 손괘의 육오이다. 《본의》에서 손괘 육오에 대하여 풀이하기를, “십붕(十朋)의 거북은 큰 보배이다. 혹자가 이것을 더하여 주는데 사양할 수 없다.”고 하였으니, 주자(朱子)의 뜻은 ‘혹익지십붕지귀(或益之十朋之龜)’를 한 구로 본 것이다. 그러나 예로부터 선대 학자의 말은 대다수가 ‘혹익지(或益之)’를 한 구로 보고, ‘십붕지귀불극위(十朋之龜弗克違)’를 한 구로 보았다. 곽옹(郭雍)의 《전가역설(傳家易說)》에는 “‘혹익지(或益之)’라는 것은 사람이 더하여 주는 것이고, ‘십붕지귀불극위(十朋之龜弗克違)’라는 것은 귀신이 더하여 주는 것이며, ‘왕용향우제길(王用享于帝吉)’이라는 것은 하늘이 더하여 주는 것이다. 하늘도 어기지 않는데, 더구나 사람과 귀신이겠는가.” 하였다. 그 학설을 후세의 학자들이 상당히 취하였는데, 강원(講員)의 뜻은 어떤지 모르겠다.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정전》과 장횡거(張橫渠)와 양구산(楊龜山)의 학설은 모두 ‘귀불극위(龜弗克違)’를 구로 삼으니, 후세의 학자들이 이를 따라서 해석하기를, “‘혹익지(或益之)’라고 한 것은 곧 《서경》 홍범(洪範)에서 ‘경사(卿士)가 따르고, 서민(庶民)이 따른다.’고 한 것과 같은 것이고, ‘귀불극위(龜弗克違)’라고 한 것은 곧 홍범에서 ‘거북도 따르고, 시초도 따른다.’고 한 것과 같은 것이다.” 하였습니다. 경문(經文)을 고찰하여 보면 말이 통하고 이치도 순하니, 신의 생각으로는 아마도 이것을 정의(正義)로 삼아야 할 것 같습니다.


육이(六二)는 곧 신하의 자리이고,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곧 천자(天子)의 일이다. 그런데 여기서 “임금이 상제에게 제향(祭享)을 드린다.”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임금이 상제에게 제향(祭享)을 드린다.”고 한 것은 ‘임금이 육이를 써서 상제에게 제향을 드리는 것’인데, 이는 마치 성탕(成湯)이 이윤(伊尹)을 써서 천심(天心)에 들어맞게 하고 태무(太戊)가 이척(伊陟)을 써서 상제를 이르게 한 것과 같은 것입니다.


 

이상은 익괘(益卦)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재전서 경사강의자료 終  (0) 2010.12.22
간괘(艮卦)  (0) 2010.12.22
대유괘(大有卦)  (0) 2010.12.22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이괘(履卦)  (0) 2010.12.22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대유괘(大有卦)]

 

‘공용형(公用亨)’이라고 할 때의 ‘형(亨)’에 대하여 《정전》에서는 고주(古註)를 따라 형통(亨通)의 뜻으로 풀이하였으나 《본의》에서는 《춘추전(春秋傳)》의 글을 인용하여 향헌(享獻)의 ‘향(享)’으로 보았다. 지금 자서(字書)를 참고하여 보면 형(亨)ㆍ향(享)ㆍ팽(烹)은 모두 통용(通用)하며, 《역경》 중에서도 많이 호용(互用)하였으니, 예를 들면 ‘왕이 상제에게 제향한다[王用亨于帝]’와 ‘왕이 기산에서 제향한다[王用享于岐山]’ 함이 그러한 경우다. 진 문공(晉文公)이 근왕(勤王)하려고 할 적에 복언(卜偃)에게 점을 치게 하니 대유괘(大有卦)가 규괘(睽卦)로 변한 것을 만나 하는 말이 “길합니다. 전쟁에 이기고 왕(王)에게 향연(饗宴)을 받음이니 그보다 더 길한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하였다. 이것도 역시 형(亨)을 향(享)의 뜻으로 본 분명한 증거이니, 이를 근거로 하면 《본의》의 해석을 정론으로 보아야 하는 것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섬기는 데에는 반드시 성의가 먹혀들어 가는 것이 귀한 것이므로, 《정전》에서는 ‘천자(天子)에게 너의 뜻이 통하는 것’으로 풀이한 것입니다. 그러나 형(亨)과 향(享)은 이미 통용하는 전례가 있으니, 《본의》의 해석이 비교적 순탄합니다.


효사(爻辭)에서 “소인(小人)은 할 수 없다.”고 한 것은, 소인의 경우는 비록 이 효(爻)를 얻었더라도 감당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 대전(大傳)에서는 “소인은 해로울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할 수 없을 뿐만이 아니고 또 해로움이 있다는 것이다. 구삼(九三)은 양(陽)으로 양강(陽剛)의 자리에 있어 정도(正道)를 얻었으니, 군자로서 덕도 있고 지위도 있는 자이다. 일찍이 음유(陰柔)한 자처럼 올바르지 못한 마음을 먹은 적이 없는데 성인이 마침내 여기에서 소인으로 단정 지어 경계하였으니, 그 뜻이 과연 어디에 있는 것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대유(大有)는 풍성하게 많음을 말한 것입니다. 무릇 사람의 심정은 풍부하면 교만하기가 쉬운 것이니, 진실로 겸손하게 스스로를 지키지 않거나 검소하며 예를 좋아하지 않게 되면 물욕에 끌려가지 않는 경우가 적어서 마침내는 소인이 됨을 면치 못하는 것입니다. 성인이 반드시 이렇게 경계한 데에는 어찌 그만한 뜻이 없겠습니까.


이미 “그 믿음이 통한다.”고 하고 또 “위엄 있게 하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선대 학자들의 “위엄 있게 하라.”고 한 뜻에 대한 해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혹자는 “임금의 도리는 강해야지 너무 부드러우면 명령이 서지 않으므로 위엄으로 성사시키도록 경계한 것이다.”라고 하고, 혹자는 “나의 화평한 마음으로 상대의 경계심을 없애는 것이다.”라고 하고, 혹자는 “임금이 훌륭한 재상을 얻어 믿음이 통하면 모든 정치가 절로 잘 다스려져서 기강이 떨치게 되어 내외(內外)와 원근(遠近)에서 감동하여 두려워하며 승복하게 되는데, 이는 그 위엄 있는 도가 매우 평이하게 되어서 그런 것이지 처음부터 방비책을 세워서 위엄을 기른 것은 아니다. 그래서 단전(彖傳)에 ‘위엄 있게 함이 길하다는 것은 평이하게 한 것이지 대비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하였다. 이 세 가지 말 중에 어느 말을 정설(正說)로 삼아야 하겠는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육오(六五)는 유순(柔順)한 자로 높은 자리에 있으니 혹시라도 유순함만을 숭상하다가 무능하게 될까 염려하였으므로, 위엄 있게 하라고 경계한 것입니다. 《정전》과 《본의》에서 모두 이 말을 주장하였으니, 그 뜻이 훨씬 더 낫습니다.


 

이상은 대유괘(大有卦)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괘(艮卦)  (0) 2010.12.22
익괘(益卦)  (0) 2010.12.22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이괘(履卦)  (0) 2010.12.22
소축괘(小畜卦)  (0) 2010.12.22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동인괘(同人卦)]

 

“건(乾)에 응한다.”고 할 때의 ‘건’에 대하여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에서는 모두 구오(九五)를 가리킨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동인괘(同人卦)는 이미 아래는 이(離)이고 위는 건(乾)으로 구성되었으니 경문(經文)에서 일컬은 ‘건’은 아마도 외괘(外卦)를 통틀어 가리킨 것 같은데, 정자(程子)와 주자(朱子)는 반드시 구오만을 가리킨 것이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이괘(履卦)에서 “건(乾)에 응한다.”고 한 것에 대하여서는 태(兌)가 건에 응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동인괘에서 “건에 응한다.”고 한 것에 대하여서는 구오만을 가리킨 것이라고 한 것은 과연 앞뒤가 안 맞는 것이 아닌가?

[한상신이 대답하였다.]
단전(彖傳)에서 ‘유(柔)함이 정(正)을 얻었다’느니 ‘중(中)을 얻었다’느니 하는 것은 대개 육이(六二)를 가리킨 것인데, 육이와의 상응(相應)은 곧 구오(九五)입니다. 따라서 “건에 응한다.”고 할 때의 ‘건’은 구오에만 해당시키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단사(彖辭)에 “야(野)에서 동인(同人)을 한다.”고 할 때의 ‘야’의 뜻은 광활한 들판에서 사욕(私欲)이 없음을 말함인데, 만약에 “건(乾)에 응한다.”고 하는 것을 가지고 구오(九五) 한 효(爻)만을 가리킨 것으로 본다면 아마도 “야(野)에서 동인(同人)을 한다.”고 하는 뜻에는 맞지 않을 것 같다. 혹자는 “건은 양효(陽爻)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니, 이 괘의 상(象)은 한 음효(陰爻)가 속을 비워 놓고 위아래의 다섯 양효와 상응(相應)하므로 ‘건에 응한다.’고 한 것이다.”라고 하는데, 그것이 과연 일설(一說)에 대비할 수 있겠는가?

[한상신이 대답하였다.]
단전(彖傳)의 문세로 말하면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에서 풀이한 것은 진실로 올바른 뜻입니다. 만약 괘체(卦體)를 통틀어 말한다면 혹자의 말도 버릴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본의》에서 “이 괘는 음효 하나에 다섯 양효가 함께 어울린다.”고 한 말이 있으니, 그 뜻은 주자가 이미 먼저 말한 것입니다.


 

이상은 동인괘(同人卦)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괘(益卦)  (0) 2010.12.22
대유괘(大有卦)  (0) 2010.12.22
이괘(履卦)  (0) 2010.12.22
소축괘(小畜卦)  (0) 2010.12.22
수괘(需卦)  (0) 2010.12.22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이괘(履卦)]

 

‘색색(愬愬)’이라는 두 글자에 대하여 《정전(程傳)》에서는 왕필(王弼)의 주(註)를 따라 ‘두려워하는 모양’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색(愬) 자를 다른 경문(經文)에서는 모두 소(訴) 자의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시경》에서 ‘잠깐 가서 하소연하다[薄言往愬]’라고 한 것과 《논어》에서 ‘피부로 받는 하소연[膚受之愬]’이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전국책(戰國策)》에서는 “위(衛)의 임금이 위(魏)에게 고소(告遡)하였다.”고 하여 ‘소(愬)’를 ‘소(遡)’로 바꾸었으나 글자의 뜻은 차이가 없다. 전적(典籍)들을 고찰하여 보아도 소(愬) 자를 두렵다는 뜻으로 본 데는 없는데, 왕필은 어디에 근거하여 그러함을 알았는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색(愬)’은 ‘혁(虩)’과 통용하는데,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이 효사(爻辭)를 인용(引用)하여 그 색(愬) 자를 ‘혁(虩)’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고, 또 풀이하기를 “혁혁(虩虩)은 두려워하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왕필의 주는 아마 여기에 근거하여 말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상구(上九)는 밟아 온 것을 보아 상서로움을 고찰하되 두루두루 완벽하였으면 크게 길하다.”라고 하였는데, 대개 점치는 자의 길흉(吉凶)에 대하여서는 하나같이 그동안 밟아 온 것의 선악(善惡)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지 본래 일정한 점의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무릇 착한 일을 하면 상서로움이 내려오고 착하지 못한 일을 하면 재앙이 내려와서 형(亨)ㆍ통(通)ㆍ회(悔)ㆍ인(吝)이 각각 유(類)에 따라 이르는 것은 그 이치가 매우 밝으며 그 증험이 어긋나지 않았으니, 64괘(卦) 384효(爻)가 이 이치가 아닌 것이 없다. 그런데도 성인이 유독 여기에서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대개 이괘(履卦)는 실천하는 뜻이 있고, 상구는 또 이괘의 마지막에 있다. 그러므로 특별히 여기에서 크게 드러내어 밝혀서 이를 후세에 보여 줌으로써 읽는 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고 반성하게 하는 한편, 다른 괘(卦)의 점사(占辭)도 유추(類推)할 수 있게 하였으니, 그 의의가 어찌 단순한 것이었겠는가. 그래서 일찍이 논하기를, “《시경》 삼백편의 의의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생각에 사(邪)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고, 《주역》 64괘의 의의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밟아 온 것을 보아 상서로움을 고찰한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렇게 보는 것이 과연 어떻겠는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성상(聖上)의 말씀은 진실로 우(禹)가 말한 “도(道)를 따르면 길하고 악함을 따르면 흉하다.”고 한 뜻과 부합하는 것이므로, 신(臣)으로서는 다시 더 말씀드릴 것이 없습니다.


‘기선(其旋)’이라고 할 때의 선(旋) 자에 대하여 《정전(程傳)》에서는 “주선(周旋)함이 완비(完備)하다.”고 풀이하였는데, 그 밟아 온 바를 고찰하여 진실로 두루 완벽하여 결함이 없는 것은 그것이 어떠한 지위(地位)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모든 동작과 주선을 할 때 예(禮)에 맞지 않음이 없는 것은 덕이 완성된 군자만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명(明) 나라 학자 양인(梁寅)이 이 효(爻)의 뜻에 대하여 논하기를, “모든 동작과 주선을 함이 예(禮)에 맞게 하는 것은 훌륭한 덕이 지극함이다.”라고 하였는데, 강원(講員)의 말은 여기에 근거한 것 같다. 그러나 《정전》의 본뜻과는 매우 어긋나는 것 같다. 《정전》에서 “주선함이 완비하다.”고 한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결함이 없다.”고 말한 것과 같다. 그래서 “선(旋)은 주선함이 완비하여서 이르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시종(始終) 두루 완벽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뜻은 본래 절로 환한 것이다. 그러나 양씨(梁氏)는 ‘주선’이라는 두 글자의 뜻을 잘못 알고서 ‘동작과 주선’의 뜻으로 여겼으니 정자(程子)의 뜻과는 크게 맞지 않는 것인데, 도리어 그 잘못을 답습한단 말인가? 사마 온공(司馬溫公)이 스스로 “평생에 사람을 대하여 말 못할 것이 없다.”고 하였으니, 정자가 “주선함이 완비하다.”고 한 것은 아마 그러한 사람을 가리킨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은 이괘(履卦)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유괘(大有卦)  (0) 2010.12.22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소축괘(小畜卦)  (0) 2010.12.22
수괘(需卦)  (0) 2010.12.22
몽괘(蒙卦)  (0) 2010.12.22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소축괘(小畜卦)]

 

여기서 “구름만 짙게 끼고 비가 오지 않음은 우리 서쪽 교외에서 왔기 때문이다.”라고 할 적에, 남쪽 교외라거나 북쪽 교외라고 하지 않고 굳이 ‘서쪽 교외’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여기에 대하여 말하는 이들은 “서쪽은 음방(陰方)이고 짙은 구름은 음기(陰氣)이기 때문에 반드시 서쪽 교외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는데, 이는 진실로 그러하기는 하다. 그러나 다만 후천괘(後天卦)의 위치로 말하면 서쪽과 남쪽은 모두 음에 속하니, 곤괘(坤卦) 단사(彖辭)에서 “서남쪽에서는 벗을 얻는다.”고 한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남쪽은 버려두고 서쪽만 취한 것은 반드시 그만한 뜻이 있을 것인데, 이를 지적하여 말해 줄 수 있겠는가?

[한치응이 대답하였다.]
제2효(爻)에서 제4효까지를 호체(互體)로 보면 태(兌)가 되며, 태는 서방에 해당하므로 반드시 ‘서쪽 교외’라고 한 것인데, 송(宋) 나라 학자 구부국(丘富國)의 말이 그러합니다.


호체(互體)에 대한 학설은 한(漢) 나라 학자들이 견강부회한 큰 화두(話頭)의 하나이다. 그러나 성인(聖人)의 정밀한 뜻을 그렇게 구하면 거리가 멀어진다. 옛날 쌍계(雙溪) 왕회숙(王晦叔 왕염(王炎))이 장남헌(張南軒 장식(張栻))에게 묻기를, “이천(伊川)이 학자(學者)에게, 왕필(王弼)ㆍ호원(胡瑗)ㆍ왕안석(王安石) 삼가(三家)의 역해(易解)를 먼저 보게 한 것은 어째서입니까?” 하니, 장남헌이 말하기를, “그 삼가는 호체를 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지금 《정전(程傳)》과 《본의(本義)》를 고찰하여 보면 한마디도 호체에 대하여 언급한 적이 없으니, 여기에서 정자와 주자의 식견(識見)과 견해(見解)가 고명(高明)함을 알겠다. 오징(吳澄)과 내지덕(來知德)의 무리는 그 뜻을 모르고 조금만 이해하기 어려운 곳을 만나면 문득 “호체(互體)의 상(象)이 그러하다.”고 한다. 그래서 한 괘(卦) 중에 원괘(原卦)에 의한 안과 밖의 상이 있고 또 호체에 의한 안과 밖의 상이 있다고 하여, 이를 갈라놓고 깨뜨리는 등 온갖 괴상한 말을 하니 성인이 상(象)을 설정하고 해석을 붙인 본뜻은 마침내 볼 수 없게 되었다. 구씨(丘氏)의 말도 그러한 성격인데 어떻게 그것으로 증명을 삼을 수 있겠는가. 그리고 ‘서쪽 교외’의 뜻은 주자가 이미 분명하게 말하였다. 대개 서쪽 교외나 남쪽 교외는 다 같이 음방(陰方)인데, 이 괘(卦)에서 유독 서쪽 교외만을 예로 든 것은, 이때에 문왕(文王)이 유리(羑里)에서 연역(演易)하면서 기주(岐周)를 서쪽으로 보았기 때문에 ‘우리 서쪽 교외’라고 한 데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라는 것은 문왕이 스스로를 우리라고 한 것이다. 만약 구씨의 말대로라면 우리라고 한 ‘우리’는 과연 어느 곳을 가리켜 말한 것인가?

[한치응이 대답하였다.]
만약에 구씨의 말을 따르게 되면 ‘우리’는 마땅히 육사(六四)를 가리켜 말한 것입니다. 그러나 육사는 이미 이 괘(卦)를 주장하는 효(爻)가 아니니, 괘사(卦辭)에서 육사를 가리켜 우리라고 하는 것은 합당치가 않습니다. 《본의(本義)》를 따르는 것만큼 온당하지 못하니, 성상(聖上)의 말씀이 진실로 옳으십니다.


여기서 “바람이 하늘 위에 행하는 것이 소축(小畜)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 문덕(文德)을 아름답게 한다.”고 하였는데, 소축의 상(象)을 보고 문덕을 아름답게 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정전(程傳)》에서 “군자가 품고 있는 것 가운데 큰 것은 도덕과 경륜(經綸)이고 작은 것은 문장과 재예(才藝)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렇게 보면 ‘문덕’은 곧 문예를 두고 한 말이다. 그러나 《논어》에서 “덕을 바탕으로 하고 문예에 노닐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또 “덕행에는 안연(顔淵)ㆍ민자건(閔子騫)이고 문학에는 자유(子游)ㆍ자하(子夏)이다.”라고 하였으니, 옛날에 도덕과 재예를 논(論)하는 이는 두 가지로 나누거나 대대(對待)로 말하지 않은 적이 없는데, 이 구절에서는 ‘문예’라고 하지 않고 ‘문덕’이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한치응이 대답하였다.]
나누어서 말하면 문예와 문덕은 자연 크고 작은 차이가 있으나, 종합하여 말하면 문예는 곧 문덕 중의 한 가지 일입니다.


 

이상은 소축괘(小畜卦)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이괘(履卦)  (0) 2010.12.22
수괘(需卦)  (0) 2010.12.22
몽괘(蒙卦)  (0) 2010.12.22
곤괘(坤卦)  (0) 2010.12.22

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수괘(需卦)]

 

“상육(上六)은 굴[穴]에 들어감이다.”라고 한 것에 대하여 그 상(象)을 설정한 뜻을 말하여 줄 수 있겠는가? 어떤 이의 말에 의하면 “감(坎)은 물이 되고, 함정도 되고, 도랑도 되고, 숨는 것도 되므로 굴의 상징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면 육사(六四)는 감의 초효(初爻)에 있으니 마땅히 굴에 들어가는 상이 있을 것인데 도리어 굴에서 나왔다고 하고, 상육은 감의 상효(上爻)에 있으니 마땅히 굴에서 나오는 상이 있을 것인데 도리어 굴에 들어간다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호병문(胡炳文)이 이를 논하여 말하기를, “육사는 음유(陰柔)로 음(陰)의 바른 자리에서 기다릴 수가 있어서 험난(險難)함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나온다’고 한 것이니 이는 앞으로 그렇게 될 것을 허여(許與)한 것이고, 상육은 음유로서 험난의 마지막에 해당하여 다시 기다릴 수가 없고 오직 험난한 데에 들어가게 되므로 ‘들어간다’고 한 것이니 이는 이미 그렇게 된 것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 말을 과연 어떻게 여기는가?

[한상신(韓商新)이 대답하였다.]
육사(六四)와 상육(上六)은 다 음효(陰爻)인데, 음(陰)은 물러남을 위주로 합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초효(初爻)에 있는 것은 물러나 굴에서 나가는 상(象)이 있고, 상효(上爻)에 있는 것은 물러나서 굴로 들어가는 상이 있는 것입니다. 호씨(胡氏)가 ‘앞으로 그렇게 될 것이다’와 하고 ‘이미 그렇게 된 것이다’로 나누어 말한 것은 아마도 견강부회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부르지 않은 세 사람이 올 것이니 공경하면 마침내는 길할 것이다.”라고 한 것은 무슨 말인가? 이를 논하는 이들은 모두 “아래의 세 양(陽)이 오는 것은 상육(上六)을 침해하려는 뜻이 있는 것이니 상육은 반드시 공경하는 마음을 다하여 대하여야 한다. 그렇게 하여야 비로소 화를 면하고 길함을 얻을 것이다.”라고 한다. 그러나 상육이 험난(險難)한 굴속에 있으니 세 양으로서는 다툴 곳이 아니며 또 구삼(九三)은 자기와 상응(相應) 관계이니 반드시 자기를 해칠 사람이 아니다. 경문(經文)에서 부르지 않은 손님이라고 한 것은 다만 그가 오는 것이 자기가 부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어찌 꺼리는 생각이 있어서이겠는가. 대개 상육은 음유(陰柔)로서 험난함이 지극한 곳에 있으면서 그 험난함을 구제할 능력이 없으니 굴에 들어가는 곤궁함이 있는 것이다. 오직 다행스러운 것은 아래에 구삼의 상응이 있어서 내가 부르기를 기다리지 않고서도 그 동류와 함께 찾아와서 그 험난함을 구제해 주려는 것이다. 그러니 상육으로서는 유순(柔順)한 도리로써 공경히 예우만 하면 마침내 반드시 그의 힘을 입어 험난한 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니, 그것이 마침내는 길하다는 것이다. 명(明) 나라 학자 임희원(林希元)이 그 말을 강력히 주장하고 또 패공(沛公)이 항백(項伯)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면한 사실을 인용하여 증명하였는데, 그것이 과연 일설(一說)에 대비할 수 있는 것인가?

[한상신이 대답하였다.]
상육은 음으로서 여러 양의 위에 있고, 아래에 있는 세 양은 위로 올라올 뜻을 갖고 있으니, 그 꺼리게 되고 다투게 될 근심은 반드시 이를 수밖에 없는 형편이므로 반드시 경계를 하면서 공경하는 마음을 다하여 대하라는 것입니다. 《정전(程傳)》에서 “진실로 공경하여 대하면 비록 매우 강포(剛暴)한 자라고 하더라도 어찌 침해할 리가 있겠는가.” 하였으니, 임희원의 말에 비하면 그 말이 더 의미가 있습니다. 아마도 《정전》의 말을 정설(正說)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이상은 수괘(需卦)이다.


 

[주D-001]패공(沛公)이 …… 사실 : 패공 유방(劉邦)이 진(秦) 나라의 수도 함양(咸陽)을 함락시킨 후 항우(項羽)가 범증(范增)의 권유로 유방을 죽이려고 홍문(鴻門)에 연회(宴會)를 베풀었는데, 그 계략을 알려 준 항백(項伯)의 도움으로 유방이 화를 면할 수 있었던 일을 가리킨 말이다. 《史記 卷7 項羽本紀》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괘(履卦)  (0) 2010.12.22
소축괘(小畜卦)  (0) 2010.12.22
몽괘(蒙卦)  (0) 2010.12.22
곤괘(坤卦)  (0) 2010.12.22
건괘(乾卦)  (0) 2010.1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