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 看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308일_상주일원_우복 정경세 선생, 권찰도, 고려 가양왕릉 간산 (0) | 2015.03.10 |
---|
150308일_상주일원_우복 정경세 선생, 권찰도, 고려 가양왕릉 간산 (0) | 2015.03.10 |
---|
❏ 우복 鄭經世 先生墓
소재지 : 경북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 27-3(부곡리 산 53-1)
본관 진주(晉州). 자 경임(景任). 호 우복(愚伏), 일묵(一默), 하거(荷渠), 초시(初諡), 문숙(文肅), 개시(改諡), 문장(文莊). 경상북도 상주에서 출생하였다. 류성룡의 문인이다. 1582년(선조 15) 진사를 거쳐 1586년 알성 문과에 급제, 승문원 부정자(副正字)로 등용된 뒤 검열 봉교(奉敎)를 거쳐 1589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수찬(修撰)이 되고 정언, 교리, 정랑, 사간(司諫)에 이어 1598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광해군 때 정인홍(鄭仁弘)과 반목 끝에 삭직(削職)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부제학에 발탁되고, 전라도관찰사, 대사헌을 거쳐 1629년 이조판서 겸 대제학에 이르렀다. 이듬해 겸 춘추관지사로서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편찬을 담당하였다. 성리학에 밝았고 이기설(理氣說)에서 이황(李混)의 학설에 반대, 이이(李珥)에 동조하였으며 특히 예론(禮論)에 밝아서 김장생(金長生) 등과 함께 예학파(禮學派)로 불렸다. 시문(詩文)과 서예에도 뛰어났다. 찬성(贊成)에 추증되고 상주의 도남서원(道南書院),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 강릉의 퇴곡서원(退谷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우복집(愚伏集), 상례참고(喪體參考), 주문작해(朱文酌解) 등이 있다.
❏ 권찰도 墓
소재지 : 경북 상주시 공검면 율곡2리 351(능골)
退齊 권찰도의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퇴제(退齊) 안동권씨(安東權氏) 10세손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 권척(權倜)을 파조로 하는 검교공파, 조선 연산군때 大司憲을 지냈다.
❏ 고령 가야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7번지
지방문화재 기념물 제26호
고령 가야 왕릉은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7번지에 위치하며 고령가야 왕릉이고 그 동쪽의 능은 왕비능이라 전한다. 함창 읍지에 의하면 함창 김씨의 시조로 42년(신라 유리왕 18년) 3월 15일 계욕일에 가락국(현 김해읍) 북쪽 3리쯤의 귀지봉에 강생하였다.
함창에 건국한 분이 고령 가야 왕이다. 개국 초에 지금의 문경, 호계, 가은을 영현으로, 이안천 영강 변의 기름진 터를 잡고 재악산을 진산으로, 동쪽에 고산 덕봉 국사봉 서쪽에 대가산 남쪽에 오봉산 국사봉 북쪽에 금대산 등을 왕도의 성산으로 했다.
이와 같이 산수가 명려하고 인심이 순후하여 학문을 숭상하고 농사에 힘써 풍요하고 평화로운 태평성대가 계속되다가 나라를 세운지 16세 520년(진흥왕 23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 한다. 이 능은 1500여 년 간 부근 주민의 구전으로 고령가야 왕릉이라 전하여 오다가 1592년(선조 25년)에 능밑 층계 앞에 묻혀있는 묘비가 발견되었는데 발견 음각으로 된 글씨로 고령 가야 왕릉임이 관찰사 김수, 함창 현감 이국필 등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 후 자손과 관에서 수호와 관리를 하고 매년 10월 1일과 강생일인 3월 15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1712년(숙종 28년)왕명에 의하여 묘비와 석물을 건립하였다.
풍수지리에 의하면 안산이 멀고 드높으며 내맥이 준수하고 주변의 평야가 광활하고 큰 강이 감아 돌아 동해의 물이 마르기 전에는 자손이 끊이지 않고 번성하며 영화가 계속 이어져 영구히 흥왕 한다고 전하여 오고 있다. 이 왕릉에 관한 문헌으로는 여지승람 하권 함창 고적조에 기록되어 있다.
가야왕릉이 현의 남쪽 2리쯤에 있어 오랫동안 전해오고 있고 본 현의 김씨가 그 자손으로 비를 세우고 수호하며 매년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함창읍지 능묘조에도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971년 함창 도시계획에 보존 구역으로 결정되었고 1979년 지방 문화재 26호 전 고령 가야 왕릉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관과 자손이 능역의 정화와 보존 관리에 성력을 기울이고 있다.
(참고문헌 : 네이버백과사전)
전국 명당 및 그외 看山자료는 단촌풍수지리학회 홈페이지로 가시면 됩니다. (0) | 2018.05.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