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12달 360일의 별칭(別稱)

 

1月: 新元(신원). 新正(신정). 初春. 孟春(맹춘). 肇春(조춘). 春寒(춘한). 端月, 峭寒(초한). 履端(이단). 獻發(헌발). 正月, 寅月, 元月, 陬月(추월), 月正, 元月, 新春, 上春, 初歲, 開歲, 春首, 春始, 建寅, 肇歲 (조세), 靑陽, 孟陽, 正陽, 泰陽, 王月, 始春, 孟陬(맹추) 月正, 謹 月, 睦月, 大嗾月(대주월), 太簇月

# 1日: 元旦(원단). 元朝(원조). 元朔(원삭). 正旦(정단). 元始(원시).
元日(원일). 歲旦(세단)
# 15日:上元. 元宵(원소). 元夕(원석)

 

2月: 仲春(중춘). 酣春(감춘), 春和(춘화). 殷春(은춘). 載陽(재양). 仲陽, 陽中, 中和節(중화절), 華朝, 惠風, 如月, 麗月, 仲陽, 卯月, 桃月, 大壯月, 今月, 夾鐘, 令月, 春中, 夾鐘月,

 

3月: 季春(계춘). 和照(화조). 和辰(화신). 暮春(모춘). 春暄(춘훤), 花(화 우), 辰月, 花月, 嘉月, 晩春, 季春, 蠶月, 殿春, 載陽, 姑先月, 淸明, 穀雨, 中和, 姑洗, 楔月(설월), 淸明, 陽春, 惠風, 穀雨, 寎月 (병월), 春花, 佳節, 弥生(미생), 桃李月, 姑洗月

# 3-重三(중삼). 元巳(원사). 踏靑節(답청절). 上巳日(상사일)

 

4月: 孟夏(맹하). 梅夏(매하). 淸和(청화). 肇夏(조하). 梅雨(매우). 初炎(초염), 槐夏(괴하), 巳月, 余月, 乾月, 初夏, 始夏, 維夏, 新夏, 立夏, 正陽, 仲呂, 麥秋, 正陽, 仲呂月, 小滿, 夏首, 卯月<일본>, 正陽 月, 仲呂月

# 8日-佛誕日(불탄일). 浴佛日(욕불일). 燈夕日(등석일)

 

5月: 仲夏(중하). 榴夏(유하). 榴月(유월). 蜩節(조절). 午月, 皐月(고월), 每月, 姤月(구월), 雨月, 梅天, 薰風, 蒲月(포월), 長至, 暑月, 梅 夏, 雨月, 蜩越(조월), 端陽(단양). 天中節(천중절). 麥秋(맥추), 超下, 端陽, 新綠, 梅夏, 梅雨, 鶉月(순월), 鳴蜩(명조), 高明, 蒲夏 (포하), 皐月(고월-<일본>), 蕤賓月(유빈월)

# 5日-端午(단오). 重五(중오). 重午(중오)

 

6月 : 季夏(계하). 且月(차월), 霖熱(임열). 亢炎(항염). 庚炎(경염). 常夏, 晩夏, 未月, 流月, 螢月(형월), 林鐘月, 朝月, 季月, 伏月, 晩夏, 秒月, 溽暑(욕서). 酷炎(혹염). 桃花月(도화월), 災陽, 小暑, 焦月 , 暑夏, 長霖(장림), 水無月<일본>

# 15-流頭日(유두일)

 

7月 : 孟秋(맹추). 新凉(신량). 殘炎(잔염). 餘暑(여서). 老炎(노염), 秋霖 (추림), 申月, 流火, 瓜月, 蟬月(선월), 相月, 棗月(조월), 槐秋(괴추), 肇秋조추), 初秋, 上秋, 凉月(양월), 冷月(냉월), 桐月(동월), 初秋, 夷則月(이즉월), 新秋, 蘭秋, 炎署, 處暑, 盛夏, 文月<일본>

# 7日-重七(중칠). 七夕(칠석)

 

8月: 仲秋(중추). 素秋(소추). 殷秋(은추). 淸秋(청추). 高秋(고추), 凉秋 (양추), 桂月(계월). 酉月, 南呂月, 壯月, 巧月(교월), 素月, 仲商, 佳月, 鴈月(안월), 寒旦(한단), 中律, 正秋, 立秋, 白鷺, 葉月<일본>, 雁來月

# 15일-嘉俳節(가배절). 中秋節(중추절)

 

9月: 季秋(계추). 霜冷(상냉). 深秋(심추). 菊秋(국추). 菊花月(국화월).
殘秋(잔추). 霜寒(상한), 戌月(술월), 高秋, 晩秋, 霜晨(상신), 無射 月(무역월), 玄月, 菊月, 詠月, 暮秋(모추), 剝月(박월), 授衣, 秒 秋, 季商, 窮秋, 戊月(무월), 素秋, 重陽, 秋陽, 長月<일본>,

# 9-重九(중구). 重陽節(중양절). 落帽節(낙모절)

 

10月: 盟冬(맹동). 猝寒(졸한). 初寒(초한). 小春(소춘). 寒冷(한냉), 陽 月, 亥月, 粗銅, 良月, 初冬, 上冬, 立冬, 孟冬, 小陽春, 坤月, 應 鐘月, 坤月, 吉月, 玄冬, 神無月<일본>

# 15日-下元(하원)

 

11月: 仲冬(중동). 復陽(부양). 觱寒(필한). 子月, 至月, 葭月(가월), 南 至, 陽復, 復月, 皐月(고월), 暢月(창월), 黃鐘月, 至寒(지한). 至 冱(지호). 猛寒(맹한), 南至, 霜降月, 紙月, 初寒, 霜月<일본>, 天正月,

 

12月: 季冬(계동). 雪冱(설호). 窮令(궁령). 臘月(납월). 酷寒(혹한). 窮冱 (궁호), 丑月, 嚴月, 除月, 涂月(도월), 暮冬, 晩冬, 窮冬, 嘉平, 暮歲暮節, 大呂, 季月, 秒冬, 臘月(납월), 蜡月(사월), 極月, 窮陰, 大呂月, 三冬月, 餘月, 氷月, 暮節, 氷冬, 深冬, 師走(사주)<일본>, 地正月,

# 末日밤-除夜(제야). 除夕(제석)

 

各月(각월)
# 1日-朔日(삭일). 初吉(초길). 月旦(월단). 月朔(월삭). 月始(월시).
月初(월초)
# 2-再吉(재길)
# 3日-哉生月(재생월)
#10日-旬日(순일), 上旬, 初旬, 上澣(상한), 上浣(상완)
#14日-未望(미망)
#15日-望日(망일)
#16日-旣望(기망), 哉生魄(재생백)
#20日-念日(염일), 中旬, 中浣, 中澣
#30日(작은 달은 29日)-晦日(회일)

 

1月 1日 : 元旦, 元朝, 元朔, 正旦, 歲旦, 元始, 元夕, 元日
1月 15日 : 上元, 元夕, 元宵(원소)
3月 3日 : 重三, 上巳日, 踏靑日, 元巳
4월 8日 : 浴佛日, 佛誕日, 燈夕日
5月 5日 : 重午, 重五, 端午
6月 15日 : 流頭日
7月 7日 : 七夕, 重七
7月 15日 : 中元, 百中
8月 15日 : 嘉俳節
9月 9日 : 中九, 重陽節, 落帽節
10月 15日 : 下元
12月 末日 : 末日, 除夜, 除夕

 

※ 節侯表
冬至 小寒 大寒 立春 雨水 驚蟄
동지 소한 대한 입춘 우수 경칩
春分 淸明 穀雨 立夏 小滿 芒種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夏至 小暑 大暑 立秋 處暑 白露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秋分 寒露 霜降 立冬 小雪 大雪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2지(至); 하지(夏至)와 동지(冬至)
    2분(分); 춘분(春分)과 추분(秋分)
4입(立); 입춘(立春). 입하(立夏). 입추(立秋). 입동(立冬)
8기(氣); 이상의 2지, 2분, 4입을 8기(氣)라 한다.
16(候); 팔기(八氣) 사이사이 약 15일 간격이 되도록 2개씩의 천시를 넣은  것을 후(候)라 하는데 16후(候)가 된다.
24절기(節氣); 이 16후(候)를 8기와 합하여 24절기 또는 24절후라 한다.
72후(候) ; 1년 24절후를 살피며 생활하자니 자연계는 너무 잦고 많은 변화를 한다. 해서 다시 각 절후(약 15일) 간에 5일 씩을 살펴 이름 지은 것이 72후다.

 

** 주로 세예를 하는 사람들이 멋으로 여러 가지 명칭들을 쓰는데, 위의 별칭 외에도 적당히 만들어 쓰는 경우도 있고, 글자도 옛글자를 쓰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天, 春, 秋'등은 다른 이체자(異體字)를 쓰기도 하나 여기 한자가 나오지 않아 옮길 수 없다. 때로는 좌우를 바꾸어 쓰기도 한다. '秋'를 '火+禾'로 쓰는 경우와 같은 것이다. 

                        <현재 경산에서 활동 중인  경북선비아카데미 이진하 선생께서  정리한 자료임>

출처 : 영주유선회(榮州 儒宣會)
글쓴이 : 정태주 원글보기
메모 :

'자료실 > 한자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지헌말(冬至獻襪)   (0) 2010.09.30
중양절(重陽節)  (0) 2010.09.30
지시동(地始凍  (0) 2010.09.30

 

호칭

관계

특별호칭

아버지

나를 낳아주신 분

부친(父親) 가친(家親)

어머니

나를 길러주신 분

모친(母親) 자친(慈親)

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

조부(祖父)

할머니

아버지의 어머니

조모(祖母)

증조 할아버지

할아버지의 아버지

증조부(曾祖父) 한 할아버지

증조 할머니

할아버지의 어머니

증조모(曾祖母) 한 할머니

남편

지애비, 아비

부(夫) 가장(家丈)

아내

지어미, 자기 부인

처(妻) 내자(內子)

아들

내가 낳은 사내아이

가아(家兒) 돈아(豚兒)

며느리

아들의 아내

자부(子婦)

내가 낳은 여자아이

여식(女息)

사위

딸의 남편

서랑(胥郞)

손위형제

장형(長兄) 사백(舍伯) 사중

형수

형의 부인

큰 형수(長兄嫂)

아우

손아래 동생

사제(舍弟) 동생

제수

아우의 아내

제수(弟嫂)

누이

손위 자매

가매(家妹) 언니

자형

누이의 남편

자형(姉兄) 매형(妹兄)

누이동생

손아래 남매

매(妹) 가매(家妹)

매제

누이동생의 남편

매부(妹夫) 매제(妹弟)

큰 아버지

아버지의 큰형

백부(伯父) 중백부(仲伯父)

큰 어머니

아버지의 형수

백모(伯母) 중백모(仲伯母)

작은 아버지

아버지의 동생

숙부(叔父) 계부(季父) 삼촌

작은 어머니

아버지의 제수

숙모(叔母)

당숙

아버지의 사촌형제

당숙(堂叔) 종숙(從叔)

당숙모

아버지 사촌의 부인

당숙모(堂叔母) 종숙모(從叔母)

재당숙

아버지의 육촌의 형제

재당숙(再堂叔) 재종숙(再從叔)

재당숙모

아버지 육촌의 부인

재당숙모 재종숙모

종조부

할아버지의 형제

종조부(從祖父)

종조모

할아버지의 형수,

제수

종조모(從祖母)

종형제

아버지의 조카

사촌형제(四寸兄弟)

종수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사촌형수, 제수

재종형제

당숙의 아들

육촌형제(六寸兄弟)

재종수

당숙의 며느리

육촌형수, 제수

조카

형, 아우의 아들 딸

질(姪) 조카딸(조카사위)

조카며느리

조카의 아내

질부(姪婦)

당질

사촌의 아들

당질(堂姪)

당질부

사촌아들의 아내

당질부(堂姪婦)

종손

조카의 아들

종손(從孫)

재종손

육촌의 손자

재종손(再從孫)

상황2) 난 남편. 처가댁에 인사왔다.

호칭

관계

특별호칭

장인

아내의 아버지

장인(丈人) 빙장

장모

아내의 어머니

장모(丈母) 빙모

처백부

아내의 큰어머니

처백모(妻伯母)

처백모

고모의 아들 딸

내종사촌(內從四寸)

처숙부

아내의 작은아버지

처숙부(妻叔父)

처남

아내의 남자 형제

처남(妻男)

처남댁

처남의 부인

처남댁(妻男宅)

처조카

아내의 조카

처질(妻姪)

 

 

상황3) 난 며느리. 여기는 시집

호칭

관계

특별호칭

시아버님

남편의 아버지

시부(媤父) 시아버지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시모(媤母) 시어머니

시숙

남편의 형, 시아주버니

시숙(媤叔) 서방님

동세

남편의 형수

동시(同媤) 형님

동서

남편형제의 아내

동서(同胥)

시동생

남편의 아우

기혼은 서방님, 미혼은 도련님

시누이

남편의 남매, 아가씨

시매(媤妹), 기혼손위는 형님, 손아래는 아우, 미혼은 아가씨

 

상황4) 외가댁에 왔을때 호칭

호칭

관계

특별호칭

외할아버지

어머니의 아버지

외조부(外祖父)

외할머니

어머니의 어머니

외조모(外祖母)

외숙

어머니의 남자형제

외숙(外叔) 외삼촌(外三寸)

외숙모

외삼촌의 부인

외숙모(外叔母)

외사촌

외삼촌의 아들

외종(外從)형제

외종수

외삼촌의 며느리

외종수(外從嫂)

외당질

외사촌의 아들 딸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외당질부

외사촌의 아들 딸

외당질(外堂姪) 외당질여

외당질

외사촌의 며느리

외당질부

진외당숙

아버지의 외사촌

진외당숙(陳外堂叔)

 

상황5) 고모댁 식구들이 놀러오셨네

호칭

관계

특별호칭

고모

아버지의 여자 형제

고모(姑母)

고모부

고모의 남편

고모부(姑母夫) 고숙(姑叔)

당고모

아버지의 육촌누이

재당고모(再堂姑母)

내종형제

고모의 아들 딸

내종사촌(內從四寸)

대고모

아버지의 고모

대고모(大姑母) 왕고모

 

 


 

출처 : 은행나무 향기
글쓴이 : 백마강 원글보기
메모 :

신라왕족 묘지명 중국 시안서 발견(종합)
http://media.daum.net/v/20130214164319452

출처 :  [미디어다음] 교육 
글쓴이 : 연합뉴스 원글보기
메모 :

 

 

 

 

 

利涉大川

 

 

如意亨通

 

 

輔相天也之宜

財成乾坤之道

賀正

 

 

 

 

 

 

 

 

 

利涉大川

 

 

如意亨通

 

 

厚德載物

 

 

自彊不息

 

 

賀正

 

 

 

 

 

1. 施罰勞馬(시벌로마)

고대 중국의 당나라 때 일이다.

한 나그네가 어느 더운 여름날 길을 가다 이상한 장면을 목격하였다.

한 농부가 밭에서 허벌나게 열심히 일하는 말의 뒤에 서서 자꾸만 가혹하게 채찍질을 가하는 광경을 본 것이다.

계속해서 지켜보던 나그네는 말에게 안쓰러운 마음이 들어 농부에게 "열심히 일하는 말에게 왜 자꾸만 채찍질을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그 농부는 자고로 말이란 쉬임없이 부려야 다른 생각을 먹지 않고 일만 열심히 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남의 말을 놓고 가타부타 언급할 수가 없어 이내 자리를 뜬 나그네는 열심히 일하는 말이 불쌍하여 가던 길을 멈추고 뒤를 돌아보며 긴 장탄식과 함께 한마디를 내뱉었다 한다.

"아! 施罰勞馬(시벌로마)"

- 한자공부 : 施:행할 시 罰:죄 벌 勞:일할 로 馬:말 마

走:달릴 주 馬:말 마 加:더할 가 鞭:채찍 편

 

2. 漁走九里(어주구리)

옛날 한나라 때의 일이다.

어느 연못에 예쁜 잉어가 한마리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어디서 들어왔는지 그 연못에 큰 메기 한 마리가 침입하게 된 것이다.

그 메기는 예쁜 잉어를 보자마자 잡아 먹으려고 했다.

잉어는 연못의 이곳 저곳으로 메기를 피해 헤엄을 쳤다.

하지만 역부족이었다.

굶주린 메기의 추격을 피하기에는...

피하다 피하다 못한 잉어는 초어적(?)인 힘을 발휘하게 된다.

잉어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뭍에 오르게 되고, 뭍에 오르자 마자 꼬리를 다리삼아 냅다 뛰기 시작했다.

메기가 못 쫓아 오는걸 알게 될 때까지 잉어가 뛰어간 거리는 약 구리 정도였을까? 암튼 십리가 좀 안 되는 거리였다.

그때 잉어가 뛰는 걸 보기 시작한 한 농부가 잉어의 뒤를 쫓았다.

잉어가 멈추었을때 그 농부는 이렇게 외쳤다.

`어주구리(漁走九里)`...고기가 구리를 달려왔다...

 

그리고는 힘들어 지친 그 잉어를 잡아 집으로 돌아가 식구들과 함께 맛있게 먹었다는 얘기이다.

어주구리(漁走九里) : 능력도 안 되는 이가 센척하거나 능력밖의 일을 하려고 할 때 주위의 사람들이 쓰는 말이다.

이 고사성어는 말할 때 약간 비꼬는 듯한 말투로 약간 톤을 높여 말하면 아주 효과적이다.

 

3. 足家之馬(족가지마) / 足家苦人內(족가고인내)

이 고사성어는 '분수에 지나친 행동을 경계하라'는 깊은 교훈을 담고있다.

아주 먼 옛날 중국 진나라시대에, 어느 마을이 있었는데 그 마을사람들의 성씨는 신체의 일부를 따르는 전통이 있었다.

대대로 귀가 큰 집안은 이(耳)씨, 화술에 능통한 사람을 많이 배출한 집안은 구(口)씨와 같은 식이였다.

그곳에 수(手)씨 집안이 있었는데, 그 집안은 대대로 손재주가 뛰어난 집안이었다.

이 '수'씨 집안에는 매우 뛰어난 말 한 필이 있었는데, 이 역시 수씨 집안의 손재주에 의해 길들여진 것이었다.

어느 날 도적들과의 전쟁에 수씨집안의 큰 아들이 이 말을 타고나가 큰 공을 세워 진시황으로부터 벼슬을 받았다.

이것을 본 앞집의 족(足)씨 집안에서는,

"손재주나 우리 집안의 달리기를 잘하는 발재주나 비슷하니 우리도 말을 한 필 길러봄이 어떨까....?"

하여 말 한 필을 길들이기 시작했다. 한 달후, 도적들이 보복을 위해 마을로 내려왔다.

이를 본 족씨는 아들에게, "어서 빨리 수씨 집안보다 먼저 우리 말을 타고 나가거라."

하였고, 족씨 집안의 장자는 말을 타고 나가다 대문의 윗부분에 머리를 털리며 어이없게도 죽고 말았다.

이를 본 족씨는 통곡하며,

"내가 진작 분수에 맞는 행동을 했더라면, 오늘의 이 변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을..."

하며 큰 아들의 주검을 붙잡고 통곡하였다.

이 때부터 세인들은 분수에 맞지않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 '足家之馬(족가지마)'라고 말하곤 한다.

足家之馬(족가지마) :

자기의 주제도 모르고 남의 일에 참견하거나 분수에 맞지않는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 흔히 하는 말

파생어 :

足家苦人內(족가고인내) - 옛날 족씨가문의 큰아들이 집안에서 죽음으로 인해 비롯된 말. (족씨가문이 집안의 사람으로 인해 괴로워하다)

 

4. 始發奴無色旗(시발노무색기)

옛날부터 중국 고사에는 삼황오제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 중 복희씨는 주역의 만들었을 뿐 아니라, 길흉화복을 점치는 법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그 복희씨 시대의 이야기이다.

복희씨가 중국을 다스리고 있던 어느 날, 태백산의 한 산마을에 돌림병이 나서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는 전갈을 들었다.

그리하여 복희씨는 그 마을로 향하게 되었는데, 그 마을은 황하의 물이 시작되는 곳이라 하여, 시발(始發) 현(縣)이라 불리고 있었다.

그 마을에 도착한 복희씨는 돌림병을 잠재우기 위해 3일 낮 3일 밤을 기도 하였는데, 3일째 되는 밤 기도 도중 홀연 일진광풍이 불면서 왠 성난 노인이 나타나

'나는 태백산의 자연신이다. 이 마을사람들은 몇 년째 곡식을 거두고도 자연에게 제사를 지내지 않으니, 이를 괘씸히 여겨 벌을 주는 것이다. 내 집집마다 피를 보기 전에는 돌아가지 않으리.' 하였다.

복희씨는 자연신이 화가 난 것을 위로하기 위해 방책을 세우고 마을 사람들을 불러모아 말하였다.

'자연신의 해를 피하기 위해선 집집마다 깃발에 동물의 피를 붉게 묻혀 걸어두어야 하오! '

그런데, 그 마을사람 중에 시발(始發)현(縣)의 관노(官奴)가 하나 있었으니, '귀신은 본디 깨끗함을 싫어하니, 나는 피를 묻히지 않고 걸 것이다.'하여 붉은 피를 묻히지 않은 깃발을 걸었다.

그날 밤 복희씨가 기도를 하는데, 자연신이 나타나 노여워하며 말하길

'이 마을사람들이 모두 정성을 보여 내 물러가려 하였거늘, 한 놈이 날 놀리려 하니 몹시 불경스럽도다. 내 역병을 물리지 않으리라.' 하였다.

그리하여 다음날부터 전염병이 더욱 돌아 마을 사람들이 더욱 고통스럽고 많은 이가 죽었으니, 이는 '그 마을(시발현)의 한 노비가 색깔 없는 깃발을 걸었기(始發奴 無色旗)' 때문이었다.

이 이야기로 인해, 그 이후 혼자 행동하여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는 사람이나,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마구 행동하는 사람을 보면, ' 始發奴(시발노) 無色旗(무색기)'라고 하게 되었다.

始發奴無色旗(시발노무색기):

始 (시작할 시) 發 (발할 발) 奴 (노예 노) 無 (없을 무) 色 (색 색) 旗 (빗발 기)

 

5. 趙溫馬亂色氣(조온마난색기)

이 고사성어는 '사람들 틈에서 경거망동한 행동을 삼가라'는 깊은 교훈을 담고있다.

옛날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조씨성을 가진 사람이 살고 있었다.

조씨에게는 만삭인 부인이 있었는데, 어느날 아침 부인이 말하길,

"여보! 어제 밤 꿈에 말 한 마리가 온천으로 들어가 목욕을 하는 꿈을 꾸지 않았겠어요.

아마도 우리가 말처럼 활달하고 기운센 아들을 얻게 될 태몽인것 같아요." 라고 하였다. 조씨는 심히 기뻐하여,

"그것 참 좋은 태몽이구려 어서 빨리 우리 아들을 보았으면 좋겠소."

라고 하였다.

사흘 뒤 조씨부인은 매우 건강한 사내아이를 순산하였고, 조씨는 태몽을 따라 아이의 이름을 '溫馬(온마)'라 하였다.

세월이 흘러 조온마가 스무 살이 되었다.

조온마는 조씨부부의 기대와는 달리, 마을의 처녀란 처녀는 죄다 욕보이는 난봉꾼이 되었다.

이를 보다 못한 마을 사람들은 결국 조온마를 관아에 고발하였고 조온마는 판관앞에 끌려가게 되었다.

판관이 말하길,

"조온마는 색기로 인하여 마을을 어지럽혔다(趙溫馬亂色氣:조온마난색기). 따라서 거세를 당함이 마땅하다." 라고 하였다.

결국 조온마는 거세를 당하였고, 후일 사람들은 경거망동하는 사람에게 조온마의 일을 상기시키기 위하여 "조온마난색기"라고 충고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

야사에 의하면 조온마의 키는 5척으로 150cm 정도의 작은 키였다고 전해진다.

趙溫馬亂色氣(조온마난색기) :

 

1. 경거망동한 사람에게 충고할 때 쓰는 말.

2. 조온마의 키가 매우 작았으므로 작은 사람을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주의 :이 고사성어는 빠르게 발음이 되었다고 한다

 

6. 善漁夫非取(선어부비취)

옛날 중국 원나라때의 일이다.

어떤 마을에 한 어부가 살았는데...

그는 너무나도 착하고 어질어서 정말 법 없이도 살 수 있는 정도였다.

그래서 항상 그는 마을사람들로부터 신망이 두터웠고, 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마을에 새로운 원님이 부임하게 되었는데...

그는 아주 포악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 원님은 부임한 뒤 그 마을에 한 착한 어부가 덕망이 높고 마을 사람들의 신임을 얻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괴로워하기 시작했다.

'어떻게 하면 저 어부를 제거 할 수 있을까?'

한참을 생각하다가... 원님은 묘안을 하나 짜내게 되었다.

그 어부의 집 앞에 몰래 귀한 물건을 가져다 놓고 그 어부가 그 물건을 가져 가면 누명을 씌워 그 어부를 죽일 계획을 세운것이다.

첫 번째로 그는 그 어부의 집 앞에 쌀 한 가마니를 가져다 놓았다.

하지만 그 어부는 하루가 지나고, 이틀이 지나도 그 쌀 가마니를 거들떠 보지도 않는 것이었다.

그래서 원님은 두 번째로 최고급 비단을 어부의 집앞에 가져다 놓았다.

그러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몸이 달을때로 달은 원님은 최후의 수단으로 커다란 금송아지 한 마리를 집앞에 가져다 놓았다.

그러나 어부에게는 금송아지마저 소용이 없었다. 어부가 손끝 하나 대지않은 것이다.

그러한 어부의 행동에 화가 난 원님은 그 자리에서 이렇게 탄식을 했다.

`선어부비취`(善漁夫非取)...착한 어부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구나.

그 뒤로 어부에게 감명받은 원님은 그 어부를 자신의 옆에 등용해, 덕으로써 마을을 다스렸다고 전해진다.

 

7.善漁夫非取(선어부비취) :

자신이 뜻한대로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약간 화가 난 어조로 강하게 발음한다.

이 고사성어는 그 때 당시 중국 전역에 퍼졌고, 급기야는 실크로드를 타고 서역으로까지 전해졌으며...

오늘날에는 미국, 영국 등지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고 한다

 

 

김삿갓 시인의 재미있는 시

 

秋美哀歌靜晨竝(추미애가정신병)

雅霧來到迷親然(아무래도미친년)

凱發小發皆雙然(개발소발개쌍년)

愛悲哀美竹一然(애비애미죽일년)

*해석 가을날 곱고 애잔한 노래가 황혼에 고요히 퍼지니

우아한 안개가 홀연히 드리운다.

기세 좋은 것이나, 소박한 것이나

모두가 자연이라 사랑은 슬프며,

애잔함은 아름다우니 하나로 연연하다

 

當新恩高自要 - 당신은고자요

마땅히 새로운 은혜를 입었다면 더 높은 은혜를 스스로 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 않은가

 

夜疼撥見海曙寥 - 야동 발견 해서요

밤의 아픔을 달래려 바라본 새벽바다의 고요함에

 

離世歸興奮偕恕 -이세귀 흥분 해서

떠난 그대가 용서를 빌며 돌아올 것만 같은 벅찬 감정에 빠져 봅니다.

 

嘶撥說歸夜 - 시발세귀야

눈물이 뿌려진 이밤 그대가 돌아오기를 바랍니다.

 

尼高素 - 니고소

높은 곳에 선 흰 중 하나

 

 

金炳然[김병연 김삿갓으 풍자 詩시]


知未時八 安逝眠 (지미시팔 안서면)
아침 8시 전에 편안히 죽은 듯 잠을 자고 있으면
自知主人 何利吾 (자지주인 하리오)
스스로 대접 받는 주인 노릇 할 수 없음을 알아야 하느니라

 

 

서당 욕설시

 

辱說某書堂 욕설모서당
書堂乃早知 房中皆尊物 서당내조지 방중개존물
生徒諸未十 先生來不謁 생도제미십 선생내불알

서당을 일찍부터 알고 와보니
방 안에 모두 귀한 분들일세.
생도는 모두 열 명도 못 되고
선생은 와서 뵙지도 않네.

*추운 겨울날 서당에 찾아가 재워주기를 청하나 훈장은 미친 개 취급하며 내쫓는다. 인정없는 훈장을 욕하는 시. 소리나는대로 읽어야 제 맛이 난다.

 

 

 

 

 

 

세시(歲時),나이,계절,절후(節侯),이십사절후(二十四節候)별칭

세시(歲時)의 별칭

1 月
정월(正月) 원월(元月) 조춘(肇春) 맹춘(孟春) 추월( 月) 초춘(初春) 신춘(新春) 상춘 (上春) 단월(端月) 건인(建寅) 맹추(孟 ) 왕월(王月) 인월(寅月)
2 月
중춘(仲春) 여월(如月) 협종(夾鐘) 중양(仲陽) 영월(令月)
3 月
계춘(季春) 고세(姑洗) 모춘(暮春) 설월(楔月)
4 月
조하(肇夏) 여월(餘月) 중려(仲呂) 맹하(孟夏) 초하(初夏)
5 月
중하(仲夏) 고월(皐月) 초하(超下) 류월(榴月) 포월(蒲月)
6 月
계하(季夏) 차월(且月) 임종(林鐘) 만하(晩夏) 초월(秒月) 하월(荷月)
7 月
조추(肇秋) 상월(相月) 이칙(夷則) 맹추(孟秋) 상추(上秋) 초추(初秋) 신추(新秋) 과월 (瓜月) 란월(蘭月) 칠석월(七夕月)
8 月
중추(仲秋) 장월(壯月) 남려(南呂) 계월(桂月) 중상(仲商) 엽월(葉月) 유월(酉月)
9 月
계추(季秋) 현월(玄月) 무사(無射) 만추(晩秋) 모추(暮秋) 초추(秒秋) 계상(季商) 국월 (菊月) 궁추(窮秋)
10月
조동(粗銅) 양월(陽月) 응종(應鐘) 맹동(孟冬) 양월(良月) 초동(初冬) 해월(亥月)
11月
중동(仲冬) 고월(辜月) 황종(黃鐘) 자월(子月) 상월(霜月) 상강월(霜降月)
12月
계동(季冬) 도월( 月) 대려(大呂) 만동(晩冬) 계월(季月) 모동(暮冬) 초동(秒冬) 궁동 (窮冬) 극월(極月) 납월(蠟月) 궁음(窮陰) 삼동월(三冬月)




나이에 관한 별칭

지학(志學)
15살
약관(弱冠)
20살
이입(而立)
30살
불혹(不惑)
40살
지명(知命)
50살
이순(耳順)
60살
종심(從心)
70살
육순(六旬)
六十
칠순(七旬)
七十
칠질(七秩)
61세에서 70세까지
팔질(八秩)
71세에서 80세까지
화갑(華甲)
환갑(還甲)
고희(古稀)
70세
망륙(望六)
예순을 바라봄. 51세
망칠(望七)
일흔을 바라봄. 61세
망팔(望八)
여든을 바라봄. 71세
망구(望九)
아흔을 바라봄. 81세
망백(望百)
백살을 바라봄. 91세
미수(米壽)
팔십 팔세
백수(白壽)
구십 구세


계절의 별칭

춘(春)
청양(靑陽) 창천(蒼天) 청제(靑帝) 청황(靑皇) 동제(東帝) 동군(東君)
하(夏)
주명(朱明) 호천(昊天) 괴서(槐序) 염서(炎序) 염절(炎節) 번계(蕃季)
추(秋)
백장(白藏) 민천(旻天) 수성(收成) 금상(金商) 소상(素商) 고상(高商) 정양(精陽)
동(冬)
상천(上天) 현영(玄英) 엄절(嚴節) 원동(元冬) 현명(玄冥) 폐장(閉藏)

절후(節侯)의 별칭

1월 1일
원단(元旦), 정단(正旦), 원조(元朝), 정조(正祖), 원진(元辰)
1월 15일
정월대보름, 상원(上元), 원소(元宵), 원석(元夕)
2월 1일
중화절(中和節) - 조선조 22대 정조때부터 말기까지 행하던 풍속의 하나. 이날이 되면 어전에서 임금이 자(尺)를 재상과 근신들에게 나눠주어 중화절임을 아리었는데, 임금이 자를 나누어 주는 뜻은 농업에 힘쓰게 하려는 것이라 함. 또한 각 농가에서는 새알 볶아라 쥐알 볶아라, 콩 볶아라 하면서 콩을 볶아 먹는데, 이는 새와 쥐가 없어져서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도록 하는 일종의 주술적인 말이었다.
2월 12일
화조(花朝) - 중국 당대(唐代)에 모든 꽃의 생일날로 2월 15일을 정하여 기념하였는데 후에 2월 12일로 바뀌었다.
3월 3일
삼짓날, 중삼(重三), 상사(上巳), 영절(令節)
4월 8일
연등절(燃燈節)
5월 5일
수릿날, 단오(端午), 단양(端陽), 천중절(天中節), 중오(重五), 주색(朱索), 포절(蒲節), 오절(午節)
6월 15일
유두(流頭) - 맑은 물에 목욕하고 하루를 정결하게 보내며, 유두면, 수단, 건당, 연병 등의 음식을 만들어 먹음
매우(梅雨) - 6월 중순부터 7월 상순까지 계속되는 장마를 이르는 말. 매화나무 열매가 익을 무렵에 지는 장마라는 뜻임. 매림(梅霖) 미우(黴雨)
7월 7일
칠석(七夕), 성절(星節)
7월 15일
중원(中元), 백종(百種), 백중(百衆), 망혼일(亡魂日)
8월 15일
한가위, 중추(仲秋), 추절(秋節), 가배일(嘉俳日)
9월 9일
중양(重陽), 중구(重九), 중력(重力), 국화절(菊花節)
12월 30일
섣달그믐, 제석(除夕)
하지(夏至)
장지(長至)
동지(冬至)
남지(南至), 지월(至月), 지절(至節)
중삭(仲朔)
봄, 여름, 가을, 겨울에서 가운데 달들을 두루 이르는 말.
곧 음력 2월, 5월, 8월, 11월을 뜻하며 중월(仲月)이라고도 한다


이십사절후(二十四節候) - 양력 기준

가을

입춘(立春 ; 2월 4일이나 5일)

우수(雨水 ; 2월 19일이나 20일)

경칩(驚蟄 ; 3월 5일이나 6일)

춘분(春分 ; 3월 21일이나 22일)

청명(淸明 ; 4월 5일이나 6일)

곡우(穀雨 ; 4월 20일이나 21일)


입추(立秋 ; 8월 8일이나 9일)

처서(處暑 ; 8월 23일이나 24일)

백로(白露 ; 9월 8일이나 9일)

추분(秋分 ; 9월 23일이나 24일)

한로(寒露 ; 10월 8일이나 9일)

상강(霜降 ; 10월 23일이나 24일)
여름 겨울

입하(立夏 ; 5월 6일이나 7일)

소만(小滿 ; 5월 21일이나 22일)

망종(芒種 ; 6월 6일이나 7일)

하지(夏至 ; 6월 21일이나 22일)

소서(小暑 ; 7월 7일이나 8일)

대서(大暑 ; 7월 23일이나 24일)

입동(立冬 ; 11월 7일이나 8일)

소설(小雪 ; 11월 22일이나 23일)

대설(大雪 ; 12월 7일이나 8일)

동지(冬至 ; 12월 22일이나 23일)

소한(小寒 ; 1월 6일이나 7일)

대한(大寒 ; 1월 20일이나 21일

'자료실 > 매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하장~~~~~  (0) 2012.12.12
욕~ 같은 한자  (0) 2012.11.29
조선의 역대 영의정  (0) 2012.11.07
[스크랩] 한국불교 전설 99  (0) 2012.08.16
[스크랩] 동의보감에 자주쓰이는 약제 42가지  (0) 2011.11.02

■ 조선의 역대 영의정.

 

왕조(王朝)

성명(姓名) 본관(本貫) 生沒年 아호(雅號) 시호(諡號)

태조(太祖)

배극렴(裵克廉) 성주(星州) 1325-1392 필암(筆菴) 정절(貞節)

정도전(鄭道傳) 봉화(奉化) 1342-1398 삼봉(三峰) 문헌(文獻)

 

정종(定宗)

 

태종(太宗)

권중화(權仲和) 안동(安東) 1322-1408 여천(呂泉) 문절(文節)

이 서(李 舒) 홍주(洪州) 1332-1410 당옹(戇翁) 문간(文簡)

성석린(成石璘) 창녕(昌寧) 1338-1423 독곡(獨谷) 문경(文景)

조 준(趙 浚) 평양(平陽) 1346-1405 우재(吁齋) 문충(文忠)

이 화(李 和) 전주(全州) 1340-1408 이요정(二樂亭) 양소(襄昭)

하 륜(河 崙) 진주(晉州) 1347-1416 호정(浩亭) 문충(文忠)

남 재(男 在) 의령(宜寧) 1351-1419 구암(龜巖) 충경(忠景)

이거이(李居易) 청주(淸州) 1348-1412 청허당(淸虛堂) 문도(文度)

이 직(李 稷) 성주(星州) 1362-1431 형재(亨齋) 문경(文景)

류정현(柳廷顯) 문화(文化) 1355-1426 월정(月亭) 정숙(貞肅)

한상경(韓尙敬) 청주(淸州) 1360-1423 신재(信齋) 문간(文簡)

심 온(沈 溫) 청송(靑松) 1375-1418 - 안효(安孝)

세종(世宗)

황 희(黃 喜) 장수(長水) 1363-1452 방촌(庬村) 익성(益成)

하 연(河 演) 진주(晉州) 1376-1453 경재(敬齋) 문효(文孝)

황보인(皇甫仁) 영천(永川) 1387-1453 지봉(芝峰) 충정(忠貞)

문종(文宗)

 

단종(端宗)

이 유(李 瑈) 전주(晉州) 1417-1468 首陽大君 혜장(惠莊)

세조(世祖)

정인지(鄭麟趾) 하동(河東) 1396-1478 학역재(學易齋) 문성(文成)

정창손(鄭昌孫) 동래(東萊) 1402-1487 - 충정(忠貞)

강맹경(姜孟卿) 진주(晉州) 1410-1461 - 문경(文景)

신숙주(申叔舟) 고령(高靈) 1417-1475 보한재(保閑齋) 문충(文忠)

한명회(韓明澮) 청주(淸州) 1415-1487 압구정(狎鷗亭) 문성(文成)

구치관(具致寬) 능성(綾城) 1406-1470 - 충렬(忠烈)

심 회(沈 澮) 청송(靑松) 1418-1493 - 공숙(恭肅)

최 항(崔 恒) 삭녕(朔寧) 1409-1474 태허정(太虛亭) 문정(文靖)

조석문(曺錫文) 창녕(昌寧) 1413-1477 충간(忠簡)

이 준(李 浚) 전주(全州) 1441-1479 구성군(龜城君) 충무(忠武)

강 순(康 純) 신천(信川) 1390-1468 - 장민(莊愍)

윤자운(尹子雲) 무송(茂松) 1416-1478 낙한재(樂閑齋) 문헌(文憲)

예종(睿宗)

한명회(韓明澮) 청주(淸州) 1415-1487 압구정(狎鷗亭) 문성(文成)

홍윤성(洪允成) 남양(南陽) 1425-1475 영해(領海) 위평(威平)

박원형(朴元亨) 죽산(竹山) 1411-1469 만절(晩節) 문헌(文憲)

성종(成宗)

정창손(鄭 동래(東萊) 1402-1487 - 충정(忠貞)

윤필상(尹弼商) 파평(坡平) 1427-1504 - -

이극배(李克培) 광주(廣州) 1422-1495 매월당(梅月堂) 익평(翼平)

노사신(盧思愼) 교하(交河) 1427-1498 보진재(보眞齋) 문광(文匡)

신승선(愼承善) 거창(居昌) 1436-1502 사지당(仕止堂) 장성(章成)

연산군(燕山君)

한치형(韓致亨) 청주(淸州) 1434-1502 - 질경(質景)

성 준(成 俊) 창녕(昌寧) 1436-1504 명숙(明肅)

류 순(柳 洵) 문화(文化) 1441-1517 노포당(老圃堂) 문희(文僖)

 

종종(中宗)

김수동(金壽童) 안동(安東) 1457-1512 만보당(晩保堂) 문경(文敬)

류 순(柳 洵) 문화(文化) 1441-1517 노포당(老圃堂) 문희(文僖)

박원종(朴元宗) 순천(順川) 1467-1510 - 무열(武烈)

류순정(柳順汀) 진주(晉州) 1459-1512 - 문정(文定)

성희안(成希顔) 창녕(昌寧) 1461-1513 인재(仁齋) 충정(忠定)

송 질(宋 軼) 여산(礪山) 1454-1520 - 숙정(肅靖)

정광필(鄭光弼) 동래(東萊) 1462-1538 수부(守夫) 문익(文翼)

남 곤(南 袞) 의령(宜寧) 1471-1527 지정(止亭) 문경(文景)

김 전(金 銓) 연안(延安) 1458-1523 나헌(懶軒) 충정(忠貞)

장순손(張順孫) 인동(仁同) 1453-1534 - 문숙(文肅)

한효원(韓效元) 청주(淸州) 1468-1534 오계(梧溪) 장성(章成)

김근사(金謹思) 연안(延安) 1466-1539 - -

윤은보(尹殷輔) 해평(海平) 1468-1544 - 정성(靖成)

인종(仁宗)

홍언필(洪彦弼) 남양(南陽) 1476-1549 묵재(默齋) 문희(文僖)

윤인경(尹仁鏡) 파평(坡平) 1476-1548 - 효성(孝成)

 

명종(明宗)

심연원(沈連源) 청송(靑松) 1491-1558 보암(保庵) 충혜(忠惠)

이 기(李 芑) 덕수(德水) 1476-1552 경재(敬齋) 문경(文敬)

상 진(尙 震) 목천(木川) 1493-1564 송현(松峴) 성안(成安)

윤원형(尹元衡) 파평(坡平) 미상- 1565 - -

이준경(李浚慶) 광주(廣州) 1499-1572 남당(南堂) 충정(忠正)

선조(宣祖)

-

권 철(權 轍) 안동(安東) 1503-1578 쌍취헌(雙翠軒) 강정(康定)

박 순(朴 淳) 충주(忠州) 1523-1589 사암(思菴) 문충(文忠)

노수신(盧守愼) 광주(光州) 1515-1590 이재(伊齋) 문간(文簡)

이산해(李山海) 한산(韓山) 1539-1609 아계(鵝溪) 문충(文忠)

유성룡(柳成龍) 풍산(豊山) 1542-1607 서애(西厓) 문충(文忠)

최흥원(崔興源) 삭녕(朔寧) 1529-1603 송천(松泉) 충정(忠貞)

이양원(李陽元) 전주(全州) 1526-1592 노저(鷺渚) 문헌(文憲)

이원익(李元翼) 전주(全州) 1547-1634 오리(梧里) 문충(文忠)

윤두수(尹斗壽) 해평(海平) 1533-1601 오음(梧陰) 문정(文靖)

이항복(李恒福) 경주(慶州) 1556-1618 백사(白沙) 문충(文忠)

윤승훈(尹承勳) 해평(海平) 1549-1611 청봉(晴峰) 문숙(文肅)

이덕형(李德馨) 광주(廣州) 1561-1613 한음(漢陰) 문익(文翼)

유영경(柳永慶) 전주(全州) 1550-1608 춘호(春湖) -

광해군(光海君)

이원익(李元翼) 전주(全州) 1547-1634 오리(梧里) 문충(文忠)

이덕형(李德馨) 광주(廣州) 1561-1613 한음(漢陰) 문익(文翼)

기자헌(奇自獻) 행주(幸州) 1562-1624 만전(晩全) -

정인홍(鄭仁弘) 서산(瑞山) 1535-1623 내암(來菴) -

박승종(朴承宗) 밀양(密陽) 1562-1623 퇴우당(退憂堂) 숙민(肅愍)

인조(仁祖)

이원익(李元翼) 전주(全州) 1547-1634 오리(梧里) 문충(文忠)

신 흠(申欽) 평산(平山) 1566-1628 상촌(象村) 문정(文貞)

오윤겸(吳允謙) 해주(海州) 1559-1636 추탄(楸灘) 충간(忠簡)

윤방(尹昉) 해평(海平) 1563-1640 치천(稚川) 문익(文翼)

김류(金瑬) 순천(順天) 1571-1648 북저(北渚) 문충(文忠)

이홍주(李弘胄) 전주(全州) 1562-1638 이천(梨川) 충정(忠貞)

최명길(崔鳴吉) 전주(全州) 1586-1647 창랑(滄浪) 문충(文忠)

홍서봉(洪瑞鳳) 남양(南陽) 1572-1645 학곡(鶴谷) 문정(文靖)

심열(沈悅) 청송(靑松) 1569-1646 남파(南坡) 충정(忠靖)

이성구(李聖求) 전주(全州) 1584-1644 동사(東沙) 정숙(貞肅)

신경진(申景禛) 평산(平山) 1575-1643 - 충익(忠翼)

이경석(李景奭) 전주(全州) 1595-1671 백헌(白軒) 문충(文忠)

김자점(金自點) 안동(安東) 1588-1651 낙서(洛西) -

효종(孝宗)

이경석(李景奭) 전주(全州) 1595-1671 백헌(白軒) 문충(文忠)

김 육(金 堉) 청풍(淸風) 1580-1658 잠곡(潛谷) 문정(文貞)

정태화(鄭太和) 동래(東萊) 1602-1673 양파(陽坡) 충익(忠翼)

이시백(李時白) 연안(延安) 1581-1660 조암(釣巖) 충익(忠翼)

심지원(沈之源) 청송(靑松) 1593-1662 만사(晩沙) -

현종(顯宗)

정태화(鄭太和) 동래(東萊) 1602-1673 양파(陽坡) 충익(忠翼)

홍명하(洪命夏) 남양(南陽) 1607-1667 기천(沂川) 문간(文簡)

허 적(許 積) 양천(陽川) 1610-1680 묵재(默齋) 휴옹(休翁)

김수흥(金壽興) 안동(安東) 1626-1690 퇴우당(退憂堂) 문익(文翼)

숙종(肅宗)

허 적(許 積) 양천(陽川) 1610-1680 묵재(默齋) 휴옹(休翁)

김수항(金壽恒) 안동(安東) 1629-1689 문곡(文谷) 문충(文忠)

남구만(南九萬) 의령(宜寧) 1629-1711 약천(藥泉) 문충(文忠)

권대운(權大運) 안동(安東) 1612-1699 석담(石潭) -

여성제(呂聖齊) 함양(咸陽) 1625-1691 운포(雲浦) 정혜(靖惠)

유상운(柳尙運) 문화(文化) 1636-1707 약재(約齋) 충간(忠簡)

서문중(徐文重) 대구(大丘) 1634-1709 몽어정(夢漁亭) 공숙(恭肅)

최석정(崔錫鼎) 전주(全州) 1646-1715 명곡(明谷) 문정(文貞)

이 여(李 畬) 덕수(德水) 1645-1718 수곡(睡谷) 문경(文敬)

신 완(申 琓) 평산(平山) 1646-1707 경암(絅庵) 문장(文莊)

이 유(李 濡) 전주(全州) 1645-1721 녹천(鹿川) 혜정(惠定)

서종태(徐宗泰) 달성(達城) 1652-1719 만정(晩靜) 문효(文孝)

김창집(金昌集) 안동(安東) 1648-1722 몽와(夢窩) 충헌(忠獻)

경 종(景 宗)

조태구(趙泰耉) 양주(楊州) 1660-1723 소헌(素軒) 문정(文貞)

최규서(崔奎瑞) 해주(海州) 1650-1735 간재(艮齋) 충정(忠貞)

 

영조(英祖)

정 호(鄭 澔) 연일(延日) 1648-1736 장암(丈巖) 문경(文敬)

이광좌(李光佐) 경주(慶州) 1674-1740 운곡(雲谷) 문충(文忠)

홍치중(洪致中) 남양(南陽) 1667-1732 북곡(北谷) 충간(忠簡)

김흥경(金興慶) 경주(慶州) 1677-1750 급류정(急流亭) 정헌(靖獻)

심수현(沈壽賢) 청송(靑松) 1663-1736 지산(止山) -

이의현(李宜顯) 용인(龍仁) 1669-1745 도곡(陶谷) 문간(文簡)

김재로(金在魯) 청풍(淸風) 1682-1759 청사(淸沙) 충정(忠靖)

조현명(趙顯命) 풍양(豊壤) 1690-1752 귀록(歸鹿) 충효(忠孝)

김상로(金尙魯) 청풍(淸風) 1702-1766 하계(霞溪) 익헌(翼獻)

이천보(李天輔) 연안(延安) 1698-1761 진암(晋庵) 문간(文簡)

유척기(兪拓基) 기계(杞溪) 1691-1767 지수재(知守齋) 문익(文翼)

홍봉한(洪鳳漢) 풍산(豊山) 1713-1778 익익재(翼翼齋) 익정(翼靖)

김치인(金致仁) 청풍(淸風) 1716-1790 고정(古亭) 헌숙(憲肅)

신 만(申 晩) 평산(平山) 1703-1765 - 효정(孝正)

김상철(金尙喆) 강릉(江陵) 1712-1791 화서(華西) 충익(忠翼)

신 회(申 晦) 평산(平山) 1706-1776 - -

김상복(金相福) 광산(光山) 1714-1782 자연(自然) 문헌(文憲)

한익모(韓翼謩) 청주(淸州) 1703-1781 정견(靜見) 문숙(文肅)

서명선(徐命善) 달성(達城) 1728-1791 귀천(歸泉) 충헌(忠憲)

홍낙성(洪樂性) 풍산(豊山) 1718-1798 항재(恒齋) 효안(孝安)

김 익(金 熤) 연안(延安) 1723-1790 죽하(竹下) 문정(文貞)

정조(正祖)

이재협(李在協) 용인(龍仁) 1731-1790 - -

정존겸(鄭存謙) 동래(東萊) 1722-1794 陽菴 . 源村 문안(文安)

채제공(蔡濟恭) 평강(平康) 1720-1799 樊巖 .樊翁 문숙(文肅)

김상철(金尙喆) 강릉(江陵) 1712-1791 화서(華西) 충익(忠翼)

이병모(李秉模) 덕수(德水) 1742-1806 정수재(靜修齋) 문익(文翼)

순조(純祖)

이병모(李秉模) 덕수(德水) 1742-1806 정수재(靜修齋) 문익(文翼)

서매수(徐邁修) 달성(達城) 1731-1818 당헌(戇軒) 익헌(翼憲)

김재찬(金載瓚) 연안(延安) 1746-1827 해석(海石) 문충(文忠)

한용구(韓用龜) 청주(淸州) 1747-1828 만오(晩悟) 익정(翼貞)

남공철(南公轍) 의령(宜寧) 1760-1840 思穎 .金陵 문헌(文獻)

이상황(李相璜) 전주(全州) 1763-1841 桐漁 .玄圃 문익(文翼)

헌종(憲宗)

이상황(李相璜) 전주(全州) 1763-1841 桐漁 .玄圃 문익(文翼)

조인영(趙寅永) 풍양(豊壤) 1782-1850 운석(雲石) 문충(文忠)

권돈인(權敦仁) 안동(安東) 1783-1859 彝齋. 又閬.又髥 문헌(文獻)

정원용(鄭元容) 동래(東萊) 1783-1873 경산(經山) 문충(文忠)

 

철종(哲宗)

김흥근(金興根) 안동(安東) 1796-1870 유관(游觀) 충문(忠文)

김좌근(金左根) 안동(安東) 1797-1869 하옥(荷屋) 충익(忠翼)

고종(高宗)

조두순(趙斗淳) 양주(楊州) 1796-1870 심암(心菴) 문헌(文獻)

김병학(金炳學) 안동(安東) 1821-1879 영초(穎樵) 문헌(文獻)

홍순목(洪淳穆) 남양(南陽) 1816-1884 분계(汾溪) 문익(文翼)

이유원(李裕元) 경주(慶州) 1814-1888 귤산(橘山).默農 충문(忠文)

이최응(李最應) 전주(全州) 1815-1882 산향(山響) 충익(忠翼)

서당보(徐堂輔) 달성(達城) 1806- 1883 다사(茶史) 문간(文簡)

김병국(金炳國) 안동(安東) 1825-1905 영어(穎漁) 충문(忠文)

심순택(沈舜澤) 청송(靑松) 1824-1906 - 문충(文忠)

김병시(金炳始) 안동(安東) 1832-1898 용암(蓉庵) 충문(忠文)

김홍집(金弘集) 경주(慶州) 1842-1896 도원(道園) 충헌(忠獻)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