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괘전(雜卦傳)

 

임(臨)과 관(觀)의 뜻은 혹은 내가 가서 상대하고 혹은 상대방이 와서 구하는 것이다.[臨觀之義 或與或求]

○ 관괘(觀卦)는 네 음효(陰爻)가 위에다가 보기를 구하고 두 양효(陽爻)가 아래를 보는 것이다. 이는 서로 간에 더불어서 구하는 뜻이 있는 것이다.

손(損)과 익(益)은 성하고 쇠하는 시작이다.[損益 盛衰之始也]

○ 손괘(損卦)는 본디 태괘(泰卦)로, 태괘의 구삼(九三)과 상육(上六) 두 효가 변하여서 손괘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쇠함의 시작이라고 한 것이다. 익괘(益卦)는 본디 비괘(否卦)로, 비괘의 초육(初六)과 구삼(九三) 두 효가 변하여서 익괘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성함의 시작이라고 한 것이다. 식재 여씨(息齋余氏)의 설이 혹 이와 같은 듯하다.



 

[주D-001]식재 여씨(息齋余氏)의 설 :

식재 여씨가 말하기를, “손괘(損卦)와 익괘(益卦)는 성하고 쇠함의 시작으로, 태괘(泰卦)와 비괘(否卦)가 변하여서 된 것이다.” 하였다.


[주D-002]운봉 호씨가 운운하였다 :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역(易)이 잡괘전(雜卦傳)에서 끝났는데, 여기에서 교역(交易)과 변역(變易)의 이치를 더욱더 볼 수가 있다. 매 한 괘마다 반복(反覆)되어 두 괘로 되니, 강유(剛柔)와 길흉(吉凶)이 매번 상반된다. 이것이 변역(變易)의 뜻이다. 잡괘전을 보면,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로부터 곤괘(困卦)에 이르기까지가 30괘로, 상경(上經)의 괘 숫자와 서로 들어맞는다. 그런데 하경(下經)의 12괘가 그 속에 섞여 있다. 함괘(咸卦)로부터 쾌괘(夬卦)에 이르기까지가 34괘로, 하경(下經)의 괘 숫자와 서로 들어맞는다. 그런데 상경(上經)의 12괘가 그 속에 섞여 있다. 이는 교역(交易)의 뜻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것은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일 뿐이다.’ 하였는데, 내가 생각하기에는 이것은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모두 이치에 있어서 저절로 그렇게 된 것이다. 괘 가운데 감괘(坎卦)와 이괘(離卦)는 사귐이 중간인 것으로, 본디 상경 30괘 안에 들어 있다. 그런데 지금 잡괘전에서는 아래의 하경 34괘에다 붙였다. 진괘(震卦), 간괘(艮卦), 손괘(巽卦), 태괘(兌卦)는 사귐이 치우친 것으로, 본디 하경 34괘 안에 들어 있다. 그런데 지금 잡괘전에서는 위의 30괘에다 붙였다. 반대(反對)가 없는 경우에 이르러서는, 상경이 6괘이고 하경이 2괘이다. 그런데 지금 잡괘전에서는 위에 붙인 것이 2괘이고, 아래에 붙인 것이 6괘이다. 이는 모두 교역(交易)의 뜻이다. 12월의 괘기(卦氣)에서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를 제외하고, 상경에 들어 있는 태괘(泰卦), 비괘(否卦), 임괘(臨卦), 관괘(觀卦), 박괘(剝卦), 복괘(復卦) 여섯 괘의 괘효(卦爻)는 음효(陰爻)가 양효(陽爻)보다 12개가 많고, 하경에 들어 있는 돈괘(遯卦), 대장괘(大壯卦), 구괘(姤卦), 쾌괘(夬卦) 네 괘의 괘효는 양효가 음효보다 12개가 더 많다. 지금 잡괘전의 34괘 중에서 비괘(否卦)와 태괘(泰卦)를 위로 옮기면 다시 이와 같이 된다. 다만 상경에 들어 있는 괘획(卦畫)이 모두 36획이고, 하경에 들어 있는 괘획이 모두 24획이다. 그런데 지금 잡괘전에서는 위에 붙인 괘의 총획이 24획이고 아래에 붙인 괘의 총획인 36획인바, 더욱더 교역(交易)의 묘함을 볼 수가 있다. 만약 64괘를 합하여 논한다면, 상경에 들어 있는 30개의 괘 중에서 음효가 양효보다 많은 것이 8개이고, 하경의 34개의 괘 중에서 양효가 음효보다 많은 것이 역시 8개이다. 지금 계사전을 보면, 위에 붙인 30개 괘는 양효가 모두 72개이고 음효가 모두 108개로, 음효가 양효보다 36개가 많다. 그리고 아래에 붙인 34개 괘는 양효가 모두 120개이고 음효가 모두 84개로, 양효가 음효보다 36개가 더 많다. 반대가 되는 것으로 논하면, 상경은 음효가 양효보다 많은 것이 4개이고, 하경은 양효가 음효보다 많은 것이 역시 4개이다. 그런데 지금 잡괘전을 보면, 위에다 붙인 것은 양효가 모두 39개이고 음효가 모두 57개로, 음효가 양효보다 18개가 더 많다. 그리고 아래에다가 붙인 것은 양효가 모두 69개이고 음효가 모두 51개로, 양효가 음효보다 역시 18개가 더 많다. 혹 36개가 되거나 혹 18개가 되거나 하여 서로 간에 많고 적음이 되니, 여기에서 음양(陰陽) 교역(交易)의 묘함만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6궁(宮)의 묘함을 더욱더 볼 수가 있다.” 하였다.


[주D-003]상경(上經)은 …… 것이다 :

이는 열두 달의 괘기(卦氣), 즉 복괘(復卦), 임괘(臨卦), 태괘(泰卦), 대장괘(大壯卦), 쾌괘(夬卦), 건괘(乾卦), 구괘(姤卦), 돈괘(遯卦), 비괘(否卦), 관괘(觀卦), 박괘(剝卦), 곤괘(坤卦) 중에서 건괘와 곤괘를 제외하고, 상경(上經)에 들어 있는 태괘, 비괘, 임괘, 관괘, 박괘, 복괘, 여섯 괘의 괘효 숫자가 음효가 24개이고 양효가 12개이며, 하경(下經)에 들어 있는 돈괘, 대장괘, 구괘, 쾌괘 네 괘의 괘효 숫자가 양효가 18개이고 음효가 6개인데, 상경에 들어 있는 비괘와 태괘를 하경으로 옮기면, 하경은 양효가 24개가 되고 음효가 12개가 되며, 상경은 음효가 18개가 되고 양효가 6개가 된다는 뜻이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괘전(序卦傳)  (0) 2010.08.29
설괘전(說卦傳)  (0) 2010.08.29
계사 하전(繫辭下傳)  (0) 2010.08.29
계사 상전(繫辭上傳)  (0) 2010.08.29
풍괘(豐卦 )  (0) 2010.08.29
서괘전(序卦傳)
 
 
 
이(頤)라는 것은 기름[養]이다.[頤者 養也]

주에서 염언승(閻彦升)이 ‘양(養)’ 자에 대해서 논한 것은, 아마도 본뜻이 아닌 듯하다.

진(晉)이라는 것은 나아감[進]이다.[晉者 進也]

○ 주에 나오는 쌍호 호씨의 설 가운데 ‘호곤야(互坤也)’라고 한 부분은 호(互) 자 아래에 건(乾) 자가 있어야 할 듯하다.

돌아갈 곳을 얻은 자는 반드시 커진다.[得其所歸者必大]

○ 상대[物]가 돌아갈 곳을 얻었다는 말이다. 만약 ‘자기가 돌아갈 곳을 얻었다’고 한다면, 자기 역시 대중(大中) 가운데 한 물건이니, 어찌 스스로 커질 리가 있겠는가. 이와 같이 보아야만 반드시 커진다는 뜻과 합치된다.

[주D-001]주에서 …… 것 : 염언승(閻彦升)이 말하기를, “양(養)이란 것은 군자(君子)가 자기를 이루는 것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괘전(雜卦傳)  (0) 2010.08.29
설괘전(說卦傳)  (0) 2010.08.29
계사 하전(繫辭下傳)  (0) 2010.08.29
계사 상전(繫辭上傳)  (0) 2010.08.29
풍괘(豐卦 )  (0) 2010.08.29

설괘전(說卦傳)

옛날에 성인이 역(易)을 지을 적에 그윽이 신명(神明)을 도와 시초(蓍草)를 내었다.[昔者 聖人之作易也 幽贊於神明而生蓍]

○ ‘그윽이 신명을 도와[幽贊於神明]’에 대하여 살펴보면, 《주자어류(朱子語類)》에서 주자는 ‘신명이 돕는 바가 되어[爲神明所贊]’라고 하였는바, 본경(本經)의 소주(小註)와는 같지가 않다.


하늘에서 셋을 취하고 땅에서 둘을 취하여 수(數)를 의지하였다.[參天兩地而倚數]

○ 주를 보면, 건안 구씨(建安丘氏)의 설이 주자의 설과는 다르다. 그러나 그 설이 아주 정묘하여 하나의 설이 될 수 있다.


음양에서 변(變)을 보아 괘(卦)를 세우고, 강유(剛柔)에서 발휘하여 효(爻)를 낳았다.[觀變於陰陽而立卦 發揮於剛柔而生爻]

○ 음양(陰陽)은 기(氣)인바, 괘(卦)를 이루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기(氣)를 가리켜서 말한 것이다. 강유(剛柔)는 질(質)인바, 이미 괘를 이루었다. 그러므로 질(質)을 가리켜서 말한 것이다. ‘생효(生爻)’라고 이른 것은, 이것은 노양(老陽)의 효(爻)이고, 저것은 소양(少陽)의 효이고, 이것은 노음(老陰)의 효이고, 저것은 소음(少陰)의 효라고 세밀하게 구별한 다음에야 여섯 효가 있음이 보이는 것이다.


‘제1장(第一章)’의 장(章) 아래에 있는 주(註)에 나오는 한상 주씨(漢上朱氏)의 말 가운데, ‘설설시분괘(說揲蓍分卦)’라고 한 곳에서의 괘(卦) 자는 괘(掛) 자의 오자인 듯하다.


옛날에 성인이 역(易)을 지은 것은 장차 성명(性命)의 이치를 순히 하려고 해서였다.[昔者 聖人之作易也 將以順性命之理]

○ 주를 보면, 건안 구씨의 설이 아주 분명하다.

○ 쌍호 호씨의 설이 아주 묘하다.

○ ‘순성명(順性命)’은 바로 도덕(道德)에 화순(和順)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역(易)이 여섯 자리에 문장(文章)을 이룬 것이다.[故 易 六位而成章]

○ 주자의 뜻은 단지 음양(陰陽)의 자리와 획이 서로 섞여서 문장(文章)을 이룸을 말하였을 뿐으로, 애당초 시초(蓍草)를 세어 괘획(卦畫)을 구하는 일은 언급하지 않았다.


만물을 흔듦은 바람보다 빠름이 없다.[撓萬物者 莫疾乎風]

○ ‘요(撓)’는 거성(去聲)으로, 《운회(韻會)》를 보면 ‘요(擾)’이며 ‘굴(屈)’이라고 하였다. 장자(莊子)가 말한 “만물이 마음을 흔들기에 부족하다.[萬物不足以撓心]” 할 때의 요(撓) 자와 같다.


감(坎)은 귀가 되고 이(離)는 눈이 된다.[坎 爲耳 離 爲目]

○ 주에 나오는 한상 주씨의 설 가운데 ‘일합일벽 목명이청(一闔一闢 目瞑耳聽)’은 그 뜻이 상세하지 않다. 아마도 한 번 닫고 한 번 여는 사이에 눈은 비록 감더라도 귀는 듣는다는 뜻인 것 같다.


건(乾)은 하늘이 되고 둥근 것이 된다.[乾 爲天 爲圜]

○ 본의(本義)에 “용이 되고, 곧음이 되고, 옷이 되고, 말이 된다.[爲龍 爲直 爲衣 爲言]” 하였다. ‘용(龍)’은 본디 건괘(乾卦)에서 상을 취한 것이다. ‘직(直)’은 본디 계사 상전(繫辭上傳)에서 말한 “건은 그 동함이 곧다.[乾 其動也直]”는 뜻이다. ‘의(衣)’는 본디 황제(黃帝)와 요순(堯舜)이 의상(衣裳)을 드리운 것으로, 건괘와 곤괘의 상을 취한 것이다. 어(語)는 양(陽)에 속하고, 묵(默)은 음(陰)에 속한다. 대개 곤(坤)은 닫힘[闔]이니 이것은 묵(默) 상이며, 건(乾)은 열림[闢]이니 이것은 어(語) 상이다. 그러므로 건(乾)이 ‘언(言)’의 상을 취한 것이다.


곤(坤)은……삼베가 된다.[坤……爲布]

○ 본의에 “암컷이 되고, 혼미함이 되고, 네모짐이 되고, 주머니가 되고, 치마가 되고, 황색이 되고, 명주베가 되고, 음료가 된다.[爲牝 爲迷 爲方 爲囊 爲裳 爲黃 爲帛 爲漿]” 하였다. ‘빈(牝)’의 상(象)과 ‘미(迷)’의 상은 곤괘(坤卦) 단전(彖傳)에 있고, ‘방(方)’의 상은 곤괘 이효(二爻)에 있고, ‘낭(囊)’의 상은 곤괘 사효에 있고, ‘상(裳)’의 상과 ‘황(黃)’의 상은 곤괘 오효에 있다. ‘백(帛)’의 상과 ‘포(布)’의 상은 진재 서씨(進齋徐氏)가 이른 바와 같이 동(動)하여 열려져서 넓게 되므로 포(布)가 되는 것이다. ‘장(漿)’은, 《주례》 장인(漿人)을 살펴보면 여섯 가지 음료 가운데 하나로, 미즙(米汁)을 물에 타서 만드는데 색깔이 탁하면서 맛이 두텁다. 그러므로 곤(坤)의 음(陰) 상을 취한 것이다.


진(震)은……꽃이 되고……왼발이 흼이 된다.[震……爲旉……爲馵足]

○ ‘부(旉)’는 부(敷)로도 되어 있다. ‘주(馵)’는 말의 네 발굽이 모두 흰 것이다. 육전(陸佃)이 말하기를, “대개 그 성질이 조급하므로 그 발 두 개를 잡아맨 것을 취한 것으로, 말하자면 제압하여 움직이게 한 것이다.” 하였다. -육전 역시 역상(易象)을 가지고 말하였다.- 환(䭴)은 그 발 하나를 잡아맨 것이고, 주(馵)는 그 발 두 개를 잡아맨 것이다.

○ 본의에 “옥이 되고, 고니가 되고, 북이 된다.[爲玉 爲鵠 爲鼓]” 하였다. ‘옥(玉)’은 진(震)의 모양새가 양강(陽剛)이 안에 있고 음유(陰柔)가 바깥에 있는바, 안은 단단하면서 강하고 바깥은 따스하면서 부드러운 상을 취한 것이다. ‘곡(鵠)’은, 진(震)이 양(陽)이 동하는 괘인데, 양의 색깔은 희며, 또 동하여서 위로 나아가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고니는 색깔이 희면서 높이 날아가는 새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한 기(奇)가 아래에 있으니 신(身)의 상이 있는 것이고, 두 우(偶)가 나뉘어 열려 있으니 두 날개인 양익(兩翼)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고(鼓)’는 중부괘(中孚卦) 삼효(三爻)의 호체에 그 상이 있다.


손(巽)은 나무가 되고 바람이 된다.[巽 爲木 爲風]

○ 본의에 “버드나무가 되고 황새가 된다.[爲楊 爲鸛]” 하였다. ‘양(楊)’의 상은 대과괘(大過卦) 이효에 들어 있다. ‘관(鸛)’은, 당본(唐本)에는 학(鶴)으로 되어 있는데, 의심스럽다. ‘관(鸛)’은 나는 것으로 풍족(風族)인데, 손(巽)이 풍(風)이 된다. 그리고 ‘관(鸛)’은 못가에 사는 새인데, 손(巽)의 반체가 태(兌)로 태(兌)는 못이 된다. 그러므로 상을 취한 것이다. 만약 ‘학이 된다[爲鶴]’ 한다면, 중부괘(中孚卦)에 태(兌)의 상이 있는데, 역시 손(巽)의 반체이다. 학 역시 못가에 사는 새이다.


감(坎)은……궁륜이 된다.[坎……爲弓輪]

○ 주에서 진재 서씨(進齋徐氏)가 ‘궁개이십팔(弓蓋二十八)’이라 하였다. 살펴보건대, 개(蓋)는 수레의 덮개이고, 궁(弓)은 덮개의 살[橑]이다. 《주례》 윤인(輪人)의 주(註)에 왕소우(王昭禹)가 말하기를, “바퀴는 바퀴살[輻]이 30개로 일월(日月)을 형상하고, 덮개는 덮개살[弓]이 28개로 별[星]을 형상한다.” 하였다.

○ 본의에 “집이 되고, 율(律)이 되고, 가함이 되고, 기둥이 되고, 총생하는 가시나무가 되고, 여우가 되고, 질려(蒺藜)가 되고, 질곡(桎梏)이 된다.[爲宮 爲律 爲可 爲棟 爲叢棘 爲狐 爲蒺藜 爲桎梏]” 하였다. ‘궁(宮)’은 본디 곤괘(困卦) 삼효의 상이다. ‘율(律)’은 본디 사괘(師卦) 초효의 상이다. ‘동(棟)’은 본디 대과괘(大過卦)의 체(體)가 그와 비슷하다. ‘총극(叢棘)’은 본디 감괘(坎卦) 상효의 상이다. ‘호(狐)’는 본디 미제괘(未濟卦) 초효와 해괘(解卦) 이효의 상이다. ‘질려(蒺藜)’는 본디 곤괘(困卦) 삼효의 상이다. ‘질곡(桎梏)’은 본디 몽괘(蒙卦) 초효의 상이다. ‘가(可)’는 감(坎)이 수(水)가 되는데, 수(水)라는 것은 땅의 형세를 그대로 따르며 사람이 인도하는 대로 따라 흐른다. 그러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간(艮)은……과일과 풀의 열매가 된다.[艮……爲果蓏]

○ 나무에 달려 있는 것을 과(果)라고 한다. 땅에 달려 있는 것을 나(蓏)라고 하는데, 오이나 박 따위가 그것이다.

○ 본의에 “코가 되고, 범이 되고, 여우가 된다.[爲鼻 爲虎 爲狐]” 하였다. 관로(管輅)가 말하기를, “비(鼻)라는 것은 사람 가운데 산(山)이다.” 하였다. -주자(朱子)의 마의역변(麻衣易辨)이 있다.- ‘호(虎)’는 본디 이괘(頤卦) 오효의 상이다. ‘호(狐)’는 본디 해괘(解卦) 이효가 변한 호체의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여우의 색깔은 붉으니, 양(陽)이 밖에 있는 상이다. 그리고 성질이 의심이 많으니, 음(陰)이 안에 있는 상이다.” 하였다.


태(兌)는……무당이 되고……금과 소금이 된다.[兌……爲巫……爲剛鹵]

○ 《주례》를 보면, 사무(司巫)에 남무(男巫)와 여무(女巫)의 관원이 있다. ‘강로(剛鹵)’는, 《손자(孫子)》에 “척택을 끊었다.[絶斥澤]” 하였는데, 이에 대한 주에 “척(斥)은 소금밭[鹹鹵]의 땅이다. 수초(水草)조차도 습한 것을 싫어하는바, 군대가 주둔할 수 없다.” 하였으며, 또 말하기를, “척택(斥澤)은 오곡(五穀)이 자라지 못하는 곳이다.” 하였다. 또 《사기(史記)》를 보면 “동방(東方)에서는 염척(鹽斥)을 먹고, 서방(西方)에서는 염로(鹽鹵)를 먹는다.” 하였다. 이는 대개 소금밭임은 마찬가지인데, 동방에서는 염척이라 하고 서방에서는 염로라고 한 것이다. 그렇다면 염척이나 염로는 모두 소금기가 있는 습지로서, 건조하면 바짝 마르고 습하면 진흙탕이 되어, 초목조차도 살 수가 없는 곳이다.

○ 본의에 “상(常)이 되고, 뺨과 볼이 된다.[爲常 爲輔頰]” 하였다. ‘상(常)’은, 태(兌)가 택(澤)이 되는데, 택이란 것은 멈추어 있으면서 흐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보협(輔頰)’은 함괘(咸卦) 상효에 그 상이 있다.


[주D-001]본경(本經)의 소주(小註) :

주자가 말하기를, “능히 화육(化育)을 도와서 화기(和氣)가 가득 찬다. 그 때문에 능히 이 물건을 낼 수가 있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2]건안 구씨(建安丘氏)의 설 :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천(天)은 양(陽)이다. 양은 기(奇)를 형상한다. 기(奇)의 한 획은 가운데가 차 있는바, 삼분(三分)으로 이루어진 삼천(參天)의 수를 얻은 것이다. 지(地)는 음(陰)이다. 음은 우(偶)를 형상한다. 우(偶)의 한 획은 가운데가 비어 있는바, 이는 양(陽) 가운데 일분(一分)이 빠진 것으로, 이분(二分)으로 이루어진 양지(兩地)의 수를 얻는 것이다. ‘의(倚)’는 의지한다는 뜻으로, 괘획(卦畫)의 수가 이에 의지하여 일어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세 개의 기수(奇數)가 모여 건(乾)이 되니, 삼천(參天)의 수가 셋으로 9가 된다. 이것을 노양(老陽)이라고 한다. 세 개의 우수(偶數)가 모여 곤(坤)이 되니, 양지(兩地)의 수가 셋으로 6이 된다. 이것을 노음(老陰)이라고 한다. 두 기수와 한 우수가 손(巽), 이(離), 태(兌)가 되니, 두 삼천에 한 양지로 8이 된다. 이것을 소음(少陰)이라고 한다. 두 우수에 한 기수가 진(震), 감(坎), 간(艮)이 되니, 두 양지에 한 삼천으로 7이 된다. 이것을 소양(少陽)이라고 한다. 7, 8, 9, 6의 수를 인하여 음양(陰陽)과 노소(老少)의 획(畫)을 정한다. 이것이 괘(卦)를 세우고 효(爻)를 내는 근본이다.” 하였다.


[주D-003]한상 주씨(漢上朱氏) :

송나라의 학자인 주진(朱震)으로, 자가 자발(子發)이며, 경학(經學)에 뛰어나 세상에서는 한상 선생(漢上先生)이라고 칭하였다. 《한상역전(漢上易傳)》을 저술하였다.


[주D-004]건안 구씨의 설 :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위에서는 이치를 궁구하고 성(性)을 다하여 명(命)에 이름을 말하였고, 이곳에서는 성명(性命)의 이치를 순(順)히 함을 말하였다. 그러니 역(易) 가운데에서 말한 이치는 모두 성명(性命)인 것이다. 그런데 이른바 성명의 이치라는 것은 바로 음양(陰陽), 강유(剛柔), 인의(仁義)가 그것이다. 효(爻)로써 나누어 보면, 위의 두 효가 하늘의 음양이 되고, 아래의 두 효가 땅의 강유가 되고, 가운데의 두 효가 사람의 인의가 된다. ‘삼재를 겸하여 두 번 하였다.[兼三才而兩之]’는 것은 중괘(重卦)를 이른다. 바야흐로 괘가 작게 이루어져서 세 획이 되는데, 여기에 이미 삼재(三才)의 도가 갖추어져 있다. 이를 거듭하여서 여섯 획이 되면 천도(天道), 인도(人道), 지도(地道)가 각각 둘이 된다. 이것이 이른바 ‘여섯 번을 그으매 괘가 이루어진다.[六畫成卦]’는 것이다. ‘음으로 나뉘고 양으로 나뉘었다.[分陰分陽]’는 것은 위(位)로써 말한 것이다. 무릇 괘는 초효, 삼효, 오효의 자리는 양(陽)이 되고, 이효, 사효, 상효의 자리는 음(陰)이 된다. 초효부터 상효에 이르기까지는 음과 양이 각각 반씩이다. 그러므로 ‘분(分)’이라고 한 것이다. ‘강과 유를 차례로 쓴다.[迭用剛柔]’는 것은 효(爻)로써 말한 것이다. 유(柔)는 육(六)을 말하고, 강(剛)은 구(九)를 말한다. 양(陽)의 자리[位]에는 강(剛)이 그 자리에 있고, 유(柔)도 역시 그 자리에 있으며, 음(陰)의 자리에는 유가 그 자리에 있고 강도 역시 그 자리에 있는 바, 혹 유가 있기도 하고 혹 강이 있기도 하여 서로 번갈아 가면서 쓰임이 된다. 그러므로 ‘질(迭)’이라고 한 것이다. 그것을 나누어서 경(經)을 보이고, 번갈아 써서 위(緯)를 삼아, 경위(經緯)가 서로 얽히어서 찬란하게 문채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여섯 자리에 문장을 이룬다.[六位成章]’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5]관로(管輅) :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평원(平原) 사람으로, 자(字)가 공명(公明)인데, 천문(天文)과 점상(占相)에 아주 밝았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잡괘전(雜卦傳)  (0) 2010.08.29
서괘전(序卦傳)  (0) 2010.08.29
계사 하전(繫辭下傳)  (0) 2010.08.29
계사 상전(繫辭上傳)  (0) 2010.08.29
풍괘(豐卦 )  (0) 2010.08.29

계사 하전(繫辭下傳)

 

길흉(吉凶)과 회린(悔吝)은 동함에서 생기는 것이다.[吉凶悔吝 生乎動者也]

○ 주(註)에 나오는 운봉 호씨의 설 가운데 ‘미동(未動)’의 동(動)은 중(重) 자의 오자인 듯하다.

강(剛)과 유(柔)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요, 변(變)과 통(通)은 때에 따르는 것이다.[剛柔者 立本者也 變通者 趣時者也]

○ 여기에 이르러서 비로소 시(蓍)의 변화를 말하였다.

천지의 도는 항상 보여 주는 것이다.[天地之道 貞觀者也]

주에 나오는 운봉 호씨의 설 가운데 ‘연역(然亦)’의 사이는 말뜻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다.

천지의 큰 덕을 생(生)이라 하고, 성인의 큰 보배를 위(位)라 한다. 무엇으로써 위(位)를 지키는가. 사람이다. 무엇으로써 사람을 모으는가. 재물이다. 재물을 다스리고 말을 바르게 하며 백성들의 비행(非行)을 금함을 의(義)라 한다.[天地之大德曰生 聖人之大寶曰位 何以守位 曰仁 何以聚人 曰財 理財 正辭 禁民爲非 曰義]

주에서 주자(朱子)가 ‘고역왈(故易曰)’이라 하였는데, 역(易) 자는 연문(衍文)이다.
○ ‘천지의 큰 덕을 생(生)이라 한다’ 한 곳에서의 생(生)은 인(仁)이다. 성인은 천지의 덕이 있으므로 인(仁)으로써 자리를 지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는 것이 더욱 순하다. 쌍호 호씨가 인자설(仁字說)을 지었다.
○ 주에 나오는 평암 항씨(平庵項氏)의 설과 같이 본다면, 말을 바르게 하고 백성들의 비행을 금함은 모두 재물을 다스리는 가운데 포함된다. 다만 주자(朱子)의 ‘교화가 문득 말을 바르게 하는 가운데에 들어 있다.[敎化便在正辭裏面]’는 한마디 말로 본다면, 단지 재물을 다스리는 것만은 아닌 듯하다.


 

문을 이중으로 하고 목탁을 쳐서 포악한 나그네를 대비하였다.[重門擊柝 以待暴客]

○ ‘탁(柝)’은 두 나무를 갈라서 문에다 끼워 기틀[機]로 삼는 것인데, 이를 서로 쳐서 밤에 경보를 울린다. 지금 황성(荒城)에서 대부분 북을 두드리면서 밤을 지새우는 것은 이 제도의 남은 모습이다. 또 《설문(說文)》에 이르기를, “밤중에 길을 가면서 두드리는 것이다.” 하였다.

‘제2장(第二章)’의 장 아래 나오는 주 가운데 구헌 정씨(苟軒程氏)의 설에서 말한 ‘건천(乾天)’ 두 글자는 아마도 ‘명결(明決)’의 오자인 듯하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 보니, 쾌괘(夬卦)의 괘 모양은 하체(下體)가 건(乾)이고 상체(上體)가 태(兌)인데, 태는 구설(口舌)이 된다. 그러므로 ‘망언지태(忘言之兌)’라고 한 것이다. 건(乾)은 천(天)이 되는데, 천이란 것은 이치로써 말을 한다. 그러므로 거짓[僞]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자벌레가 몸을 굽힘은 폄을 구하기 위해서이다.[尺蠖之屈 以求信也]

○ 《설문》을 보면, ‘척확(尺蠖)은 몸을 굽혔다가 펴는 벌레이다. 육전(陸佃)은 말하기를, “‘척확(尺蠖)’은 일명 즉축(蝍蹴)이라 하며, 일명 보굴(步屈)이라고 한다. 누에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나뭇잎을 먹고 산다. 늙으면 역시 실을 토하여 고치를 만들고, 고치에서 화하여 나비가 된다.” 하였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서 척(尺)의 뜻을 취한 것은 지금 사람들이 손가락을 펴서 척을 구하는 데에서 취한 것으로, 한 번 구부리고 한 번 펴는 것이 마치 자벌레가 기어가는 것과 같다.

의(義)를 정밀히 하여 신묘한 경지에 들어감은 씀을 지극히 하기 위해서이다.[精義入神 以致用也]

○ 주에서 임천 오씨(臨川吳氏)가 말하기를, “정신이 바깥으로 치달리지 않아 들어온 것이 나감이 없다.[神不外馳 入者无出]” 운운하였는바, ‘입신(入神)’의 뜻이 주자(朱子)의 말과는 다른 듯하다.

역(易)에 이르기를, “돌에 곤(困)하며, 질려(蒺藜)에 앉아 있다.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 보지 못하니 흉하다.” 하였다.[易曰 困于石 據于蒺藜 入于其宮 不見其妻 凶]

○ 주자가 말하기를, “‘석(石)’은 사효(四爻)를 가리킨다. ‘질려(蒺藜)’는 이효(二爻)를 가리킨다. ‘궁(宮)’은 삼효를 이르며, ‘처(妻)’는 육효이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본 곤괘(困卦)를 보면, 구사(九四)가 양강(陽剛)이니 석(石)의 상이 있는 것이다. 구이(九二) 역시 양강이며 또 감체(坎體)인데, 감(坎)은 총극(叢棘)이 되니 질려(蒺藜)의 상이 있는 것이다. 삼효는 그가 있는 곳이 바로 궁(宮)이다. 주자가 또 말하기를, “육삼(六三)은 양의 자리에 있는 음효(陰爻)이고, 상육(上六)은 음의 자리에 있는 음효이다. 그러므로 육삼을 가지고 말하면 상육이 처(妻)가 되는 것이다.” 하였다.

천지의 기운이 얽히고설키매 만물이 화(和)하여 엉기고, 남녀가 정(精)을 맺으매 만물이 화생(化生)한다. 역(易)에 이르기를, “세 사람이 가면 한 사람을 덜고, 한 사람이 가면 그 벗을 얻는다.” 하였으니, 이는 하나에 지극함을 말한 것이다.[天地絪縕 萬物化醇 男女構精 萬物化生 易曰 三人行 則損一人 一人行 則得其友 言致一也]

○ 주에서 주자가 말하기를, “화생(化生)은 기화(氣化)를 가리켜서 말한 것으로, 초목(草木)이 그것이다.[化生 指氣化而言 草木是也]” 하였다. 살펴보건대, ‘화생(化生)’ 이하는 뜻이 상세하지 않으니, 아마도 ‘지(指)’ 자 아래에 ‘방(方)’ 자가 있고 ‘목(木)’ 자 아래에 ‘역(亦)’ 자가 있는 듯하다. ‘기화(氣化)’는 본의(本義)에 나오는 기화(氣化)와는 뜻이 같지 않다.
○ 주자가 말하기를, “정자(程子)의 설에 운운하였다.” 하였다. 초효와 이효는 두 양이고, 사효와 오효는 두 음이며, 삼효와 상효는 응(應)의 관계이니, 모두 양쪽이 서로 더부는 것이다.

그 이름을 칭함이 잡란(雜亂)하나 어그러지지 않는다.[其稱名也 雜而不越]

○ 주에 운봉 호씨가 운운하였다. 주자의 뜻은 대개 괘효(卦爻)의 뜻은 비록 잡란하나 음양의 변화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고 여긴 데 반해 운봉 호씨는 복희씨의 역(易)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여긴 것이다. 이는 주자의 설과 합치되지는 않는 듯하다. 그러나 호씨의 설 역시 이치에 맞으니 하나의 설이 될 만하다.

그 이름을 칭함은 작으나 유(類)를 취함은 크다. 뜻이 원대하며, 말이 문채로우며, 말이 곡진하면서도 맞으며, 일이 진열되어 있으면서도 은미하다.[其稱名也小 其取類也大 其旨遠 其辭文 其言曲而中 其事肆而隱]

○ 호씨(胡氏)는 ‘명(名)’을 괘의 이름으로 여겼다.
○ 주에 나오는 임천 오씨의 설이 좋다.

곤(困)은 덕의 분별이다.[困 德之辨也]

○ 본의(本義)에 나오는 ‘곤으로써 스스로 그 능력을 시험하고[困以自驗其力]’라고 한 곳에서의 ‘역(力)’은 정력(定力)이다.

항(恒)은 잡란(雜亂)하나 싫지 않다.[恒 雜而不厭]

○ 항상 오래하면서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록 잡란한 가운데에 처해 있으나 떳떳한 덕이 싫지 않은 것이다. 이는 덕을 가짐이 한결같음을 말한 것이다. 주자의 뜻은 이와 같다. 그런데 절재 채씨(節齋蔡氏)는 “잡(雜)이란 것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나, 항괘(恒卦)의 잡은 싫어하지 않는다.[雜者 人厭之 而恒之雜 則不厭]” 하였다. 이는 항(恒)에 잡란의 뜻이 있는 것이다. 어찌 일의 변화가 많은데도 지키는 바를 변하지 않으므로 그 잡란함을 사람들이 싫어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른 것이겠는가. 만약 그렇다면 주자의 설과 차이가 없는 것이며, 다만 싫어하는 것에 다른 사람과 자신의 구별이 있는 것이다.

물건을 뒤섞음과 덕을 잡음과 시비(是非)를 분변함은 가운데 효가 아니면 구비하지 못한다.[若夫雜物 撰德 辨是與非 則非其中爻 不備]

○ 주(註)에 이르기를, “《춘추좌전》 가운데 한 곳에서 점을 쳐서 관괘(觀卦)를 얻은 데 대하여 말하였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진(陳)나라의 공자(公子) 완(完)이 젊었을 적에 주(周)나라 태사(太史)가 《주역》으로 점을 치니, 관괘(觀卦)가 비괘(否卦)로 변한다는 점괘가 나왔다. 그러자 태사가 말하기를, “이 괘는 ‘나라의 빛남을 볼 것이니, 왕의 빈객이 되기에 이롭다.[觀光之國 利用賓于王]’ 할 것입니다. 이분이 진(陳)나라 군주를 대신해서 나라를 다스릴 것입니다.” 하고, 그 괘의 체(體)에 대해서 말하기를, “곤(坤)은 흙[土]이고 손(巽)은 바람[風]이고 건(乾)은 하늘[天]이니, 바람이 흙 위의 산에서 하늘이 되는 격입니다. 그리고 산에 재목이 있는데, 하늘의 빛이 그것을 비추는 것입니다.” 하였다. 대개 관괘(觀卦)와 비괘(否卦)는 삼효, 사효, 오효가 간(艮)의 괘가 되고, 이효, 삼효, 사효가 역시 간(艮)이 된다. 그러므로 산(山)이라고 한 것이다. 이 기사는 《춘추좌전》 장공(莊公) 22년 조에 나온다.

능히 마음에 기뻐하고 생각에 연구하여 천하의 길흉을 정하며, 천하의 힘써야 할 일을 이룬다.[能說諸心 能硏諸侯之慮 定天下之吉凶 成天下之亹亹者]

○ 성인의 마음에는 건곤(乾坤)의 이치가 들어 있으므로 능히 이와 같을 수가 있는 것이다.

[주D-001]주에 …… 않았다 :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고(固)란 것은 인사(人事)의 당연한 바이고, 상(常)이란 것은 천리(天理)의 필연(必然)이다. 천하의 동함은 길(吉)이 흉(凶)을 이기는 것이 아니면 흉(凶)이 길(吉)을 이기는 것이다. 이 둘은 항상 서로 이겨 그치지 않는다. 그러나 역시 천하의 바른 이치이다.[二者 常相勝不已 然亦天下之正理也]” 하였다.


[주D-002]주에서 …… 연문(衍文)이다 :

주자가 말하기를, “하늘은 위에서 확연(確然)하고 땅은 아래에서 부드러우면서, 하나도 하는 바가 없이 단지 사물을 생(生)하는 것만을 일삼는다. 그러므로 역(易)에 말하기를, ‘천지의 큰 덕은 생(生)이라 한다.’하였다.[故易曰 天地之大德曰生]” 하였다.


[주D-003]평암 항씨(平庵項氏)의 설 :

평암 항씨가 말하기를, “‘재(財)’라는 것은 온갖 사물의 총체적인 이름으로, 모두 백성들이 이익으로 삼는 바이다. ‘정사(正辭)’는 귀천(貴賤)을 나누어서 백성들로 하여금 법도가 있게 하고, 취여(取予)를 밝혀서 백성들로 하여금 의리가 있게 하고, 명실(名實)을 판별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신의가 있게 하는 것이다. 대개 이익이 있는 바에는 이끌어 주어 백성들로 하여금 의리를 알게 하지 않아서도 안 되는 것이다. ‘금민위비(禁民爲非)’는 금령(禁令)을 만들고 형벌(刑罰)을 시행하여 따르지 않는 자를 형벌로 다스리는 것이다. 대개 길러 주고 가르쳐 준 다음에 형벌로 다스리는 법으로, 성인의 차마하지 못하는 정사가 여기에서 다하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4]제1장(第一章)의 …… 정(貞) 자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강(剛)과 유(柔)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요, 변(變)과 통(通)은 때에 따르는 것이다.’라는 것은, 강(剛)과 유(柔)가 서로 미루어 주어 변(變)이 그 가운데 있는 뜻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길과 흉은 항상 이기는 것이다.[吉凶者 貞勝者也]’ 한 이하는 또 이를 거듭 밝힌 것이다. ‘길흉(吉凶)과 회린(悔吝)은 동함에서 생기는 것이다.’라는 한 구절은, 천지(天地)의 도는 정(貞)하여서 이기고, 일월(日月)의 도는 정(貞)하여서 밝으며, 천하의 동함 역시 오직 한결같이 정함으로써 이김이 마땅함을 이른 것이다.” 하였다.


[주D-005]제2장(第二章)의 …… 글자 :

구헌 정씨(苟軒程氏)가 말하기를, “서계(書契)는 망언(忘言)의 태(兌)를 대신할 수 있고, 건천(乾天)은 서계의 거짓을 막을 수 있다.[書契 可以代忘言之兌 乾天 可以防書契之僞]” 하였다.


[주D-006]육전(陸佃) :

송(宋)나라 산음(山陰) 사람으로, 자가 농사(農師)이며, 호가 도산(陶山)이다. 예가(禮家)의 명수설(名數說)에 뛰어났으며, 저서로는 《도산집(陶山集)》, 《비아(埤雅)》, 《예상(禮象)》, 《춘추후설(春秋後說)》등이 있다.


[주D-007]돌에 …… 흉하다 : 곤괘(困卦) 육삼효(六三爻)의 효사(爻辭)이다.
[주D-008]세 사람이 …… 얻는다 : 손괘(損卦) 육삼효의 효사이다.
[주D-009]정자(程子)의 설에 운운하였다 :

주자가 말하기를, “정자의 설에 ‘초효와 이효, 삼효와 상효, 사효와 오효는 모두 양쪽이 서로 더부니, 스스로 기뻐하여 좋음을 얻은 것이다.’ 하였다.” 하였다.


[주D-010]운봉 호씨가 운운하였다 :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복희씨의 세 획(畫)으로 된 괘의 이름은 건일(乾一)로부터 곤팔(坤八)에 이르기까지가 저절로 그러한 순서가 있으며, 그를 인하여 거듭 그은 육십사 괘의 이름도 역시 그러하다. 문왕(文王)이 괘의 이름을 칭함에 이르러서는 잡란하여 복희씨의 순서를 회복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그 이름을 칭한 것이 비록 잡란하기는 하나, 복희씨의 역에 비교해 볼 때 일찍이 어긋난 것은 없다.” 하였다.


[주D-011]임천 오씨의 설 :

임천 오씨가 말하기를, “‘부역(夫易)’에서부터 이 부분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문왕(文王)의 단사(彖辭)가 비록 유(類)를 취함이 크나, 말이 문채롭고 일이 진열되어 있으면서도 은미함을 논하였으며, 효사(爻辭) 역시 그러함을 논하였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전적으로 단사에 대해서만 말하였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괘전(序卦傳)  (0) 2010.08.29
설괘전(說卦傳)  (0) 2010.08.29
계사 상전(繫辭上傳)  (0) 2010.08.29
풍괘(豐卦 )  (0) 2010.08.29
귀매괘(歸妹卦 )  (0) 2010.08.29

계사 상전(繫辭上傳)

 

그러므로 귀천(貴賤)을 진열함은 위(位)에 있고, 소대(小大)를 정함은 괘(卦)에 있고, 길흉(吉凶)을 분별함은 사(辭)에 있다.[是故 列貴賤者 存乎位 齊小大者 存乎卦 辨吉凶者 存乎辭]

○ ‘열(列)’이란 사람들이 늘어서는 것이다. 대개 귀천을 판별하여 늘어서게 하려고 하면 육효의 자리를 보아서 알 수 있음을 이른 것이다. 아래도 같다.

○ 이 이하에서는 역(易)을 쓰는 것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괘(卦)에는 작음과 큼이 있고, 사(辭)에는 험함과 평탄함이 있으니, 사(辭)라는 것은 각각 그 향하는 바를 가리킨 것이다.[是故 卦有小大 辭有險易 辭也者 各指其所之]

○ 각각 향하는 바를 가리킨다는 설은 제가(諸家)의 설과 같이 보면 윗글의 뜻과 연결되니, 그 이치가 더 나은 것 같다.

○ 주(註)에 주자(朱子)가 운운하였다. 주자의 뜻은, 대괘(大卦)의 사(辭)는 평이하고 소괘(小卦)의 사는 험난한 것은 각각 괘가 향하는 바를 따라서 다르다는 것이다. 제가의 설은 아마도 주자의 본뜻이 아닌 듯하다.


위로는 천문(天文)을 관찰하고, 아래로는 지리(地理)를 살핀다. 그러므로 유명(幽明)의 원인을 안다.[仰以觀於天文 俯以察於地理 是故 知幽明之故]

○ 천(天)은 양(陽)이므로 밝고, 지(地)는 음(陰)이므로 어둡다. 천지를 살펴서 유명의 원인을 아는 것을 이른 것이다. 본의(本義)에 나오는 주야(晝夜)와 남북(南北)의 설은, 천지에는 또 각각 음양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인자(仁者)는 그를 보고서 인(仁)이라 이르고, 지자(知者)는 그를 보고서 지(知)라 이른다.[仁者見之 謂之仁 知者見之 謂之知]

○ 주자가 말하기를, “인자가 그를 보고서 인이라 이르는 것은 단지 발생(發生)하는 곳만을 본 것이고, 지자가 그를 보고서 지라고 이르는 것은 단지 수렴(收斂)하는 곳만 본 것이다.” 하였다.


낳고 낳음을 역(易)이라 이른다.[生生之謂易]

○ 이하에서는 서(書)를 말하였다.


변(變)을 통함을 일이라 한다.[通變之謂事]

○ 주에서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한 ‘변(變)’ 자의 뜻은 주자가 말한 변 자의 뜻과 같지 않다.


음(陰)하고 양(陽)하여 헤아릴 수 없음을 신(神)이라 한다.[陰陽不測之謂神]

○ 주에서 주자가 말하기를, “장횡거(張橫渠)의 설이 아주 좋다. 일(一)이기 때문에 신묘한 것이다.” 운운하였는데, ‘일(一)’은 하나의 도리(道理)이다.


건(乾)은 그 고요함이 전일하고 그 동함이 곧다. 이 때문에 큼이 생긴다. 곤(坤)은 그 고요함이 합하고 그 동함이 열린다. 이 때문에 넓음이 생긴다.[夫乾 其靜也專 其動也直 是以大生焉 夫坤 其靜也翕 其動也闢 是以廣生焉]

○ 주에 나오는 잠실 진씨(潛室陳氏)의 설은 비록 주자가 말한 뜻은 아니지만 몹시 기이한바 역시 하나의 설이 될 수 있다.


광대(廣大)는 천지(天地)에 배합하고, 변통(變通)은 사시(四時)에 배합한다. 음양(陰陽)의 뜻은 일월(日月)에 배합하고, 이간(易簡)의 선(善)은 지덕(至德)에 배합한다.[廣大 配天地 變通 配四時 陰陽之義 配日月 易簡之善 配至德]

○ 주에 나오는 평암 항씨(平庵項氏)의 설을 보면, 제1절에서는 역(易)의 이치를 통괄해서 논하였는데, 역(易)은 광대(廣大)하여 멀게는 포괄하지 않는 것이 없고, 가깝게는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고 하였다. 제2절에서는 건곤(乾坤)을 나누어서 말하면서 광(廣)이 되고 대(大)가 되는 이유에 대해 말하였는데, 건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 없고 곤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없어서, 어느 한 사물도 건과 곤의 이치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이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아마도 주자의 뜻과는 다른 듯하다.


성인(聖人)이 천하의 동함을 보고서는 그 회통(會通)함을 관찰하여 떳떳한 예를 행하였다.[聖人 有以見天下之動 而觀其會通 以行其典禮]

○ 주에서 주자의 말 가운데 ‘비대각도대관(批大卻導大窾)’이라 하였는데, 비(批)는 치는 것이고, 대각(大卻)은 뼈와 살이 서로 만나는 부분이고, 도(導)는 결에 따라서 가르는 것이고, 관(窾)은 텅 빈 것이다. 뼈마디 사이에는 자연 크게 빈틈이 나 있는 곳이 있는 법이다.


건(乾)의 책수(策數)가 216이고, 곤(坤)의 책수가 144이다. 그러므로 모두 360이니, 기년(期年)의 날수에 해당된다.[乾之策 二百一十有六 坤之策 百四十有四 凡三百有六十 當期之日]

노양(老陽)의 괘륵(掛扐) 12에서 4를 진(進)하면 소음(少陰)이 되어 괘륵이 16이 된다. 과설(過揲) 36에서 4를 퇴(退)하면 소음이 되어 과설이 32가 된다. 진(進)이라는 것은 합(合)하는 것이고, 퇴(退)라는 것은 떼어 내는[離] 것이다. 노음(老陰)의 괘륵 24에서 4를 퇴하면 소양(少陽)이 되어 괘륵이 20이 된다. 과설(過揲) 24에서 4를 진하면 소양이 되어 과설이 28이 된다. 퇴라는 것은 떼어 내는 것이고, 진이란 것은 합하는 것이다.


상(上) 하(下) 두 편의 책수(策數)가[二篇之策]

○ 주에서 주자의 말 가운데 ‘도협측구(倒筴側龜)’라는 것이 있다. 《예기(禮記)》 곡례 하(曲禮下)에, “임금 앞에서 점대[筴]를 거꾸로 놓거나 거북껍질[龜]을 뒤엎어 놓거나 하면 주벌(誅罰)을 받는다.” 하였는데, 그 주에 “복서(卜筮)를 맡은 관원은 거북껍질과 점대를 받들어서 주선(周旋)하는 자이다. 그런데 임금 앞에서 거꾸로 놓거나 뒤집어 놓는 일이 있다면, 이는 그 직책을 공경히 수행하지 않아 임금을 능멸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주벌을 내리는 것이다.” 하였으며, 방씨(方氏)는 말하기를, “점대에는 위와 아래가 있으므로 도(倒)라 하였고, 거북껍질에는 앞과 뒤가 있으므로 측(側)이라 하였다.” 하였다.


이끌어서 편다.[引而伸之]

○ ‘인신(引伸)’의 뜻은 아마도 단지 점을 쳐서 얻는 한 괘에만 있는 듯하다.

○ ‘인신’은 여섯 획을 가리킨다. ‘제9장(第九章)’의 장(章) 아래에 나오는 본의(本義)에 ‘태복과 서인의 관직[大卜筮人之官]’이라 하였는데, 《주례(周禮)》를 살펴보면, 태복(大卜)은 복서(卜筮)를 통틀어서 관장하고, 복사(卜師)와 서인(筮人)은 각각 거북점[龜]과 시초점[策]을 나누어서 관장한다.

○ 주에 나오는 쌍호 호씨의 설은 비록 주자의 뜻과는 다르지만 논한 바가 요령(要領)을 얻었으니, 역시 좋다.


동하는 자는 그 변(變)을 숭상한다.[以動者 尙其變]

○ ‘변(變)’은 괘효(卦爻)의 변화이다. 오씨(吳氏)가 말하기를, “‘동(動)’이란 것은 변화를 인하여 점괘를 얻은 것이다.” 하였다.


그 명령을 받음이 메아리와 같다.[其受命也如嚮]

○ 본의(本義)에 “재(宰)가 오른쪽에서 명령을 돕는다.[宰自右贊命]” 하였는데, ‘재(宰)’는 유사(有司)로서 정교(政敎)를 주관하는 자이고, ‘찬(贊)’은 보좌하는 것이고, ‘명(命)’은 고하는 것으로, 주인을 보좌하여 점치는 것을 고하는 것이다.


삼(參)으로 세고 오(伍)로 세어 변하며, 그 수를 교착(交錯)하고 종합(綜合)한다.[參伍以變 錯綜其數]

○ 본의(本義)에 “적을 엿보고 변화를 살펴본다.[窺敵制變]” 하였는데, 《순자(荀子)》 의병(義兵)을 살펴보면, ‘제(制)’ 자가 ‘관(觀)’ 자로 되어 있다.

○ 또 “삼과 오의 징험을 맞춘다.[偶參伍之驗]” 하였는데, 내 생각에 ‘우(偶)’ 자는 ‘합(合)’ 자여야 할 듯하다.

○ 또 “반드시 삼으로 세고 오로 센다.[必參而伍之]” 하였는데, 본주(本註)에 “세 경(卿)과 다섯 대부(大夫)에게 다시 의논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였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나온다.- 《사기색은(史記索隱)》에는 이르기를, “삼(參)은 세 경(卿)을 이르고, 오(伍)는 다섯 대부(大夫)를 이른다. 세 경과 다섯 대부로 하여금 다시 의논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였다. -《사기》 권88 몽염열전(蒙恬列傳)에 나온다.

○ 또 “삼오(參伍)함이 실수하지 않는다.[參伍不失]” 하였는데, 본주에 “서로서로 엇갈려서 참작하여 사정(事情)을 밝게 아는 것이다.” 하였다.

○ 또 “그 값을 삼오(參伍)하여 유(類)로써 서로 기준한다.[參伍其價 以類相準]” 하였는데, 《한서(漢書)》 권76 조광한열전(趙廣漢列傳)을 보면, “조광한이 말값[馬價]의 귀천(貴賤)을 알고자 할 경우, 먼저 소값을 물어보고 그 값을 삼오하여 유로써 서로 기준하였다. 그러면 말값의 귀천을 실제의 값과 틀리지 않게 알아낼 수 있었다.” 하였다.

○ 주(註)에서 주자가 ‘장(章), 부(蔀), 기(紀), 원(元)’이라 하였다. 살펴보건대, 《한서(漢書)》 권22 율력지 하(律曆志下)를 보면, 19세(歲) 동안에 7윤(閏)이 있으며, 절기가 고르게 되는 것을 1장(章)으로 삼는다. 윤(閏)이 다하면 세(歲)가 부(蔀)의 첫머리가 된다. 《시경(詩經)》의 주소(注疏)를 보면, 72세가 1부(蔀)가 되고, 20부가 1기(紀)가 된다. 율력지를 보면, 4617세가 1원(元)이 된다.


무릇 역(易)은 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기미를 살피는 것이다.[夫易 聖人之所以極深而硏幾也]

○ 지극히 정(精)하므로 깊음을 다하고, 지극히 변하므로 기미를 살피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을 닫음을 곤(坤)이라 이르고, 문을 엶을 건(乾)이라 이른다.[是故 闔戶 謂之坤 闢戶 謂之乾]

○ 주자가 본의(本義)에서는 역(易)의 이치에 대해서 범범히 논하였는데, 소주(小註)에서 “서(書)도 역시 이와 같다.[書亦如此]”고 이른 것은 아마도 호씨(胡氏)의 주(註)와 같다는 말인 듯하다.

○ 주에서 평암 항씨(平庵項氏)가 운운하였다. 항씨가 이 장(章)에 대해서 논한 것을 보면, 위 두 단락의 경우는 주자와 뜻이 같지 않다. 그런데 유독 이 단락에서 논한 것만은 전적으로 복서(卜筮)의 뜻에 대하여 말하였는바, 본의(本義)와 서로 합치된다. 그러므로 취한 것이다.

○ 항씨의 주에 ‘고경패참(枯莖敗槧)’이라 하였는데, 참(槧)은 나뭇조각을 깎아내어 글씨를 쓸 수 있게 만든 것으로, 판(版)의 길이는 3척(尺)이다.


그러므로 역(易)에는 태극(太極)이 있으니, 태극이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가 사상(四象)을 낳고, 사상이 팔괘(八卦)를 낳는다.[是故 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

○ 본의(本義)에 나오는 ‘서례(序例)’는 본의(本義)의 서례(序例)이다.


그러므로 법(法)과 상(象)은 천지(天地)보다 더 큰 것이 없고, 변(變)과 통(通)은 사시(四時)보다 더 큰 것이 없다. 상(象)이 매달려 밝게 드러남은 일월(日月)보다 더 큰 것이 없고, 크고 높음은 부귀(富貴)보다 더 큰 것이 없다. 물건을 구비하며 씀을 지극히 하며 기물(器物)을 이루어서 천하를 이롭게 함은 성인(聖人)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어지러운 것을 상고하고 숨은 것을 찾아내며 깊은 것을 탐색하고 먼 것을 오게 하여 천하의 길흉(吉凶)을 정하고 천하의 힘써야 할 일을 이룸은 시귀(蓍龜)보다 더 큰 것이 없다.[是故 法象 莫大乎天地 變通 莫大乎四時 懸象著明 莫大乎日月 崇高 莫大乎富貴 備物 致用 立成器 以爲天下利 莫大乎聖人 探賾索隱 鉤深致遠 以定天下之吉凶 成天下之亹亹者 莫大乎蓍龜]

○ 주에 나오는 운봉 호씨의 설이 아마도 본뜻을 얻은 듯하다.


역(易)에 이르기를, “하늘로부터 돕는지라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 하였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우(祐)는 도움이니, 하늘이 돕는 것은 순(順)함이요, 사람이 돕는 것은 신(信)이다. 신을 행하여 순함을 생각하고 또 어진 이를 높인다.” 하였다.[易曰 自天祐之 吉无不利 子曰 祐者助也 天之所助者順也 人之所助者信也 履信思乎順 又以尙賢也]

○ 대유(大有)가 지극한데도 무위(無位)의 자리에 있으니, 이는 겸양하여 자리를 차지하지 않은 것으로, 순(順)하기를 생각하는 뜻이다. 대유괘의 오효가 부신(孚信)인데, 그것을 밟고 있으니 신(信)을 밟고 있는 것이다. 오효가 문명(文明)인데, 뜻이 오효를 따르니 어진 이를 숭상하는 것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글로는 말을 다하지 못하고, 말로는 뜻을 다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성인의 뜻을 볼 수 없단 말인가?” 하였고, “성인이 상(象)을 세워 뜻을 다하고, 괘(卦)를 베풀어 정위(情僞)를 다하고, 사(辭)를 달아 그 말을 다하였다.” 하였다.[子曰 書不盡言 言不盡意 然則聖人之意 其不可見乎 子曰 聖人 立象 以盡意 設卦 以盡情僞 繫辭焉 以盡其言]

○ 주에 나오는 임천 오씨(臨川吳氏)의 설은 앞 장(章)의 주에 나오는 전조(錢藻)의 설과 내용이 같다. ‘진의(盡意)’ 이상은 복희씨(伏羲氏)의 일이고, ‘진정위(盡情僞)’ 이상은 문왕(文王)의 일이며, ‘진언(盡言)’ 이상은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의 일이다. 논한 바가 극히 분명하나, 아마도 주자의 뜻은 아닌 듯하다.


[주D-001]본의(本義)에 …… 설 :

본의에 “천문(天文)은 주야(晝夜)와 상하(上下)가 있고, 지리(地理)는 남북(南北)과 고심(高深)이 있다.” 하였다.


[주D-002]건안 구씨(建安丘氏)가 …… 뜻 : 건안 구씨는 ‘변(變)’ 자를 괘(卦)의 변화라고 하였다.
[주D-003]잠실 진씨(潛室陳氏)의 설 :

잠실 진씨는 남송(南宋)의 학자인 진식(陳埴)을 가리킨다. 자가 기지(器之)이며, 영가(永嘉) 사람이다. 어려서 섭적(葉適)에게서 수학하다가 뒤에 주희(朱熹)에게 배웠다. 저서로는 《우공변(禹貢辯)》, 《홍범해(洪範解)》, 《목동집(木童集)》 등이 있다.

잠실 진씨가 말하기를, “전일함[專], 곧음[直], 합함[翕], 열림[闢]에 대해서는 괘획(卦畫)으로 논하여야 한다. 괘획이 처음 생겨났을 적에는 오직 건(乾)의 한 기(奇)만 있고 다른 사물은 없다. 이것은 그 체(體)이며 그 전일함이다. 얼마 있다가 막 동(動)하면 곧음이 이루어져서 낳고 낳음을 그치지 않는다. 괘획이 이미 생겨났으면 건(乾)의 여러 괘가 차례대로 드러난다. 그런데 유독 곤(坤)만은 뒤에 있으면서 건(乾)의 여러 괘 속에 감싸여 있는 탓에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이것은 그 체(體)이며 그 합함이다. 이것이 동함에 이르러서는 곤(坤)의 여러 괘가 비로소 건(乾)의 여러 괘 속으로부터 열려져서 나온다. 그리하여 드디어 하나인 건이 둘로 나뉘어진다.” 하였다.


[주D-004]평암 항씨(平庵項氏)의 설 :

평암 항씨가 말하기를. “무릇 역(易)은 광(廣)이고 대(大)로, 이 장(章)의 총목(總目)이다. 멀다고 하여 막지 않는 것은 바로 곧음[直]과 열림[闢]이다. 가까운데도 고요하고 바름은 바로 전일함[專]과 합함[翕]이다. 천지의 사이에 갖추어진 것은 바로 대생(大生)과 광생(廣生)이다. 역(易)의 도(道) 됨은 하나[一]인 양(陽)과 둘[兩]인 음(陰)일 뿐이다. 건(乾)은 바로 하나이다. 고요하여서 하나를 지키면 그 사(事)가 전일해져서 닫히지 않는 것이 없다. 동하여서 하나를 쓰면 그 행(行)이 곧아져서 열리지 않는 것이 없다. 이 때문에 건(乾)이 만물의 아버지가 되는 것이다. 곤(坤)은 바로 둘이다. 둘이 닫혀진 것이 흡(翕)으로, 말하자면 건(乾)과 더불어서 함께 닫히는 것이다. 둘이 열리는 것이 벽(闢)으로, 말하자면 건(乾)과 더불어서 함께 열리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곤(坤)이 만물의 어머니가 되는 것이다. 대(大)는 통할하지 않는 것이 없고, 광(廣)은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없다. 넓고 큰 것[廣大]으로부터 쉽고 간단한 것[易簡]에 이르렀으니, 그 말의 순서가 넓은 것에서 요약된 것으로 나아간 것이다. 온 천하에서 지극히 큰 것은 천지(天地)이고, 지극히 변하는 것은 사시(四時)이고, 지극히 정(精)한 것은 일월(日月)이고, 지극히 선(善)한 것은 지덕(至德)이다. 역(易)이란 책에는 이 네 가지가 갖추어져 있다. 그러니 어찌 갖추어졌다고 말하지 않겠는가.” 하였다.


[주D-005]주자의 말 :

이 부분은 주가가 회통(會通)의 뜻을 설명하면서 옛날의 이름난 백정인 포정(庖丁)이 소를 잡을 적에 쓰는 방법을 가지고 비유하여 설명한 말이다.


[주D-006]노양(老陽)의 …… 것이다 :

노양의 책수(策數)는 12이고, 소음(少陰)의 책수는 16이고, 노음(老陰)의 책수는 24이고, 소양(少陽)의 책수는 28이다. 괘륵(掛扐)은, 괘(掛)는 점대를 손가락 사이에 거는 것이고, 늑(扐)은 손가락 사이에 끼우는 것이다. 과설(過揲)은 손에 괘륵하고 남은 점대의 숫자를 말한다.


[주D-007]복서(卜筮) :

길흉을 판단하기 위하여 거북껍질을 가지고 점을 치는 것을 복(卜)이라고 하고, 시초(蓍草)를 사용하여 점을 치는 것을 서(筮)라고 한다.


[주D-008]쌍호 호씨의 설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살펴보건대, 4096괘는 이에 초연수(焦延壽)의 변괘(變卦)의 법이다.” 하였다.


[주D-009]장(章) …… 원(元) :

고대의 역법(曆法)에 의하면 19년이 1장(章)이 되고, 4장이 1부(蔀)가 되고, 20부가 1기(紀)가 되고, 60부가 1원(元)이 된다.


[주D-010]19세(歲) …… 있으며 : 이 부분이 원문에는 ‘十七歲七閏’으로 되어 있는데, 《한서(漢書)》에 의거하여 ‘十九歲七閏’으로 바로잡았다.
[주D-011]운봉 호씨의 설 :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이들 여섯 가지의 공용(功用)이 모두 크다. 성인(聖人)이 그들의 큼을 빌려서 시귀(蓍龜)의 공용이 큼을 형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이것으로써 끝맺음을 한 것이다.” 하였다.


[주D-012]하늘로부터 …… 없다 : 대유괘(大有卦) 상구(上九)의 효사(爻辭)이다.

[주D-013]임천 오씨(臨川吳氏)의 설 :

임천 오씨가 말하기를, “‘입상(立象)’은 희황(羲皇)의 괘획(卦畫)을 말하는바, 이로써 보여 준 것이다. ‘진의(盡意)’는 말이 없으면서도 백성들과 더불어 함께 걱정하는 뜻이 그 속에 다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설괘(設卦)’는 문왕(文王)이 중괘(重卦) 즉 육십사 괘의 이름을 설립한 것을 말한다. ‘진정위(盡情僞)’는 육십사 괘의 이름이 천하 사물의 정(情)을 다하기에 충분함을 이른다. 그 정(情)이 성(性)에 근본하여 착한 것을 ‘정(情)’이라 하고, 그 정(情)이 성(性)에 위배되어 착하지 못한 것을 ‘위(僞)’라고 한다. ‘사(辭)’는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의 단사(彖辭)와 효사(爻辭)로, 이로써 고해 주는 것이다. 희황의 괘획에서 뜻을 다하였으며, 문왕이 또 괘의 상(象)을 인하여서 괘의 이름을 설립하여 정위(情僞)를 다하였다. 그러나 괘가 비록 이름이 있으나 사(辭)가 없었다. 이에 또 단사와 효사를 달았으니, 그 말을 다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하였다.


[주D-014]전조(錢藻)의 설 :

전조는 송(宋)나라 사람으로, 자가 순로(醇老)이며, 시독학사(侍讀學士)를 지냈다. 계사 상전 제11장에 “역(易)에 사상(四象)이 있으면 보여 주는 것이요, 말을 다는 것을 고해 주는 것이요, 길흉(吉凶)을 정함은 결단한 것이다.[易有四象 所以示也 繫辭焉 所以告也 定之以吉凶 所以斷也]” 하였는데, 이에 대한 주에서 전조가 말하기를, “그 상(象)이 있으면서 그 사(辭)가 없으면 다른 사람에게 그 뜻만을 보일 수 있을 뿐으로, 성인(聖人)께서 후세 사람들이 잘 알 수 없을까 두려워하였다. 이에 사(辭)를 달아서 고해 주었으며, 그 사(辭)를 정하여서 결단해 주었다. ‘시(示)’라고 한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볼 수 있게 한 것이고, ‘고(告)’라고 한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알 수 있게 한 것이며, ‘단(斷)’이라고 한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의심스러운 바가 없게 한 것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괘전(說卦傳)  (0) 2010.08.29
계사 하전(繫辭下傳)  (0) 2010.08.29
풍괘(豐卦 )  (0) 2010.08.29
귀매괘(歸妹卦 )  (0) 2010.08.29
점괘(漸卦 )  (0) 2010.08.29
풍괘(豐卦 )

 

풍은 형통하니, 왕(王)이어야 이를 수 있는바, 근심하지 않으려 하면 해가 중천에서 비추듯이 해야 한다.[豐 亨 王 假之 勿憂 宜日中]

○ ‘왕(王)’은 오효를 가리킨다. 이효에서 오효까지는 모양이 감체(坎體)와 비슷한데, 감(坎)은 우(憂)가 된다. 삼효에서 오효까지는 호체가 태(兌)인데, 태(兌)는 열(說)이 된다. 그러니 근심하지 않는 ‘물우(勿憂)’의 상이 있는 것이다. ‘일(日)’은 이(離)의 상이다. 이(離)는 오(午)가 되니, 해가 중천에 있는 ‘일중(日中)’의 상이 있는 것이다.
내가 쌍호 호씨의 설을 인하여 미루어 보건대, 풍괘는 하체가 이(離)이고 상체가 진(震)이니, 바로 해가 동쪽에서 나오지 않은 상인바, 빛이 형통하는 형세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풍형(豐亨)’이라고 한 것이다. 그리고 장차 밝음이 성대한 땅에 이른다. 그러므로 ‘격지(假之)’라고 한 것이다. 해가 중천에 이르면 성대함이 극에 달한 것이다. 성대함이 극에 달하면 걱정할 만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중천에 이르러서 지나치지 않는 것이 마땅하다. 지나친 것은 쇠망의 시초가 된다.

해가 중천에 있으면 기울고 달은 차면 먹힌다. 천지의 성함과 쇠함도 때에 따라 나아가고 물러난다. 그런데 하물며 사람에게 있어서이며 귀신에게 있어서랴.[日中則昃 月盈則食 天地盈虛 與時消息 而況於人乎 況於鬼神乎]

○ ‘일(日)’은 이(離)의 상이다. ‘월(月)’은 모양이 감체(坎體)와 비슷한 상이다. ‘천(天)’은 위의 두 효이고, ‘지(地)’는 아래의 두 효이며, ‘인(人)’은 가운데의 두 효이다. ‘귀(鬼)’는 음효를 가리키고, ‘신(神)’은 양효를 가리킨다.

초구는 배주(配主)를 만나되 비록 똑같은 양(陽)이나[初九 遇其配主 雖旬]

○ 초효와 사효는 서로 응하는 자리이다. 그러므로 ‘배(配)’라고 한 것이다. 초효는 사효를 가리켜 주인으로 삼고, 사효는 초효를 가리켜 주인으로 삼는바, 각각 본효(本爻)를 인하여 뜻으로 삼았다. 초효와 사효는 모두 양효이므로 ‘순(旬)’이라 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비록 똑같은 양(陽)이나 허물이 없으니, 지나치면 재앙이 있다.” 하였다.[象曰 雖旬 无咎 過旬 災也]

○ 운봉 호씨의 ‘이(離)는 기(己)를 받아들이고 진(震)은 경(庚)을 받아들였는바, 기(己)에 이르기까지의 십일(十日)이 순(旬)이 된다.’ 한 설을 인하여 미루어 보면, 무릇 서로 구(求)하는 도는 빠르면 합해지고 느슨하면 반목하는 법이다. 십(十)이란 숫자는 숫자의 끝이니, 겨우겨우 허물이 없을 뿐이다. 지나치게 되면 재앙이 있는 것은 반드시 그러한 것이다.

육이는 떼적을 많이 하였다. 대낮에도 북두성을 보니, 가면 의심과 미움을 받으리라. 정성을 두어 감발(感發)하면[六二 豐其蔀 日中見斗 往 得疑疾 有孚發若]

○ ‘부(蔀)’에 대해서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풀이 무성한 것이니, 진(震)과 손(巽) 상이다.” 하였다. ‘일중(日中)’은 이(離)의 상이다. ‘견(見)’은 이(離)의 목(目) 상이다. ‘두(斗)’에 대해서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오효와 상효가 음효이니, 네 개 점(點)의 상이다.” 하였다. ‘왕(往)’은 오효에 응하는 것이다. ‘의질(疑疾)’은 오효가 음효로서 암(暗)인 상이다. 어두우면 의심이 생기고 의심하면 병이 생기는 것이다. ‘부(浮)’는 가운데가 허(虛)한 상이다. ‘발(發)’은, 오효가 진체(震體)에 있으니 감발할 수 있는 가발(可發)의 상이 있는 것이다.

구삼은 휘장을 많이 하였다. 대낮에도 작은 별을 보고 오른팔이 부러졌다.[九三 豐其沛 日中見沬 折其右肱]

○ ‘패(沛)’는 패(旆)가 되어야 하니, 정씨(鄭氏)가 말한 정기(旌旗)를 드리운 것이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세 음획이 곤(坤)이 되는데 곤(坤)은 백(帛)이 되고, 호체가 손(巽)인데 손(巽)은 목(木)이 된다. 그러니 기패(旗旆)의 상이 있는 것이다. ‘일중(日中)’은 이(離) 상이다. ‘견(見)’은 이(離)의 목(目) 상이다. ‘매(沬)’는 작은 별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역시 위에 있는 두 음효의 상이다.” 하였다. ‘절(折)’은 태(兌)의 훼절(毁折) 상이다. ‘우(右)’는 상효를 가리킨다. 병법에서 앞을 우(右)로 삼는다. ‘절우굉(折右肱)’은, 진(震)은 간(艮)의 반체인데 간(艮)은 수(手)가 된다. 간(艮)의 수(手)가 도치되어 있으니 팔이 부러지는 상이 있는 것이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사 하전(繫辭下傳)  (0) 2010.08.29
계사 상전(繫辭上傳)  (0) 2010.08.29
귀매괘(歸妹卦 )  (0) 2010.08.29
점괘(漸卦 )  (0) 2010.08.29
간괘(艮卦 )  (0) 2010.08.29

귀매괘(歸妹卦 )

 

귀매는 가면 흉하니 이로운 바가 없다.[歸妹 征 凶 无攸利]

○ ‘귀매는 가면 흉하다’는 것은, 괘상(卦象)으로써 말하면 소녀(少女)인 태(兌)가 장남(長男)인 진(震)을 따르는 것이고, 괘덕(卦德)으로써 말하면 여자인 태(兌)가 기뻐하고 남자인 진(震)이 동하는 것인데, 이는 모두가 정(正)이 아니므로 가면 흉한 것이다. 숭산 조씨(嵩山晁氏)가 말하기를, “이효와 사효가 양효로서 음의 자리에 있으니, 남자가 바르지 않음으로써 여자를 따르는 상이 있는 것이다. 오효가 음효로서 양의 자리에 있으니, 여자가 바르지 않음으로써 남자를 따르는 상이 있는 것이다. 이는 모두 바름을 잃은 것이므로 가면 흉한 것이 된다.” 하였다.
내가 또 이에 대해서 일찍이 미루어 생각해 보건대, ‘정흉(征凶)’은 삼효와 사효 두 효를 위주로 하여 말한 것인데, 이는 괘가 이루어진 것이 삼효와 사효가 사귀는 데에서 말미암았기 때문이다. 삼효가 바르지 않으면서 열(說)인 태체(兌體)에 있고, 사효가 바르지 않으면서 동(動)인 진체(震體)에 있으니, 바르지 않은 여자로서 바르지 않은 남자를 좋아하는 것이다. 이는 정욕(情欲)에 감통된 것으로 흉(凶)한 도이다. 그러므로 가면 흉한 것이다.
‘무유리(无攸利)’에 대해서 숭산 조씨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삼효를 가리켜서 말한 것으로, 몽괘(蒙卦) 삼효의 “몸을 두지 못하니 이로운 바가 없다.[不有躬 无攸利]”고 한 것과 같은 뜻이다.

단에 이르기를, “귀매는 천지의 대의(大義)이다.” 하였다.[彖曰 歸妹 天地之大義也]

○ ‘천(天)’은 하체(下體)인 건(乾)을 가리키고, ‘지(地)’는 상체인 곤(坤)을 가리킨다. 삼효와 사효가 사귀어서 괘가 이루어졌으므로 천지의 대의라고 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못 위에 우레가 있음이 귀매이니, 군자가 보고서 마침을 영구하게 하여 피폐해질 줄을 안다.” 하였다.[象曰 澤上有雷 歸妹 君子以 永終 知敝]

○ 우레가 동하는 것은 일정하지 않은데 못이 그에 따르는 것은 끝이 없다. 군자가 못 위에 우레가 있는 귀매괘의 상을 보고서 그 마침을 영구하게 하여 피폐해지는 바가 있음을 아는 것이다.

초구는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되 잉첩(媵妾)으로 함이니, 절름발이가 걸어가는 격이다.[初九 歸妹以娣 跛能履]

○ ‘제(娣)’는 태(兌)의 상이다. ‘파(跛)’는 초효가 아래에 있으니 족(足) 상이다. 초효가 가운데가 아니어서 감이 가운데가 아니므로 절름발이가 되는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손(巽)은 고(股)가 되는데, 태(兌)는 손(巽)의 반체인바, 파(跛)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초구가 양효로서 양의 자리에 있는데, 양은 건(健)이 된다. 그러므로 능히 걸을 수가 있는 것이다.

구이는 애꾸눈이 능히 보는 것이다.[九二 眇能視]

○ ‘묘(眇)’는 호체인 이(離)의 목(目) 상이다. 이효는 정(正)이 아니어서 보는 것이 바르지 않으니 애꾸눈인 ‘묘(眇)’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응이 있으므로 능히 보는 것이다.

육삼은 누이동생을 시집보냄에 천첩(賤妾)으로 보내니, 다시 되돌아와 잉첩이 되어야 한다.[六三 歸妹以須 反歸以娣]

○ ‘수(須)’는 천첩으로, 태(兌)의 상이다. ‘제(娣)’ 역시 태(兌)의 상이다. 삼효가 이효의 위에 있으면서 이효를 따라서 가니, 다시 되돌아와서 잉첩이 되는 ‘반귀이제(反歸以娣)’의 상이 있는 것이다.

구사는 누이동생을 시집보냄에 혼기가 지남이니, 지체하여 돌아감이 때가 있어서이다.[九四 歸妹愆期 遲歸有時]

○ ‘건기(愆期)’는 진(震)의 상을 취하였다. 절초 제씨(節初齊氏)가 말하기를, “《시경(詩經)》 패풍(邶風) 포유고엽(匏有苦葉)에 ‘선비가 아내를 데려오려면, 얼음이 풀리기 전에 해야 한다.[士如歸妻 迨氷未泮]’ 하였고, 《가어(家語)》에 ‘서리가 내리면 혼인이 많고, 얼음이 풀리면 형살을 그친다.[霜降多婚 氷泮殺止]’ 하였는데, 진(震)은 얼음이 풀리는 것이므로 혼기(婚期)가 지났다는 뜻인 ‘건기(愆期)’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 ‘유시(有時)’는, 사효가 변하면 곤(坤)이 되는데 곤은 상강(霜降)이 되고, 초효가 정응(正應)이 된다.

육오는 제을(帝乙)이 누이동생을 시집보낸 것이니, 적처(嫡妻)의 소매가 잉첩(媵妾) 소매의 아름다움만 못한바, 달이 거의 보름이 된 듯이 하면[六五 帝乙歸妹 其君之袂 不如其娣之袂良 月幾望]

○ ‘제을(帝乙)’은 오효의 군(君) 상이다. ‘군(君)’은 오효의 상이다. ‘몌(袂)’에 대해서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세 양효가 건(乾)으로 옷[衣]이다. 가운데 두 효는 음과 양인바, 서로 옷소매인 몌(袂)가 되는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삼효는 이효의 위에 있는데 짝이 되는 획(畫)이 나누어 솟아 있으니 몌(袂) 상이 있는 것이다. ‘제(娣)’는 삼효를 가리킨다. 삼효는 태체(兌體)이다. ‘양(良)’은 세 양획이 건(乾)으로 옷이 되는데, 오효는 옷 밖에 있고 삼효는 옷 안에 있으니 아릅답게 꾸미는 상이 된다. ‘월(月)’은 호체인 감(坎)의 상이다. 오효는 감체(坎體)의 맨 위에 있어서 이미 다 찼다. ‘기(幾)’라고 이른 것은 경계하는 말이다.

상육은 여자가 광주리를 받드나 담겨진 것이 없다. 남자가 양(羊)을 베나 피가 없다.[上六 女承筐无實 士刲羊无血]

○ ‘여(女)’는 상효가 음효인 상이다. ‘광(筐)’은 진(震)의 죽(竹) 상이다. ‘승(承)’은 진(震)의 반체인 간(艮)의 수(手) 상이다. ‘무실(无實)’은 음(陰)의 허(虛) 상이다. ‘사(士)’는 삼효를 가리킨다. ‘양(羊)’은 태(兌)의 상이다. ‘규(刲)’는 이(離)의 병(兵) 상이다. 이(離)의 병(兵)이 태(兌)의 양(羊) 위에 있으니 양을 베는 ‘규양(刲羊)’의 상이 있는 것이다. ‘혈(血)’은 감(坎)의 상이다. 감(坎)의 혈(血)이 위에 있는데 이(離)가 건괘(乾卦)가 되니 피가 없는 ‘무혈(无血)’의 상이 있는 것이다.

[주D-001]숭산 조씨(嵩山晁氏) : 송나라 조열지(晁說之)를 가리킨다. 자가 이도(以道)이며, 호가 경우(景迂)이다. 서화에 능하였고, 육경(六經)에 통달하였는데 역(易)에 더욱더 뛰어났다. 저서로는 《유언(儒言)》, 《조씨객어(晁氏客語》가 있다.
[주D-002]숭산 조씨가 운운하였다 : 숭산 조씨가 말하기를, “상괘(上卦)는 육오(六五)가 음효로서 양효인 구사(九四)를 타고 있으며, 하괘(下卦)는 육삼(六三)이 음효로서 양효인 구이(九二)를 타고 있으니, 남편으로서 부인에게 굽히고 부인으로서 남편을 제압하는 상이 있다. 그러므로 이로운 바가 없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3]절초 제씨(節初齊氏) : 원나라의 학자로 자가 각옹(覺翁)인 제몽룡(齊夢龍)을 가리킨다.
[주D-004]양(良)은 …… 건(乾)으로 : 이 부분은 원문이 ‘艮三陽乾爲衣’로 되어 있는데, 뜻이 통하지 않기에 ‘良三陽乾爲衣’로 바로잡았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사 상전(繫辭上傳)  (0) 2010.08.29
풍괘(豐卦 )  (0) 2010.08.29
점괘(漸卦 )  (0) 2010.08.29
간괘(艮卦 )  (0) 2010.08.29
진괘(震卦 )  (0) 2010.08.29

점괘(漸卦 )

 

점(漸)은 여자가 시집감이 길하니, 이로움은 정(貞)하기 때문이다.[漸 女歸吉 利貞]

○ 혁괘(革卦)에서의 ‘이정(利貞)’은 이로운 바가 정(貞)의 뜻이고, 점괘(漸卦)에서의 ‘이정(利貞)’은 이로운 것이 정함이 있기 때문이다.
○ 주(註)에 중계 장씨(中溪張氏)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점괘는 비괘(否卦)로부터 변하였으며, 괘가 이루어진 것은 두 효가 사귀는 데에서 말미암았다. ‘여귀(女歸)’는 가운데 두 효를 위주로 하여 말한 것이다. 하체(下體)는 본디 곤(坤)인데 곤의 육삼이 위로 건의 구사와 사귀었으며, 상체(上體)는 본디 건(乾)인데 건의 구사가 아래로 곤의 육삼과 사귀었다. 남자가 바깥으로부터 오고 여자가 안으로부터 나갔으니, 여자가 시집가는 상이 있는 것이다. 음효인 육(六)이 사효의 자리에 있고 양효인 구(九)가 삼효의 자리에 있어서, 남자와 여자가 각각 바른 위치를 얻었다. 그러므로 ‘이정(利貞)’이라고 한 것이다.

단에 이르기를, “점(漸)의 나아감은 여자가 시집감에 길한 것이다.” 하였다.[彖曰 漸之進也 女歸 吉也]

○ 본의(本義)에 “지(之) 자는 연문(衍文)이거나 점(漸) 자인 듯하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수괘(需卦), 사괘(師卦), 함괘(咸卦), 항괘(恒卦) 등은 괘 이름에 바로 그런 뜻이 있다. 그러나 점괘(漸卦)의 경우에는 나아간다는 뜻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 나아감을 점차적으로 할 뿐이다. 그러므로 지(之) 자를 더한 것으로, 이는 점차적으로 나아가는 것은 여자가 시집감에 길한 것임을 이른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산 위에 나무가 있음이 점(漸)이니, 군자가 보고서 현덕(賢德)에 머물러 풍속을 착하게 한다.” 하였다.[象曰 山上有木 漸 君子以 居賢德 善俗]

○ 나무의 높음은 산의 높음을 인해서이고, 풍속의 선함은 덕(德)에 머물러 있음을 말미암아서이다. 산을 인한 다음에야 그 높음이 높아져서 점점함이 있고, 덕에 머물러 있은 다음에야 그 착함을 착하게 하여 점점함이 있는 것이다. 이것이 괘(卦)의 상이면서 군자(君子)가 괘의 상을 본받는 뜻이다.

초육은 기러기가 물가에 점점 나아감이니, 소자(小子)는 위태롭게 여겨 말이 있다.[初六 鴻漸于干 小子厲 有言]

○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자오(子午) 이동(以東)부터가 양(陽)이 되고, 자오 이서(以西)부터가 음(陰)이 되니, 간(艮)을 말미암아서 손(巽)에 도달하는 것이다. 자오 이동은 양의 기운이 있는 땅이다. 입춘(立春) 이후에 기러기가 날아온다. 그러므로 여섯 효를 모두 기러기와 연관시켰다. 기러기는 양(陽)을 따르는 새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괘의 덕(德)으로 말하면 상체는 손(巽)이고 하체는 지(止)인 간(艮)이다. 기러기가 날아감에 있어서는 어른 기러기와 새끼 기러기가 서로 따르는데, 무리를 지었으나 순서가 있어서 어른 기러기는 반드시 새끼 기러기를 기다린다. 그러니 위에서 사양하는 손(巽)의 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새끼 기러기는 반드시 어른 기러기의 뒤를 따라간다. 그러니 아래에서 멈추는 간(艮)의 상이 있는 것이다. 호체로써 말하면, 감(坎)이 아래에 있는데 감(坎)은 수(水)가 되고, 이(離)가 위에 있는데 이(離)는 조(鳥)가 된다. 그러니 물새인 수조(水鳥)의 상이 있는 것이다. 괘의 덕과 호체를 합하여 기러기의 상을 취하였다.
‘간(干)’은 물가 언덕으로, 이효부터 사효까지의 호체가 감(坎)이니 물가의 상이 있는 것이다. ‘소자(小子)’는, 간(艮)이 소남(少男)이므로 소자(小子)의 상이 있는 것이다. ‘유언(有言)’은 《춘추좌전(春秋左傳)》을 보면 간(艮)을 언(言)으로 삼았다. 혹자가 말하기를, “간(艮)의 복체인 태(兌)의 구(口) 상이다.” 하였다.

육이는 기러기가 반석에 점차 나아간다.[六二 鴻漸于磐]

○ 안정되고 평평한 반석은 강하(江河) 가에 있는 것이다. 하체인 간(艮)이 호체인 감(坎)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을 취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음식을 먹음이 즐겁고 즐거운 것은 헛되이 배부른 것이 아니다.” 하였다.[象曰 飮食衎衎 不素飽也]

○ ‘포(飽)’는 세 음획이 곤(坤)이 되고 호체인 감(坎)이 가운데에 있으니 음식이 뱃속에 있는 상이 있는 것이다. 또 이(離)가 대복(大腹)이 된다.

구삼은 기러기가 평원으로 점차 나아감이니, 남자는 가면 돌아오지 않고 부인은 잉태하더라도 생육하지 못하여 흉하니, 적을 막음이 이롭다.[九三 鴻漸于陸 夫征 不復 婦孕 不育 凶 利禦寇]

○ 높고 평평한 것을 ‘육(陸)’이라고 하는데, 간(艮)의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초효와 이효는 땅의 자리이다. 삼효는 땅 위에 있으니 평원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부(夫)’는 양효인 삼효의 상이다. ‘정(征)’은 음을 따르는 것이다. ‘부(婦)’는 음효인 사효의 상이다. ‘잉(孕)’은 양을 얻은 것이다. 주(註)에, 정강중(鄭剛中)이 운운하고 쌍호 호씨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단전(彖傳)에서 ‘이정(利貞)’을 말한 것은 괘(卦)의 변(變)으로써 말한 것이고, 효사(爻辭)에서 ‘흉(凶)’을 말한 것은 괘의 체(體)로써 말한 것이다. 괘의 변으로써 말하면, 곤(坤)의 삼효가 사효로 가서 있으며, 건(乾)의 사효가 삼효로 와서 있으니, 남자와 여자가 각각 정(正)을 얻었다. 괘의 체(體)로써 말하면, 간(艮)과 손(巽)은 우(耦)의 관계가 아니며, 삼효와 사효는 응(應)의 관계가 아니니, 부(夫)와 부(婦)가 부정(不正)인 상이 된다. 삼효는 본디 건(乾)의 사효이니 가면 다시 건체(乾體)가 되고, 사효는 본디 곤(坤)의 삼효이니 오면 다시 곤체(坤體)가 된다.
‘정(征)’은 삼효가 사효로 돌아가는 것을 가리킨다. 이미 제자리로 돌아갔으므로 돌아가지 않는 ‘불복(不復)’의 상이 있는 것이다. 삼효가 사효로 나아가면 한 양을 감싸서 가운데에 있으니 잉태하는 ‘잉(孕)’의 상이 있는 것이다. 삼효에서 물러나면 양(陽)을 잃으므로 기르지 못하는 ‘불육(不育)’의 상이 있는 것이다. ‘어구(禦寇)’에서 어(禦)는 간(艮)의 수(手) 상이고, 구(寇)는 호체인 감(坎)의 상이다. 호체인 감(坎)이 하체(下體)인 간(艮)과 연결되어 있으니 도적이 문정(門庭)에 있는 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간(艮)의 수(手)가 안에 있으면서 그것을 저지하니 도적을 막는 어구(禦寇)의 상이 있는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남자가 가면 돌아오지 않음은 무리를 떠나 추한 것이요, 부인이 잉태하더라도 생육하지 못함은 그 도를 잃었기 때문이다.” 하였다.[象曰 夫征不復 離群 醜也 婦孕不育 失其道也]

○ ‘이군(離群)’과 ‘실도(失道)’는 평원(平原)으로 나아가는 뜻이다. 평원은 편안히 있을 곳이 아니다. 그런데도 홀로 평원으로 나아가는 것은 무리를 떠나는 것이고 도를 잃는 것이니, 그 점(占)이 남자가 가면 돌아오지 않음이고 부인이 잉태하더라도 생육하지 못함인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혹 평평한 가지를 얻음은 순하고 겸손하기 때문이다.” 하였다.[象曰 或得其桷 順以巽也]

○ 내가 생각해 보건대, ‘혹(或)’은 미정(未定)의 말이다. 나무의 가지는 가로로 평평한 것이 드물다. 그러므로 ‘혹득(或得)’이라고 한 것이다. ‘순(順)’은 효(爻)가 음효로 유(柔)이고, ‘손(巽)’은 괘체(卦體)가 손(巽)이다.

구오는 기러기가 높은 구릉으로 점차 나아감이니, 부인이 삼 년 동안 잉태하지 못하나 끝내는 이기지 못한다.[九五 鴻漸于陵 婦三歲 不孕 終莫之勝]

○ ‘능(陵)’은 간(艮)의 상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오효가 변하면 간(艮)이 된다.” 하였다. ‘부(婦)’는 이효를 가리킨다. ‘삼(三)’은 오효에서 삼효에 이르기까지의 세 효에 해당되는 상으로, 한 효를 한 해로 삼아서 헤아린 것이다. ‘불잉(不孕)’은 음과 양이 합하지 못한 상이다. ‘종막지승(終莫之勝)’은 이효와 오효가 정응(正應)이어서 삼효와 사효가 능히 빼앗을 수 없는 것이다.

상구는 기러기가 공중으로 점차 나아감이다.[上九 鴻漸于]

○ ‘규(逵)’는 구름길로, 상구가 하늘의 자리에 있는 상이다.

[주D-001]중계 장씨(中溪張氏)가 운운하였다 :

중계 장씨가 말하기를, “점(漸)이라는 것은 나아가는 것인데, 순서대로 나아가고 급박하게 나아가지 않는 뜻이다. 여(女)는 손(巽)이다. 다른 사람에게 시집가는 것이 ‘귀(歸)’가 된다. 그러므로 여자가 시집간다는 뜻인 ‘여귀(女歸)’라고 한 것이다. 상체와 하체 두 체로써 말하면 남자인 간(艮)이 여자인 손(巽)보다 아래에 있으니, 역시 여자가 시집가는 뜻이 된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이 여자가 시집가는 것을 취하여 점점 나아가는 상임을 밝힌 것이다. 이 때문에 길함이 된다. 그러나 여자가 시집가는 것은 참으로 점점하는 것이 길한데, 그것의 이로움은 더욱더 바름을 얻는 데 있다. 가운데 사효로써 보면 음(陰)과 양(陽)이 모두 마땅한 자리에 있다. 그러나 삼효와 사효는 서로 비(比)의 관계에 있지 정응(正應)은 아니다. 오직 이효와 오효만이 서로 응(應)의 관계에 있어서 바름이 된다. 그러므로 ‘이정(利貞)’이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


[주D-002]정강중(鄭剛中)이 …… 운운하였다 :

정강중이 말하기를. “삼효는 위에 응(應)이 없는데 사효와 친하고, 사효는 아래에 응(應)이 없는데 삼효와 바람이 났다. 삼효는 나아가기를 힘써서 망녕되이 동하므로 가면 돌아올 수 없는 것이고, 사효는 지키는 바를 잃고서 사사로이 사귀었으므로 잉태하면 감히 기르지 못하는 것이다.” 하였고, 쌍호 호씨는 말하기를. “일찍이 괘사(卦辭)와 효사(爻辭)를 합하여서 보니, 괘사에서 여자가 시집가면 길하다고 한 것은 삼효와 사효 두 효로써 말한 것이고, 효사에서 부부(夫婦)가 흉(凶)하다고 한 것 역시 삼효와 사효 두 효로써 말한 것이다. 괘를 양체(兩體)로써 논하면 손(巽)의 여(女)가 간(艮)의 남(男)에게 시집가는 상이 있다. 효(爻)를 응부(應否)로써 논하면 서로 응하는 자리에 있는 것은 바름이 되고 서로 응하지 않는 자리에 있는 것은 사특함이 된다. 사효의 장녀(長女)가 삼효의 소남(少男)에게 시집가는 이치는 없는바, 이는 단지 서로 친해져서 만난 것으로, 사사로운 정을 가지고 서로 야합한 것일 뿐이다. 이 괘에서는 단지 여자가 시집가는 것만을 말하고 여자를 취하는 것은 말하지 않았으니, 함괘(咸卦)의 예로써 논해서는 안 된다. 그러니 시초를 삼가는 뜻을 이미 말 밖에서 볼 수 있다.” 하였다.


[주D-003]삼(三)은 …… 상으로 :

이 부분의 원문은 ‘三當五至三三爻象’인데, 뜻이 잘 통하지 않는다. 당(當) 자는 세(歲) 자의 오자(誤字)인 듯하니, ‘삼세(三歲)는 오효에서 삼효에 이르기까지의 세 획의 상이다.’로 해석하여야 할 듯하다.


[주D-004] : 규(逵) 자의 오자이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괘(豐卦 )  (0) 2010.08.29
귀매괘(歸妹卦 )  (0) 2010.08.29
간괘(艮卦 )  (0) 2010.08.29
진괘(震卦 )  (0) 2010.08.29
정괘(鼎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