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 주역상경(周易上經)

▣ 주역상경(周易上經)


【本義】周는 代名也요 易은 書名也라 其卦는 本伏羲所 이니 有交易變易之義라 故로 謂之易이요 其辭則文王周公所繫라 故로 繫之周라 以其簡帙重大라 故로 分爲上下兩篇하니 經은 則伏羲之 과 文王周公之辭也요 幷孔子所作之傳十篇하여 凡十二篇이라 中間에 頗爲諸儒所亂이러니 近世晁氏始正其失이나 而未能盡合古文이라 呂氏又更定著하여 爲經二卷, 傳十卷하여 乃復孔氏之舊云이라


주(周)는 대(代)[왕조(王朝)]의 이름이고 역(易)은 책의 이름이다. 그 괘(卦)는 본래 복희씨(伏羲氏)가 그은 것인데 교역(交易)·변역(變易)의 뜻이 있으므로 역(易)이라 이르고, 그 글[사(辭)]은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이 단 것이므로 주(周)라고 단 것이다. 간질(簡帙)이 크고 무거우므로 나누어 상(上)·하(下) 두 편으로 만들었으니, 경문(經文)은 복희씨(伏羲氏)가 그은 괘(卦)와 문왕(文王)·주공(周公)의 말이요, 공자(孔子)가 지은 전(傳) 10편을 합하여 모두 12편이다. 중간에 자못 유자(儒者)들에게 어지럽혀졌었는데, 근세(近世)에 조씨(晁氏)[조이도(晁以道)]가 처음으로 그 잘못을 바로잡았으나 고문(古文)에 모두 합하지는 못하였다. 여씨(呂氏)[여조겸(呂祖謙)]가 또다시 교정(校訂)하여 경(經) 2권, 전(傳) 10권으로 만들어 마침내 공씨(孔氏)[공안국(孔安國)]의 옛모습을 회복하게 되었다.

주역 / 역설강령(易說綱領) ②

▣ 역설강령(易說綱領) ②


朱子曰 聖人作易之初엔 蓋是仰觀俯察하여 見得盈乎天地之間이 无非一陰一陽之理하시니 有是理則有是象하고 有是象則其數 便自在這裏하니 非特河圖洛書爲然이라 蓋所謂數者는 是氣之分限節度處니 得陽必奇하고 得陰必偶라 凡物皆然이로되 而圖書爲特巧而著耳라 於是에 聖人因之而 卦하시니 其始也엔 只是 一奇以象陽하고 一偶以象陰而已라 但才( )有兩則便有四하고 才有四則便有八하며 又從而再倍之하면 便是十六이니 蓋自其无朕之中으로 而无窮之數已具하여 不待安排而其勢有不容已者라 卦 旣立하면 便有吉凶在裏하니 蓋是陰陽往來交錯於其間하면 其時則有消長之不同하니 長者便爲主요 消者便爲客이며 事則有當否之或異하니 當者便爲善이요 否者便爲惡이니 卽其主客善惡之辨하여 而吉凶見(현)矣라 故曰 八卦定吉凶이라하니라 吉凶旣決定而不差면 則以之立事而大業自此生矣니 此는 聖人作易하사 敎民占筮하여 而以開天下之愚하여 以定天下之志하고 以成天下之事者 如此라 但自伏羲而上으로는 只有此六 이요 而未有文字可傳이러니 到文王周公하여 乃繫之以辭라 故曰聖人設卦觀象하여 繫辭焉而明吉凶이라하니라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성인(聖人)이 역(易)을 만든 시초에는 우러러 관찰하고 굽어 살펴서 천지 사이에 가득한 것이 모두 한 양(陽)과 한 음(陰)의 이치 아님이 없음을 보셨으니, 이치가 있으면 상(象)이 있고 상(象)이 있으면 그 수(數)가 곧 그 속에 있으니, 비단 하도(河圖)·낙서(洛書)만이 그러한 것이 아니다. 이른바 수(數)라는 것은 다만 기(氣)의 분한(分限)과 절도(節度)가 있는 부분이니, 양(陽)을 얻으면 반드시 기(奇)가 되고 음(陰)을 얻으면 반드시 우(偶)가 된다. 모든 사물이 다 그렇지만 하도(河圖)·낙서(洛書)가 특별히 정교하고 잘 드러난다. 이에 성인(聖人)이 이로 인하여 괘(卦)를 그으셨으니, 처음에는 다만 한 기(奇)를 그어 양(陽)을 상징하고 한 우(偶)를 그어 음(陰)을 상징하였을 뿐이었다. 그런데 다만 잠시 둘이 있으면 곧 넷이 있고 잠시 넷이 있으면 곧 여덟이 있으며 또 따라서 다시 배(倍)를 하면 곧 열 여섯이 되니, 조짐이 없는 가운데로부터 무궁한 수(數)가 이미 갖추어져 굳이 안배(安排)하지 않아도 그 형세가 그칠 수 없다.

괘(卦)의 획( )이 이미 확립되면 곧 길흉(吉凶)이 그 속에 있으니, 음양(陰陽)이 왕래하여 그 사이에서 섞이면 때에는 사라지고 자라남의 같지 않음이 있으니 자라나는 것이 주(主)가 되고 사라지는 것이 객(客)이 되며, 일에는 마땅하고 마땅하지 않음의 혹 다름이 있으니 마땅한 것이 선(善)이 되고 마땅하지 않은 것이 악(惡)이 되니, 주객(主客)과 선악(善惡)의 구분에 나아가 길흉(吉凶)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팔괘(八卦)가 길흉(吉凶)을 정한다’고 말한 것이다. 길흉(吉凶)이 결정되어 어그러지지 않으면 이로써 일을 세워서 대업(大業)이 이로부터 생기게 되니, 이는 성인(聖人)이 역(易)을 만들어 백성들에게 점서(占筮)를 가르쳐서 천하의 어리석은 사람들을 개도(開導)하여 천하(天下)의 뜻을 정하고 천하(天下)의 일을 이루어지게 함이 이와 같은 것이다.

다만 복희(伏羲) 이전에는 오직 여섯 획만이 있을 뿐이고 전할 만한 문자(文字)가 없었는데,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에 이르러 비로소 말씀을 붙였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이 괘(卦)를 만들고 상(象)을 관찰하여 말을 붙여서 길흉(吉凶)을 밝혔다’고 한 것이다.


蓋是卦之未 也엔 因觀天地自然之法象而 이요 及其旣 也하여는 一卦自有一卦之象하니 象은 謂有箇形似也라 故로 聖人이 卽其象而命之名하시니 以爻之進退而言은 則如剝復之類요 以其形之肖似而言은 則如鼎井之類니 此是伏羲卽卦體之全하여 而立箇名이 如此라 及文王하여 觀卦體之象而爲之彖辭하시고 周公은 視卦爻之變而爲之爻辭하시니 而吉凶之象이 益著矣니라


이 괘(卦)를 긋기 전에는 천지(天地) 자연(自然)의 법상(法象)을 보고서 괘효(卦爻)를 그었는데, 이미 괘(卦)를 그음에 이르러는 한 괘(卦)에는 자연 한 괘(卦)의 상(象)이 있으니, 상(象)은 형체와 유사한 것이 있음을 이른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이 그 상(象)에 나아가 괘(卦)의 이름을 명명(命名)하였으니, 효(爻)의 나아가고 물러감을 가지고 말한 것은 박괘(剝卦)와 복괘(復卦) 같은 유(類)이며, 형체의 유사함을 가지고 말한 것은 정괘(鼎卦)와 정괘(井卦) 같은 유(類)이니, 이는 복희(伏羲)가 괘체(卦體) 전체를 가지고 이름을 붙인 것이 이와 같은 것이다. 문왕(文王)에 이르러 괘체(卦體)의 상(象)을 보고 단사(彖辭)를 만드시고 주공(周公)은 괘(卦)의 효(爻)가 변함을 보고 효사(爻辭)를 만드시니, 길흉(吉凶)의 상(象)이 더욱 드러나게 되었다.


大率天下之道는 只是善惡而已라 但所居之位不同하고 所處之時旣異로되 而其幾甚微하여 只爲天下之人이 不能曉會일새 所以聖人이 因此占筮之法以曉人하여 使人居則觀象玩辭하고 動則觀變玩占하여 不迷於是非得失之途케하시니 所以是書를 夏商周皆用之라 其所言雖不同하고 其辭雖不可盡見이나 然皆太卜之官이 掌之하여 以爲占筮之用이라 有所謂繇辭者하니 左氏所載에 尤可見古人用易處라 蓋其所謂象者는 皆是假此衆人共曉之物하여 以形容此事之理하여 使人知所取舍(捨)而已라 故로 自伏羲而文王周公이 雖自略而詳이나 所謂占筮之用則一이니 蓋卽那占筮之中하여 而所以處置是事之理가 便在那裏了라 故로 其法이 若粗淺이나 而隨人賢愚하여 皆得其用이라 蓋文王이 雖是有定象, 有定辭나 皆是虛說此箇地頭에 合是如此處置요 初不 著物上이라 故로 一卦一爻足以包無窮之事하니 不可只以一事指定說이라 他裏面에도 也有指一事說處하니 如利建侯, 利用祭祀之類요 其他는 皆不是指一事說이니 此所以見易之爲用이 無所不該, 無所不 하니 但看人如何用之耳라 到得夫子하여는 方始純以理言하시니 雖未必是羲文本意나 而事上說理는 亦是如此라 但不可便以夫子之說로 爲文王之說也니라


대체로 천하(天下)의 도(道)는 다만 선(善)과 악(惡)일 뿐이다. 다만 거한 바의 위치가 똑같지 않고 처한 바의 때가 이미 다른데, 그 기미가 매우 은미하여 다만 천하 사람들이 이것을 자세히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성인(聖人)이 이 점서(占筮)하는 법(法)으로 인하여 사람들을 깨우쳐서 사람들로 하여금 거(居)할 때에는 상(象)을 보고 말을 살펴보며, 동(動)할 때에는 변화(變化)를 보고 점(占)을 살펴보아서 시비(是非)와 득실(得失)의 길에 어둡지 않게 하셨으니, 이 때문에 이 책을 하(夏)·상(商)·주(周)가 모두 쓴 것이다. 말한 내용이 비록 똑같지 않고 글을 비록 다 볼 수 없으나 모두 태복(太卜)의 관원이 관장하여 점서(占筮)에 활용하였다. 이른바 주사(繇辭)라는 것이 있으니, 《좌씨전(左氏傳)》의 기록에서 더욱 옛사람이 역(易)을 활용한 부분을 볼 수 있다.

이른바 상(象)이란 것은 모두 여러 사람들이 함께 알 수 있는 사물을 빌어서 이 일의 이치를 형용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취사(取捨)할 바를 알게 하였을 뿐이다. 그러므로 복희(伏羲)로부터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에 이르기까지 비록 간략함에서 상세하게 되었으나 이른바 점서(占筮)의 쓰임은 똑같으니, 점서(占筮)의 가운데에 나아가 이 일을 처치하는 도리가 곧 이 속에 들어 있다. 그러므로 그 법(法)이 거칠고 천근(淺近)한 듯하나 사람의 현우(賢愚)에 따라 모두 그 쓰임을 얻는 것이다.

문왕(文王)은 비록 정(定)한 상(象)이 있고 정(定)한 말씀이 있으나 모두 이러한 곳에서는 마땅히 이와 같이 처치해야 한다는 것을 가설(假說)했을 뿐이요, 애당초 사물의 위에 고착된 것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한 괘(卦)와 한 효(爻)가 족히 무궁한 일들을 포함할 수 있으니, 다만 한 가지 일을 가지고 지정하여 말할 수 없다. 저 이면(裏面)에 또한 한 가지 일을 지정하여 말한 곳이 있으니, 예를 들면 ‘제후(諸侯)를 세움이 이롭다’는 것과 ‘제사(祭祀)에 씀이 이롭다’는 유(類)와 같은 것이고, 그 나머지는 모두 한 가지 일을 지정하여 말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역(易)의 쓰임이 포함하지 않는 바가 없고 두루하지 않는 바가 없음을 볼 수 있으니, 다만 사람이 어떻게 쓰느냐를 볼 뿐이다.

부자(夫子)에 이르러서는 비로소 순전히 이치로써 말씀하였으니, 비록 반드시 복희(伏羲)와 문왕(文王)의 본의(本意)는 아니나 일에 나아가 이치를 말한 것은 또한 이와 같다. 다만 부자(夫子)의 말씀을 문왕(文王)의 말씀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 天地之間에 別有甚事리오 只是陰與陽兩箇字니 看是甚 物事 都離不得이라 只就身上體看컨대 才( )開眼하면 不是陰이면 便是陽이니 密 在這裏하여 都不著得別物事라 不是仁이면 便是義요 不是剛이면 便是柔며 只自家要做向前이면 便是陽이요 才收退면 便是陰이며 意思才動이면 便是陽이요 才靜이면 便是陰이니 未消別看이요 只是一動一靜이 便是陰陽이라 伏羲只因此 卦하여 以示人하시니 若只就一陰一陽이면 又不足以該衆理일새 於是에 錯綜爲六十四卦, 三百八十四爻하니 初只是許多卦爻러니 後來聖人이 又繫許多辭在下라 如他書는 則元有這事라야 方說出這箇道理로되 易則未曾有此事하고 先假託都說在這裏하니라 又曰 陰陽은 是氣니 才有此理하면 便有此氣하고 才有此氣하면 便有此理라 天下萬事萬物이 何者不出於此理며 何者不出於陰陽이리오


천지(天地)의 사이에 별도로 무슨 일이 있겠는가. 다만 음(陰)과 양(陽) 두 글자가 있을 뿐이니, 보건대 어떤 물건이든 모두 여기에서 떠날 수가 없다. 다만 자신의 몸에 나아가 체념(體念)해 보건대 잠시 눈을 뜨면 음(陰)이 아니면 곧 양(陽)이니, 빽빽이 이 속에 붙어 있어 다른 사물은 모두 붙어 있을 수가 없다. 인(仁)이 아니면 곧 의(義)이고 강(剛)이 아니면 곧 유(柔)이며, 다만 자신이 앞으로 향하고자 하면 곧 양(陽)이고 잠시 거두어 물러가면 음(陰)이며, 의사(意思)가 잠시 동(動)하면 곧 양(陽)이고 잠시 정(靜)하면 곧 음(陰)이니, 별도로 볼 것이 없고 다만 한 번 동하고 한 번 정함이 곧 음양(陰陽)일 뿐이다.

복희(伏羲)는 다만 이것을 인하여 괘(卦)를 그어 사람들에게 보여주셨으니, 만약 다만 한 음(陰)과 한 양(陽)에 나아가면 또 여러 이치를 포괄할 수 없으므로 이에 착종(錯綜)하여 64괘(卦)와 384효(爻)를 만들었으니, 처음에는 다만 허다한 괘(卦)와 효(爻) 뿐이었는데, 뒤에 성인(聖人)이 또 허다한 말씀을 그 아래에 붙인 것이다. 다른 책으로 말하면 원래 이러한 일이 있어야 비로소 이러한 도리를 말하였는데, 역(易)은 일찍이 이러한 일이 있지 않았으나 먼저 가탁하여 모두 그 안에 설명해 놓았다.”

또 말씀하였다.

“음양(陰陽)은 기(氣)이니, 잠시 이 이(理)가 있으면 곧 이 기(氣)가 있으며 잠시 이 기(氣)가 있으면 곧 이 이(理)가 있다. 천하(天下)의 만사(萬事) 만물(萬物)이 어느 것인들 이(理)에서 나오지 않았으며 어느 것인들 음양(陰陽)에서 나오지 않았겠는가.”


○ 易은 只是陰陽錯綜하여 交換代易이라 莊生曰 易以道陰陽이라하니 不爲无見이니 如奇偶剛柔는 便只是陰陽做了易이니라


역(易)은 다만 음양(陰陽)이 착종(錯綜)하여 교환하고 대역(代易)하였다. 장생(莊生)이 말하기를 “역(易)으로써 음양(陰陽)을 말하였다.” 하였으니, 소견이 없는 것이 아니다. 기우(奇偶)와 강유(剛柔) 같은 것은 곧 다만 음양(陰陽)이 역(易)을 만든 것이다.


○ 易은 是陰陽屈伸하여 隨時變易이라 大抵古今에 有大闔闢,小闔闢이어늘 今人은 說易에 都無着摸라 聖人이 便於六十四卦에 只以陰陽奇偶로 寫出來하시니 至於所以爲陰陽, 爲古今하여는 乃是此道理니라


역(易)은 음양(陰陽)이 굴신(屈伸)하여 때에 따라 변역(變易)하는 것이다. 대체로 고금(古今)에는 큰 여닫힘과 작은 여닫힘이 있는데, 지금 사람들은 역(易)을 말할 때에 모두 종잡을 수가 없으므로 성인(聖人)이 곧 64괘(卦)에서 다만 음양(陰陽)의 기우(奇偶)만 가지고 써내셨으니, 음양(陰陽)이 되고 고금(古今)이 된 까닭에 이르러는 이것이 바로 도리이다.


○ 龜山이 過黃亭詹季魯家러니 季魯問易한대 龜山이 取一張紙하여 箇圈子하여 用墨塗其半하고 云這便是易이라하니 此說이 極好라 易은 只是一陰一陽이 做出許多般樣이니라


구산(龜山)이 황정(黃亭) 첨계로(詹季魯)의 집을 방문하였는데, 계로(季魯)가 역(易)을 묻자, 구산(龜山)이 한 장의 종이를 취하여 동그라미를 그린 다음 먹으로 그 반을 칠하고 말씀하기를 “이것이 곧 역(易)이다.” 하였으니, 이 말씀이 매우 좋다. 역(易)은 다만 한 음(陰)과 한 양(陽)이 허다한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 潔靜精微之謂易이니 自是不惹着事요 只懸空說一樣道理하니 不比似他書의 各着事上說이라 所以後來道家取之하여 與老子爲類하니 便是老子說話도 也不就事上說이니라 又曰 潔靜精微는 是不犯手니라


깨끗하고 고요하고 정미한 것을 역(易)이라 이르니, 이는 어떤 일에 고착되어 있지 않고 다만 한 가지의 도리를 가공(架空)하여 말하였으니, 다른 책에서 각각 어떤 일에 고착하여 설명한 것과는 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뒤에 도가(道家)가 취하여 《노자(老子)》와 같은 부류로 만들었으니, 《노자(老子)》의 말도 일 위에 나아가 말하지 않았다.

또 말씀하기를 “깨끗하고 고요하고 정미하다는 것은 손을 대지 않은 것이다.” 하였다.


○ 問卦下之辭爲彖辭어늘 左傳以爲繇辭는 何也오 曰 此只是彖辭라 故로 孔子曰 知(智)者觀其彖辭면 則思過半矣라하시니라 如元亨利貞은 乃文王所繫卦下之辭니 以斷一卦之吉凶이라 此名彖辭니 彖은 斷也니 陸氏音中語所謂彖之經也요 大哉乾元以下는 孔子釋經之辭니 亦謂之彖이니 所謂彖之傳也라 爻下之辭에 如潛龍勿用은 乃周公所繫之辭니 以斷一爻之吉凶也며 天行健君子以自彊不息은 所謂大象之傳이요 潛龍勿用陽在下也는 所謂小象之傳이니 皆孔子所作也라 天尊地卑以下는 孔子所述繫辭之傳이니 通論一經之大體凡例니 无經可附일새 而自分上繫下繫也라 左氏所謂繇字從系하니 疑亦是言繫辭니 繫辭者는 於卦下에 繫之以辭也라


“괘(卦) 아래의 말을 단사(彖辭)라 하는데, 《좌전(左傳)》에서는 주사(繇辭)라고 한 것은 어째서입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이는 다만 단사(彖辭)이다. 그러므로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지혜로운 자가 단사(彖辭)를 보면 생각함이 반을 넘을 것이다’라고 하신 것이다. 예컨대 ‘원형이정(元亨利貞)’은 바로 문왕(文王)이 괘(卦) 아래에 다신 말씀이니, 한 괘(卦)의 길흉(吉凶)을 결단한 것이다. 이것을 단사(彖辭)라 이름하는데 단(彖)은 결단함이니, 육씨(陸氏)[육덕명(陸德明)]의 음(音)[오경음(五經音)] 가운데 이른바 단(彖)의 경(經)이라는 것이며, ‘대재건원(大哉乾元)’ 이하는 공자(孔子)가 경(經)을 해석한 말씀인데 또한 단(彖)이라 이르니, 이른바 단(彖)의 전(傳)이라는 것이다. 효(爻) 아래의 말에 ‘잠룡물용(潛龍勿用)’과 같은 것은 바로 주공(周公)이 다신 말씀이니 한 효(爻)의 길흉(吉凶)을 결단한 것이며, ‘천행건군자이자강불식(天行健君子以自彊不息)’은 이른바 대상(大象)의 전(傳)이고 ‘잠룡물용양재하야(潛龍勿用陽在下也)’는 이른바 소상(小象)의 전(傳)이니, 모두 공자(孔子)가 지으신 것이다. ‘천존지비(天尊地卑)’ 이하는 공자(孔子)가 기술한 계사(繫辭)의 전(傳)이니, 경(經) 전체의 대체(大體)와 범례(凡例)를 통론한 것인데, 경(經)에 붙일 만한 데가 없으므로 상계(上繫)·하계(下繫)[계사상전(繫辭上傳)·하전(下傳)]로 나눈 것이다. 좌씨(左氏)의 이른바 주자(繇字)는 계(系)를 따랐으니, 의심컨대 또한 계사(繫辭)를 말한 듯하니, 계사(繫辭)는 괘(卦) 아래에 말을 단 것이다.”


○ 通書云 聖人之精을 卦以示하고 聖人之縕을 因卦以發이라하니 精은 是聖人本意요 縕은 是偏傍帶來道理라 如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는 是聖人本意底요 如文言, 繫辭等孔子之言은 皆是因而發底니 不可一例作重看이니라


《통서(通書)》에 이르기를 “성인(聖人)의 정(精)을 괘(卦)를 그어 보여주고 성인(聖人)의 온축(縕蓄)을 괘(卦)로 인하여 발명하였다.” 하였으니, 정(精)은 성인(聖人)의 본의(本意)이고 온(縕)은 그에 부수(附隨)된 도리이다. 예컨대 “역(易)에 태극(太極)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兩儀)가 사상(四象)을 낳고 사상(四象)이 팔괘(八卦)를 낳았다.”는 것과 같은 것은 성인(聖人)의 본의(本意)이고, 〈문언전(文言傳)〉과 〈계사전(繫辭傳)〉 등과 같은 공자(孔子)의 말씀은 모두 인하여 발명(發明)한 것이니, 일례(一例)로 중하게 보아서는 안 된다.


○ 易之有象은 其取之有所從하고 其推之有所用하니 非苟爲寓言也라 然兩漢諸儒는 必欲究其所從하니 則旣滯泥而不通이요 王弼以來는 直欲推其所用하니 則又疎略而無據하니 二者는 皆失之一偏而不能闕其所疑之過也라 且以一端論之컨대 乾之爲馬와 坤之爲牛는 說卦에 有明文矣요 馬之爲健과 牛之爲順은 在物에 有常理矣로되 至於案文責卦하여 若屯之有馬而無乾하고 離之有牛而無坤하며 乾之六龍則或疑於震하고 坤之牝馬則當反爲乾하여는 是皆有不可曉者라 是以로 漢儒求之說卦而不得일새 則遂相與創爲互體變卦五行納甲飛伏之法하여 參互以求하여 而幸其偶合하니 其說雖詳이나 然其不可通者는 終不可通이요 其可通者도 又皆傅會穿鑿而非有自然之勢라 雖其一二之適然而無待於巧說者는 爲若可信이나 然上無所關於義理之本源하고 下無所資於人事之訓戒하니 則又何必苦心極力하여 以求於此而欲必得之哉아 故로 王弼曰 義苟應健이면 何必乾이라야 乃爲馬며 爻苟合順이면 何必坤이라야 乃爲牛리오하고 而程子亦曰 理無形也라 故假象以顯義라하시니 此其所以破先儒膠固支離之失而開後學玩辭玩占之方이 則至矣라 然觀其意하면 又似直以易之取象으로 無復有所自來하여 但如詩之比興, 孟子之譬喩而已니 如此면 則是說卦之作이 爲无所與於易이요 而近取諸身과 遠取諸物者도 亦剩語矣라 故로 疑其說이 亦若有未盡者라 因竊論之컨대 以爲易之取象이 固必有所自來하여 而其爲說이 必已具於太卜之官이러니 顧今에 不可復考하니 則姑闕之하고 而直據辭中之象하여 以求象中之意하여 使足以爲訓戒而決吉凶을 如王氏程子與吾本義之云者면 其亦可矣라 固不必深求其象之所自來나 然亦不可謂假設而遽欲忘之也니라


역(易)의 상(象)은 그 취함이 소종래(所從來)가 있고 그 미룸이 활용하는 바가 있으니, 구차하게 말을 붙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양한(兩漢)의 제유(諸儒)들은 반드시 그 소종래(所從來)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니 이미 막혀서 통하지 못하고, 왕필(王弼) 이후는 다만 그 활용하는 것만을 미루고자 하였으니 또 소략하여 근거함이 없으니, 두 가지는 모두 한 쪽에 잃어서 의심스러운 것을 빼놓지 못한 잘못이다.

우선 한 가지를 가지고 논한다면 건(乾)이 말〔馬〕이 됨과 곤(坤)이 소〔牛〕가 됨은 〈설괘전(說卦傳)〉에 분명한 글이 있고, 말의 굳셈과 소의 순함은 물건에 있어 떳떳한 이치이다. 그러나 글을 상고하고 괘(卦)를 찾아봄에 둔괘(屯卦)에는 말이 있으나 건(乾)이 없고, 이괘(離卦)에는 소가 있으나 곤(坤)이 없으며, 건괘(乾卦)의 육룡(六龍)은 혹 진괘(震卦)인가 의심스럽고, 곤괘(坤卦)의 빈마(牝馬)는 마땅히 도리어 건(乾)이 될듯 함에 이르러는 이는 모두 깨달을 수 없는 점이다.

이 때문에 한유(漢儒)들이 〈설괘전(說卦傳)〉에서 찾았으나 얻지 못하였으므로 마침내 호체(互體)·변괘(變卦)·오행(五行)·납갑(納甲)·비복(飛伏)의 법(法)을 창조하여 서로 찾아 우연히 부합하기를 바랐으니, 그 말이 비록 상세하나 통할 수 없는 것은 끝내 통할 수 없고, 통할 수 있는 것도 모두 견강부회(牽强附會)하고 천착(穿鑿)하여 자연의 형세가 아니다. 비록 한두 가지가 우연히 맞아서 공교한 말이 필요없는 것은 믿을 만할 듯하나, 위로는 의리(義理)의 본원(本源)에 관계되는 바가 없고 아래로는 인사(人事)의 훈계(訓戒)에 도움되는 바가 없으니, 또 하필 고심하고 힘을 다해서 이것을 구하여 반드시 알고자 하겠는가.

그러므로 왕필(王弼)이 말하기를 “뜻이 만일 건(健)이어야 한다면 하필 건(乾)이라야 비로소 말이 되며 효(爻)가 만일 순(順)이어야 한다면 하필 곤(坤)이라야 비로소 소가 되겠는가.” 하였고, 정자(程子)도 말씀하기를 “이치는 형체가 없으므로 상(象)을 빌어 뜻을 나타냈다.” 하셨으니, 이는 선유(先儒)들의 고루하고 지리한 잘못을 깨뜨려 후학(後學)들에게 말을 살피고 점을 보는 방법을 개도(開導)해 줌이 지극한 것이다.

그러나 그 뜻을 관찰하면 또 다만 역(易)에서 상(象)을 취한 것을 다시는 유래(由來)한 바가 없어서 다만 시(詩)의 비(比)·흥(興)과 맹자(孟子)의 비유와 같이 여길 뿐인 듯하니, 이와 같다면 〈설괘전(說卦傳)〉을 지은 것이 역(易)과 관계되는 바가 없고, ‘가까이는 몸에서 취하고 멀리는 물건에서 취했다’는 것도 또한 쓸데없는 말이 된다. 그러므로 그 말이 또한 미진함이 있는 듯하다.

인하여 적이 논하건대 역(易)에서 상(象)을 취한 것이 진실로 반드시 유래(由來)한 바가 있어 그 해설이 반드시 이미 태복(太卜)의 관원에게 갖추어져 있었는데, 다만 지금에는 다시 상고할 수 없으니, 우선 이것은 빼놓고 다만 말 가운데의 상(象)을 근거하여 상(象) 가운데의 뜻을 찾아, 훈계(訓戒)로 삼고 길흉(吉凶)을 결단하게 하기를 왕씨(王氏)와 정자(程子)와 나의 《본의(本義)》에 말한 것처럼 하면 또한 가(可)할 것이다. 진실로 굳이 그 상(象)의 유래(由來)를 깊이 찾을 것이 없으나 또한 가설(假設)했다고 생각하여 대번에 잊고자 해서도 안될 것이다.


○ 伏羲 八卦하시니 只此數 이 該盡天下萬物之理라 學者於言上會得者는 淺하고 於象上會得者는 深이어늘 王輔嗣, 伊川은 皆不信象하니 如今에 却不敢如此說이요 只可說道不及見這箇了며 且從象以下說은 免得穿鑿이라 某嘗作易象說하니 大率以簡治繁이요 不以繁御簡이로라


복희(伏羲)가 팔괘(八卦)를 그으셨으니, 다만 이 몇 획이 천하(天下) 만물(萬物)의 이치를 다 포함하였다. 배우는 자가 말에서 이해하는 것은 얕고 상(象)에서 이해하는 것은 깊은데, 왕보사(王輔嗣)[왕필(王弼)]와 이천(伊川)은 모두 상(象)을 믿지 않았으니, 지금에 감히 이처럼 말하지는 못하겠고 다만 ‘이러한 것을 미처 보지 못하였고, 또 상(象)으로부터 이하의 말씀은 천착함을 면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내 일찍이 역(易)의 상(象)에 대한 해설(解說)을 지었는데, 대체로 간략함으로써 번다함을 다스렸고 번다함으로써 간략함을 다스리지는 않았다.


○ 易之象이 似有三樣이라 有本 自有之象하니 如奇 象陽, 偶 象陰이 是也요 有實取諸物之象하니 如乾坤六子를 以天地雷風之類로 象之 是也요 有只是聖人이 以意自取那象來하여 明是義者하니 如白馬翰如, 載鬼一車之類 是也니라


역(易)의 상(象)은 세 가지가 있는 듯하다. 본획(本 )에 스스로 가지고 있는 상(象)이 있으니 기(奇)의 획은 양(陽)을 상징하고 우(偶)의 획은 음(陰)을 상징하는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며, 실제로 여러 물건의 상(象)을 취한 것이 있으니 건(乾)·곤(坤)과 육자(六子)를 천(天)·지(地)·뇌(雷)·풍(風)의 유(類)로 상징한 것과 같은 것이 이것이며, 다만 성인(聖人)이 자신의 뜻으로 상(象)을 취하여 이 뜻을 밝힌 것이 있으니 ‘백마(白馬)가 나는 듯하다’는 것과 ‘귀신을 한 수레에 가득히 실었다’는 것과 같은 유(類)가 이것이다.


○ 看易에 若是 定象去看이면 便滋味長이요 若只恁地懸空看이면 也沒甚意思니라 又曰 說易에 得其理면 則象數在其中하니 固是如此나 然 流以觀하면 却須先見象數的當下落이라야 方說得理 不走作이니 不然하여 事無實證이면 則虛理易差也리라


역(易)을 볼 때에 만약 정해진 상(象)에 의거하여 보면 곧 재미가 많아지며, 만약 다만 이렇게 공중에 매달아 놓고 보면 또한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다.

또 말씀하였다.

“역(易)을 설명할 때에 그 이치를 알면 상(象)·수(數)가 그 가운데에 들어 있으니, 진실로 이와 같이 하여야 하나 흐름을 거슬러 관찰할 경우에는 모름지기 먼저 상(象)·수(數)를 적당하게 놓음을 보아야 비로소 이치를 말한 것이 다른 데로 달려가지 않게 되니, 그렇지 아니하여 일에 실증(實證)이 없으면 헛된 이치라서 잘못되기가 쉬울 것이다.”


○ 上古之時엔 民心昧然하여 不知吉凶所在라 故로 聖人作易하여 敎之卜筮하여 吉則行之하고 凶則避之하니 此是開物成務之道라 故로 繫辭云 以通天下之志하며 以定天下之業하며 以斷天下之疑라하니 正謂此也라 初但有占而無文하여 往往如今人用火珠林起課者相似하여 但用其爻而不用其辭하니 則知古人占不待辭而後見吉凶이라 至孔子하여는 又恐人不知其所以然이라 故로 又復逐爻解之하사 謂此爻所以吉者는 謂以中正也요 此爻所以凶者는 謂不當位也를 明言之하여 使人易曉爾라 至如文言之類하여는 却又就上面發明道理하시니 非是聖人本意니 知此라야 方可學易이니라


상고(上古)시대에는 민심(民心)이 어두워서 길흉(吉凶)의 소재를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이 역(易)을 만들어 복서(卜筮)를 가르쳐서 길하면 행하고 흉하면 피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물건을 열어주고 일을 이루는 도(道)이다. 그러므로 〈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천하의 뜻을 통하고 천하의 업(業)을 정하고 천하의 의심을 결단한다.” 하였으니,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

처음에는 다만 점(占)만 있고 글이 없어서 왕왕 지금 사람들이 화주림(火珠林)을 가지고 점을 치는 것과 서로 유사해서 다만 그 효(爻)만 쓰고 그 말은 쓰지 않았으니, 옛 사람들은 점을 칠 때에 굳이 말을 기다린 뒤에 길흉(吉凶)을 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공자(孔子)에 이르러서는 또 사람들이 그 소이연(所以然)을 모를까 두려워하였다. 그러므로 또 다시 효(爻)마다 해석하여 이 효(爻)가 길한 까닭은 중정(中正)하기 때문이요, 이 효(爻)가 흉한 까닭은 자리가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명히 말씀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깨닫기 쉽게 한 것이다. 〈문언전(文言傳)〉과 같은 유(類)에 이르러서는 또 그 상면(上面)에 나아가 도리를 발명하였으니, 이것은 성인(聖人)의 본의(本意)가 아니다. 이것을 알아야 비로소 역(易)을 배울 수 있다.


○ 聖人一部易은 皆是假借虛設之辭니 蓋緣天下之理 若正說出이면 便只作一件用일새라 唯以象言하면 則當卜筮之時에 看是甚事都來應得이니라


성인(聖人)의 한 부(部)의 역(易)은 모두 빌어서 가설(假設)한 말씀이니, 천하의 이치를 만약 바로 말하면 곧 다만 한 가지 쓰임만 되기 때문이다. 오직 상(象)으로 말하면 복서(卜筮)할 때에 무슨 일이든 모두 응용할 수 있음을 볼 것이다.


○ 上古之易은 方是利用厚生이러니 周易에 始有正德意라 如利貞은 是敎人利於貞正이요 貞吉은 是敎人貞正則吉이며 至孔子하여는 則說得道理又多하시니라


상고(上古)의 역(易)은 이용후생(利用厚生)이었는데 《주역(周易)》에 비로소 정덕(正德)의 뜻이 있게 되었다. 예컨대 ‘이정(利貞)’은 사람들에게 정정(貞正)함이 이로움을 가르친 것이고 ‘정길(貞吉)’은 사람들에게 정정(貞正)하면 길함을 가르친 것이며, 공자(孔子)에 이르러서는 도리를 설명한 것이 더욱 많으시다.


○ 易은 只是設箇卦象하여 以明吉凶而已요 更無他說이니라 又曰 易은 是箇有道理底卦影이니 易以卜筮作이나 許多理 便也在裏하니라


역(易)은 다만 괘(卦)와 상(象)을 만들어 길흉(吉凶)을 밝혔을 뿐이요, 다시 다른 이론이 없다.

또 말씀하였다.

“역(易)은 도리가 있는 괘영(卦影)이니, 역(易)은 복서(卜筮)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나 허다한 도리가 곧 또한 이 가운데에 들어있다.”


○ 易은 本卜筮之書라 後人은 以爲止於卜筮러니 至王弼하여 用老莊解하여 後人은 便只以爲理而不以爲卜筮라하니 亦非라 想當初伏羲 卦之時에 偶見得一是陽, 二是陰하여 從而 放하시니 那裏엔 只是陽爲吉, 陰爲凶이요 无文字러니 後에 文王이 見其不可曉故로 爲之作彖辭하시고 或占得爻處에 不可曉故로 周公이 爲之作爻辭하시고 又不可曉故로 孔子爲之作十翼하시니 皆解當初之意라 今人은 不看卦爻하고 而看繫辭하니 是猶不看刑統而看刑統之序例也니 安能曉리오 今人이 須以卜筮之書看之라야 方得이니 不然이면 不可看易이니라


역(易)은 본래 복서(卜筮)하는 책이므로 후인(後人)들은 다만 복서(卜筮)하기 위한 것이라 여겼었는데, 왕필(王弼)에 이르러 노(老)·장(莊)을 가지고 해석하여 후인(後人)들은 곧 다만 도리(道理)를 위한 것이요 복서(卜筮)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하니, 또한 잘못이다.

생각컨대 당초에 복희(伏羲)가 괘(卦)를 그을 때에 우연히 일(一)이 양(陽)이고 이(二)가 음(陰)임을 보고서 따라 그렸으니, 이 속에는 다만 양(陽)은 길함이 되고 음(陰)은 흉함이 될 뿐이요 문자(文字)가 없었다. 그러다가 뒤에 문왕(文王)이 이해할 수 없음을 보셨기 때문에 이를 위해 단사(彖辭)를 지으셨고, 혹 점을 쳐서 효(爻)를 얻은 곳에 이해할 수 없으므로 주공(周公)이 이를 위해 효사(爻辭)를 지으셨으며, 그래도 이해할 수 없으므로 공자(孔子)가 이를 위해 십익(十翼)을 지으셨으니, 모두 당초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지금 사람들은 괘(卦)와 효(爻)를 보지 않고 계사(繫辭)만을 보니, 이는 마치 《형통(刑統)》을 보지 않고 《형통(刑統)》의 서문(序文)과 범례(凡例)만을 보는 격이니, 어찌 깨달을 수 있겠는가. 지금 사람들은 모름지기 복서(卜筮)하는 책으로 보아야 비로소 알 수 있을 것이니, 그렇지 않으면 역(易)을 볼 수 없을 것이다.


○ 易은 只是爲卜筮而作이라 故로 周禮에 分明言太卜掌三易하니 連山, 歸藏, 周易이라 古人은 於卜筮之官에 立之凡數人이요 秦은 去古未遠이라 故로 周易亦以卜筮라하여 得不焚이어늘 今人은 才說易是卜筮之書라하면 便以爲辱累了易하며 見夫子說許多道理하고 便以爲易只是說道理라하니 殊不知其言吉凶悔吝이 皆有理하여 而其敎人之意 无不在也라 而今所以難理會는 時蓋緣亡了那卜筮之法이니 如太卜掌三易之法連山, 歸藏, 周易하여 便是別有理會周易之法이어늘 而今에 却只有上下經兩篇하여 皆不見許多法了하니 所以難理會라 今人은 却道聖人言理에 而其中因有卜筮之說이라하니 他說理後에 說從那卜筮上來做


역(易)은 다만 복서(卜筮)하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주례(周禮)》에 분명히 “태복(太卜)이 세 역(易)을 관장하였으니, 연산(連山)·귀장(歸藏)·주역(周易)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옛사람은 복서(卜筮)하는 관원을 세울 적에 모두 여러 명이었고, 진(秦)나라는 옛날과 거리가 멀지 않았던 까닭에 《주역(周易)》 또한 복서(卜筮)하는 책이라 하여 불태우지 않았었다. 그런데 지금 사람들은 조금이라도 역(易)이 복서(卜筮)하는 책이라고 말하면 곧 역(易)을 욕되게 하고 누를 끼치는 것이라고 말하며, 부자(夫子)께서 허다한 도리를 말씀한 것을 보고는 곧 이르기를 “역(易)은 다만 도리를 말한 것이다.”라고 하니, 역(易)에서 길흉(吉凶)과 회린(悔吝)을 말한 것이 모두 이치가 있어서 사람을 가르친 뜻이 들어 있지 않음이 없음을 전혀 알지 못하는 것이다. 지금에 이해하기 어려운 까닭은 복서(卜筮)하는 법이 없어졌기 때문이니, 예컨대 태복(太卜)이 삼역(三易)의 법(法)인 연산(連山)·귀장(歸藏)·주역(周易)을 관장한 것과 같아서 별도로 《주역(周易)》을 이해하는 법이 있었는데 지금은 다만 상경(上經)·하경(下經) 두 편만 있어 허다한 법식을 모두 볼 수 없으니, 이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다. 지금 사람들은 “성인(聖人)이 도리(道理)를 말할 적에 이로 인하여 그 가운데에 복서(卜筮)하는 말이 있게 되었다.”라고 말하니, 이는 성인(聖人)이 도리를 말한 뒤에 설명이 복서상(卜筮上)으로부터 만들어졌다는 말인가.


○ 易은 只是與人卜筮하여 以決疑惑이니 若道理當爲면 固是便爲요 若道理不當爲면 自是不可做니 何用更占이리오 却是有一樣事 或吉或凶或兩岐道理하여 處置不得일새 所以用占이니라


역(易)은 다만 사람에게 복서(卜筮)하는 법을 가르쳐 주어 의혹을 결단하게 한 것이니, 만약 도리(道理)에 마땅히 해야 할 일이면 진실로 곧 해야 하고, 만약 도리(道理)에 마땅히 하지 말아야 할 일이면 자연히 하지 말아야 하니, 이와 같다면 어찌 다시 점칠 것이 있겠는가. 이는 한 가지 일이 혹 길하기도 하고 혹 흉하기도 하며 혹 두 갈래 도리(道理)여서 처치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점(占)을 사용하는 것이다.


○ 今學者諱言易本爲卜筮作하여 須要說做爲義理作하니 若果爲義理作時엔 何不直述一件文字 如中庸大學之書하여 言義理以曉人하고 須得 八卦則甚고


지금 배우는 자들은 역(易)이 본래 복서(卜筮)하기 위하여 지은 것이라고 말하기를 꺼려서 모름지기 의리(義理)를 위하여 지은 것이라고 말하고자 하니, 만약 과연 의리(義理)를 위하여 지었다고 할 경우에는 어찌하여 한 건(件)의 문자(文字)로 《중용(中庸)》과 《대학(大學)》 책과 같은 것을 곧바로 기술해서 의리(義理)를 말하여 사람을 깨우치지 않고, 모름지기 팔괘(八卦)를 그어놓은 것은 무엇 때문인가.


○ 陽爻多吉하고 陰爻多凶하나 又看他所處之地位如何라 易中엔 大槪陽吉而陰凶이로되 間亦有陽凶而陰吉者는 何故오 蓋有當爲, 有不當爲하니 若當爲而不爲하고 不當爲而爲之하면 雖陽이나 亦凶이니라


양효(陽爻)는 길함이 많고 음효(陰爻)는 흉함이 많으나 또 그 처한 바의 자리가 어떠한가를 보아야 한다. 역(易) 가운데에는 대체로 양(陽)이 길하고 음(陰)이 흉하나, 중간에는 또한 양(陽)이 흉하고 음(陰)이 길한 경우가 있음은 무슨 까닭인가? 마땅히 해야 할 것이 있고 마땅히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기 때문이니, 만약 마땅히 해야 하는데 하지 않고 마땅히 하지 말아야 하는데 한다면 비록 양(陽)이라도 흉하다.


○ 易中엔 却是貞吉이요 不曾有不貞吉이며 都是利貞이요 不曾說利不貞이라 如占得乾卦하면 固是大亨이나 下則云利貞이라하니 蓋正則利요 不正則不利니 至理之權輿와 聖人之至敎가 寓其間矣라 大率是爲君子設이요 非小人盜賊所得竊取而用이라 橫渠云 易爲君子謀요 不爲小人謀라하시니 極好니라


역(易) 가운데에는 ‘정(貞)하면 길하다’고 하였고 일찍이 ‘정(貞)하지 않으면 길하다’고 한 것은 없으며, 모두 ‘정(貞)함이 이롭다’ 하였고 일찍이 ‘정(貞)하지 않은 것이 이롭다’고 말한 것은 없다. 예를 들면 점을 쳐서 건괘(乾卦)를 얻으면 진실로 크게 형통하나 아래에 ‘정(貞)함이 이롭다’고 말하였으니, 바르면 이롭고 바르지 않으면 이롭지 않은 것이니, 지극한 이치의 권여(權輿)[시초]와 성인(聖人)의 지극한 가르침이 이 사이에 붙어 있다.

대체로 이 역(易)은 군자(君子)를 위하여 만든 것이요 소인(小人)과 도적들이 절취해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횡거(橫渠)가 말씀하기를 “역(易)은 군자(君子)를 위하여 꾀한 것이요 소인(小人)을 위하여 꾀한 것이 아니다.” 하셨으니, 매우 좋다.


○ 易中利字는 多爲占者設이라 如利涉大川은 是利於行舟也요 利有攸往은 是利於啓行也요 利用祭祀, 利用享祀는 是卜祭吉이요 田獲三狐, 田獲三品은 是卜田吉이요 公用享于天子는 是卜朝覲吉이요 利建侯는 是卜立君吉이요 利用爲依遷國은 是卜遷國吉이요 利用侵伐은 是卜侵伐吉之類라


역(易) 가운데의 이자(利字)는 점치는 자를 위하여 베푼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이섭대천(利涉大川)’은 배를 운행함에 이로운 것이고, ‘이유유왕(利有攸往)’은 계행(啓行)[길을 떠남]에 이로운 것이고, ‘이용제사(利用祭祀)’와 ‘이용향사(利用享祀)’는 제사를 점침에 길한 것이고, ‘전획삼호(田獲三狐)’와 ‘전획삼품(田獲三品)’은 사냥을 점침에 길한 것이고, ‘공용향우천자(公用享于天子)’는 조근(朝覲)을 점침에 길한 것이고, ‘이건후(利建侯)’는 군주를 세움을 점침에 길한 것이고, ‘이용위의천국(利用爲依遷國)’은 국도(國都)를 옮김을 점침에 길한 것이고, ‘이용침벌(利用侵伐)’은 침벌(侵伐)을 점침에 길한 것과 같은 유(類)이다.


○ 今人讀易에 當分爲三等看이라 伏羲之易은 如未有許多彖象文言說話면 方見得易之本意 只是要作卜筮用이라 如伏羲 卦에 那裏有許多文字言語리오 只是某卦有某象하니 如乾有乾之象하고 坤有坤之象而已라 今人은 說易에 未曾明乾坤之象하고 便先說乾坤之理하니 所以說得都无情理라 及文王周公하여 分爲六十四卦하시고 添入乾元亨利貞, 坤元亨利牝馬之貞하시니 早不是伏羲之意요 已是文王周公이 自說出一般道理了라 然猶是就人占處說하시니 如占得乾卦면 則大亨而利於正耳라 及孔子繫易하사 作彖象文言하사는 則以元亨利貞으로 爲乾之四德하시니 又非文王之易矣니라


지금 사람들은 역(易)을 읽을 적에 마땅히 세 등급으로 나누어 보아야 한다. 복희(伏羲)의 역(易)은 만일 허다한 〈단전(彖傳)〉·〈상전(象傳)〉·〈문언전(文言傳)〉 등의 말이 없다면 비로소 역(易)의 본의(本意)가 다만 복서(卜筮)에 쓰고자 한 것임을 볼 것이다. 복희(伏羲)가 괘(卦)를 그을 적에 어찌 그 속에 허다한 문자(文字)와 언어(言語)가 있었겠는가. 다만 아무 괘(卦)에는 아무 상(象)이 있었을 뿐이니, 건괘(乾卦)는 건괘(乾卦)의 상(象)이 있고 곤괘(坤卦)는 곤괘(坤卦)의 상(象)이 있을 뿐임과 같다. 그런데 지금 사람들은 역(易)을 설명함에 일찍이 건(乾)·곤(坤)의 상(象)은 밝히지 않고 곧 먼저 건(乾)·곤(坤)의 이치만 말하니, 이 때문에 말하는 것이 모두 정(情)과 이치가 없는 것이다.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에 이르러 나누어 64괘(卦)를 만드시고 ‘건원형이정(乾元亨利貞)’이라는 것과 ‘곤원형이빈마지정(坤元亨利牝馬之貞)’이라는 것을 더 넣었으니, 이것은 복희(伏羲)의 뜻이 아니요, 이미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이 따로 한 가지 도리를 말씀해 낸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사람들이 점치는 곳에 나아가 말씀하였으니, 예컨대 점(占)을 쳐서 건괘(乾卦)를 얻으면 크게 형통하고 정(貞)함이 이롭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공자(孔子)께서 역(易)에 말을 다시어 〈단전(彖傳)〉·〈상전(象傳)〉·〈문언전(文言傳)〉을 지음에 이르러서는 ‘원형이정(元亨利貞)’을 건괘(乾卦)의 네 가지 덕(德)으로 삼으셨으니, 이는 또 문왕(文王)의 역(易)이 아니다.


○ 讀易之法은 竊疑卦爻之辭는 本爲卜筮者斷吉凶而具訓戒러니 至彖象文言之作하여 始因其吉凶訓戒之意하여 而推說其義理以明之라 後人은 但見孔子所說義理하고 而不復推本文王周公之本意하여 因鄙卜筮하여 以爲不足言이라하여 而其所以言者 遂遠於日用之實하여 類皆牽合委曲하여 偏主一事而言하고 无復包含該貫曲暢旁通之妙하니 若但如此면 則聖人이 當時에 自可別作一書하여 明言義理하여 以詔後世니 何用假託卦象하여 爲此艱深隱晦之辭乎아 故로 今欲凡讀一卦一爻인댄 便如占筮所得하여 虛心以求其辭義之所指하여 以爲吉凶可否之決然後에 考其象之所以然者하고 求其理之所以然者하여 推之於事하면 使上自王公으로 下至民庶히 所以修身治國에 皆有可用이라 私竊以爲如此求之라야 似得三聖之遺意로라


《주역(周易)》을 읽는 법은 저으기 의심[생각]하건대 괘(卦)와 효(爻)의 말은 본래 복서(卜筮)하는 자를 위하여 길흉(吉凶)을 결단하고 훈계(訓戒)하는 말을 갖추어 놓은 것이었는데, 〈단전(彖傳)〉·〈상전(象傳)〉·〈문언전(文言傳)〉을 지음에 이르러서는 비로소 길흉(吉凶)과 훈계(訓戒)하는 뜻을 인하여 의리(義理)를 미루어 밝힌 것인 듯하다.

후인(後人)은 다만 공자(孔子)가 말씀한 의리(義理)만 보고 다시는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의 본의(本意)를 미루지 않고는 인하여 복서(卜筮)를 비루하게 여겨 굳이 말할 것이 못된다고 한다. 그리하여 말하는 것이 마침내 일용(日用)의 실제(實際)와 거리가 멀어 대체로 모두 끌어다 맞추고 왜곡해서 편벽되이 한 가지 일만을 주장하여 말하고, 다시는 포함하여 관통하고 곡창(曲暢)하여 사방으로 통하는 묘함이 없으니, 만약 다만 이와 같다면 성인(聖人)이 당시에 스스로 따로 한 책을 지어서 의리(義理)를 분명히 말씀하여 후세를 가르쳤을 것이니, 어찌 괘상(卦象)에 가탁하여 이처럼 어렵고 심오하고 은미한 말씀을 하였겠는가.

그러므로 이제 무릇 한 괘(卦)와 한 효(爻)를 읽고자 할진댄 곧 점서(占筮)하여 얻은 것처럼 여겨서 마음을 비우고 말한 뜻이 가리키는 바를 찾아서 길흉(吉凶)과 가부(可否)를 결정한 뒤에 그 상(象)의 소이연(所以然)을 상고하고 그 이치의 소이연(所以然)을 찾아서 일에 미루어야 할 것이니, 이렇게 하면 위로는 왕공(王公)으로부터 아래로는 서민(庶民)에 이르기까지 몸을 닦고 나라를 다스림에 모두 쓸 수가 있을 것이다. 사사로이 생각하건대 이렇게 찾아야 세 성인(聖人)이 남기신 뜻을 얻을 듯하다.


○ 孔子之易은 非文王之易이요 文王之易은 非伏羲之易이며 伊川易傳은 自是程氏之易也라 故로 學者且依古易次第하여 先讀本文이면 則見本旨矣리라


공자(孔子)의 역(易)은 문왕(文王)의 역(易)이 아니고 문왕(文王)의 역(易)은 복희(伏羲)의 역(易)이 아니며, 이천(伊川)의 《역전(易傳)》은 따로 정씨(程氏)의 역(易)이다. 그러므로 배우는 자는 우선 옛 역(易)의 차례에 따라 먼저 본문(本文)을 읽으면 본지(本旨)를 보게 될 것이다.


○ 看易에 須是看他未 卦已前에 是 生模樣이니 却就這裏하여 看他許多卦爻象數 非是杜撰이요 都是合如此라 未 已前은 便是寂然不動이라 喜怒哀樂未發之中으로 只是箇至虛至靜而已러니 忽然在這至虛至靜之中하여 有箇象하여 方說出許多象數吉凶道理하니 所以禮曰潔靜精微易敎也라 蓋易之爲書 是懸空做出來라 如書는 便眞箇有這政事謀謨라야 方做出書來하고 詩는 便眞箇有這人情風俗이라야 方做出詩來로되 易은 却都无這已往底事하고 只是懸空做底라 未有爻 之先엔 在易則渾然一理요 在人則湛然一心이며 旣有爻 이면 方見得這爻是如何, 這爻又是如何라 然而皆是就這至虛至靜中하여 做出許多象數來니 此其所以靈이니라


역(易)을 볼 적에는 모름지기 저 괘(卦)를 긋기 이전에 어떤 모양이었는가를 보아야 하니, 이 속에 나아가 허다한 괘효(卦爻)와 상수(象數)가 두찬(杜撰)한 것이 아니고, 모두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함을 보아야 한다. 괘(卦)를 긋기 이전은 곧 고요하여 움직이지 않아서 희(喜)·노(怒)·애(哀)·락(樂)이 발하지 않은 중(中)으로, 다만 지극히 허(虛)하고 지극히 정(靜)할 뿐이었는데, 홀연히 이 지극히 허(虛)하고 지극히 정(靜)한 가운데에 이러한 상(象)이 있어서 비로소 허다한 상수(象數)의 길흉(吉凶)과 도리(道理)를 말하였으니, 이 때문에 《예기(禮記)》에 “깨끗하고 고요하고 정미한 것이 역(易)의 가르침이다.”라고 한 것이다.

《주역(周易)》 책은 가공(架空)하여 만들어낸 것이다. 예컨대 《서경(書經)》은 곧 참으로 정사(政事)와 모모(謀謨)가 있어야 비로소 《서경(書經)》을 지어내었고, 《시경(詩經)》은 참으로 인정(人情)과 풍속(風俗)이 있어야 비로소 《시경(詩經)》을 지어내었으나, 《주역(周易)》은 모두 이왕(已往)에 이러한 일이 없었고 다만 가공(架空)하여 만들어낸 것이다. 효(爻)의 획( )이 있기 이전에는 역(易)에 있어서는 혼연(渾然)한 한 이치이고 사람에게 있어서는 잠연(湛然)한 한 마음이며, 이미 효(爻)의 획( )이 있게 되면 비로소 이 효(爻)는 어떠한 것이고 이 효(爻)는 또 어떠한 것인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두 지극히 허(虛)하고 지극히 정(靜)한 가운데에 나아가 허다한 상수(象數)를 지어낸 것이니, 이 때문에 신령스러운 것이다.


○ 易은 須是錯綜看이니 天下事无不出於此라 善惡是非得失로 以至於屈伸消長盛衰히 看甚事都出於此라 伏羲以前엔 不知如何占考요 至伏羲하여 將陰陽兩箇하여 卦以示人하여 使人於此에 占考吉凶禍福케하시니 一 爲陽이요 二 爲陰이며 一 爲奇요 二 爲偶하여 遂爲八卦하고 又錯綜爲六十四卦하니 凡三百八十四爻라 文王이 又爲之彖辭하여 以釋其義하시니 无非陰陽消長盛衰屈伸之理니 聖人之所以學者는 學此而已니라


역(易)은 모름지기 착종(錯綜)[이리저리 종합함]하여 보아야 하니, 천하(天下)의 일이 여기에서 나오지 않은 것이 없다. 선악(善惡)·시비(是非)·득실(得失)로부터 굴신(屈伸)·소장(消長)·성쇠(盛衰)에 이르기까지 어떤 일이든 모두 여기에서 나옴을 볼 수 있다. 복희(伏羲) 이전에는 어떻게 점(占)을 쳐서 상고했는지 알 수 없고, 복희(伏羲)에 이르러서는 음(陰)·양(陽) 두 개를 가지고 괘(卦)를 그어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여기에서 점(占)을 쳐서 길흉(吉凶), 화복(禍福)을 상고하게 하였으니, 한 획이 양(陽)이 되고 두 획이 음(陰)이 되며 한 획이 기(奇)가 되고 두 획이 우(偶)가 되어 마침내 팔괘(八卦)가 되고 또 착종(錯綜)하여 64괘(卦)가 되니, 모두 384효(爻)이다. 문왕(文王)이 또 단사(彖辭)를 지어 그 뜻을 해석하셨는데, 음양(陰陽)이 소장(消長)하고 성쇠(盛衰)하고 굴신(屈伸)하는 이치가 아닌 것이 없으니, 성인(聖人)이 배우는 것은 이것을 배운 것일 뿐이다.


○ 易은 最難看하니 其爲書也 廣大悉備하여 包涵萬理하여 无所不有어니와 其實은 是古者卜筮書니 不必只說理요 象數亦可說이니 初不曾滯於一偏이라 某近看易하니 見得聖人이 本无許多勞攘이어늘 自是後世一向妄意增減하여 便要作一說하여 以强通其義일새 所以聖人經旨 愈見不明이라 且如解易엔 只是添虛字去하여 迎過意來라야 便得이어늘 今人은 解易에 乃去添他實字하여 却是借他做己意說了하며 又恐或者一說이 有以破之하여 其勢不得不支離更爲一說하여 以護吝之하여 說千說萬이나 與易全不相干이라 此書는 本是難看底物이니 不可將小巧去說이요 又不可將大話去說이니라


역(易)은 가장 보기가 어려우니, 책의 내용이 광대(廣大)하여 모두 갖추어져서 만 가지 이치를 포함하여 있지 않은 것이 없으나, 그 실제는 옛날에 복서(卜筮)하던 책이니, 반드시 다만 이치만 말한 것이 아니요, 상수(象數)도 말할 수 있는 바, 애당초 일찍이 한 쪽에 치우친 것이 아니다.

내가 근래에 역(易)을 보니, 성인(聖人)이 본래 허다하게 수고함이 없으셨는데, 후세에 한결같이 망령된 뜻으로 증감(增減)하여 곧 한 말을 지어내어 그 뜻을 억지로 통하게 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성인(聖人)의 경지(經旨)[경전의 뜻]가 더욱 밝지 못하게 됨을 보는 것이다.

또 역(易)을 해석함에는 다만 허자(虛字)를 더하여 뜻을 맞이해 와야 비로소 알 수 있는데, 지금 사람들은 역(易)을 해석할 적에 마침내 실자(實字)를 더하여 저것을 빌어 자기의 뜻으로 삼아 말하며, 또 혹자의 일설(一說)이 이것을 깨뜨릴까 두려워하여, 그 형세가 지리하게 다시 일설(一說)을 만들어 비호하고 아끼지 않을 수가 없어서 천 가지를 말하고 만 가지를 말하나 역(易)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이 책은 본래 보기 어려운 물건이니, 작은 지혜를 가지고 말해서도 안되며 또 큰 말을 가지고 말해서도 안 된다.


○ 易은 難看하니 不比他書라 易說一箇物은 非眞是一箇物이니 如說龍은 非眞龍이라 若他書則眞是實이니 孝悌는 便是孝悌요 仁은 便是仁이어니와 易中엔 多有不可曉處니라


역(易)은 보기가 어려우니, 다른 책에 견줄 수가 없다. 역(易)에 하나의 사물을 말한 것은 진실로 하나의 사물이 있는 것이 아니니, 용(龍)을 말함은 진짜 용(龍)이 아닌 것과 같다. 다른 책으로 말하면 참으로 진실한 것이어서 효제(孝悌)는 곧 효제(孝悌)이고 인(仁)은 곧 인(仁)이나, 역(易) 가운데에는 알 수 없는 부분이 많이 있다.


○ 易은 難看하니 無箇言語可形容得이라 蓋爻辭는 是說箇影象在那裏하여 无所不包니라


역(易)은 보기가 어려우니, 말로 형용할 수가 없다. 효사(爻辭)는 영상(影象)이 이 속에 있음을 말하여 포함하지 않는 바가 없다.


○ 看易엔 須著四日看一卦니 一日은 看卦辭彖象하고 兩日은 看六爻하고 一日은 統看이라야 方子細니라 又曰 和靖學易에 一日只看一爻하니 此物事成一片하여 動著便都成片하리니 如何看一爻得이리오 又曰 先就乾坤二卦上하여 看得本意了면 則後面은 皆有通路니라


역(易)을 볼 때에는 모름지기 4일에 한 괘(卦)를 보아야 하니, 하루는 괘사(卦辭)와 〈단전(彖傳)〉·〈상전(象傳)〉을 보고 이틀은 여섯 효(爻)를 보고 하루는 통합하여 보아야 비로소 자세하게 볼 수 있다.

또 말씀하였다.

“화정(和靖)[윤순(尹焞)]은 역(易)을 배울 적에 하루에 다만 한 효(爻)를 보았으니, 이는 사물이 한 쪽을 이루는 것이어서 동함에 모두 한쪽을 이룰 것이니, 어떻게 한 효(爻)만 볼 수 있겠는가.”

또 말씀하였다.

“먼저 건(乾)·곤(坤) 두 괘(卦) 위에 나아가 본의(本意)를 보면 후면은 모두 통하는 길이 있게 된다.”


○ 易은 大槪欲人恐懼修省이니 今學易엔 非必待遇事而占하여 方有所戒요 只平居玩味하여 看他所說道理가 於自家所處地位에 合是如何라 故로 云居則觀其象而玩其辭하고 動則觀其變而玩其占이라하니 孔子所謂學易은 正是平日常常學之라 想見聖人之所讀은 異乎人之所謂讀하여 想見胸中에 洞然於易之理하여 无纖毫蔽處라 故로 云可以无大過라하시니라


역(易)은 대개 사람들로 하여금 공구(恐懼)하고 수성(修省)하게 하고자 한 것이니, 지금 역(易)을 배울 때에는 반드시 일을 만나 점치기를 기다려서 비로소 경계하는 바를 두는 것이 아니요, 다만 평상시에 음미하여 저 역(易)에서 말한 도리가 자신이 처한 지위에 마땅히 어떠한가를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거(居)할 때에는 상(象)을 보고 말을 살펴보며, 동(動)할 때에는 변(變)을 보고 점(占)을 살펴본다.” 하였으니, 공자(孔子)의 이른바 역(易)을 배운다는 것은 바로 평소에 항상 배우는 것이다. 상상해 보건대 성인(聖人)이 읽는 것은 일반인의 이른바 읽는다는 것과는 달라서 가슴속에 역(易)의 이치를 통하여 털끝 만큼도 가리운 곳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큰 허물이 없을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 讀易之法은 先讀正經하여 不曉면 則將彖象繫辭來解니라 又曰 易爻辭는 如籤辭하니라


역(易)을 읽는 법은 먼저 정경(正經)[괘사(卦辭)와 효사(爻辭)를 가리킴]을 읽어서 깨닫지 못하면 〈단전(彖傳)〉·〈상전(象傳)〉·〈계사전(繫辭傳)〉 등을 가져다가 해석해야 한다.

또 말씀하였다.

“역(易)의 효사(爻辭)는 첨사(籤辭)와 같다.”


○ 問易如何讀이닛가 曰 只要虛其心하여 以求其義요 不要執己見讀이니 他書亦然이니라


“역(易)을 어떻게 읽어야 합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다만 마음을 비워 그 뜻을 찾으려 해야 할 것이요, 자기의 견해를 고집하고 읽지 말아야 하니, 다른 책을 읽을 때에도 그러하다.”


○ 問讀易에 未能浹洽은 何也오 曰 此須是此心虛明寧靜이면 自然道理流通하여 方包羅得許多義理라 蓋易은 不比詩書하니 他是說盡天下後世无窮无盡底事理하니 只一兩字 便是一箇道理라 又人須是經歷天下許多事變하고 讀易이라야 方知各有一理하여 精審端正이어늘 今旣未盡經歷하니 非是此心大段虛明寧靜이면 如何見得이리오 此不可不自勉也니라 又曰 如今에 不曾經歷得許多事過하면 都自 他道理不着이니 若便去看이라도 也卒未得他受用이니라 孔子晩而好易하시니 可見這書卒未可理會니라


“역(易)을 읽음에 푹 배어들지 못하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모름지기 이 마음이 허명(虛明)하여 편안하고 고요하면 자연 도리(道理)가 유통되어 허다한 의리(義理)를 포괄하게 된다. 역(易)은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에 비할 수가 없으니, 천하 후세의 무궁무진한 사리(事理)를 다 말하였는 바, 다만 한두 글자가 곧 하나의 도리이다. 또 사람들이 모름지기 천하의 허다한 사변(事變)을 거치고 나서 역(易)을 읽어야 비로소 각각 한 이치가 있어서 정밀하고 자세하고 단정함을 알 수 있는데, 이제 이미 허다한 일을 다 겪어보지 않았으니, 이 마음이 대단히 허명(虛明)하여 편안하고 고요한 이가 아니면 어떻게 볼 수 있겠는가. 스스로 힘쓰지 않을 수 없다.”

또 말씀하였다.

“지금에 일찍이 허다한 일을 겪어 보지 않았으면 도무지 저 도리를 접할 수가 없으니, 만약 곧 가서 보더라도 끝내 받아서 쓸 수가 없을 것이다. 공자(孔子)께서 만년에 역(易)을 좋아하였으니, 이 책은 대번에 이해할 수 없는 것임을 알 수 있다.”


○ 問易本義는 何專以卜筮爲主오 曰 且須熟讀正文이요 莫看註解하라 蓋古易은 彖象文言이 各在一處러니 至王弼하여 始合爲一하니 後世諸儒 遂不敢與移動하니 今難卒說이나 且須熟讀正文하면 久當自悟리라


“역(易)의 《본의(本義)》는 어찌 오로지 복서(卜筮)를 위주로 하였습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우선 모름지기 정문(正文)을 익숙히 읽을 것이요 주해(註解)를 보지 말라. 옛 역(易)은 〈단전(彖傳)〉·〈상전(象傳)〉·〈문언전(文言傳)〉이 각각 따로 있었는데, 왕필(王弼)에 이르러 비로소 합하여 하나로 만드니, 후세의 제유(諸儒)들이 마침내 감히 바꾸지 못하였는바, 지금 갑자기 말하기 어려우나 우선 모름지기 정문(正文)을 익숙히 읽으면 오래되면 마땅히 스스로 깨닫게 될 것이다.”


○ 問讀本義에 所釋卦辭를 若看得分明이면 則彖辭之義亦自明이니 只須略提破此是卦義, 此是卦象, 卦體, 卦變이요 不必更下注脚矣로이다 曰 某當初作此文字時에 正欲如此하니 蓋彖傳은 本是釋經之卦辭니 若看卦辭分明이면 則彖亦可見이라 但後來에 要重整頓過러니 未及이로니 不知今所解者 能如本意否로라 又曰 某作本義에 欲將文王卦辭하여 只大綱依文王卦辭略說하고 至其所以然之故하여는 却於孔子彖辭中發之로라 且如大畜利貞, 不家食吉, 利涉大川은 只是占得大畜者 爲利正, 不家食而吉, 利於涉大川이요 至於剛上而尙賢等處하여는 乃孔子發明이니 各有所主하니 爻象亦然이라 如此면 則不失文王本意요 又可見孔子之意리라 但而今에 未暇整頓耳로라


“《본의(本義)》를 읽을 적에 해석한 괘사(卦辭)를 만약 분명히 본다면 단사(彖辭)의 뜻 또한 저절로 밝아질 것이니, 모름지기 대략 이것이 괘의(卦義)이고 이것이 괘상(卦象), 이것이 괘체(卦體), 이것이 괘변(卦變)이라는 것만을 들 것이요, 굳이 다시 주각(註脚)에 내려갈 것이 없겠습니다.”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내 당초 이 문자(文字)를 지을 때에 바로 이와 같이 하고자 하였다. 〈단전(彖傳)〉은 본래 경(經)의 괘사(卦辭)를 해석한 것이니, 만약 괘사(卦辭)를 봄이 분명하다면 〈단전(彖傳)〉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후에 다시 정돈하려고 하였으나 미처 하지 못하였는데, 지금 해석한 것이 본래의 뜻과 같은지는 알지 못하겠다.”

또 말씀하였다.

“내가 《본의(本義)》를 지을 적에 문왕(文王)의 괘사(卦辭)를 가지고 다만 대강 문왕(文王)의 괘사(卦辭)에 의거하여 간략히 해설하고, 그 소이연(所以然)의 연고에 이르러서는 공자(孔子)의 〈단사(彖辭)〉 중에 발명하고자 하였다. 또 대축괘(大畜卦)의 ‘이정(利貞) 불가식길(不家食吉) 이섭대천(利涉大川)’은 다만 점(占)을 쳐서 대축괘(大畜卦)를 얻은 자는 ‘바름이 이롭고 집안에서 밥을 먹지 않으면 길(吉)하고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롭다’는 것이며, ‘강(剛)이 위에 있어 어진이를 높인다’는 등의 부분에 이르러서는 바로 공자(孔子)께서 발명하신 것이니, 각각 주장하는 바가 있는 바, 효상(爻象)도 그러하다. 이와 같이 하면 문왕(文王)의 본의(本意)를 잃지 않을 것이요, 또 공자(孔子)의 뜻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지금 미처 정돈하지 못하였을 뿐이다.”


○ 某解一部易은 只是作卜筮之書어늘 今人은 說得來太精了하여 更入粗不得이라 如某之說은 雖粗나 却入得精하여 精義皆在其中하니 若曉得某說이면 則曉得羲文之易이 本是如此요 元未有許多道理在하리니 方不失易之本意리라 今未曉得聖人作易之本意하고 便先要說道理인댄 縱饒說得好라도 只是與易元不相干이니라


내가 해석한 한 부(部)의 역(易)은 다만 복서(卜筮)하는 책으로 만든 것인데, 지금 사람들은 말을 하는 것이 너무 정미(精微)해서 다시는 소략한 데에 들어갈 수가 없다. 나의 해설과 같은 것은 비록 소략하나 정미함에 들어갈 수가 있어서 정한 뜻이 모두 이 가운데에 들어 있으니, 만약 나의 해설을 깨닫는다면 복희(伏羲)와 문왕(文王)의 역(易)이 본래 이와 같고 원래 허다한 도리가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니, 비로소 역(易)의 본의(本意)를 잃지 않을 것이다. 이제 성인(聖人)이 역(易)을 지은 본의(本意)를 깨닫지 못하고 먼저 도리를 말하려고 하면 비록 말한 것이 좋더라도 다만 역(易)과는 원래 상관이 없게 된다.


○ 某之易이 簡略者는 當時에 只是略搭記요 兼文義는 伊川及諸儒皆說了일새 某只就語脈中하여 略牽過這意思로라


나의 역(易)이 간략한 까닭은 당시에 다만 간략히 기록하였고, 게다가 글뜻은 이천(伊川)과 제유(諸儒)들이 모두 설명하였기 때문에 나는 다만 어맥(語脈) 속에 나아가 간략히 이러한 뜻을 끌어냈을 뿐이다.


○ 近得趙子欽書하니 云 語孟은 說極詳이어늘 易은 說太略이라하니 此는 譬如燭籠이 添一條骨이면 則障了一路明하니 若能盡去其障하여 使之統體光明이면 乃更好하리니 蓋著不得詳說也니라


근간에 조자흠(趙子欽)의 편지를 얻어 보니, 이르기를 “《논어(論語)》와 《맹자(孟子)》는 설명이 지극히 자세한데, 역(易)은 설명이 너무 소략하다.” 하였다. 이는 비유하건대 촛불의 채롱에 한 개의 골간(骨幹)을 더하면 한 가닥의 광명(光明)이 막히는 것과 같으니, 만약 그 막은 것을 모두 제거하여 통체(統體)[전체]가 광명(光明)하게 한다면 이에 더욱 좋을 것인 바, 상세히 말할 수가 없는 것이다.


○ 看易에 先看某本義了하고 却看程傳하여 以相參考니 如未看他易하고 先看某說이면 却也易看하리니 蓋不爲他說所汨故也니라


역(易)을 볼 때에는 먼저 나의 《본의(本義)》를 보고 그런 다음 《정전(程傳)》을 보아 서로 참고해야 한다. 만일 다른 역(易)을 보지 않고 먼저 나의 해설을 보면 도리어 보기가 쉬울 것이니, 이는 다른 말에 어지럽힘을 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역 / 역설강령(易說綱領) ①

▣ 역설강령(易說綱領) ①


程子曰 上天之載 無聲無臭하니 其體則謂之易이요 其理則謂之道요 其用則謂之神이라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으니, 그 체(體)는 역(易)이라 이르고 그 이치는 도(道)라 이르고 그 용(用)은 신(神)이라 이른다.”


○ 陰陽闔闢이 便是易이니 一闔一闢을 謂之變이니라


음(陰)·양(陽)이 닫히고 열림이 곧 역(易)이니, 한번 열리고 한번 닫힘을 변(變)이라 이른다.


○ 命之曰易이면 便有理하니 若安排定이면 則更有甚理리오 天地陰陽之變이 便如二扇磨하여 升降盈虛剛柔가 初未嘗停息하니 陽常盈하고 陰常虧라 故로 便不齊하니 譬如磨旣行이면 齒都不齊요 旣不齊면 便生出萬變이라 故로 物之不齊는 物之情也어늘 而莊周는 强要齊物이나 然而物終不齊也라 堯夫有言 泥空終是著(착)이요 齊物到頭爭이라하니라


명명하여 역(易)이라 하였으면 곧 이치가 있는 것이니, 만약 안배하여 정한다면 다시 무슨 이치가 있겠는가. 천지(天地) 음양(陰陽)의 변화는 곧 두 짝의 맷돌과 같아서 승(升)·강(降)과 영허(盈虛)와 강유(剛柔)가 애당초 일찍이 멈추거나 쉰 적이 없으니, 양(陽)은 항상 가득차고 음(陰)은 항상 부족하다. 그러므로 똑같지 않으니, 비유하면 맷돌이 이미 돌면 이〔齒〕가 모두 똑같이 맞지 않고, 이미 똑같이 맞지 않으면 곧 만 가지 변화를 내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물건이 똑같지 않음은 물건의 실정(實情)인데 장주(莊周)는 억지로 물건을 똑같게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물건은 끝내 똑같을 수가 없는 것이다. 요부(堯夫)[소강절(邵康節)]가 말씀하기를 “공(空)에 빠지면 끝내 집착하게 되고, 물건을 똑같게 하려 하면 이르는 곳마다 다투게 된다.” 하였다.


○ 易中엔 只言反復往來上下하니라


역(易) 가운데에는 다만 반복하고 오고감과 오르내림을 말하였다.


○ 作易者 自天地幽明으로 至于昆蟲草木微細히 無不合하니라


역(易)을 지은 것은 천지(天地)의 유명(幽明)으로부터 곤충과 초목의 미세한 것에 이르기까지 부합되지 않음이 없다.


○ 聖人之道는 如河圖洛書 其始는 止於 上에 便出義러니 後之人이 旣重卦하고 又繫辭하나 求之에 未必得其理니라


성인(聖人)의 도(道)는 비유하면 하도(河圖)·낙서(洛書)가 처음에는 다만 획 위에서 곧 뜻을 내었는데, 후세 사람들이 괘(卦)를 거듭하고 말을 달았으나 구함에 반드시 그 이치를 얻지 못하는 것과 같다.


○ 因見賣兎者하시고 曰 聖人이 見河圖洛書而 八卦라 然何必圖書리오 只看此兎라도 亦可作八卦하니 數便此中可起라 古聖人이 只取神物之至著者耳시니 只如樹木에도 亦可見數니라


토끼를 파는 자를 보시고는 말씀하였다.

“성인(聖人)이 하도(河圖)·낙서(洛書)를 보고 팔괘(八卦)를 그었다. 그러나 하필 하도(河圖)·낙서(洛書) 뿐이겠는가. 다만 이 토끼만 보고도 팔괘(八卦)를 만들 수 있으니, 수(數)가 곧 이 가운데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옛 성인(聖人)이 다만 지극히 드러난 신물(神物)을 취하셨을 뿐이니, 다만 수목(樹木) 같은 것에서도 수(數)를 볼 수 있다.”


○ 張 中이 問易之義 本起於數잇가 曰 謂義起於數則非也라 有理而後有象하고 有象而後有數하니 易은 因象以知數하니 得其義하면 則象數在其中矣라 必欲窮象之隱微하고 盡數之毫忽인댄 乃尋流逐末이라 術家之所尙이요 非儒者之所務也니 管輅, 郭璞之學이 是也니라 又曰 理无形也라 故로 因象以明理하고 理見乎辭矣니 則可由辭以觀象이라 故로 曰得其義하면 則象數在其中矣라하니라


장굉중(張 中)이 “역(易)의 뜻이 본래 수(數)에서 생겼습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의(義)[의의(意義)]가 수(數)에서 생겼다고 생각하면 잘못이다. 이치가 있은 뒤에 상(象)이 있고 상(象)이 있은 뒤에 수(數)가 있으니, 역(易)은 상(象)으로 인하여 수(數)를 아는 것이니, 그 의(義)를 알면 상(象)·수(數)는 그 가운데에 있는 것이다. 반드시 상(象)의 은미함을 다하고 수(數)의 세미함을 다하고자 한다면 이는 바로 말류(末流)를 찾고 지엽을 좇는 것이니, 술가(術家)에서 숭상하는 것이요 유가(儒家)에서 힘쓰는 것이 아닌 바, 관로(管輅)와 곽박(郭璞)의 학문이 이러한 것이다.”

또 말씀하였다.

“이치는 형체가 없기 때문에 상(象)으로 인하여 이치를 밝혔으며, 이치는 말에 나타나니, 말로 인하여 상(象)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의(義)을 알면 상(象)·수(數)가 그 가운데에 있다고 한 것이다.”


○ 謂堯夫曰 知易數爲知天가 知易理爲知天가하시니 堯夫云 還須知易理爲知天이라하니라


요부(堯夫)에게 말하기를 “역(易)의 수(數)를 아는 것을 하늘을 안다고 하는가? 역(易)의 이(理)를 아는 것을 하늘을 안다고 하는가?” 하니, 요부(堯夫)는 “모름지기 역(易)의 이(理)를 알아야 하늘을 안다고 한다.” 하였다.


○ 尹焞이 問 易乾坤二卦면 斯可矣니잇가 曰 聖人이 設六十四卦, 三百八十四爻로되 後世에 尙不能了하니 乾坤二卦로 豈能盡也리오 旣而(오)曰 子以爲何人分上事오 對曰 聖人分上事니이다 曰 若聖人分上事면 則乾坤二卦亦不須니 況六十四卦乎아


윤순(尹焞)이 “역(易)은 건(乾)·곤(坤) 두 괘(卦)면 됩니까?” 하고 묻자, 대답하기를 “성인(聖人)이 64괘(卦)와 384효(爻)를 만들어 놓았는데도 후세에서는 오히려 다 알지 못하니, 건(乾)·곤(坤) 두 괘(卦)로 어찌 다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이윽고 말씀하기를 “자네는 어떤 사람의 신분에 해당하는 일을 물은 것인가?” 하자, 대답하기를 “성인(聖人)의 신분에 해당하는 일입니다.”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만약 성인(聖人)의 신분에 해당하는 일이라면 건(乾)·곤(坤) 두 괘(卦)도 필요 없으니, 하물며 64괘(卦)이겠는가.”


○ 看易엔 且要知時라 凡六爻 人人有用하여 聖人은 自有聖人用하고 賢人은 自有賢人用하고 衆人은 自有衆人用하고 學者는 自有學者用하고 君有君用하고 臣有臣用하여 无所不通이니라


역(易)을 볼 때에는 우선 때를 알아야 한다. 무릇 여섯 효(爻)는 사람마다 용도가 있어서 성인(聖人)은 성인(聖人)의 용도가 있고 현인(賢人)은 현인(賢人)의 용도가 있고 중인(衆人)은 중인(衆人)의 용도가 있고 배우는 자는 배우는 자의 용도가 있고 군주는 군주의 용도가 있고 신하는 신하의 용도가 있어 통하지 않는 것이 없다.


○ 觀易에 須看時然後에 觀逐爻之才니라 一爻之間에 常包函(含)數意어늘 聖人이 常取其重者而爲之辭로되 亦有易中에 言之已多일새 取其未嘗言者하니 亦不必重事라 又有且言其時하고 不及其爻之才하니 皆臨時參考라 須先看卦라야 乃看得繫辭니라


역(易)을 볼 때에는 모름지기 때를 보아야 하고 그런 뒤에는 효(爻)마다의 재질을 보아야 한다. 한 효(爻)의 사이에는 항상 몇 가지의 뜻이 포함되어 있는데 성인(聖人)은 항상 그중에 중요한 것을 취하여 말씀하였으나, 또 《주역(周易)》 가운데에 말한 것이 이미 많으므로 일찍이 말하지 않은 것을 취한 경우가 있으니, 또한 반드시 중요한 일은 아니다. 또 우선 그 때만 말하고 효(爻)의 재질을 언급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니, 모두 때에 따라 참고하여야 한다. 모름지기 먼저 괘(卦)를 보아야 괘(卦)에 붙인 말을 알 수가 있다.


○ 大抵卦爻始立에 義旣具하니 卽聖人이 別起義以錯綜之라 如春秋時已前엔 旣已立例러니 到近後來하여는 書得全別一般事라 便書得別有意思하니 若依前例觀之하면 殊失之也니라


대저 괘(卦)·효(爻)가 처음 섬에 의(義)가 이미 갖추어져 있으니, 성인(聖人)이 별도로 의(義)를 일으켜서 착종(錯綜)[이리저리 종합함]하였다. 예를 들면 춘추시대(春秋時代) 이전에 이미 예(例)를 세워 놓았었는데, 근래에 이르러서는 글이 완전히 일반(一般)[일종(一種)]의 일과 달라져서 글을 씀에 별도의 뜻이 있으니, 만약 이전의 예(例)에 의거하여 보면 자못 뜻을 잃게 된다.


○ 凡看書에 各有門庭하니 詩, 易, 春秋는 不可逐句看이요 尙書, 論語는 可以逐句看이라 聖人用意深處 全在繫辭요 詩書는 乃格言이니라


무릇 책을 볼 때에는 각각 문정(門庭)이 있으니, 《시경(詩經)》·《역경(易經)》·《춘추(春秋)》는 글귀마다 하나하나 볼 수 없고, 《상서(尙書)》와 《논어(論語)》는 글귀마다 하나하나 볼 수 있다. 성인(聖人)이 뜻을 씀이 깊은 부분은 완전히 〈계사전(繫辭傳)〉에 있고, 《시경(詩經)》와 《서경(書經)》은 바로 격언(格言)이다.


○ 古之學者 皆有傳授하니 如聖人作經은 本欲明道나 今人이 若不先明義理하면 不可治經이니 蓋不得傳授之意云爾라 如繫辭는 本欲明易이나 若不先求卦義하면 則看繫辭不得이니라


옛날의 배우는 자들은 모두 전수(傳授)함이 있었으니, 성인(聖人)이 경(經)을 지은 것은 본래 도(道)를 밝히고자 해서이나, 지금 사람들이 만약 먼저 의리(義理)를 밝게 알지 못하면 경(經)을 다룰 수가 없으니, 전수(傳授)한 뜻을 알지 못하게 된다. 〈계사전(繫辭傳)〉은 본래 역(易)을 밝히고자 한 것이나, 만약 먼저 괘(卦)의 뜻을 찾지 않는다면 계사(繫辭)를 볼 수 없는 것과 같다.


○ 易學은 後來에 曾子, 子夏煞到上面也시니라


역학(易學)은 후래에 증자(曾子)와 자하(子夏)가 가장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


○ 由孟子하면 可以觀易이니라


맹자(孟子)를 따르면 역(易)을 볼 수 있다.


○ 今時人은 看易에 皆不識得易是何物이요 只就上穿鑿이라 若念得不熟與인댄 就上添一德이라도 亦不覺多하고 就上減一德이라도 亦不覺少하리니 譬如不識此 子하면 若減一隻脚이라도 不覺是少하고 添一隻脚이라도 亦不知是多하나니 若識則自添減不得也니라


지금 세상 사람들은 역(易)을 볼 때에 모두 역(易)이 어떠한 것인지 알지 못하고 다만 그 위에 나아가 천착(穿鑿)한다. 만약 생각함이 익숙하지 못하다면 그 위에 한 덕(德)을 더하더라도 많아짐을 깨닫지 못하고, 그 위에 한 덕(德)을 감하더라도 적어짐을 깨닫지 못할 것이니, 비유하면 이 책상子〕을 모르면 만약 한 짝의 다리를 줄이더라도 이것이 적어졌음을 깨닫지 못하고, 한 짝의 다리를 더하더라도 이것이 많아졌음을 모르는 것과 같으니, 만약 안다면 스스로 더하거나 빼지 못할 것이다.


○ 易은 須是默識心通이니 只窮文義하면 徒費力이니라


역(易)은 모름지기 묵묵히 알고 마음으로 통하여야 하니, 다만 글뜻만을 연구한다면 한갓 힘만 허비할 뿐이다.

호괘  요의 (互卦  要義)
 ( 호괘는 天.地.日.月의 體用的 一源인가?)

 

 

                                                                                                 德田   張  俸 赫


 

 

서양사람들은 중국의 언어,역사,학술,제도,풍습을 연구하는 학문을 이름하여 <싸이나러지; Sinology>라고 하여 엄연하게 한 분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중국학(중국학)을 깊숙하게 접근하게되면  학문적으로 경전(經典)과 사류(史類)와 제자서(諸子書), 그리고 문집(文集) 등으로 그 전문 분야가 갈리게 되는데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네가지를 사고(四庫)라 한다.

 

청나라 제 6대 제왕인 고종(1736 - 1795)은 연호를 건융(乾隆)이라 고치고 60여년 동안을 통치 하면서 1772년 부터 10년 동안에 문신 360여명을 동원하여 사고전서(四庫全書) 79,330권과 존목(存目) 94,034권을 칙찬하도록 하였는데 이토록  방대한 서목(書目) 중에서 역경(易經)이 맨 앞부분을 차지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비로소 역을 학술적으로 분류하였는 바 易에는 상수(象數)와 의리(義理)의 이파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고 하였다.(二派六宗說)

 

상수역(象數易)은 양한(兩漢)과 위진(魏晉)시대에 크게 발달하였고, 호괘설(互卦說) 또한 소식설(消息說) 괘기설(卦氣說) 세응비복설(世應飛伏說) 납갑설(納甲說) 승강설(升降說) 방통설(旁通說)등이 포함되어있다. 그런데 현대에 이르러 여타의 제설은 모두가 주역의 본문을 이해하고자 할 경우에 직접적으로 별 상관이 없고 오직 상점(象占)의 방술(旁術)적 차원에서 존재한다고 할 수 있으나, 호괘설(互卦說) 만은 주역의 본문을 터득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라 아니할 수 없으니 학역(學易) 하는 자가 그 요의를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一.  易經본문과 互卦

 

신문기자가 자질을 높이고 유능하려면 예리한 판단력으로 사건의 조짐이나 빌미를 알아차려야 한다. 이러한 것을 기미(幾微) 또는 낌세라 표현하며 신문기자 뿐만 아니라 어느 일에 있어서도,  자질을 높이고 유능하려면 면도날처럼 예리하게 기미를 볼 줄 알아야 한다.

 

주역의 세번째 괘는 둔괘(屯卦)로서 건곤(乾坤)의 문을 지나서 첫번째 괘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교훈적이고 의로운 이치를 표현한 글이다.

 

"사슴을 잡으려 하나 몰이꾼이 없는지라 오직 숲속에 들어감이니 군자가 기미를 보아서 그침만이 같지 못하니, (몰이꾼 없이 사슴을 잡으러) 간다면 곤란함을 격을 것이다;卽鹿無虞,惟入于林中,君子幾不如舍,往吝"

 

괘상에서 내함(內含)된 기미를 보는데는 호괘보다 더 나은 것이 없으니  둔괘의 육삼효사(六三爻辭)를 이해하려면 호괘로 보아야 그 의미가 통한다. 둔괘()의 괘상(卦象)에서 "오직 숲속에 들어감이니;惟入于林中"은 外互卦로 艮이니 艮은 산 속이요 숲속이라 할 수 있으며, 사슴을 잡으러 간다면 평평한 숲속이 아니고 산의 숲속일 것이다.

 

"기미를 보아서 그침만 같지 못하니;幾,不如舍"에서 그친다는 것은 외호괘로 나타나는 艮卦()의 괘덕이다.

 

 

屯卦를 互卦로 보는 방법
  외호괘(산)
  내호괘(지)

외호괘(外互卦) 艮은 산이고 그 괘덕(卦德)은 그침이다.

 

 

주역의 독특한 점은 괘(卦)가 먼저 그려지고 그 괘의 이치를 따라서 괘(卦) 효(爻) 단(彖) 상(象)의 말씀이 이루어진 까닭에 주역의 문장을 올바르게 터득하려면 괘상(卦象) 괘덕(卦德) 괘체(卦體) 괘명의(卦名義) 괘변(卦變)을 옳바르게 살필줄 알아야 될 것이다. 이렇듯 수뢰둔괘(水雷屯卦)의 육삼효사(六三爻辭)를 올바른 이치로 터득하는데 호괘로 보아야 되는 것은 '의리역(義理易)'과 '상수역(象數易)'의 불가분의 관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간단하게 몇 가지만 더 예를 든다면 산수몽괘(山水蒙卦)의 육오효(六五爻)의 순(順)하다는 어휘는 호괘로 보아서 외호괘의 坤의 괘덕이 순한 것이니 더 달리 순하다는 이치를 찾을 길이 없다.
풍천소축괘(風天小畜卦)의 괘사(卦辭)에서 "구름은 빽빽한데 비가오지 않으니;密雲不雨"의 이치는 외호괘인 離()괘와 내호괘인 兌()괘로 작괘하여 화택규(火澤 )괘로 보아야 '규'의 어긋나는 뜻으로 "밀운불우(密雲不雨)"가 된다 할 것이며, "내가 서쪽 들판으로부터 할세니라;自我西郊"에서 서쪽 또한 내호괘인 兌()괘의 방위를 서방태(西方兌)로 보아야 될 것이다.

 

 

小畜卦를 互卦로 작괘하면  卦가 된다.
  외호괘(火)           작괘하면 화택규괘가 된다.
  내호괘(澤)          
                  

 

수택절괘(水澤節卦)의 구이효사(九二爻辭)에 "문박 뜨락에 나가지 않으니 흉하니라;不出門庭,凶"의 점사(占辭)적인 문장도 호괘로 보아야 그 뜻이 풀린다. 외호괘인 艮()의 괘상은 '門'이고 내호괘인 震()의 괘덕(卦德)은 움직임(動)인 까닭에 문 밖 뜨락에 움직여 나와야 됨에도 나오지 않으니 그 안에서 흉하리라는 지극히 이치적인 [占辭]인 것이다.

 

 

二. 互卦로 보는 근거

 

호괘를 논술하려는 학자들은 역사적인 기록 한 가지와 계사전(繫辭傳)의 한 구절을 들추어서 설명하여 왔다. {춘추좌씨전}에는 18회에 걸쳐 역괘로써 점친 기록이 보이며 공자(B.C 551 - 479)가 출생하기 120여년 전인 B.C 671년에 진(陳)나라 여공의 아들 경중의 운명을 알아보고자 주역으로 점을 쳐본 결과 觀()괘가 否()괘로 변화하여 나타났다. 여기에서 觀卦에서는 외호괘에서 艮()괘의 山이 나오고 否卦에서도 내호괘에서 艮괘의 산이 있음을 들추어 괘를 풀이 하였는데  경중의 자손이 장차 다른 나라의 왕위에 오른다는 점이였고 그 점친 내용이 적중하여 경중의 8대손인 성자(성자)가 제나라의 정권을 잡았다는 기록(춘추좌씨전;장공 22년)이있다.

 

이러한 기록에서 많은 선유들은 호괘로 보는 방법을 인정하여 왔으나 유달리도 명말청초(明末淸初)의 두 경학자인 황종희(黃宗羲:1610 - 1695)와 고염무(顧炎武:1613 - 1682)는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황종의는 그의 저서인 역학상수론(易學象數論)의 호괘조(互卦條)에서 호괘에 관계되는 역사적인 논술과 기록을 들어가며 호괘에 대한 불신을 피력하였고, 고염무 또한 그의 저서인 일지록(日知錄)의 互卦條에서 호괘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더불어 근세의 고문자학의 대가인 고형(高亨:1900 - 1986)도 그의 논저인 [좌전국어적 주역설통해]에서 호괘설을 불신하였다.
그러나 호괘에 관한 가장 근본적인 기록은 계사하전(繫辭下傳) 9장이라고 할 수있겠다.

 

"만약 사물을 섞어놓고 덕을 갖춘 것과 덕을 갖추지 않은 것을 가려서 분별하는 것은 그 중효가 아니고서는 다른 효는 갖추어 있지 않은 것이다.:若夫雜物,德辨是與非 ,則非其中爻不備"에서 [中爻]라는 표현을 호괘(互卦)로 해설하는 것이 통설이며 주희(朱喜:1130 - 1200)도 이 부분에 대하여 주자어류(朱子語類) 권 76에서 "한유(漢儒)이래에 많이 써왔으니 가히 폐지할 수 없다."고 하였다.

 

 

三. 호괘는 天地日月의 體用的 一元인가 ?

 

64괘를 호괘로 두번 변화시키면 乾,坤,旣濟,未濟의 네가지로 줄어들고 만다.

 

1) 중천건괘(重天乾卦:)를 아무리 호괘로 보려하여도 다시 중천건괘가 되고 마는데 대성괘의 6효중에 제 3효와 제 4효가 陽爻(―)일 경우가 16괘가 있다. 이 16괘를 호괘로 두번 변화시키면 '重天乾卦'가 된다. 이러한 괘는 하늘에 근본을 두었다할 수 있는 것으로 乾,  ,  ,大過,同人,遯,革,咸,恒,大有,大壯,鼎,小過,離,豊,旅가 있다.

 

2) 중지곤괘(重地坤卦:)를 아무리 호괘로 보려하여도 다시 중지곤괘로 되고만다. 대성괘의 6효중에 제 3효와 제 4효가 음효(­­)일 경우가 16괘가 있는데 이 16괘를 호괘로 두 번 변화시키면 중지곤괘가 된다. 이 괘들은 땅에 근본을 두었다할 수 있는 것으로서 坤,復,剝,  ,師,臨,蒙,損,益,比,屯,觀,坎,中孚,渙,節의 16괘가 있다.

 

3) 대성괘의 6효중에 제 3효는 양효(―) 제 4효는 음효(­­)일 경우가 16괘가 있다. 이 16괘를 호괘로 이변(二變)시키면  수화기제괘(水火旣濟卦)가 된다. 이러한 괘들은'기제괘(旣濟卦)'에 근본을 두었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旣濟,艮,謙,  ,明夷,升,泰,蠱,大畜,蹇,家人,漸,井,小畜,需,巽의 16괘가 있다.
4) 대성괘의 6효중에 제 3효는 陰爻(­­)  제 4효는 陽爻(―)일 경우가 16괘가 있다. 이16괘를 호괘로 이변(二變) 시키면 화수미제괘(火水未濟卦)가 되고 만다. 이 16괘를 또 면밀하게 살펴보면 미제괘(未濟卦)에 근본을 두었다 할 것이나 미제괘를 다시 호괘로 보면 기제괘가 되고, 기제괘를 다시 호괘로 보면 다시 미제괘가 되니 세상만사의 이치와 같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未濟,兌,困,訟,履,否,萃,隨,无妄,解,   ,歸妹,豫,     ,震,晉의 16 괘는 제 3효가 음효이고 제 4효는 양효로서, 호괘로 이변시키면 미제괘가 되고 만다.

 

 

+----------------------------------------------------------------+
|              六 十 四 卦 의  互 卦 之 法 |
+----------------+-----------+-----------+-----------+-----------+
|   物      象 |    地 |  月.日 |   日.月 |     天    |
+----------------+-----------+-----------+-----------+-----------+
|   互      卦 |    坤 |   未濟 |   旣濟 |     乾 |
+----+-----------+-----------+-----------+-----------+-----------+
| 大 |    四 爻 | -- -- | ------ | -- -- | ------ |
| 成 +-----------+-----------+-----------+-----------+-----------+
| 卦 |    三 爻 | -- -- | -- -- | ------ | ------ |
+----+-----------+-----------+-----------+-----------+-----------+
|   四      象 |  太   陰 |  小   陽 |  小   陰 |  太   陽 |
+----------------+-----------+-----------+-----------+-----------+

 

# 대성괘의 제 3효와 제 4효의 음양형성에 따라 호괘로 이 변한 결과는 건,곤,기제,미제의 4괘로 건곤은 주역의 시작이고 기.미제는 주역의 마침이다.

 

 

이렇듯 64괘의 의미를 축소하여보면 건곤감리(乾坤坎離)의 조화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건원(乾元)은 만물이 바탕으로하여 비롯되고 곤원(坤元)은 만물이 바탕으로하여 나옴에, 하늘의 덕행은 강건하여 만물로 하여금 비로소 존재하게 하며, 땅의 덕행은 지극히 유순하여 만물로 하여금 생장하게 하는 것이다.

 

기제(旣濟)는 감리(坎離)의 사귐이 되고 미제(未濟)는 감리(坎離)의 합이 되니, 주역의 시작은 건곤(乾坤)으로 비롯되고 주역의 마침은 기(旣) 미제(未濟)로 마감되니 호괘(互卦)는 천지일월의 체(體)와 용(用)의 한 근원이 되느 것이라고 표현한들 견강부회(牽强附會)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인(人)이 천지일월을 체(體)로 그 이치를 쓰니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의 기묘한 이치(理致)가 내합되었다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四. 맺음말

 

사물을 뒤섞어서 격(格)을 갖춘 것을 찾아내며, 덕(德)을 갖추지 못한 것을 찾아내서 분변(分辨)한다는 것은 현대 과학에 응용하여야 할 중요한 지침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람의 능력에 의하여 합성된 제반 물질이 인류의 미래세계를 위한 덕을 갖춘 것인지의 여부를 가려서 분변해야할 것인즉, 호괘설의 이치를 현대과학에 응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담 밖에서 일어나는 무질서와 부도덕한 물결이 서양의 물질문명으로부터 파급되어 왔으니, 동양의 정신문명과 더불어 호괘설의 이치에 따라 새로운 질서 의식을 되찾고 새로운 도덕률(道德律)과 새로운 윤리관(倫理觀)을 도출하여야할  책임이 학역자(學易者)들의 어깨에 걸머져있다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學易綜述>

야산(也山)선사의 경주(庚呪) 36 자(字) 해설

 

 

 

주문(呪文)이란 음양가나 점술에 정통한 사람이 술법을 부리거나 귀신을 쫓을 때 외는 글귀이거나, 혹은 심령을 닦고 천지 신명이나 하느님에게 빌고 맹세할 때 외는 글이라지만 야산(也山) 이달(李達 1889 - 1958)선사의 경주(庚呪)는 이와는 차원이 좀 다르다. 천체 우주의 변화주기를  무사히 건너보자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주역의 학문이란 변화하는 내용을 예측관장 하는 학문이다. 바야흐로 천체 우주는 크나큰 변화주기에 이르러 후천세계의 이름에 즈음하여, 주역의 대가 야산  이달 선사께서 선천(先天)시대에서 후천(後天)시대로 건너가는 어려움을 예견하시고 무사히 잘 건널 수 있는 주문(呪文) 36자를 지으셔서 제자들에게 나누어주시면서 외우라고 하셨다.

 

 이 주문에는 천도(天道)와 지도(地道)와 인도(人道)의 심오한 이치를 담아 동양학술의 근간이되는 경문(經文)에 입각하여 지으신 글임으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세겨본다면, 세겨볼수록 의미심장한 글임을 알수가 있다.

 

그 제자이신 대산(大山) 김석진(金碩鎭 1928 - 현재) 옹께서는 그 의미를 잊지 않으시려고 옥돌에 경(庚)자 인(印)을 파서 항상 밤 낮 없이 몸에 지니시며 다니고 계시다. 경주(庚呪) 36자의 깊이 있는 의미를 파악해보려고 분석적으로 그 내용의 뜻을 아래와 같이 살펴본다.

 

황극경세서를 저술한 소강절 선생의 시에, 삼십육궁도시춘(三十六宮都是春-삼십육 천의 궁궐이 모두가 봄이로세)라고 하였듯이 후천의 경주(庚呪)는 36 글자로 구성되어 있어, 36년의 경금(庚金)을 상징하고 있다.

 

또한 동양의 천도(天道)를 대표하는 선(仙), 지도(地道)를 대표하는 불(佛), 인도(人道)를 대표하는유(儒)의 세가지 종교를 상징하는 삼수변 (  )과 서방 종교를 의미하는  서쪽 방위 유(酉)와 화합을 암시하는, 술(酒)에 이 경주(庚呪)의 의미가 들어있고 할 것이다. 마시고 마시면 어우러지고 화합하여 후천세계를 완성 할 수 있을 것이다.

 

 

⊙ 경주(庚呪) 36자 풀이.

 

 

太乙无上玉淸皇,-7 자.
태을무상옥청황,
큰 조화로 기르시고 더 이상 위가 없으시며 투명한 옥처럼 맑으신 하늘의 임금님이시여

 

南无觀世音菩薩,- 7 자.
나무관세음보살.
밝은 남방 세계에 거주하며 하염없이 세상 소리를 듣고 보살피는 땅의 보살 님이시여

 

乾元亨利貞水火木金土皇極敷, - 13 자.
건원형이정수화목금토황극부,
하늘의 원, 형, 이, 정과 땅의 수, 화, 목, 금, 토로 크나큰 중심 황극(皇極)의 도가 펼쳐짐이여.

 

太乙元符與諸星歷庚. - 9 자.
태을원부여제성역경.
천체의 중심부가 되는 태을의 큰 집과 모든 별들이 함께 대동하여 경(庚)의  후천(後天) 시대로  무사히 건너가네.

 

 

▶ 부가 설명.

 

太乙无上玉淸皇(태을무상옥청황)
천도(天道)를 중심근본으로 삼는 선가(仙家)의 핵심사상을 표현 한 것으로, 太乙은 삼라만상을 생성 조화하는 태극 본체를 말하고 아버지인 하늘을 태청 상청 옥청의 삼청(三淸)으로 표현한다.


 
南无觀世音菩薩(나무관세음보살)
지도(地道)를 중심근본으로 삼는 불가(佛家)의 핵심 사상을 표현한 것으로,  남무(南无)는 일오중천(日午中天)에 밝게 해가 비쳐서 조금도 사사로움과 자기주장 함이 없는 무사무위(無私無爲)를 이르고 어머니인 땅을 중생의 소리를 보살피는 관세음(觀世音)으로 일컫는다.


 
乾元亨利貞水火木金土皇極敷(건원형이정수화목금토황극부)
인도(人道)를 근본 중심으로 삼는 유가(儒家)의 핵심사상으로, 건원형리정(乾元亨利貞)은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핵심을, 수화목금토(水火木金土) 와 황극수(皇極敷)는 서경(書經) 홍범(洪範)에 나오는 핵심사상이다. 서경 홍범의 오행과 주역의 음양을 대표하는 홍역이야말로 곧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중시하는 유가의 본체 핵심을 이룬다.

 

太乙元符與諸星歷庚(태을원부여제성역경)
庚은 천간의 일곱째 순서로 후천 및 서방정토를 상징한다. 천체운행이 선천으로부터 후천으로 바뀌는, 즉 큰 물길을 건너감이 이롭다(利涉大川)는데 이름을 소원하는 주(呪)이다.

주역 경문 내용 이해의 기초용어 이해하기.

 

 

 

 

양을 끊어짐 없이 그리고 음을 중간에 끊어지게 만들어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하나의 기호라고 할 수 있고 상징이라고도 볼 수 있다.

 
 
2. 양효: 하나로 끊기지 않고 이어진 것을 말한다.
 
 
1. 끊어지지 않고 하나로 연결된 것은 하늘이 먼저 창조되었기 때문에 한 개의 선으로 표현
 
2. 하늘은 지리나 국경,바다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하나로 이어져 있고 언제나 자연 만물의 머리 위에 위치
 
 
3. 음: 중간에 한 번 끊긴 것을 말한다.
 
1. 땅은 두 번째로 창조되었으므로 두 개의 끊어진 선으로 나타낸 그림이라는 설
 
2. 두 마디로 끊어져서 표현된 것은 땅은 바다에 의해 그 모습이나 길이 끊어 지고 항상 사람의 발 밑에 존재.
 
 
4. 내괘(하괘): 아래부터 위로 올라오면서 1,2,3효라고 부른다.
 
5. 외괘(상괘): 그 위의 4,5,6효를 가리킨다.
즉,자연이나 사람,사회의 변화와 시작은 그 내부와 아래로부터 먼저 시작된다는 이치를 말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괘는 6효로 이루어 진다.
 
 
 6. 1효, 4효와 2호, 5호.
 
             1효,4효: 사람이나 사물이 놓은 처지나 상황을 말함
              2,5 효: 능력과 자질을 말하며 3,6효는 기회나 운을 나타 낸다.
 
 만약 어떤 괘를 고정된 하나의 결과나 뜻으로 보는 것은 역경의 관점이나 자세가 아니며 반드시 변한다는 원칙은 하나의 괘에 대해 동하는 효를 살피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것은 인생의 이치는 정해진 바가 없으며 아무리 사주팔자나 관상등을 정확히 논한다고 해도 100%를 파악하기는 어려우며 결국 그것은 인과응보라는 대원칙에 근거한다. 어떤 문제나 처사에 있어서 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것이 변하더라도 변하지 않는 것이며 그 이외의 자세를 버리도록 한다.
 
 

 7. 동효의 판단법

 

만약 어떤 점괘를 해서 동효가 나오거나 특정 괘의 미래를 보는 법은 한 효가 동하면 동한 효의 효사를 보며 두 효가 동할 경우에는 모두 양이거나 음이면 위쪽에 위치한 효를 보며 음양이 다른 두 효가 동하면 음효를 봅니다. 세 효가 동하면 가운데 자리 잡은 효를 보며 네 효가 동하면 변하지 않은 두 효 중에서 아래에 자리잡은 효를 보며 다섯 효가 동하면 나머지 한 효를 보며 여섯 효가 동하면 그 괘가 건이나 곤괘라면 용구(用九)나 용육(用六)의 효사를 본다. 건곤 괘 이외의 괘가 여섯 효가 동하면 팔궁괘의 괘사(단사)로서 판단한다. 가령 천지비괘의 여섯 효가 모두 동하면 건위천괘를 본다. 천지비괘의 궁은 건위천이며 건위천에서 변한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 상고 시대의 복희 시대에는 문자가 없었으므로 그림으로 이러한 세상의 모든 의미와 상징을 나타냈다. 예를 들면 건 괘는 아래와 위가 모두 양으로서 처지나 상황,능력과 자질, 기회나 운이 모두 좋은 것으로서 하늘이 이를 대표하며 또한 그 보다 더 나은 존재는 없다는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물론 양이 다하면 이제 서서히 음이 생기기 시작하므로 그 자리나 그 능력이라면 이제 조금씩 물러날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처럼 역경은 세상 어느 것도 언제까지나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는 것을 말하고 있고, 아울러 세상의 돌아간는 이치는 쉽다는 표현도 담고 있고.(만물의 구성과 운동을 2개의 개념 즉 음양으로 설명하는 것은 복잡한 것을 간소화하는 것이고 그 만물이 이루어내는 복잡하기 그지없는 세상의 변화를 8괘와 64괘로써 설명하고 있기에 쉽다고 볼 수 있다.) 변하지 않는 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역(易)은 불역(不易) 즉 불변의 의미다. 주역은 불변의 법칙이라는 뜻이다. 모든 변화의 내면을 일관하고 있는 불변의 진리라는 뜻이다.   복잡다단한 변화발전의 과정을 법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주역은 제시한다는 것이어서 불역(不易)이란 의미는 두 번째의 의미인 변역(變易)과 첫 번째의 의미인 간역(簡易)의 결론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한 변화를 간단한 개념으로 법칙화한 것이란 뜻이다)
 
8. 소성괘(小成卦) : 3효로 이루어진 괘를 말하며 천, 지, 인을 뜻한다.
 
9. 대성괘(大成卦) : 6효로 이루어진 괘를 말하며 , 복희의 3효로써 만물을 나타내기 어려운 상황과 시대가 도래했으므로 문왕이 3효를 더하여 만들었으며 천, 지, 인에 음양 두 요소를 곱한 것이다.
 
10. 괘상(卦象) : 괘의 그려진 그림이다.
 
11. 괘명(卦名) : 괘의 고유한 이름을 말한다.
 
12. 괘사(卦辭) : 문왕이 64괘를 배열하고 각 괘명을 지은 후 그 괘의 변화와 운동 법칙을 적은 글이다. 단사(彖辭)라고도 한다. 사(辭)라는 것은 각기 도달한 경지를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현상이 생길 때마다 판단 하는 것을 말한다.
 
 
13. 효사(爻辭) : 문왕의 아들 주공이 64괘와 그 괘사 만으로는 부족함을 느끼고 한 괘를 이루는 6효에 이름을 정하고 초효가 양이면 初九, 음이면 初六라고 한다. . 따라서, 1, 3, 5효는 홀수자리이니 양효로서 초구, 구이, 구삼, 구사, 구오, 상구 라고 부르며 2, 4, 6은 음수 자리이니 음효이므로 초육, 육이, 육삼, 육사, 육오, 상육 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64괘 384효에 붙인 내용을 말한다. "효란 서로 연관되어 교류하고 영향을 주고 받는 다는 뜻이다."(양의 수 중 가장 큰 것은 九이며 음의 수 중 가장 큰 것은 六이므로 음양을 구분하고자 하는 것이다.)
 
14. 중효(中爻) : 하나의 괘에서 2효와 5효를 때와 시기를 판단하는 근거로 삼아 중효라 한다.
 
15. 정위(正位) : 하나의 괘에서 1, 3, 5는 양수이며 2, 4, 6은 음수이므로 양수의 자리에 양괘가 있고 음수의 자리에 음괘가 있으면 자질과 능력이 자리를 잡았다는 뜻이지만 그렇지 못하면 부족함을 뜻한다.
 
16. 정응(正應) : 하나의 괘를 6효로 구성되었다고 볼 때 1, 4효는 자신의 처지와 현실을 말하며 2, 5효는 능력과 자질이며 3, 6효는 하늘의 뜻과 도움을 뜻한다. 따라서 각각의 효는 음양의 상생 관계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것을 정응이라고 하며 만일 음과 음, 양과 양의 만남은 화합하지 못하므로 불응이라 한다.
 
 
문왕,주공 그리고 공자가 역경을 연구한 10가지 종류의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익(翼)이라는 것은 날개라는 뜻으로 역경을 이해하고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만들어진 글이라는 의미다.역경문답에서 밝힌 것처럼 역경이란 원래 3효로 구성된 그림의 도안서 였지만 이를 후대에 주周나라의 문왕이 6효괘로서 그 차원을 넓히고 문왕의 아들 주공이 괘사(단사)와 효사를 달았다. 물론 괘사와 효사를 각각 문왕,주공이 완성했다는 설도 있다. 그 후 다시 공자가 우주의 이치와 변화,사람의 처세와 철학등으로 파악하고 글로 설명하고 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주역이나 역경을 이야기할 때에는 이 괘 그림과 그에 관한 10가지 종류의 글을 포함하는 것이다.주역은 단 한 권으로서 천고의 가치를 지니므로 경(經)이라고 표현하여 역경(易經)이라고 하며 경(經)에 대한 존경과 헌사의 뜻으로 연구한 10익을 경(經)보다 낮은 전(傳)이라는 겸손의 말로 나타낸 것이다.
 
 
 
착(錯)괘: 어떤 괘의 음양이 뒤바뀐 것으로  어떤 일을 할 때 입장도 같고, 목표도 같지만 문제를 보는  각도와 시각이 서로 다른 것을 말한다.
 건이 태로 바뀜          
 
 종(綜)괘: 어떤 괘의 위 아래가 거꾸로 바뀐 것입니다.  이는 만사를 상대의 입장을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보라는 것을 의미한다.
      손이 태로 바뀜      
 
 
 
어떤 괘의 2,3,4효를 취하여 호괘(내괘)를 만들고 다시 그 괘의 3,4,5효를 취하여 교괘를 만들고 마지막으로 이 호괘와 교괘(외괘)를 합치 시켜서 만든 괘를 교호괘라고 합니다.
 
<보기>
          1. 호괘(내괘)          2. 교괘(외괘)      3.  교호괘       

 

                                                                                                                                                                                                                                                   
본괘(本卦): 초년, 처음의 운을 나타낸다.
지괘(之卦): 말년, 끝의 운을 나타낸다.
호괘: 나머지 중간과정을 나타낸다.
 
1. 착괘의 의미: 자신이 바라보는 시각을 달리해야  한다.
 
2. 종괘의 의미: 입장과 처지를 객관적으로 보아야 한다.
 
3. 교호괘의 의미: 사방팔방을 살펴야 한다.

 

❏ 周易 64卦와 四德의 관계


주역 64卦에는 四德이 다 들어 있는 卦가 있는가 하면, 반대로 전혀 들어 있지 않은 卦도 있다. 참고로 四德 중 어느 한 개라도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64卦를 조사하여 표로 그려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조사 대상은 卦辭만으로 한다.


四德이 다 들어 있는 卦는 大自然의 순서에 따라 正道로서 운행되는 원리론을 말한 것이며, 이에 반해 四德이 전혀 들어 있지 않은 卦는 大自然에 구애를 받아야 하는 人事的인 絶對性이 그 속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인간의 필요성에 따라서 임의대로 개척할 수가 있다는 뜻이며, 노력하여 가진다면 누구라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어떤 絶對的 理致가 없는 人間事라면 四德의 윤리에서 유리되어 설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시 부연하자면, 元亨利貞은 大自然의 完全無缺한 理致이며, 절대로 임의대로 되지 아니한다.


1) 元亨利貞의 四德이 다 들어 있는 괘들을 살펴보자.

 

  • 하니라. (重天乾 1)

  • 牝馬之貞이니 君子 有攸往이니라. 先하면하고하면

      하리니 主利하니라. 西南 得朋이오 東北 喪朋 安貞하야하니라.(重地坤 2)

  • 元亨 利貞하니 勿用有攸往이오 利建侯하니라 (水雷屯 3)

  • 隨 元亨하니 利貞이라 无咎리라(澤雷隨 17)

  • 臨 元亨 利貞하니 至于八月하얀 有凶하리라 (地澤臨 19)

  • 无妄 元亨하고 利貞하니 其匪正이면 有眚하릴새 有不利有攸往하니라 (天雷无妄 25)

  • 革 已日이라아 乃孚하리니 元亨 利貞하야 하니라 (澤火革 49)


   64卦를 통틀어 四德卦가 들어 있는 卦는 총 7卦이다. 이 가운데 乾坤卦를 제외하면 5卦가 되고, 上經에 6卦, 下經에 1卦가 있는 셈이다. 여기서 7이란 양을 뜻하고 上下經 중 生生의 원리는 上經을 뜻하므로, 四德卦가 대개 상경에 잇는 것이다. 四德卦가 上經에 집중한 것은 틀림이 없는 大自然의 운행 과정처럼 周易의 이치가 어김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2) 四德이 들어 있지 않은 卦들을 살펴보자.

 

   • 觀 盥而不薦(관이불천)이면 有孚하야 顒若(옹약)하리라 (風地觀 20)

   • 晉 康侯 用錫馬蕃庶(용석마번서)하고 晝日三接(주일삼접)이로다 (火地晋 35)

   • 睽 小事하리라 (火澤睽 38)

   • 姤 女壯이니 勿用取女ㅣ니라 (火澤睽 38)

   • 改邑호대 不改井이니 无喪无得하며 往來井井하나니(흘)亦未繘(율)

     羸其甁(리기병)이면하니라 (水風井 48)

   • 艮其背 不獲其身하며 行其庭하야도 不見其人하야 无咎ㅣ리라 (重山艮 52)


64卦를 통틀어 四德卦가 들어 있지 않는 卦는 총 6개이다. 이 가운데 上經에 1개 下經에 5개이다. 6이란 음을 뜻하고, 이 卦들은 人事的 理致를 담고 있으며, 后天的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제천시청 청풍선비대학 / 아산주역강의 교재에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