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의 기본 원리

주역은 음(陰)과 양(陽)으로 이루어졌다. 태초에 우주가 생기면서 태극(太極)이 생기고, 이 태극이 둘로 갈라져서 하나는 음이 되고 하나는 양이 되었다. 이 음과 양은 또다시 사상(四象)으로 나뉘는데, 양은 노양(老陽)과 소양(少陽)으로, 음은 노음(老陰)과 소음(少陰)으로 나뉜다. 이 사상은 다시 팔괘(八卦)로 나뉘는데, 팔괘는 건(乾 ), 태(兌 ), 이(離 ), 진(震 ), 손(巽 ), 감(坎 ), 간(艮 ), 곤(坤 )이니, 이것을 소성괘(小成卦)라 한다. 이 소성괘를 다시 조합하여 64괘를 만든다. 이를 도표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십익(十翼)

주역은 경문(經文)과 경문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십익이 있는데, 십익은 십전(十傳)이라고도 하며, 단전 상(彖傳上), 단전 하, 상전 상(象傳上), 상전 하, 계사전 상(繫辭傳上), 계사전 하, 문언전(文言傳), 설괘전(說卦傳), 서괘전(序卦傳), 잡괘전(雜卦傳)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전(彖傳) : 경문의 괘사(卦辭)를 판단(判斷)하고 단정(斷定)한다는 뜻으로, 64괘마다 단전이 붙어 있다.
상전(象傳) : 사물(事物)의 동작을 본뜬 것으로, 대상(大象)과 소상(小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괘의 괘사를 해석한 것이 대상이고, 각 괘의 효사(爻辭)를 해석한 것이 소상이다. 64괘마다 모두 상전이 붙어 있다.
계사전(繫辭傳) : 괘사와 효사를 묶어서 해석한 것이다.
문언전(文言傳) : 수식한다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지었다고 하는데 자세치 않다. 그 내용은 주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이 많고 문장은 《춘추좌전(春秋左傳)》의 말을 가져다가 조금씩 수정하였다.
설괘전(說卦傳) : 점치는 사람을 위하여 괘를 설명한 것이다.
서괘전(序卦傳) : 64괘가 배열되는 순서에 대해 의미를 붙여서 설명한 것이다.

주역의 용어

주역에는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특수한 용어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효(爻) : 음과 양을 나타낸 최소 단위의 부호를 효라고 한다. 즉 양은 ―로, 음은--로 나타낸다. 이 효가 셋이 합쳐지면 소성괘(小成卦), 즉 8괘가 성립하고, 소성괘가 둘이 합쳐지면 대성괘(大成卦), 즉 64괘가 성립된다. 효의 순서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 가장 아래 효를 초효(初爻), 두 번째 효를 이효(二爻), 세 번째 효를 삼효(三爻), 네 번째 효를 사효(四爻), 다섯 번째 효를 오효(五爻), 맨 위의 효를 상효(上爻)라 한다. 또 효의 순서에 음(陰)과 양(陽)을 붙여서 부르기도 하고, 양의 수인 구(九)와 음의 수인 육(六)을 붙여서 부르기도 한다. 이를 도표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괘(卦) : 대성괘의 경우에는 각 효의 위치에 따라서 내괘(內卦)와 외괘(外卦), 하괘(下卦)와 상괘(上卦) 등으로 명칭을 달리 부르며, 이 외에도 호괘(互卦), 반괘(反卦), 변괘(變卦), 복괘(伏卦)가 있다. 이들은 모두 괘(卦) 자 대신 체(體) 자를 붙여 하체(下體), 상체(上體), 호체(互體), 반체(反體), 복체(伏體)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를 도표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중정(中正)과 부중정(不中正) : 이효를 내괘(內卦)의 중(中)이라 하고, 오효를 외괘(外卦)의 중이라 한다. 또 양효(陽爻)가 양의 자리인 초효, 삼효, 오효의 자리에 있고, 음효(陰爻)가 음의 자리인 이효, 사효, 상효에 있으면 정(正)이라 하는데, 특히 내괘와 외괘의 중효(中爻)가 정위(正位)에 있을 적에는 이것을 중정(中正)이라 하여 길한 것으로 본다.
응(應)과 비(比) : 여섯 효 상호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하괘의 초효와 상괘의 사효, 하괘의 이효와 상괘의 오효, 하괘의 삼효와 상괘의 상효는 서로 상응(相應)하는데, 상응하는 두 효가 각각 음과 양이면 정응(正應)이라고 하고, 둘 다 음이거나 양이면 불응(不應)이라고 한다. 또 서로 이웃하고 있는 두 개의 효, 즉 초효와 이효, 이효와 삼효, 삼효와 사효, 사효와 오효, 오효와 상효가 음과 양의 관계에 있을 적에는 비(比)라고 하며, 길한 것으로 본다.



팔괘(八卦)의 뜻과 성질

주역은 소성괘인 팔괘가 합쳐져서 육십사 괘가 되는데, 육십사 괘의 뜻을 이해하려면 먼저 팔괘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여야 한다. 팔괘의 뜻과 성질은 다음과 같다.

八卦 卦象 形態 人間 事物 季節 時刻 方位 動物 身體 性質 雜物
大川 晩秋初冬 二十一~二十三 西北
少女 二十一 西 剛鹵
中女 文書 十二
長男 木ㆍ車
長女 草木 晩春初夏 七~九 東南
中男 洒ㆍ藥 二十四
少男 家ㆍ城 初春 一~二 東北 門闕
飮食 晩夏初秋 十三~十六 西南

 

[자료:한국고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