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4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1 ○ 역(易) 4
[서괘전 상(序卦傳上)]
“물(物)이 쌓인 뒤에 예(禮)가 있다.”고 했는데, 물이 쌓이는 것과 예는 본래 서로 가깝지 않거늘 예라는 것이 어찌 반드시 쌓인 뒤에 행해지겠는가. “이행하여 태평한 뒤에 편안하다.”고 하니, 이행하는 것은 예인데 예가 태평해지는 이유가 되는 것은 어째서인가? 대체로 더하고 더는 것은 물리(物理)의 당연한 것이다. 그래서 손괘(損卦)와 익괘(益卦), 박괘(剝卦)와 복괘(復卦) 따위의 괘를 서로 번갈아 가며 말한 것이다. 그런데 유독 비괘(比卦)로부터 태괘(泰卦)까지는 길만 있고 흉은 없으니, 전적으로 길괘만을 쓴 데에는 거기에 어떤 뜻이 있어서인가?
[성종인이 대답하였다.]
선대 학자들은 “이괘(履卦)가 소축괘(小畜卦)를 뒤이어 받은 것은 바로 ‘의식(衣食)이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는 뜻이다. 예는 천리(天理)의 절문(節文)으로 이치를 순하게 따라 행하면 마음이 늘 태평하니, 태괘(泰卦)가 이괘를 이은 것은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대개 《역경》은 일정한 규칙으로만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더러는 길흉(吉凶)의 괘가 서로 끼어 있기도 하고 더러는 순수한 길괘가 연이어 있기도 하는 것이니, 이러한 데에서 역(易)의 도가 일찍이 고정된 적이 없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선대 학자들은 “이괘(履卦)가 소축괘(小畜卦)를 뒤이어 받은 것은 바로 ‘의식(衣食)이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는 뜻이다. 예는 천리(天理)의 절문(節文)으로 이치를 순하게 따라 행하면 마음이 늘 태평하니, 태괘(泰卦)가 이괘를 이은 것은 아마 이 때문일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대개 《역경》은 일정한 규칙으로만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더러는 길흉(吉凶)의 괘가 서로 끼어 있기도 하고 더러는 순수한 길괘가 연이어 있기도 하는 것이니, 이러한 데에서 역(易)의 도가 일찍이 고정된 적이 없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서괘전 상(序卦傳上)이다.
[서괘전 하(序卦傳下)]
“믿음이 있는 자가 반드시 행한다.”고 한 것이 과연 어찌하여 소과(小過)가 되는 것인가? 사마 온공(司馬溫公)과 같은 분은 진정 독실하게 행하는 군자라고 할 수 있는데 주자(朱子)는 일찍이 지적(知的)인 측면이 부족하기 때문에 오히려 크게 행하지 못하는 뜻이 있다고 하였으니, 이 뜻에 대해 상세하게 말해 줄 수 있겠는가? 이러한 관점으로 본다면 믿음이 있은 뒤에 행함이 있다는 뜻을 과연 소과라고 할 수 있는가?
[조제로(趙濟魯)가 대답하였다.]
믿음이 있으면 자임(自任)하는 뜻이 있으니, 그 때문에 소과가 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주자의 말씀은 온공(溫公)에게서 완벽하기를 바란 것입니다.
믿음이 있으면 자임(自任)하는 뜻이 있으니, 그 때문에 소과가 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주자의 말씀은 온공(溫公)에게서 완벽하기를 바란 것입니다.
미제괘(未濟卦)로 끝을 맺은 것은 어째서인가?
[김계락(金啓洛)이 대답하였다.]
만약 기제괘(旣濟卦)로 끝맺는다면 비록 감(坎)과 이(離)가 생생(生生)하는 상(象)이 있기는 하지만 성인(聖人)은 오히려 한계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미제로 끝을 맺어 영원하다는 뜻을 보인 것이니, 여기에서도 손(損)ㆍ익(益)과 비(否)ㆍ태(泰)의 상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기제괘(旣濟卦)로 끝맺는다면 비록 감(坎)과 이(離)가 생생(生生)하는 상(象)이 있기는 하지만 성인(聖人)은 오히려 한계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미제로 끝을 맺어 영원하다는 뜻을 보인 것이니, 여기에서도 손(損)ㆍ익(益)과 비(否)ㆍ태(泰)의 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상은 서괘전 하(序卦傳下)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론(總論) (0) | 2010.12.22 |
---|---|
잡괘전(雜卦傳) (0) | 2010.12.22 |
설괘전(說卦傳) 제11장 (0) | 2010.12.22 |
설괘전(說卦傳) 제6.10장 (0) | 2010.12.22 |
설괘전(說卦傳) 제1장 (0)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