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곡집

심경집의(心經集義) 제2권(卷之二) 경(經)

하(下)

격물치지(格物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으로 나누어 4절을 만들었음.

1절(一節)

[역계사건곤역간장(易繫辭乾坤易簡章)]

 

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건(乾)은 크나큰 처음을 알며 곤(坤)은 물(物)을 성취시키게 한다. 건은 쉬워서 아는 것이고 곤은 간략[簡]하므로 능하나니 쉬우면 알기가 쉽고 간략하면 따르기가 쉽다. 알기가 쉬우면 친함이 있으니, 친함이 있으면 오래갈 수 있고 오래갈 수 있으면 현인(賢人)의 덕이다. 따르기가 쉬우면 공이 있고 공이 있으면 현인의 일삼는 일이다. 쉽고 간략하면 천하의 이치가 얻어지고 천하의 이치가 얻어져서 그 중에 위치를 이루느니라.” 하였다. 일장(一章)
공자가 이르기를, “나를 알아주는 이가 없구나.” 하니, 자공(子貢)이 묻기를, “어찌하여 부자(夫子)를 아는 이가 없나이까?” 하매, 공자가 이르기를,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사람을 탓하지 아니하고 아래에서 배워서 위로 통달하나니, 나를 아는 이는 오직 하늘일진져.” 하였다. 정자가 말하기를, “아래에서 배워서 위로 통달한다는 것은 뜻이 말 밖에 있는 것이다.” 하였고, 또 말하기를, “무릇 아래에서 인사(人事)를 배우는 것이 곧 위로는 천리(天理)를 통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맹자의 말과 같이 익히면서도 살피지 못하면 또한 능히 위로 통달할 수 없는 것이다.” 하였다. 헌문(憲問)
집의(集義) 《중용》에서, 공자가 이르기를, “도로써 몸을 닦으며 인(仁)으로써 도를 닦는 것이니, 인(仁)이란 것은 인(人)이니 친(親)을 친(親)함이 큼이 되고 의(義)는 마땅함[宜]이니, 어진 이를 높이는 것이 큼이 된다.” 하였다. 또 이르기를, “예(禮)의 생기는 바이다.” 하고, 또 이르기를 “사람을 알지 못해서는 아니되며 하늘을 알지 못해서는 아니된다. 천하의 통달하는 도[達道]는 다섯인데 행하는 바는 셋이니, 군신(君臣)이며 부자(父子)이며 부부(夫婦)이며 형제(兄弟)며 벗과의 사귐이란 다섯 가지는 천하의 통한 도[達道]이며 지(知)ㆍ인(仁)ㆍ용(勇)의 세 가지는 천하의 통하는 덕[達德]이지만 그 행하게 하는것은 하나이니라. 혹 날 때부터 알고[生而知之] 혹 배워서 알며[學而知之] 혹 애를 써서 아나니[困而知] 그 아는 데에 미쳐서는 하나이다. 혹 편안히 행하고 혹 이롭게 여겨서 좋아하여 행하며 혹 힘써서 억지로 행하지만 그 성취함에 이르러서는 하나인 것이다.” 하였다. 또 이르기를, “배우기를 좋아함은 지(知)에 가깝고 힘껏 행함은 인(仁)에 가깝고 부끄러움을 아는 것은 용(勇)에 가까운 것이다. 이 세 가지를 알면 몸을 닦을 줄 알고 몸을 닦을 줄 알면 사람을 다스릴 줄 알며 천하 국가를 다스릴 줄 알 것이다.
○ 또 이르기를, “아래 지위에 있으면서 윗사람에게 합하지 못하면 백성을 다스릴 수 없고, 윗사람에게 합하는 데는 도가 있으니 벗에게 신(信)이 있지 못하면 윗사람에게 도합하지 못하는 것이다. 벗에게 신(信)이 있는 데도 도가 있으니 어버이에게 순(順)하지 못하면 벗에게도 신(信)이 있지 못한다. 어버이에게 순함에도 도가 있으니 몸에 반성하여 정성스럽지 못하면 어버이에게도 순하지 못하느니라. 몸을 정성스럽게 하는 것이 도가 있으니 선(善)에 밝지 못하다면 몸에 정성스럽지 못하느니라. 성(誠)이란 것은 하늘의 도요, 성(誠)하게 하는 것[誠之者]은 사람의 도이다. 성(誠)이란 것은 힘쓰지 않아도 맞으며 생각하지 않아도 얻어서 조용히 도에 맞는 것이니 성인(聖人)이요, 성(誠)하게 하는 것은 선(善)을 택하여 굳게 잡는 것이다.” 하였다.
○ 또 이르기를, “이를 넓게 배우고 이를 살펴 물으며 삼가 생각하고 밝게 분별하며 돈독히 행해야 하는 것이다. 배우지 않을지언정 배울진댄 잘 하지 못한다면 그만두지 않는 것이니, 남이 하나를 능하거든 나는 백을 능하며 남이 열을 능하거든 나는 천을 능할 것이니, 과연 이 방법을 잘한다면 비록 어리석은 이라도 반드시 밝아질 것이며 비록 유약한 이라도 반드시 강(强)해지리라.” 하였다.
○ 또 이르기를, “성(誠)으로부터 명(明)하는 것을 성(性)이라 이르고, 명(明)으로부터 성(誠)하는 것을 교(敎)라 이르나니, 성(誠)하면 명(明)하고 명(明)하면 성(誠)하느니라.” 하고, 또 이르기를, “오직 천하의 지성(至誠)이라야 능히 그 성(性)을 다함이 되고 능히 그 성을 다하면 능히 사람의 성(性)을 다하고, 능히 사람의 성을 다하면 능히 물(物)의 성을 다하는 것이다.” 하였다. 또 이르기를, 그 다음은 한구석을 미루어 극도로 하는 것[致]이니 한구석을 미루어 극도로 하면 능히 성(誠)이 있게 된다.” 하였다.
명도가 말하기를, “지(知)가 지(至)하면 곧 뜻이 성(誠)해지나니 만약 지가 지함이[知至] 있어도 성(誠)하지 못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모두 지(知)가 지(至)하지 못한 것이다.” 하였다.
맹자가 말하기를, “악정자(樂正子)는 착한 사람이며 신(信)한 사람이다.” 하였다. “어떤 것을 착하다 하며 어떤 것을 신이라 하는가?” 하니, “착한 것은 반드시 하고자 할 만한 것이니 하고자 할 만한 것을 착함이라 하고, 그 착함을 실지로 자기에게 가진 것을 신(信)이라 하고, 그것이 충실(充實)한 것을 아름다움[美]이라 하며, 충실하여 광휘(光輝)가 있는 것을 큼[大]이라 하고, 커서 화(化)한 것을 성(聖)이라 하며, 성(聖)하여 알 수 없는 것을 신(神)이라 이른다.” 하였다. 진심(盡心) 하(下) 정자가 말하기를, “하고자 할 만한 것을 착함이라 이른다고 한 말은 곧 원(元)이란 것은 착함의 으뜸[長]이다. 한 말과 같은 이치이다.” 하였다. 동록(東錄)
위는 도심 정일(道心精一)의 정(精)이 된다.

[주D-001]정자가 말하기를, …… 으뜸[長]이다. : 《주역》의 원, 형, 이, 정(元亨利貞)을 해석한 공자의 문언(文言)을 인용한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