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風火家人

 

上九 有孚威如 終吉.

 

 

   巽  風

    

 

 

       離  火

 

 

 

上九 有孚威如 終吉.
上九(상구) : 상구는

有孚(유부) : 믿음을 두고

威如終吉(위여종길) : 위엄있게 한면 마침내 길하리라.

 

有孚威如 : 이 爻는 家人卦의 後見人의 役에서 있음. 자리가 바르지 못하고 맨 위에 위치한 陽爻이므로 위엄이 있고 엄격함.

 

[풀이]상구는 괘극의 양강, 때문에 남자로서 가인을 다스리는 도를 결론짓는 가인을 다스림에 있어 성의가 있고 더구나 위엄이 결여되는 일이 없다면 마지막에는 길이다.

 

[上陽] : 한 가정의 어른으로 성의를 가졌고 또 스스로 자신을 반성하고 있으니 위신이 선다. 마침내 길하리라.

 

1) 상구는 믿음을 두고 위엄있게 하면 마침내 길하리라. 상에 가로되 '威如之吉 위여지길'은 몸을 반성함을 이름이다.
2) 뜻풀이
상구는 양강한 군자가 가인괘의 위에 있으니 한 집안의 엄군이 되는 상이다. 구삼이 '嗃嗃 학학'하게 하여 길하듯이, 상구도 스스로를 닦아 '불악이엄'하는 모범을 보이면 가도가 바르게 되어 끝내는 길한 것이다.
#1 상구가 동하면 기제이다. 상괘의 구오는 감 (:실부)이고 하괘의 육이는 리 (: 허부)이니, 구오와 육이를 믿는 것이 '有孚 유부'이다. 상괘 손명을 상구가 동한 감()의 율로써 하니 '위여'이고, 이제 가인의 도를 바르게 해서 기제가 되니 '終吉 종길'이다.
#2 反身之謂也. 반신지위야: '庸言之信 용언지신하고 庸行之謹 용행지근'하여 '言有物而行有恒 언유물이행유항' 하는 것을 말한다.
스스로를 닦음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저절로 공경하게 하는 것이다.

 

[상구]성심으로 위엄을 보이니 결과가 길하다.

威如 : 敬畏하는 모양.

 

 

上九, 有孚코 威如면 終吉하리라

「傳」 上 卦之終 家道之成也 故極言治家之本. 治家之道 非至誠不能也 故必中有孚信則能常久而衆人 自化爲善. 不由至誠 己且不能常守也 況欲使人乎. 故治家 以有孚爲本.

治家者 在妻孥情愛之間 慈過則无嚴 恩勝則掩義. 故家之患 常在禮法 不足而瀆慢生也. 長失尊嚴 少忘恭順而家不亂者 未之有也. 故必有威嚴則能終吉 保家之終 在有孚威如二者而已 故於卦終 言之.

孥 자식 노. ㉠자식 처자 孥雉 아내와 자식(), 또는 어린 것

瀆 도랑 독 ㉠도랑 더럽히다 업신여기다 깔보다 버릇없이 굴다 구멍(竇) (두) 땅 이름 (두) 고랑 (두) 

慢 ㉠거만하다(倨--), 오만하다(傲--) 게으르다, 게으름을 피우다 거칠다, 간략하다(簡略--) 방종하다(放縱--) 업신여기다, 모멸하다(侮蔑--) 느슨하다 방자하다(放恣--) 느리다, 더디다 칠하다

[정전]上은 괘의 마침이므로 가도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가정을 다스리는 근본을 極言하였다. 가정을 다스리는 도는 至誠이 아니면 불가하다. 그러므로 반드시 성심이 있어야 항구히 가족들이 교화되고 선하게 된다. 지성에 근본을 두지 않으면 자신의 몸조차도 지킬 수 없을 것인데 하물며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그리하도록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가정을 다스리는 데는 성신이 근본이다.

가정을 다스리는 자는 처와 자식에 대한 사사로운 인정과 은혜로운 사랑사이에 번민하게 된다. 그러나 자혜로운 사랑이 넘치면 위엄이 없어지고, 은혜가 앞서면 의리를 상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정 내의 우환은 항상 예법의 불비로 인한 소홀함에서 기인하는 것이니, 어른이 존엄을 잃고 젊은이가 공손하기를 저버리면 집안이 반드시 어지러워진다. 그러므로 가인의 도에 위엄이 있으면 결과가 길한 것이다. 가정을 잘 지키는 것은 성신과 위엄에 있을 따름이다.

 

上은 卦의 終이니, 家道가 완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집안을 다스리는 근본을 極言하였으니, 집안을 다스리는 道는 至誠이 아니면 안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마음속에 孚信이 있으면 항상하고 오래하여 衆人들이 스스로 敎化되어 善을 하게 된다. 至誠을 말미암지 않는다면 자기 몸도 떳떳이 지키지 못할 것이니, 하물며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그렇게 하게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집안을 다스림은 믿음이 있음을 근본으로 삼는다. 집안을 다스리는 자가 妻?(처자식)를 情愛하는 사이에 있으니, 사랑이 지나치면 嚴함이 없고 恩惠가 앞서면 義를 가리게 된다. 그러므로 집안의 병통은 항상 禮法이 부족하여 褻慢(설만)함이 생김에 있으니, 어른이 尊嚴함을 잃고 젊은이가 恭遜함을 잃고서 집안이 어지럽지 않은 경우는 있지 않다. 그러므로 반드시 威嚴이 있으면 마침내 吉한 것이다. 집안을 잘 보존하여 마침은 有孚와 威如 두 가지에 있을 뿐이므로 卦의 끝에 말한 것이다.

 

「本義」 上九 以剛居上 在卦之終 故言正家久遠之道. 占者必有誠信嚴威則終吉也.

上九는 剛爻가 上에 거하여 卦의 終에 있기 때문에 집안을 바르게 함에 오래하는 방법을 말하였으니, 占치는 자가 반드시 誠信과 威嚴이 있으면 마침내 吉할 것이다.  

 

 

象曰 威如之吉 反身之謂也.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威如之吉(위여지길) : '위여지길'은

反身之謂也(반신지위야) : 몸을 반성함을 이름이다

 

상전에서 위엄있는게 길이라 함은 내몸을 잘 반성하고 자기에게 엄격한 것부터 시작된다는 의미다.

 

[상왈]위엄을 갖추면 吉하다는 것은 제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다. 

 

象曰, 威如之吉은 反身之謂也라

「傳」 治家之道 以正身爲本 故云反身之謂. 爻辭 謂治家 當有威嚴而夫子 又復戒云當先嚴其身也. 威嚴 不先行於己則人怨而不服 故云威如而吉者 能自反於身也. 孟子所謂身不行道 不行於妻子也.

 

[정전]가정을 다스리는 도는 자신의 몸을 바로 세우는 것(修身)이 근본이다. 그러므로 제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라 하였다. 효사에 “가정을 다스리는 데는 마땅히 위엄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공자께서 다시 “마땅히 먼저 자신의 몸에 엄격히 하라”고 경계한 말이다. 위엄이 먼저 자신의 몸에서 행해지지 않으면 사람들이 이를 원망하고 복종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엄이 있어서 길함은 스스로 자기 몸에 돌이켜 살피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으니. 孟子의 이른바 ‘자신이 도를 행하지 않으면 처자에게서도 행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집안을 다스리는 道는 자기 몸을 바로잡음을 근본으로 삼기 때문에 자기 몸에 돌이킨다고 말한 것이다. 爻辭에 ‘집안을 다스림에는 마땅히 威嚴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였는데, 夫子께서 또 다시 “마땅히 먼저 자기 몸을 嚴格히 하라.”고 警戒하신 것이다. 威嚴이 먼저 자기 몸에 행해지지 않으면 사람들이 원망하고 服從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威嚴이 있어 吉함은 스스로 자기 몸에 돌이키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으니, 맹자의 이른바 “자신이 道를 행하지 않으면 妻子에게 행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本義」 謂非作威也 反身自治則人畏服之矣. 周易傳義大全卷之十四

威嚴을 일으킴이 아니요 자기 몸에 돌이켜 스스로 다스리면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복종함을 말한 것이다.  

 

 

 

 

 

홍재전서(弘齋全書) 제102권

 

[家人]

 

家人之言吉者多矣。曰貞吉也曰悔厲吉也。曰勿恤吉也。獨於六四當家之下。繼以大吉者何也。

居家之道。固貴乎保有其富。而男女正位。各循其軌。則家人之吉。於斯爲大。而富與不富。非所論也。且以陰居陰。何以爲富有之象也歟。

 

가인괘(家人卦)에서는 길(吉)하다고 말한 것이 많다. 육이(六二)에서는 “바르고 길할 것이다.”라고 하였고 구삼(九三)에서는 “후회하고 위태하나 길할 것이다.”라고 하였고 구오(九五)에서는 “근심이 없어서 길할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유독 육사(六四)에서만 “집을 부유하게 한다.”고 한 아래에 “크게 길하다.”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가정생활을 하는 도리는 진실로 그 부(富)를 보유함이 귀한 것이기는 하나, 남자와 여자가 제자리를 올바르게 지키며 각각 그 법도를 따르면 가인(家人)으로서의 길함이 이보다 더 큰 것이 없을 것이므로 부유하고 부유하지 않음은 거론할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음으로서 음의 자리에 있는데 어찌하여 부유한 상(象)이 되는가?

 

 

煕朝對。

家人一卦。言吉者固非一二。而獨於六四富家之下。特加一大字。以著吉象之最大。其言誠是矣。

謹按書之洪範曰二曰富。詩之魯頌俾爾壽而富。居家之道。孰有加於富裕哉。

然倉廩玉帛。非不富裕。而若使家道不正。則彼倉廩玉帛。雖欲保有得乎。

必也男正位乎外。女正位乎內。藹然和吉之意。充滿室家。然後方可以保有其富。

而六四一爻。最得家道之正焉。聖人之特下一大字。以表此爻之吉。加於悔厲之吉。又加於勿恤之吉者。正爲是也。

且按禮曰父子篤兄弟睦夫婦和。家之肥也。此一說亦可爲富家大吉之證左。而至若富字之獨於此爻中拈出者。巽爲近利市三倍。富之象也。

巽下畫變乾。而乾爲金玉。亦富之象也。爻辭所言。亦以此歟。

 

倉廩 창름.고간(庫間)  廩 곳집 름.㉠곳집(곳간(庫間)으로 지은 집) 녹미(祿米: 녹봉으로 받는 쌀) 구호미 풍채가 있는 모양 쌓다 갈무리 하다, 저장하다(貯藏--) 모이다, 모으다 나라에서 공급하다(供給--)

玉帛 ①옥과 비단() ②옛날 중국()의 제후()들이 조근()이나 빙문() 때에 예물()로 가지고 오던 옥과 비단()

藹 우거질 애. ㉠우거지다 열매가 많이 열리다 부지런히 일하다 윤택하다(潤澤--) 온화하다(溫和--) 사물의 모양 

藹藹 애애①(초목()이)무성()한 모양 ②(달빛이)희미()한 모양 ③(화기가)부드럽고 포근하여 평화()로운 기운()이 있는 모양 ④점잖은 선비가 많이 모인 모양. 애울()  

 

가인괘에서 “길하다.”고 말한 것은 진실로 하나 둘이 아닌데 유독 육사에서 “집을 부유하게 한다.”고 한 아래에 특별히 대(大) 자 하나를 더하여 길한 상징이 가장 큰 것을 나타냈다고 하신 그 말씀은 진실로 옳습니다. 《서경(書經)》 홍범(洪範)을 고찰해 보면 “두 번째가 부(富)이다.”라고 하였고 《시경(詩經)》 노송(魯頌)에는 “너로 하여금 수명을 누리고 부유하게 한다.”라고 하였으니, 가정생활의 도리가 부유함보다 더 앞서는 것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그러나 창름(倉廩)의 옥백(玉帛)이 아무리 풍부하다고 하더라도 만약에 가도(家道)가 올바르지 못하면 그 창름의 옥백을 비록 보유하려고 해도 될 수가 있겠습니까.

반드시 남자는 밖에서 바른 위치를 지키고 여자는 안에서 바른 위치를 지켜서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집안에 가득해야 바야흐로 그 부유함을 보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육사(六四) 효(爻) 하나는 가도의 가장 올바름을 얻은 것이므로, 성인이 특별히 대(大) 자 하나를 덧붙여서 이 효의 길함이 “후회하고 위태하나 길할 것이다.”라고 한 것과 “근심이 없어서 길할 것이다.”라고 한 것보다 더 나은 뜻으로 표현한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또 《예기(禮記)》를 고찰해 보면 “부자(父子)간에 돈독하고 형제(兄弟)간에 화목하고 부부(夫婦)간에 화합한 것은 집안이 살찐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 한마디 말도 “집을 부유하게 하고, 크게 길하다.”고 한 증거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부(富) 자를 유독 이 효에서만 제시한 이유는 손(巽)은 설괘전(說卦傳)에 의하면 “이익을 가까이하여 세 배의 이득을 남긴다.”고 하였으니 부의 상징이기 때문입니다.

손의 아래 획이 변하면 건(乾)이 되는데 건은 설괘전에 의하면 금(金)과 옥(玉)이 되므로 역시 부의 상징이니, 효사(爻辭)에서 말한 것도 그러한 의미일 것입니다.

 

 

 

勿恤吉。程傳則曰不憂勞而天下治。本義則曰勿用憂恤而吉可必矣。或曰若憂其不順而治之過剛則至於嗃嗃矣。從傳義之說則爲无憂而治。无憂而吉也。從或者之說則勿過爲憂而後吉也。何說爲得歟。

 

“근심이 없어서 길하다.”고 한 것에 대해 《정전》에서는 “근심과 수고를 하지 않아도 천하가 다스려진다.”고 하였고 《본의》에서는 “근심과 걱정을 하지 않아도 길함을 기필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혹자는 “만약에 불순(不順)할 것을 걱정하여 지나치도록 강하게 다스리면 엄격하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정전》과 《본의》의 말을 따르면 근심을 하지 않아도 다스려지고 근심을 하지 않아도 길하다는 것이 되며, 혹자의 말을 따르면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야 길하다는 것이 되는데, 어느 말이 옳은가?

 

勉兢對。

聖人恭己齊家。而有假王之道。則初無可憂矣。家人不順不正。而有憂慮之事。則不可不治矣。

蓋此九五之王假有家勿恤吉。極言聖王刑家之效也。苟非文王之聖。不足以當之。夫文王爲君。大姒爲妃。以王季爲父。以大任爲母。以武王爲子。以邑姜爲婦。交相愛而以御于家。所謂無憂者。其惟文王。夫豈有嗃嗃嘻嘻之可言乎。是以傳義皆釋以不憂勞無憂恤。

若曰勿過爲憂而後吉云爾。則憂雖勿過。初未免有憂耳。此豈聖王之假家也耶。且九五剛健中正。夫豈有過剛之慮。而爲過剛之戒耶。恐當從傳義爲是。以上家人

 

성인(聖人)이 몸가짐을 공손하게 하고 제가(齊家)를 잘하게 되면 왕도(王道)에 이르는 것은 애당초 걱정할 것이 없지만, 가인(家人)들이 불순(不順)하고 부정(不正)하여 근심스러운 일이 있게 되면 다스리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대개 이 구오(九五)에서 “왕이 가도(家道)를 지극히 함이니 근심이 없어서 길하다.”고 한 것은 성왕(聖王)이 집안에 본보기가 된 것을 지극히 말한 것이니, 진실로 문왕(文王)이 아니고서는 거기에 해당할 수가 없습니다. 그 문왕이 임금이 되고 태사(太姒)가 후비(后妃)가 되며 왕계(王季)가 아버지가 되고 태임(太任)이 어머니가 되며 무왕(武王)이 아들이 되고 읍강(邑姜)이 며느리가 되어 서로 사랑하며 집안을 다스렸으니, 이것이 이른바 “걱정이 없는 자는 그 문왕이다.”라고 한 것입니다. 그러니 어찌 엄격함과 희희덕거림을 말할 게 있겠습니까. 그래서 《정전》과 《본의》에서는 모두 “근심과 수고가 없다.”고 하고 또는 “근심과 걱정이 없다.”고 풀이한 것입니다.

만약에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야 길하다.”고 한다면 걱정 그 자체는 비록 지나치게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애당초 걱정이 있음은 면치 못하는 것이니, 이것이 어찌 성왕이 가도를 지극히 하는 것이 되겠습니까. 그리고 구오는 강건(剛健)하면서도 중정(中正)한데, 어찌 지나치게 강할 것을 염려하여 지나치게 강한 데 대한 경계를 해야 하겠습니까. 아마도 《정전》과 《본의》를 따르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이상은 가인괘(家人卦)이다.

 

 

 

 

 

書經 . 32. 洪範 . 

 

九五福 一曰壽 二曰富 三曰康寧 四曰攸好德 五曰考終命. 

 

五福은 一曰壽ㅣ오 二曰富ㅣ오 三曰康寧이오 四曰攸好德이오 五曰考終이니라.

九오복은 첫째는 가로대 수요, 둘째는 가로대 부요, 셋째는 가로대 강녕이요, 넷째는 가로대 덕을 좋아함이요, 다섯째는 가로대 命을 마침을 상고함이니라.

 

아홉째로, 다섯 가지 복이라는 것은 첫째 오래 사는 것과, 둘째 부하게 되는 것과, 셋째 안락함과, 넷째 덕을 좋아함이요 , 다섯째 하늘이 주신 명을 다하고 늙어 편하게 죽음입니다.

 

 

 

詩經魯頌  閟宮

 

公車千乘(공거천승) : 임금님 병거 천 대에

朱英綠縢(주영녹등) : 붉은 실 맨 창과 녹색 실 맨 활

二矛重弓(이모중궁) : 창도 두 개, 활도 두 개

公徒三萬(공도삼만) : 임금님 보졸은 3만 명

貝胄朱綅(패주주침) : 조개 장식 붉은 실로 묶은 투구

烝徒增增(증도증증) : 많은 보졸들 끝이없다

戎狄是膺(융적시응) : 서융과 북적 무찌르고

荊舒是懲(형서시징) : 남쪽의 형과 서를 쳐

則莫我敢承(칙막아감승) : 아무도 우릴 감히 당할 자 없어

俾爾昌而熾(비이창이치) : 당신을 더욱더 창성케 하고

俾爾壽而富(비이수이부) : 당신을 장수하고 부유케 하리라

黃髮台背(황발태배) : 노랑 머리 복어 등이 된 노인들과

壽胥與試(수서여시) : 나이를 서로 견주며

俾爾昌而大(비이창이대) : 당신을 번창하고 훌륭하게 하고

俾爾耆而艾(비이기이애) : 당신을 오래오래 장수하게 하여

萬有千歲(만유천세) : 천세토록 만세토록

眉壽無有害(미수무유해) : 재앙 없이 만수무강하리라

 

 

說卦傳.    第十一章

 

巽은 爲木, 爲風, 爲長女, 爲繩直, 爲工, 爲白, 爲長, 爲高, 爲進退, 爲不果, 爲臭요 其於人也에 爲寡髮, 爲廣顙, 爲多白眼, 爲近利市三倍요 其究爲躁卦라.

 

巽은 나무가 되고, 바람이 되고, 長女가 되고, 먹줄이 곧음이 되고, 工匠(공장)이가 되고, 白色이 되고, 긺이 되고, 높음이 되고, 進退가 되고, 과단성이 없음이 되고, 냄새가 되며, 사람에게 있어서는 머리털이 적음이 되고, 이마가 넓음이 되고, 눈에 흰 자위가 많음이 되고, 이익을 가까이하여 세 배의 폭리를 남김이 되며, 궁극에는 조급한 卦가 된다.

【本義】 荀九家엔 有爲楊, 爲鸛이라.

荀九家에는 버드나무가 되고, 황새가 된다는 내용이 있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주역 > 周易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전서(易傳序)   (0) 2010.10.19
[스크랩] 周易 下經 38. 火澤?  (0) 2010.02.18
[스크랩] 風火家人 六二. 九三 .  (0) 2010.02.18
[스크랩] 風火家人 初九  (0) 2010.02.18
[스크랩] 地火明夷 上六  (0) 2010.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