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현상은 이(理)와 기(氣)로 구성되었으며, 이와 기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다고 말한다. 즉 유형적 존재는 모두 무형의 원리 또는 원인에 의하여 생성, 변화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이와 기에 의한 존재론적 규정과 생성론적 설명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원칙 위에서 관계를 맺고 있다. 즉 이와 기는 뒤섞어 서로 혼동할 수 없는 것(理氣不相雜)이며, 동시에 둘 사이를 갈라서 나누어 놓을 수도 없는 것(理氣不相離)이라는 상반된 규정이다. 이 두 규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면, 이와 기는 인식의 과정에서는 개념적으로 서로 '구별'할 수 있지만, 존재의 차원에서는 하나의 실재로서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와 기가 서로 분리될 수 없다 하더라도 두 개의 존재가 함께 있는 것이라는 입장에 서면 이기이원론이 되지만, 함께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존재가 다른 양상으로 인식될 수 있을 뿐이라는 입장에 서면 이기일원론이 된다. 따라서 이기일원론에서는 이와 기 사이에 앞서고 뒤서는 것이 있다거나, 이가 기를 낳는다는 관계로 파악하는 이기이원론적 입장을 거부한다. 정자(程子)는 성(性)과 기의 관계를 규정하면서, "성을 논하면서 기를 논하지 않으면 갖추지 못한 것이요, 기를 논하면서 성을 논하지 않으면 밝지 못하다."라 하여 성과 기의 일체성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하여 주희(朱憙)도 "기가 아니면 이도 머무를 곳이 없다."고 하여 서로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기론을 집대성한 주희의 경우는 이와 기가 어느 한 쪽이 없이 다른 한 쪽만 있을 수 없음을 인정하면서도 "이와 기는 확실히 두가지 존재"라 하여 이기이원론적 입장을 확인하고 있다. | |
전개 |
 |
이기론의 출현과 적용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하다. ≪주역≫의 형이상•형이하의 명제로부터 태극•음양•오행•궁리진성, ≪맹자≫의 이른바 이의(理義)•호연지기(浩然之氣), 정호(程顥)의 천리, 장재(張載)의 기(氣), 그리고 주희에 이르러 이기이원론이 완성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기문제는 황간(黃幹)•진순(陳淳)•정임은(程林隱) 등에서 이기분리의 경향이 나타나고, 육구연(陸九淵)과 왕수인(王守仁)의 심즉리설(心卽理說), 나흠순(羅欽順)의 성즉기설(性卽氣說)에서 새로운 명제제기를 발견할 수 있다. 한국에 있어서의 이기론은 정도전(鄭道傳)•권근(權近)에 이르러 학적 대상이 되었고, 서경덕(徐敬德)•이언적(李彦迪)에서 학문적 시도를 보였으며,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에서 학문적 성과를 이룩하였다. 이황은 이의 근원적 실재성에 근거하여 이가 소이연(所以然)으로서 모든 사물의 생성•변화의 원리뿐 아니라, 그 원인이라는 의미에서 태극이나 천명(天命)을 우주의 근원적 실재로 파악한다. 사물 생성에 대하여 이황은 이를 기의 생멸성에 대한 불변의 근원자로 이해하여 이를 능생자, 기를 소생자로 간주하였다. 이이는 <천도책(天道策)>에서 모든 자연현상은 그 나타남이 기 아닌 것이 없으며, 그 일어나는 까닭은 이 아닌 것이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천지사이의 모든 사물은 각각 하나의 기라 할 수 있고, 그 나누어져 있음은 다르지만, 그 이치는 곧 하나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이이는 이는 스스로 동정함이 있지 않고 오직 기만이 동정함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이의 능동적인 작위성을 따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며, 작위성을 기 자체의 특성으로 인정하려는 태도이다. 이황의 이발, 이이의 기발의 범주명제를 비롯하여, 주리(主理)•주기적(主氣的) 특징은 후기 이기론 전개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주리•주기의 대립적 전개는 이현일(李玄逸)•이진상(李震相)을 고비로 심즉리로써 주리설의 철저화•체계화가 이루어지고, 기정진(奇正鎭)에 이르러 유리론(唯理論)으로 특징지어진다. 주기설은 송시열(宋時烈)•한원진(韓元震)을 정점으로 심즉기(心卽氣)로서 범주명제가 확립되고, 임성주(任聖周)에 의하여 유기론(唯氣論)의 성격으로 종결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