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괘(上卦)는 본디 건(乾)인데 아래로 곤(坤)과 사귀어서 간(艮)을 이루었으니, 이는 건도(乾道)가 남자(男子)로 된 것이다. 하괘(下卦)는 본디 곤(坤)인데 위로 건(乾)과 사귀어서 태(兌)를 이루었으니, 이는 곤도(坤道)가 여자(女子)로 된 것이다. 그러니 이는 바로 천지(天地)가 감동하여서 만물이 화생하는 상이다. 이효(二爻)와 오효(五爻)는 사람의 자리인데, 양(陽)인 구(九)가 오효의 자리에 있으면서 이효에 응한다. 이는 사람으로서 사람에게 감동한 것이다. 그리고 음(陰)인 육(六)이 이효의 자리에 있으면서 오효에 응한다. 이는 사람으로서 사람에게 응한 것이다. 그러니 이는 바로 성인이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켜서 천하가 화평한 상이다.
○ 토(土)의 체(體)는 텅 비었고 택(澤)은 적셔 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산 위에 못이 있으니 텅 비어 있음으로써 적셔 줌을 입는 상인 것이다. 군자가 이것을 본받아서 자신의 마음을 비우고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 쌍호 호씨(雙湖胡氏)가 말하기를, “‘무(拇)’는 단지 하체(下體) 초효(初爻)의 상만을 취하였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진(震)은 족(足)이 되고 간(艮)은 진(震)의 반체(反體)이니 역시 엄지발가락인 ‘무(拇)’의 상이 있는 것이다.
○ 본의(本義)의 내용은 상응(相應)함을 취하지 않고 범범하게 감응(感應)하는 뜻만을 논한 것 같은데, 세 효가 모두 그러하다.
○ 본의(本義)의 뜻과 같다면 ‘외(外)’ 자는 외괘(外卦)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감동하는 바가 밖에 있음을 범범히 말한 것이다.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비(腓)’는 하체(下體)의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비(腓)’ 역시 간(艮)의 반체인 진(震)의 상을 취한 것이다. ‘거(居)’는 간(艮)의 지(止) 상이다.
○ 살펴보건대, ‘비(腓)’ -평성(平聲)이다.- 는 《설문(說文)》에 “비(腓)는 경천(脛腨)이다.” 하였으며, ‘천(腨)’ 자는 또 《광운(廣韻)》에 “시(時)와 곤(袞)의 반절(半切)로, 비장(腓腸)이다.” 하였다. 그렇다면 넓적다리[脛]의 아래이면서 발꿈치[跟]의 윗부분으로, 발을 들 때에 먼저 움직이는 곳이니, 바로 발의 배[足肚]이다.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고(股)’는 호체(互體)인 손(巽)의 상이다. ‘집(執)’은 간(艮)의 수(手)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수(隨)’는 ‘고(股)’를 인하여 뜻을 취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간괘(艮卦)의 이효가 변하면 수괘(隨卦)의 반체가 된다. 함괘(咸卦)의 하체(下體)인 간(艮)을 반체로 하면 수괘(隨卦)가 된다. 그러므로 간괘(艮卦)의 이효와 함괘(咸卦)의 삼효는 모두 ‘수(隨)’로써 말한 것이다.” 하였다.
○ 사효는 상체와 하체가 사귀는 데에 자리해 있으니 역시 오고 가는 ‘왕래(往來)’의 상이 있는 것이다. ‘붕(朋)’은 초효를 가리킨다.
○ ‘왕래(往來)’는 저절로 왕래하는 것이고, ‘동동(憧憧)’은 사심(私心)을 가하여 좋지 않은 뜻을 가지고 왕래하는 것이다. ‘왕래’ 두 글자는 ‘동동’과 연결하여 말해서는 안 된다. ‘동동’ 가운데 별도로 왕래의 뜻이 있다. 정자(程子)의 설은 조금 전도되어서 사람들의 의심을 불러일으켰다. 대개 ‘왕래’는 바로 느껴서 응하는 뜻이다. 느껴서 응하는 것은 본디 저절로 되는 것인데 사사로운 뜻을 씀이 이와 같으면 그것이 바로 ‘동동’인 것이다.
○ 주자가 말하기를, “마음이 사사로이 주관함이 없음은 마치 천지(天地)와 똑같다. 추우면 천하가 모두 춥고 더우면 천하가 모두 덥다. 이는 느끼는 바가 있으면 모두 통하는 것이다.” 하였고, 또 이르기를, “비가 오고 볕이 나는 것과 같다. 비가 오지 않는 것은 단지 비에만 관계된 것이나, 문득 볕이 날 것임을 느낄 수 있다. 볕이 나지 않는 것은 단지 볕에만 관계된 것이나, 볕이 이미 응한 곳에서는 또 비가 올 것임을 느낄 수 있다. 느끼면 반드시 응함이 있고, 응하는 바는 다시 느낌이 된다. 추위와 더위, 낮과 밤이 모두 이 이치가 아닌 것이 없다.” 하였다. -윗글의 아랫부분은 정자(程子)의 뜻인데, 역시 윗부분의 뜻도 겸하여 들어 있다.
○ 간(艮)은 광(光)이 된다. 그런데 사효는 간(艮)의 밖에 있으므로 광(光)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양(陽)은 대(大)가 된다. 그런데 양(陽)인 구(九)가 음(陰)의 자리인 사효의 자리에 있으므로 대(大)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 ‘말(末)’은 상효가 괘의 끝에 있음을 가리킨 것이다. 대과괘(大過卦)에서 “밑둥과 끝이 약하다.[本末弱也]” 한 곳에서의 ‘말(末)’과 그 뜻이 같다.
간괘 이효의 효사에, “육이는 장딴지에 멈추니 구원하지 못하고 따른다. 그리하여 마음이 불쾌하도다.[六二 艮其腓 不拯其隨 其心不快]”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