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괘전(序卦傳)에 ‘유소착(有所錯)’이라고 하였는데, 육씨(陸氏)가 말하기를 “‘착(錯)’ 자는 바로 조(措) 자로, 예의(禮義)를 시설(施設)할 바가 있다는 말이다.” 하였다. ○ 주(註)에 운봉 호씨(雲峯胡氏)가 운운하였다. 운봉 호씨가 하경(下經)에서 뜻을 취한 것이 각별하다.


천지가 감동하면 만물이 화생하고, 성인이 인심을 감동시키면 천하가 화평하다.[天地感而萬物化生 聖人 感人心而天下和平]

○ 상괘(上卦)는 본디 건(乾)인데 아래로 곤(坤)과 사귀어서 간(艮)을 이루었으니, 이는 건도(乾道)가 남자(男子)로 된 것이다. 하괘(下卦)는 본디 곤(坤)인데 위로 건(乾)과 사귀어서 태(兌)를 이루었으니, 이는 곤도(坤道)가 여자(女子)로 된 것이다. 그러니 이는 바로 천지(天地)가 감동하여서 만물이 화생하는 상이다. 이효(二爻)와 오효(五爻)는 사람의 자리인데, 양(陽)인 구(九)가 오효의 자리에 있으면서 이효에 응한다. 이는 사람으로서 사람에게 감동한 것이다. 그리고 음(陰)인 육(六)이 이효의 자리에 있으면서 오효에 응한다. 이는 사람으로서 사람에게 응한 것이다. 그러니 이는 바로 성인이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켜서 천하가 화평한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산 위에 못이 있는 것이 함(咸)이니, 군자가 보고서 마음을 비워 남의 의견을 받아들인다.” 하였다.[象曰 山上有澤 咸 君子以 虛受人]

○ 토(土)의 체(體)는 텅 비었고 택(澤)은 적셔 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산 위에 못이 있으니 텅 비어 있음으로써 적셔 줌을 입는 상인 것이다. 군자가 이것을 본받아서 자신의 마음을 비우고 다른 사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초육은 감동함이 그 엄지발가락이다.[初六 咸其拇]

○ 쌍호 호씨(雙湖胡氏)가 말하기를, “‘무(拇)’는 단지 하체(下體) 초효(初爻)의 상만을 취하였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진(震)은 족(足)이 되고 간(艮)은 진(震)의 반체(反體)이니 역시 엄지발가락인 ‘무(拇)’의 상이 있는 것이다.
○ 본의(本義)의 내용은 상응(相應)함을 취하지 않고 범범하게 감응(感應)하는 뜻만을 논한 것 같은데, 세 효가 모두 그러하다.

상에 이르기를, “감동함이 그 엄지발가락인 것은 뜻이 밖에 있는 것이다.” 하였다.[象曰 咸其拇 志在外也]

○ 본의(本義)의 뜻과 같다면 ‘외(外)’ 자는 외괘(外卦)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감동하는 바가 밖에 있음을 범범히 말한 것이다.

육이는 감동함이 그 장딴지이면 흉하니, 그대로 있으면 길하다.[六二 咸其腓 凶 居 吉]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비(腓)’는 하체(下體)의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비(腓)’ 역시 간(艮)의 반체인 진(震)의 상을 취한 것이다. ‘거(居)’는 간(艮)의 지(止) 상이다.
○ 살펴보건대, ‘비(腓)’ -평성(平聲)이다.- 는 《설문(說文)》에 “비(腓)는 경천(脛腨)이다.” 하였으며, ‘천(腨)’ 자는 또 《광운(廣韻)》에 “시(時)와 곤(袞)의 반절(半切)로, 비장(腓腸)이다.” 하였다. 그렇다면 넓적다리[脛]의 아래이면서 발꿈치[跟]의 윗부분으로, 발을 들 때에 먼저 움직이는 곳이니, 바로 발의 배[足肚]이다.

구삼은 감동함이 그 다리이다. 잡아 지킴을 상대방을 따라서 한다.[九三 咸其股 執其隨]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고(股)’는 호체(互體)인 손(巽)의 상이다. ‘집(執)’은 간(艮)의 수(手)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수(隨)’는 ‘고(股)’를 인하여 뜻을 취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간괘(艮卦)의 이효가 변하면 수괘(隨卦)의 반체가 된다. 함괘(咸卦)의 하체(下體)인 간(艮)을 반체로 하면 수괘(隨卦)가 된다. 그러므로 간괘(艮卦)의 이효와 함괘(咸卦)의 삼효는 모두 ‘수(隨)’로써 말한 것이다.” 하였다.

구사는……동동하여 오고 가면 벗만이 네 생각을 따를 것이다.[九四……憧憧往來 朋從爾思]

○ 사효는 상체와 하체가 사귀는 데에 자리해 있으니 역시 오고 가는 ‘왕래(往來)’의 상이 있는 것이다. ‘붕(朋)’은 초효를 가리킨다.
○ ‘왕래(往來)’는 저절로 왕래하는 것이고, ‘동동(憧憧)’은 사심(私心)을 가하여 좋지 않은 뜻을 가지고 왕래하는 것이다. ‘왕래’ 두 글자는 ‘동동’과 연결하여 말해서는 안 된다. ‘동동’ 가운데 별도로 왕래의 뜻이 있다. 정자(程子)의 설은 조금 전도되어서 사람들의 의심을 불러일으켰다. 대개 ‘왕래’는 바로 느껴서 응하는 뜻이다. 느껴서 응하는 것은 본디 저절로 되는 것인데 사사로운 뜻을 씀이 이와 같으면 그것이 바로 ‘동동’인 것이다.
○ 주자가 말하기를, “마음이 사사로이 주관함이 없음은 마치 천지(天地)와 똑같다. 추우면 천하가 모두 춥고 더우면 천하가 모두 덥다. 이는 느끼는 바가 있으면 모두 통하는 것이다.” 하였고, 또 이르기를, “비가 오고 볕이 나는 것과 같다. 비가 오지 않는 것은 단지 비에만 관계된 것이나, 문득 볕이 날 것임을 느낄 수 있다. 볕이 나지 않는 것은 단지 볕에만 관계된 것이나, 볕이 이미 응한 곳에서는 또 비가 올 것임을 느낄 수 있다. 느끼면 반드시 응함이 있고, 응하는 바는 다시 느낌이 된다. 추위와 더위, 낮과 밤이 모두 이 이치가 아닌 것이 없다.” 하였다. -윗글의 아랫부분은 정자(程子)의 뜻인데, 역시 윗부분의 뜻도 겸하여 들어 있다.

상에 이르기를, “……왕래하기를 자주자주 하는 것은 광대(光大)하지 못한 것이다.” 하였다.[象曰……憧憧往來 未光大也]

○ 간(艮)은 광(光)이 된다. 그런데 사효는 간(艮)의 밖에 있으므로 광(光)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양(陽)은 대(大)가 된다. 그런데 양(陽)인 구(九)가 음(陰)의 자리인 사효의 자리에 있으므로 대(大)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감동함이 그 등살인 것은 뜻이 낮기 때문이다.” 하였다.[象曰 咸其脢 志末也]

○ ‘말(末)’은 상효가 괘의 끝에 있음을 가리킨 것이다. 대과괘(大過卦)에서 “밑둥과 끝이 약하다.[本末弱也]” 한 곳에서의 ‘말(末)’과 그 뜻이 같다.

[주D-001]

운봉 호씨(雲峯胡氏)가 운운하였다

:

운봉 호씨가 이르기를, “선천(先天) 팔괘(八卦)의 상(象)에 대해서 설괘전(說卦傳)에서 두 가지로 말하였다. 먼저 천지(天地)를 말하고, 그다음에 바로 산택(山澤)을 말하고, 계속해서 수화(水火)와 풍뢰(風雷)를 말하였으며, 산택(山澤)으로써 끝맺음을 하였다. 서로 부딪치는 것[相薄]은 서로 어그러지지 않는 것이 귀한 것이고, 서로 해치지 않는 것[不相射]은 서로 미치는 것이 귀하다. 오직 기(氣)를 통하는 것은 두 가지로 말하면서 고치지 않았다. 그러니 상경(上經)을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에서부터 시작한 것은 천(天)과 지(地)가 위(位)를 정한 것이며, 하경(下經)을 함괘(咸卦)에서 시작한 것은 산(山)과 택(澤)이 기(氣)를 통한 것이다. 위(位)는 나누어지려고 하므로 건과 곤이 나뉘어져서 두 괘가 되었고, 기(氣)는 합해지려고 하므로 산과 택이 합해져서 한 괘가 되었다. 또 역(易)의 팔순괘(八純卦), 즉 건괘(乾卦), 곤괘(坤卦), 간괘(艮卦), 감괘(坎卦), 손괘(巽卦), 진괘(震卦), 이괘(離卦), 태괘(兌卦)는 모두 여섯 효가 서로 응하지 않고, 태괘(泰卦), 비괘(否卦), 함괘(咸卦), 항괘(恒卦), 손괘(損卦), 익괘(益卦), 기제괘(旣濟卦), 미제괘(未濟卦)는 모두 여섯 효가 서로 응한다. 태괘(泰卦)와 비괘(否卦)는 천(天)과 지(地)가 서로 응하므로 상편(上篇)에 들어 있다. 함괘(咸卦)와 손괘(損卦)는 소남(少男)과 소녀(少女)가 서로 응하며, 항괘(恒卦)와 익괘(益卦)는 장남(長男)과 장녀(長女)가 서로 응하며, 기제괘(旣濟卦)와 미제괘(未濟卦)는 중남(中男)과 중녀(中女)가 서로 응한다. 그러므로 하편(下篇)에 들어 있다. 그중에서도 함괘(咸卦)는 소남(少男)이 아래에 있으면서 소녀(少女)가 그에 응하는 것이 아주 절실하고 지극하다. 그러므로 하편의 첫머리에 들어 있다. 이 때문에 상경의 단사(彖辭)에서는 ‘여(女)’를 말하지 않았으며, 하경의 경우에는, 함괘(咸卦)에서는 ‘취녀길(取女吉)’이라 하였고, 가인괘(家人卦)에서는 ‘이녀정(利女貞)’이라 하였고, 구괘(姤卦)에서는 ‘물용취녀(勿用取女)’라 하였고, 점괘(漸卦)에서는 ‘여귀길(女歸吉)’이라 하여 대부분 혼취(婚娶)의 일을 가지고 말하였는데, 함괘에서 가장 먼저 보인다.” 하였다.

[주D-002]간괘(艮卦)의 …… 것이다 :

간괘 이효의 효사에, “육이는 장딴지에 멈추니 구원하지 못하고 따른다. 그리하여 마음이 불쾌하도다.[六二 艮其腓 不拯其隨 其心不快]”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괘(遯卦 )  (0) 2010.08.29
항괘(恒卦 )  (0) 2010.08.29
이괘(離卦 )  (0) 2010.08.29
감괘(坎卦 )  (0) 2010.08.29
대과괘(大過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