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괘(益卦 )

 

익(益)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益 利有攸往]

○ 한 음(陰)이 가서 한 양(陽)을 바꾸어 오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초효부터 오효까지가 가운데가 비었으니, 배인 주(舟)의 상이다.

○ 부자(夫子)가 이효와 오효로써 가면 이로운 뜻을 해석하였는데, 이는 문왕(文王)의 본뜻이 아니다.


익은 동함에 공손하여 날로 나아감이 무궁하다.[益 動而巽 日進无疆]

○ ‘일진(日進)’은 이체(離體)와 비슷하니 일(日)이 되고, 진(震)은 동(動)이니 진(進)이 된다. ‘무강(无疆)’은 호체인 곤(坤)의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바람과 우레가 익(益)이니, 군자가 보고서 선을 보면 옮겨 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친다.” 하였다.[象曰 風雷 益 君子以 見善則遷 有過則改]

○ 곤(坤)의 초육이 건(乾)의 사효로 올라가서 손(巽)이 되고, 건의 구사가 곤의 초효로 내려와서 진(震)이 되었으니, 역시 바람과 우레가 서로 보태 주는 상이다. 곤(坤)은 지나치게 유(柔)하고 건(乾)은 지나치게 강(剛)하다. 곤의 초육이 변하여 초구가 되었으니 착한 데로 옮겨 가는 ‘천선(遷善)’의 상이 있고, 건의 구사가 변하여 육사가 되었으니 허물을 고치는 ‘개과(改過)’의 상이 있다.

익괘(益卦)의 상은 항괘(恒卦) 상전(象傳) 아래에 있는 건안 구씨의 설이 아주 좋다.


초구는 크게 일으킴이 이롭다.[初九 利用爲大作]

○ ‘작(作)’은 진(震)의 동(動) 상이다. ‘대작(大作)’에 대해서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음(陰)은 소(小)가 되고 양(陽)은 대(大)가 된다. 초효는 음이 아래에 있어서 본디 작은 것이다. 그런데 건(乾)의 양(陽)을 덜어서 초효에 보태 주니 큰 것이 된다.” 하였다.


육이는 혹 보태 주게 되면 열 벗이 도와주는지라 거북점도 능히 어기지 못할 것이나, 영구히 정고(貞固)하게 하면 길하니, 왕이 상제(上帝)에게 제향하더라도 길하다.[六二 或益之 十朋之 龜 弗克違 永貞 吉 王用享于帝 吉]

○ 이효는 음효(陰爻)로서 음의 자리에 있으니 정(貞)한 것이다. 그런데 유(柔)인 탓에 혹 지킴을 잃으므로 그 정(貞)함을 영구히 하면 길하다고 경계한 것이다. 그리고 이효는 가운데가 비었으면서 오효에 응하는데, 오효와 상효는 하늘의 자리이다. 그러므로 상제에게 제향(祭享)하는 상이 있는 것이다. 왕자(王者)가 그것을 쓰면 길하다고 하였는데,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왕(王)’은 오효를 가리킨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이는 점(占)으로써 말한 것이지 반드시 오효를 가리켜 말한 것은 아니다.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이효는 오효의 보태 줌을 받고 또 초효의 보태 줌을 받는다. 그러므로 ‘혹익지(或益之)’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


상에 이르기를, “혹 유익하게 한다는 것은 밖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하였다.[象曰 或益之 自外來也]

○ ‘외(外)’는 외괘(外卦)를 가리킨다.


육삼은……성실함이 있고 중도를 행하여야 공(公)에게 아뢸 적에 규(圭)를 쓰듯이 할 것이다.[六三……有孚中行 告公用圭]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고(告)’는 초효부터 오효까지에 이구(頤口) 상이 있다.” 하였다. ‘공(公)’은 삼효를 가리킨다. ‘규(圭)’는 옥(玉)으로 만드는데, 세 양효가 건(乾)이니 옥(玉)이 된다. 또 전체의 모양새가 규(圭)와 비슷하다. 삼효의 호체는 간(艮)으로 수(手)이다. 그러니 규를 잡는 상이 있는 것이다. ‘유부(有孚)’는 가운데가 빈 상이다. ‘고(告)’는 전체의 모양새인 이구(頤口) 상이다.


육사는 중도로 행하면 공에게 고하매 따르리니, 의지하며 국도(國都)를 옮김이 이롭다.[六四 中行 告公從 利用爲依 遷國]

○ 사효는 본디 곤체(坤體)인데 위로 올라가 사효로 옮겨 갔으니, 국도를 옮기는 ‘천국(遷國)’의 상이 있는 것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공(公)’은 사효를 가리킨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공(公)’은 오효를 가리킨다. ‘종(從)’은 오효가 사효를 따르는 것이고, ‘의(依)’는 사효가 오효에 의지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음과 양이 서로 비(比)의 관계가 되는 데에서 상을 취한 것이다. ‘공(公)’은 반드시 오효를 가리켜 공(公)으로 삼은 것이 아니라, 공가(公家)와 같은 말일 뿐이다.


구오는 은혜로운 마음에 정성을 두고 있다. 묻지 않아도 크게 선하여 길하니, 정성을 두어 나의 덕을 은혜롭게 여기리라.[九五 有孚惠心 勿問 元吉 有孚 惠我德]

○ ‘심(心)’은 오효가 감(坎)의 자리에 있는 상이다. ‘문(問)’은 이구(頤口) 상이다. ‘물(勿)’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아(我)’는 오효를 가리킨다. ‘혜(惠)’는 괘의 이름을 인하여 뜻을 취한 것이다.


상구는 유익하게 해 주는 이가 없다. 혹 공격하리니 마음을 세우되 항상하지 말아야 하니, 흉하다.[上九 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 ‘막익(莫益)’은 보태 줌이 극하여 변하는 상이다. ‘격(擊)’은 육효의 아래에 있는 간(艮)의 수(手) 상이다. ‘심(心)’은 상효가 변하면 감(坎)이 되며, 또 상괘가 감의 자리에 있으니 심(心)의 상이 있는 것이다. ‘입심물항(立心勿恒)’은 손(巽)의 상이다.


[주D-001]익괘(益卦)의 …… 좋다 :

항괘(恒卦)의 상전(象傳)에 대해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손(巽)은 입(入)인데 안에 있고 진(震)은 출(出)인데 밖에 있어, 두 물체가 각각 제자리에 있으니 그것을 일러 항(恒)이라 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것을 체받아 제자리에 서서 방소(方所)를 바꾸지 않는다. 우레가 들어가서 바람을 따르고 바람이 나와서 우레를 따라, 두 물체가 자리를 바꾸어 서로 따르니 그것을 일러 익(益)이라 한다. 그러므로 군자가 그것을 체받으니, 역시 개과천선하는 뜻이 있는 것이다. 이것이 항괘와 익괘의 두 상이 같지 않은 이유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괘(姤卦 )  (0) 2010.08.29
쾌괘(夬卦 )  (0) 2010.08.29
손괘(損卦 )  (0) 2010.08.29
해괘(解卦 )  (0) 2010.08.29
건괘(蹇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