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괘(革卦 )
○ ‘내부(乃孚)’는 괘 전체 모양이 가운데가 차 있는 상이다. ‘원형(元亨)’에 대해서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단전(彖傳)에서 말한 원형(元亨)은 모두 초효의 획이 양(陽)인 것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이정(利貞)’은 이효와 오효를 주로 하여 말하였다.
○ 주(註)에서 말한 ‘노비(爐鞴)’에서의 비(鞴) 자는 가죽 부대에서 바람을 내어 불을 부는 것이다.
○ ‘천지(天地)’는, 오효와 상효가 천(天)이고 초효와 이효가 지(地)로, 음양(陰陽)과 사시(四時)의 상이다. ‘탕왕과 무왕’은 오효를 가리킨다. 오효의 자리는 하늘의 자리이다. 그런데 아래에 있으니 하늘에 순하는 ‘순천(順天)’의 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효에 응하는데, 이효는 사람의 자리이니 사람에 응하는 ‘응인(應人)’의 상이다.
○ ‘공(鞏)’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초효가 변하면 간(艮)이 된다.
○ 단(彖)에서 말한 ‘유부(有孚)’는 괘 전체 모양이 가운데가 차 있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삼효와 사효, 오효에서 모두 ‘부(孚)’를 말하였다.
○ ‘명(命)’은 손(巽)의 상이다. ‘개명(改命)’은 이(離)가 하체(下體)이면서 상체(上體)로 나아가므로 상을 취한 것이다.
○ ‘면(面)’은 상효의 상이다. 상효가 바른 자리에 있으니 ‘군자(君子)’의 상이 있는 것이고, 음(陰)은 소(小)이니 ‘소인(小人)’의 상이 있는 것이다. ‘정흉(征凶)’은 상효가 끝에 있는 상이다. ‘거정(居貞)’은 음효가 음의 자리에 있는 상이다.
○ ‘빛남[炳]’은 양(陽)의 명(明) 상이다. ‘성대함[蔚]’은 음(陰)의 암(暗) 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