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1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둔괘(屯卦)]

 

건괘(乾卦)와 곤괘(坤卦) 다음에 둔괘(屯卦)와 몽괘(蒙卦)가 온 것에 대해 어떤 이는 “만물이 가득 차서 막혀 있는 뜻이다.[萬物盈塞之義]”라고 하였고 어떤 이는 “세 아들이 생육하는 공이다.[三子生育之功]” 하였는데, 그 내용에 대해 자세히 들려줄 수 있겠는가? “우레와 비의 움직임이 가득 찼다.[雷雨之動滿盈]”고 한 구에 대해 《정전(程傳)》에서는 “크게 형통하면서 정고하다.[大亨貞]”로 풀이하고 《본의(本義)》에서는 “제후를 세워 줌이 이롭다.[利建侯]”로 풀이한 것은 어째서인가? 대체로 둔(屯)이라는 말은 구름이 올라가고 우레가 내려오며 막힌 기운이 통하지 아니하여 비가 내리지 않는 것이다. 만약 구름이 변화하여 비가 되어 우레는 올라가고 비가 내려온다면 막혔던 기운이 변하여 풀리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형통하지 못하였던 것이 크게 형통하게 된다. 그러니 바야흐로 둔(屯)하였을 적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것이다. 공자께서는 원형(元亨)의 뜻을 밝히고자 하였으므로 단전에서 구름과 우레[雲雷]를 바꾸어 우레와 비[雷雨]라 하여 둔이 반드시 풀려서 형통한 도가 있음을 보여 준 것이니, 대개 둔이 끝나게 됨을 위주로 말한 것이다. 제후를 세워야 할 시기는 바로 구름과 우레가 통하지 않고 막혀서 어려움이 풀리지 않은 초기인데, 어떻게 “음기와 양기가 어울려서 우레가 일어나고 비가 내린다.”고 할 수 있겠는가. 그렇게 말한다면 《정전》이 순하겠지만, 《본의》에서 《정전》을 따르지 않은 것이 또 어찌 까닭이 없겠는가.

[성종인(成種仁)이 대답하였다.]
천지(天地)가 처음 나뉘어졌을 적에는 만물이 될 기(氣)가 가득 차 있으면서 통하지 않은 상(象)이 있고, 건곤(乾坤)이 교합(交合)을 하고서야 비로소 세 아들을 생육(生育)하는 공(功)이 있게 됩니다. 전자의 경우는 막혀서 통하지 않은 것이므로 괘상(卦象)으로만 말하였고, 후자의 경우는 일색(一索)과 재색(再索)을 논한 것이니 괘변(卦變)만을 가리켜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천둥과 비가 가득 차 있다.”고 한 구절에 대해서는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의 해석에 큰 차이가 있는데, 《정전》의 경우는 “크게 형통하고 정고하다.[大亨貞]”고 한 것을 하단(下段)에 붙였고 《본의》에서는 이를 상단(上段)에 붙였습니다. 그 형정(亨貞)을 하단에 붙일 경우 “천둥과 비가 가득 차 있다.”고 한 것은 괘덕(卦德)이 되고 상단에 붙일 경우 이는 괘상(卦象)이 되는데, 이 점이 바로 의의(意義)를 취한 것이 같지 않고 학설을 내세운 것이 각각 다른 까닭입니다. 그러나 ‘구름과 천둥’이라 하지 않고 ‘천둥과 비’라 하였으니 이렇게 보면 바야흐로 둔(屯)한 초기에서 그 마지막에는 반드시 풀릴 것임을 기대한 것이니, 이는 바로 크게 형통하는 도를 밝힌 것으로서, 《정전》의 해석이 아마도 이 괘(卦)의 본뜻과 부합할 듯하며 왕필(王弼)과 하해(何楷)의 두 학설도 이미 그러한 뜻을 밝힌 것입니다. 다만 《본의》에서도 이미 “음양이 교합하여 천둥이 일어나고 비가 내린다.[陰陽交而雷雨作]”고 하였으니 이는 형통의 뜻을 띠고 있는 것인데, 계속하여 “세상이 아직 안정되지 않아 명분이 밝혀지지 않았다.[天下未定 名分未明]”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이는 도리어 기(氣)가 막혀서 통하지 않은 것입니다. 따라서 위아래의 접속이 약간 모순되기는 하지만 《본의》에서 그렇게 말한 것도 어찌 그만한 이유가 없었겠습니까. 대개 “천둥과 비가 풀렸다.[雷雨解]”고 하지 않고 “구름과 천둥이 막혔다.[雲雷屯]”고 한 것은 바야흐로 둔(屯)할 때에는 성급하게 다 풀렸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하늘의 시운(時運)이 어지러워 밝지 않다.[天造草昧]”고 한 것은 즉 “질서가 잡히지 않아 명분이 밝지 못하다.”는 것이니 어찌 위 구절에서는 이미 형통하였는데 아래 구절에서는 도리어 막혀서 풀리지 않을 리가 있겠습니까. 그러하기 때문에 ‘뇌우(雷雨)’라는 구절에서 ‘초매(草昧)’라는 구절을 바로 연결시켜 일률적으로 풀이한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정자와 주자의 깊이 있는 뜻이 대략이나마 상상이 될 것 같습니다.


괘사(卦辭)에서 이른바 “정함이 이롭다.[利貞]”고 하고 “행하려고 하지 말라.[勿往]”고 하고 “제후를 세워 줌이 이롭다.[利建侯]”고 한 것은 아마 한 괘를 통틀어 말한 것 같은데, 효사(爻辭)에서는 초구(初九) 한 효(爻)에만 해당시킨 것은 어째서인가? 진(震)은 장자(長子)가 되므로 똑같이 제후로 세워 주는 상(象)이 있는데, 예괘(豫卦)에서 제후를 세워 주는 것을 먼저 말하고 군사를 행하는 것을 나중에 말한 것과 둔괘(屯卦)에서 행하지 말라는 것을 먼저 말하고 제후를 세워 주는 것을 나중에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예괘는 진이 위에 있고 둔괘는 진이 아래에 있기 때문인가, 아니면 제후를 세워 주는 상이 밑의 획에 있기 때문인가? “사슴을 쫓는다.[卽鹿]”의 녹(鹿) 자를 어떤 이는 “녹(麓) 자로 봐야 한다.”고 하고, “어찌 오래갈 수 있겠는가.[何可長]”의 장(長) 자를 어떤 이는 “늦출 수 없다.[不可緩]”는 뜻으로 보기도 하며, 또 어떤 이는 ‘경륜(經綸)’을 운(雲)과 뇌(雷)의 두 상에 나누어 배속시키기도 하는데, 이는 다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이다. 그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싶다.

[김계락이 대답하였다.]
“행하려고 하지 말라.”고 하고 “제후를 세운다.”고 한 것은 한 괘(卦)의 의의를 통틀어 말한 것입니다만, 초구(初九) 한 효는 진(震)으로서 초효(初爻)의 주(主)가 되었으니 이는 진실로 한 괘의 주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효에서 “제후를 세워 주는 것이 이롭다.”고 한 것은 초기에 세워 줌이 이로움을 보여 준 것이고 또한 늦출 수 없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기도 합니다. 예괘(豫卦)의 경우는 예비의 상(象)이 있으므로 “제후를 세운다.”는 말을 먼저 하였고 둔괘(屯卦)는 풀리지 않아 곤란한 때이므로 “제후를 세운다.”는 말을 나중에 한 것인데, 이는 다 만나는 처지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震)이 위에 있고 아래 있는 것과 제후를 세워 주는 상이 아래 획에 있는 것 때문에 먼저 말하고 나중에 말한 차이가 있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녹(鹿) 자를 녹(麓) 자로 본다든가 “오래간다.”고 한 장(長) 자를 “늦출 수 없다.”로 보는 것은 이미 《정전》과 《본의》의 해석이 아니니 진실로 취할 것이 못 됩니다. ‘경륜(經綸)’에서 운(雲)과 뇌(雷)의 두 상을 취하는 것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대개 군자는 풀리지 않아 곤란한 시대에 처하게 되면 온 세상의 일을 총괄하여 다스려야 하므로 정자와 주자가 해석한 것은 자연 의의가 있습니다. 그러나 임천 오씨(臨川吳氏 오징(吳澄))의 “하나에서 나뉘어지고 둘에서 합쳐진다.”라는 말은 견강부회에 가까울 듯합니다.


 

이상은 둔괘(屯卦)이다.


 

[주D-001]세 아들 : 둔괘(屯卦)의 초구(初九)는 장남(長男), 구오(九五)는 중남(中男), 그리고 몽괘(蒙卦)의 상구(上九)는 소남(少男)에 해당하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周易傳義大全 文王八卦次序圖》
[주D-002]일색(一索)과 재색(再索) : 첫 번째로 구하고, 두 번째로 구한다는 뜻이다. 순음(純陰)으로 된 곤(坤)이, 순양(純陽)으로 된 건(乾)에서 일색(一索)을 하여 맨 밑에 양효(陽爻)를 얻어 오면 진(震)이 되는데 이를 장남(長男)이라 하고, 재색(再索)을 하여 중간의 양효를 얻어 오면 감(坎)이 되는데 이를 중남(中男)이라 하며, 삼색(三索)을 하여 맨 위의 양효를 얻어 오면 간(艮)이 되는데 이를 소남(少男)이라 한 데서 온 말이다. 《周易傳義大全 文王八卦次序圖》
[주D-003]왕필(王弼)과 …… 학설 : 《주역주소(周易注疏)》 왕필의 주에 “강(剛)ㆍ유(柔)가 교합(交合)하지 않으면 비색(否塞)하기 때문에 둔(屯)이지만 이는 곧 크게 형통하게 되는 것이다.”라고 한 것과 《대역택언(大易擇言)》 하해(何楷)의 주에 “구름이 비가 되어 막혔던 것이 풀리면 크게 형통하게 된다.”고 한 말을 가리킨 것이다.
[주D-004]하나에서 …… 합쳐진다 : 이 말은 둔괘 상사(象辭)에 나오는 ‘경륜(經綸)’의 의의를 풀이한 것으로, “경(經)은 먼저 그 순서를 종합하여 하나가 되게 한 다음에 나뉘는 것으로 우레[雷]가 하나에서 나누어지는 상(象)이고, 윤(綸)은 그 실마리를 간추려 둘이 되게 한 다음에 합치는 것으로 우레가 둘에서 합쳐지는 것과 같다.” 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