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1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송괘(訟卦)]
양은 강하면서 진실함이 있고 위험을 만났을 적에 경솔하게 나가지 않으니, 그 도를 얻게 되면 물을 건너는 데 이로운 상(象)이 되지만 그 도와 반대가 되면 물을 건너는 데 이롭지 못한 상이 됩니다. 이 점이 두 괘의 의의가 다른 까닭입니다. 기다릴 수 있으므로 진실함이 있어 빛나고 형통하여 마침내 길(吉)한 결과를 이루게 되고, 송사로 다투기 때문에 진실함은 있지만 일이 풀리지 않아 마침내 흉하게 되리라는 경계가 있는 것이니, 역시 두 괘의 내용이 다른 것입니다. 구이(九二)의 “송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정전(程傳)》은 의리를 위주로 말하였으므로 “도리로 보아 이길 수 없다.”고 하였고 《본의(本義)》는 상점(象占)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형편으로 보아 대적할 수 없다.”고 하였는데, 그 구이가 구오(九五)와 대적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두 양효(陽爻)는 상응(相應)이 되어도 두 강(剛)은 서로 어울릴 수 없다는 점에서 서로 다투는 듯한 기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임금과 신하의 정해진 지위를 위주로 말하면 대적[敵]이라고 말할 수 없어 도리[義]라고 한 것이고, 안과 밖의 괘효(卦爻)를 위주로 말하면 굳이 도리라 말할 필요가 없어 대적이라고 말한 것이니, ‘도리’라 하고 ‘대적’이라 한 것은 각각 타당한 바가 있을 뿐이며 굳이 그 어느 것이 낫다고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늘과 물이 서로 위배되는 것은 괘체(卦體)와 괘상(卦象)으로서 송사를 함이 되고, 강함과 험함이 서로 접하는 것은 괘덕(卦德)과 괘재(卦才)로서 송사를 함이 됩니다. 따라서 가리킨 바는 비록 다르나 그 이치는 서로 연관성이 있으니, 만약에 낮은 지위에 있는 군자가 “송사를 중간에 그만두면 괜찮지만 끝까지 끌고 가면 흉하다.”고 하는 이치를 안다면 송사가 종식될 것이고, 높은 자리에 있는 대인(大人)이 진실로 한쪽 말만 듣거나 사심(私心)에 얽매이는 잘못이 없다면 송사가 중지될 것입니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강의(經史講義)38 - 비괘 (0) | 2010.12.21 |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사괘 (0) | 2010.12.21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수괘 (0) | 2010.12.21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몽괘 (0) | 2010.12.21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둔괘 (0) | 201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