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
[돈괘(遯卦)] |
돈괘(遯卦)의 의의(意義)에 대해서는 《정전》과 《본의》에 상세하다. 그러나 여섯 효(爻)로 본다면 다 같이 물러난다는 뜻이다. 위의 세 효에서는 “좋아하면서도 물러남이다.”, “아름답게 물러남이다.”, “살찌게 물러남이다.”라고 하여 용퇴(勇退)를 부러워하는 뜻이 있고, 아래 세 효에서는 “물러나는 데 꼬리 격이라 위태롭다.”, “누런 소가죽을 잡음이다.”, “물러남에 미적거리는 것이다.”라고 하여 미련을 둔 채 결단을 못하는 뜻이 있으니, 어째서인가? 이는 이 괘의 상괘와 하괘 중에 위의 건(乾)은 강건(剛健)한 것이고 아래의 간(艮)은 중지하는 것으로 강건함은 결단하기가 쉽고 중지함은 움직이기가 어려워서 그러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두 음효는 차츰 자라고 네 양효는 바야흐로 물러가는데 점점 자라는 것은 주(主)가 되고 바야흐로 물러가는 것은 빈(賓)이 되기 때문에 그런 것인가? 아니면 군자는 양에 속하여 벼슬길에 나아갈 때는 신중을 기하고 물러남은 쉽게 하므로 백구(白駒)를 타고 빈 골짝에 간 것처럼 미련 없이 훌쩍 떠나는 것이고, 소인은 음에 속하기 때문에 세력을 좋아하고 이익을 탐하므로 노둔한 말이 콩깍지를 못 잊는 것처럼 명리에 연연하여 결정하지 못하는 것인가? 이것이 위의 세 효에는 아름답고 좋은 칭찬이 있고 아래의 세 효에는 얽매이고 집착하는 일이 있게 된 까닭인가?
‘물러난다’고 하는 뜻은 같은데 위의 세 효는 용퇴하는 뜻이 있고 아래의 세 효는 연연하여 결정하지 못하는 뜻이 있습니다. 이것이 성상(聖上)의 질문에서 반복하며 유추하여 풀이하신 까닭인데, 그 첫 번째 것은 건(乾)은 강건한 것이므로 결정하기가 쉽고 간(艮)은 중지하는 것이므로 움직이기가 어렵다는 것이고, 두 번째 것은 자라나는 음(陰)은 주(主)가 되고 물러나는 양(陽)은 빈(賓)이 된다는 것이고, 세 번째 것은 군자는 양에 속하므로 물러남이 쉽고 소인은 음에 속하므로 물러남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 몇 가지는 진실로 괘(卦)와 효(爻)에 대해 오묘한 뜻을 터득하신 것으로서 신(臣)과 같이 어리석은 자는 더 의논드릴 것이 없습니다. 다만 괘상(卦象)으로 말씀을 드리면 건은 강건한 것으로 위에 있기 때문에 ‘좋다’라던가 ‘아름답다’라고 일컬은 것이 위의 효에 많이 있고, 간은 중지하는 것으로 아래에 있기 때문에 ‘잡는다’라던가 ‘얽매인다’라고 일컬은 것이 아래의 효에 많이 있는데, 이는 대체로 그러한 것입니다. 또 만약에 효마다 나누어서 말한다면 백구(白駒)를 타고 빈 골짝을 찾아 미련 없이 훌쩍 떠나는 것은 상구(上九)에서 “살찌게 물러남이다.”라고 한 것이 이와 비슷하고, 노둔한 말이 콩깍지를 못 잊어 기웃거리며 연연해하는 것은 구삼(九三)에서 “물러남에 미적거리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 이와 비슷합니다. 그리고 초육(初六)의 음과 구사(九四)의 양과 같은 경우는 진실로 점점 자라는 것이 주가 되고 바야흐로 물러나는 것이 빈이 됩니다. 그러나 육이(六二)의 한 효에 대해서는 시대의 사정과 형편에 맞게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저 구오(九五)의 임금과는 중정(中正)한 도로써 친합(親合)하여 그 견고함이 지극한 사이인데, 그러한 육이가 물러나고자 하는 것은 군석(君奭)이 성왕(成王)에게 은퇴(隱退)를 청한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오기(吳綺)가 “물러남이 합당치 않다.”고 한 말은 이 효에 해당하는 시기에 그러한 것입니다. 이렇게 해설해 가면 돈괘 여섯 효의 의의가 거의 풀리지 않음이 없을 것입니다.
대상(大象)에 이르기를, “군자가 본받아서 소인을 멀리하되 나쁘게 대하지 않고 엄숙하게 한다.”고 하였는데, ‘멀리한다’고 한 원(遠) 자를 극히 잘 보아야 하겠다. 오직 멀리하기 때문에 엄숙함이 생기는 것이고 엄숙하기 때문에 나쁘게 대하지 않아도 절로 멀어지는 것이다. 거룩하신 하늘이 언제 사람을 두렵게 하려는 뜻이 있었겠는가. 그러나 사람이 스스로 두려워하는 것은 하늘이 지극히 험난하여 오를 수가 없고 해와 달은 타고 넘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말소리와 얼굴색을 크게 하지 말아야지 만약에 표정으로 나타내게 되면 소인을 멀리하는 방도에 있어서는 근본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그 말은 경문(經文)의 뜻과 어긋나는 것이 아닌가?
산이 사람을 거절하는 것은 아니나 산이 높아서 사람이 올라갈 수 없는 것처럼 군자가 소인을 끊는 것은 아니나 엄숙하여 범할 수 없는 것이니, 이것이 대상(大象)의 뜻이 아니겠습니까. 예를 들어 여기에 두 사람이 있는데 한 사람은 군자이고 한 사람은 소인이면, 군자로서는 진실로 소인과 관계를 끊게 마련인데 그 끊는 방법이 어찌 다른 데에 있겠습니까. 그 몸가짐을 근엄하게 하고 말을 법도 있게 하여, 바라보면 마치 가을철의 서리나 뜨거운 햇빛 같아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위엄이 있고 범할 수 없는 응집된 기상이 있게 되면 저 소인은 반드시 멀리하려고 하지 않아도 절로 멀어지게 될 것인데, 어찌 졸장부가 화를 내는 것처럼 해서야 되겠습니까. 진실로 엄숙한 자세로써 두려워하게 하지는 못하고 다만 나쁜 말과 사나운 표정으로 간사한 사람을 멀리하는 방법으로 삼으면 원망만 사게 될 것이니, 어찌 공자가 ‘말을 삼가라’고 하신 교훈에 맞는 것이 되겠습니까. 저 하늘이 소리와 냄새로 찾아볼 수 있는 것이 아닌데도 백성들이 쳐다보며 공경하는 것은 위엄을 내세우지 않아도 절로 위엄이 서기 때문이며, 군자가 기뻐함과 성냄을 나타내지 않는데도 소인이 멀어지는 것은 공경을 하면서 멀리하기 때문입니다. 엄숙하게 함과 멀리하는 것을 서로 본말(本末)로 삼으면 경문(經文)에서 “나쁘게 대하지 않는다.”고 한 뜻이 확 들어올 것입니다.
[주D-002]노둔한 …… 것처럼 : 작은 이익에 얽매여 큰 것을 보지 못하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다. 《三國志 卷9 魏書 曹爽傳》
[주D-003]군석(君奭)이 …… 청한 것 : 군석은 주(周) 나라 성왕 때 사람으로 나이가 많아지고 벼슬이 높아지자 물러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하여 은퇴를 청하였다. 《書經 君奭》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강의(經史講義)39 - 진괘 (0) | 2010.12.22 |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대장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항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함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리괘 (0)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