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
[대장괘(大壯卦)] |
구삼(九三)의 상사(象辭)에 “소인은 강장(強壯)함을 쓰지만 군자는 그러함이 없다.[小人用壯 君子罔也]”라고 하였는데, 이는 바로 돈괘(遯卦)에서 “군자는 물러나기를 좋아하나 소인은 그렇지 않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의 문세(文勢)이다. 그 뜻은 이를테면 소인은 강장함을 쓰려고 하지만 군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대개 대장괘(大壯卦)의 구성으로 말하면 네 양(陽)은 바야흐로 왕성한 상태이나 두 음(陰)은 물러나는 격인데, 강한 건(乾)으로서 움직이는 진(震)의 동(動)을 받아서 찢는 듯이 포효하는 기세가 바야흐로 나아가고 중지하지 않으니, 강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강장은 군자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강강(剛強)함이 지나칠 것을 걱정하였다. 그래서 “숫양이 울타리를 받는다.”고 한 비유로써 구삼이 지나치게 강함을 내비치며 말하기를, “소인은 강장함을 쓰고 군자는 그러함이 없다.[小人用壯 君子用罔]”라고 하였으니, 이는 군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 주면서 억제시키는 말이다. 그러나 선대의 학자 중에 혹 ‘그러함이 없다’고 할 때의 망(罔) 자를 ‘망라(網羅)’라고 할 때의 망(網)으로 보는 이도 있는데, 이는 아주 잘못된 것이다. 그리고 《정전》과 《본의》에서는 또 ‘멸시’의 뜻으로 보았는데, 감히 꼭 그러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오직 곽옹(郭雍)의 설(說)만이 이것과 부합하는데, 과연 경문(經文)의 뜻에 어긋나지 않는 것인가?
여기의 망(罔) 자는 소상전(小象傳)의 문세(文勢)로 보면 ‘그러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풀이해도 잘못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경문(經文)에서 글자를 놓은 의도를 자세히 보면 “군자는 망(罔)을 쓴다.[君子用罔]”고 한 것으로 “소인은 장(壯)을 쓴다.[小人用壯]”고 한 것의 대구(對句)를 삼아 망(罔) 자를 바탕으로 삼고 용(用) 자를 먼저 놓았으니, 대개 “소인은 장을 쓰고 군자는 망을 쓴다.”고 한 말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소인은 장을 쓰고 군자는 그렇지 않다.”고 한 것이라면 당연히 상전(象傳)의 글처럼 ‘군자망야(君子罔也)’라고만 하였을 것인데, 굳이 용(用) 자를 첨가하여 ‘용망(用罔)’이라고 함으로써 용장(用壯)이란 글에 대구로 삼았겠습니까. 다만 상전에서는 글을 생략하여 위 글에서 용장이라고 한 글을 그대로 따랐으되 ‘용망’이란 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학자들이 그로 인하여 문득 여러 갈래의 해석을 한 것인데, 그러한 학자들의 말은 경문의 뜻과 어찌 거리가 없겠습니까.
상전(象傳) 중에 그러한 문세(文勢)는 진실로 많습니다. 환괘(渙卦)의 상구(上九) 본문(本文)에는 ‘환기혈거(渙其血去)’라고 되었으나 상전에서는 ‘환기혈(渙其血)’이라고만 하였으니, 이와 같은 경우는 어찌 글을 생략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효사 중의 아래 문단의 문세로 보면 ‘정려(貞厲)’라는 두 글자를 ‘군자용망(君子用罔)’이라고 한 아래에 붙여 놓았으니, 이는 군자이거나 소인이거나 모두 융통성 없이 고수(固守)하기만 하면 위태롭다는 뜻입니다. 진실로 혹자의 말대로 군자로 하여금 강장함을 쓰지 않게 한 것이라면, 그 끝에 어찌 고수하면 위태롭다는 경계가 있을 리가 있겠습니까. 대체로 구삼(九三) 효로 말하면 이중(二重)으로 강하면서 중(中)의 자리도 아니니 대장(大壯)의 시대에 군자는 뜻이 강하고 소인은 힘을 숭상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뿔이 걸린 격이어서 고집하면 위태로운 상(象)이 있습니다. 《정전》과 《본의》의 풀이가 명백하여 의심할 여지가 없으니 아마도 다른 해설을 별도로 구할 것이 없을 것 같습니다. 고주(古註)의 ‘망라(網羅)’라고 풀이한 학설은 선대 학자들도 이미 취택하지 않은 것인데, 굳이 따질 필요가 있겠습니까.
장(壯)과 양(羊)은 음이 서로 비슷한 데다가 괘(卦)의 호체(互體)로서는 태(兌)가 되는데, 태도 양(羊)에 배속된다. 이것이 대장괘에서 반드시 숫양의 상을 취한 까닭인가? 《본의》에서 “구삼(九三) 앞에 구사(九四)가 있음은 울타리가 있는 상이 되고, 구사 앞에 두 음효(陰爻)가 있음은 울타리가 터진 상(象)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렇게 미루어 보면 육오(六五)에서 “양을 잃었다.”고 하는 것은 또한 울타리가 터져서 양이 뛰쳐나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상육(上六)에 이르러서는 울타리가 이미 터진 것인데 어찌하여 “울타리를 받았다.”고 하였는가?
이 괘에서 양(羊)을 취한 것은 쾌괘(夬卦)에서 양을 끌고 가는 것에 비유한 것과 같은 뜻입니다. 대개 이 괘의 구성체는 네 양(陽)이 함께 나아가는데, 구사(九四)와 육오(六五)의 두 효가 한 괘의 주체입니다. 그런데 강(剛)으로 유(柔)를 결단(決斷)함에 있어 그 강함을 다하지 않는 상이 있으므로 구사는 울타리가 터지는 길(吉)함이 있는 것이고, 육오의 양(羊)을 잃은 것과 같은 경우는 이미 뛰쳐나간 상이 있습니다. 따라서 상육의 경우는 울타리가 이미 터진 것이므로 또다시 ‘울타리를 받는다’는 말을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정전》과 《본의》의 풀이를 보면 육오는 음유(陰柔)로서 중(中)의 자리에 있으니 그 강장(強壯)함을 잃어서 들이받을 수가 없는 상이 있고, 상육은 강장함이 끝나고 움직임이 극에 달하여 물러갈 수도 없고 그대로 나아갈 수도 없는 상이 있습니다. 대개 양(羊)은 뿔로 들이받는데 상육은 마침 뿔의 자리에 해당하므로 비록 음효(陰爻)라도 “울타리를 받는다.”고 한 것입니다. 이는 진괘(晉卦)에서 “그 뿔에 나아감이다.”라고 한 것 및 구괘(姤卦)에서 “그 뿔에서 만남이다.”라고 한 것과 참고해 볼 수 있으니, 그렇다면 대장괘가 울타리를 들이받는 데에서 경계를 취한 뜻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강의(經史講義)39 - 명이 (0) | 2010.12.22 |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진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돈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항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함괘 (0)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