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의 꼬리를 밟더라도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다.[履虎尾 不咥人 亨]

○ ‘호(虎)’는 건(乾)의 상을 취한 것이다. 손(巽)이 아래에 있으니 꼬리를 밟는 이미(履尾)의 상이 있다. ‘부질(不咥)’은 태(兌)의 열(說) 상을 취한 것이다. 《장자(莊子)》에 이르기를, “호랑이가 자기를 길러 주는 사람에게 잘보이려는 것은 순종해서이다.[虎媚養己者 順]” 한 것이 이것이다. ‘인(人)’은 손체(巽體)를 가리킨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상체와 하체 양체(兩體)로써 말하면 두 사람이고, 여섯 효(爻)로써 말하면 여섯 사람이다.” 한 것이 이것이다.

○ ‘호(虎)’는 태(兌)의 상을 취한 것이다. 초효가 머리가 되고 삼효가 꼬리가 된다. 건(乾)이 태(兌)를 탔으니, 꼬리를 밟는 상이 있는 것이다. ‘부질(不咥)’은 건(乾)은 강(剛)하고 태(兌)는 약(弱)한 상으로, 풍부(馮婦)와 같은 무리가 어찌 물릴 리가 있겠는가. ‘인(人)’은 건체(乾體)를 가리킨다. 혹자가 말하기를, “태(兌)의 우획(偶劃), 즉 세 번째 획은 구(口) 상으로, 범이 쭈그리고 앉아 있는 상이 있다. 건(乾)이 등 위에 있으면서 그것을 밟으니, 꼬리를 밟는 상이 있다.” 하였다.


초구는 본래의 행함으로 가면[初九 素履 往]

○ 전(傳)의 “가고 머물지 않는 것은 행(行)의 뜻이다.[履不處 行之義]”에서 ‘이(履)’는 천리(踐履)로, 행하는 바를 가리킨다.


육삼은 애꾸눈이 보며 절름발이가 걷는 것이다. 범의 꼬리를 밟아 사람을 무니, 흉하다. 무인(武人)이 대군(大君)이 되었다.[六三 眇能視 跛能履 履虎尾 咥人 凶 武人 爲于大君]

○ ‘묘능시(眇能視)’에서 묘(眇)는 이(離)의 목(目) 상(象)이다. 운봉 호씨(雲峯胡氏)가 말하기를, “육삼은 정(正)이 아니니, 보는 것이 바르지 않으면 애꾸눈인 것이다.” 하였다. ‘능시(能視)’는 상구(上九)에 응하는 상이다. ‘파능리(跛能履)’에서 파(跛)는 손(巽)의 고(股) 상이다.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육삼은 중(中)이 아니니, 가는 것이 가운데가 아니면 절름발이인 것이다.” 하였다. ‘능리(能履)’는 구이(九二)를 타는 상이다. ‘이호미(履虎尾)’에서 이(履)는 육삼(六三)을 가리키는 것으로, 구사(九四)와 비(比)의 관계에 있는 상이다. ‘호(虎)’는 건(乾)의 상이며, ‘미(尾)’는 구사가 건체(乾體)의 맨 아래에 있음을 형상한 것이다. ‘질인흉(咥人凶)’에서 질(咥)은 태(兌)의 구(口) 상이다. ‘인(人)’은, 육삼은 사람의 자리이고 삼효에서 오효까지가 태(兌)의 반체(反體)이며 육삼은 그 입[口]에 해당한다.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육삼은 상구(上九)에 응하니, 그 머리가 응하는 상이다.” 하였다. ‘무인 위우대군(武人爲于大君)’에 대해서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무인(武人)은 음(陰)의 상이며, 대(大)는 양(陽)이다. 한 유(柔)로서 괘(卦)를 이루는 주인이 되어 다섯 양(陽)을 통할하는 상이다.” 하였다.

○ ‘묘(眇)’는 이(離)의 목(目) 상을 취한 것이고, ‘파(跛)’는 손(巽)의 고(股) 상을 취한 것이다. 육삼은 정(正)이 아니니, 보는 것이 바르지 않으면 애꾸눈인 것이다. 그리고 육삼은 중(中)이 아니니, 가는 것이 가운데가 아니면 절름발이인 것이다. 상구(上九)에 응하므로 능히 볼 수가 있고, 구이(九二)를 타므로 능히 밟을 수가 있는 것이다. ‘호(虎)’는 태(兌)의 상을 취하였고, ‘미(尾)’는 육삼(六三)의 상을 취하였다. 하체(下體)로써 말하면 초구(初九)는 시작이 되고, 육삼은 끝이 된다. ‘질(咥)’은 태(兌)의 구(口) 상을 취하였다.

‘인(人)’은 삼효(三爻)를 가리키는데, 삼효는 바로 사람의 자리이다. ‘무인(武人)’은 육삼의 음(陰) 상을 취하였는데, 문무(文武)로써 말하면 문(文)은 양이 되고 무는 음이 되며, 생살(生殺)로써 말하면 양은 생(生)을 주장하고 음은 살(殺)을 주장한다. ‘대군(大君)’은, 대(大)는 양이고 육삼이 하체의 맨 위에 있으니 군(君)의 상이 있는 것이다.


상구는 행한 것을 보아 길하고 흉함을 상고하되, 그 주선함이 완벽하면 크게 길하다.[上九 視履 考祥 其旋 元吉]

○ ‘시(視)’는, 상구(上九)가 이(離)와 손(巽) 두 체(體)의 맨 위에 있는데, 이(離)는 목(目)이 되고 손(巽)은 안(眼)이 되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삼효에서 오효까지는 그 체가 손(巽)과 흡사하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상(祥)’은, 왕보사(王輔嗣)가 말하기를, “양(陽)으로서 음의 자리에 처하였으니 겸손한 것이다.” 하였다. 겸손은 예(禮)를 제정하고 도(道)를 행하는 지극한 선(善)이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상(祥)’은 건(乾)의 천(天) 상을 취한 것이다. 상서(祥瑞)는 하늘에서 내리는 것으로, 《서경(書經)》에 “착한 일을 하면 온갖 상서로움이 내려진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음과 양이 조화로우면 상서를 불러온다.” 하였다. 양효(陽爻)로서 음의 자리에 거하였으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선(旋)’은 하늘이 운행하는 상을 취한 것으로,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선(旋)은 바로 둥글게 돌아서 문득 처음 시작하였던 곳에 도달하는 것이다.”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하늘이 운행하는 상이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풍부(馮婦) : 춘추전국 시대의 진(晉)나라 사람으로,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았다고 한다. 《孟子 盡心下》
[주D-002]왕보사(王輔嗣) : 보사는 왕필(王弼)의 자이다. 왕필은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산양(山陽) 사람으로, 유도(儒道)에 대해서 논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주역(周易)》과 《노자(老子)》에 대한 주석을 냈다.
[주D-003]선(旋)은 …… 돌아서 : 이 부분이 원문에는 ‘旋是團旋來’로 되어 있는데, 《주역》 권5에 의거하여 ‘旋是那團旋來’로 바로잡았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괘(否卦 )  (0) 2010.08.29
태괘(泰卦 )  (0) 2010.08.29
소축괘(小畜卦 )  (0) 2010.08.29
비괘(比卦 )  (0) 2010.08.29
사괘(師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