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는 크게 선하고 형통하니, 대천을 건넘이 이롭다.[蠱 元亨 利涉大川]
○ 융산 이씨(隆山李氏)가 말하기를, “고괘(蠱卦), 승괘(升卦), 정괘(鼎卦), 대유괘(大有卦)에 모두 ‘원형(元亨)’이라고 하였는데, 양효(陽爻)인 구가 이효의 자리에 있고 음효인 육이 오효의 자리에 있으므로 모두 원형이라고 한 것이다. 손괘(損卦)에는 ‘원길(元吉)’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강(剛)인 양의 획이 상효에 응하고 있음을 위주로 하여 말한 것이다.” 하였다.
○ ‘이섭(利涉)’은, 하괘(下卦)가 손목(巽木)이고, 삼효부터 오효까지가 진목(震木)이며, 또 삼효부터 상효까지가 이체(頤體)로 가운데가 빈 배의 상이 있음을 취한 것이다. ‘대천(大川)’은, 이효부터 사효까지가 태택(兌澤)이고, 또 초효부터 사효까지가 감체(坎體)이며, 삼효부터 상효까지가 이체(離體)로 그 복체(伏體)가 감체인바, 모두 대천(大川)의 상이 있음을 취한 것이다.
○ 내가 생각건대, 산(山)은 본디 고요한데 바람이 그것을 어지럽히고, 성품은 본디 선한데 욕심이 그것을 어지럽힌다. 그러므로 군자가 이 상(象)을 보고서 자신에게 그런 것이 있으면 배양하고, 남에게 그런 것이 있으면 새롭게 진작시켜 준다. 혹자가 말하기를, “가르쳐서 교화시키는 것[漸摩]은 손(巽)의 입(入) 상이고, 머물러서 고요한 것[定靜]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하였다.
○ 바람이 산을 만나서 돌면 물건이 다 흩어져서 어지럽게 되어 일이 생기게 된다. 흩어져서 어지럽게 되어 일이 생기는 상을 보고는, 백성에 대해서는 덕을 진작시켜서 어지러움을 구제하고, 자신에 대해서는 덕을 길러서 잘못됨이 없게 한다. 먼저 백성을 말한 것은 어긋나고 어지러운 것을 다스리는 것으로써 말한 것이다. 덕을 기르는 것은 백성을 진작시키는 근본이다.
○ 본의(本義)의 주(註)에 융산 이씨가 운운하였다. ‘바람이 산을 떨군다[風落山]’는 것은 ‘바람이 산을 만나면 물건이 어지러워진다’는 말을 증명하고, 이를 인하여 아래의 한 구절을 해석한 것이지, 윗글의 뜻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 초효부터 사효까지가 감체(坎體)와 비슷하고, 삼효부터 오효까지가 진체(震體)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손(巽)의 복체(伏體)가 진(震)이고, 삼효가 변하면 간(艮)인데, 모두 자(子)의 상이 있다.” 하였다, ‘고(考)’는 건체(乾體)를 가리키고, ‘여(厲)’는 음(陰)의 유(柔) 상이다. ‘종(終)’은 시(始)의 대(對)가 되는 말로, 《서경》에서 말한 ‘처음에서 끝을 삼간다[愼終于始]’와 같은 말이다.
○ ‘정(貞)’은 곧고 굳세다는 뜻인 정견(貞堅)으로, 구이가 강(剛)한 양이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 육사는 유(柔)로서 유의 자리에 있으므로 ‘유(裕)’의 상인 것이다. ‘견(見)’은 체(體)가 이(離)와 흡사한 상이다.
○ ‘왕(王)’은 오효를 가리키고, ‘후(侯)’는 사효를 가리킨다. 상효는 자리[位]가 없으므로 ‘불사(不事)’라고 한 것이며, 상효의 위치에 있으므로 ‘고상기사(高尙其事)’라고 한 것인데, 역시 간(艮)의 상이다.
○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하기를, “상효가 아버지가 되므로 본효(本爻)에서는 아버지를 칭하지 않고서 다른 효에서 아버지를 말하였으며, 오효가 어머니가 되므로 본효에서는 어머니를 말하지 않고서 다른 효에서 어머니를 말하였다. 집안의 일로써 말한다면, 상효가 아버지가 되고 오효가 어머니가 되며 다른 효들이 자식이 된다. 나라의 일로써 말한다면, 오효가 임금이 되고 아래의 네 효가 일을 하는 신하가 되며 상효 한 효는 섬김이 없는 신하가 된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고괘(蠱卦)는 태괘(泰卦)로부터 변한 것이니, 하체(下體)는 본디 건(乾)으로 아버지의 도(道)이고, 상체(上體)는 본디 곤(坤)으로 어머니의 도이다. 그러므로 여러 효들이 모두 자식이 되는 상을 취한 것이다. 이효는 오효에 응하여 어머니를 칭해 상체가 어머니가 됨을 밝혔고, 오효는 이효에 응하여 아버지를 칭해 하체가 아버지가 됨을 밝혔다. 초효는 건체(乾體)의 하효를 이어받았고 삼효는 건체의 끝에 있으며 사효는 건체의 뒤를 이었는데, 모두 아버지를 칭하고 건체(乾體)를 인하여 상을 취하였다. 상효는 안에서 응함이 없고 또 섬기는 밖에 있으므로 그 뜻을 취한 것이 각별하다.
혹자가 말하기를, “하늘이 높고 땅이 낮은 것은 바꿀 수 없는 정해진 이치이다. 지금 내괘(內卦)를 아버지로 삼고 외괘(外卦)를 어머니로 삼았으니, 존비(尊卑)의 나뉨과 내외(內外)의 구별에 있어서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하였다. 이에 내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만약 위에 있으면서 굳세기만 하고 아래에 있으면서 부드럽기만 하여 서로 접하는 정(情)이 없다면, 내 생각에는 집안의 도가 막히지나 않을까 염려된다. 더구나 고괘(蠱卦)는 태(泰)가 변하여 고(蠱)가 되었으니, 다스림이 극해진 뒤에 어지러움이 생겨난 것이다. 그리고 괘 안에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이 없다. 여러 효(爻)에 대해서 아버지라 칭하고 어머니라 칭한 것은 모두가 자식을 가리켜서 말한 것이다. 그러니 이른바 아버지와 어머니란 것이 과연 어디에 있는가. 주자(朱子)가 ‘고(蠱)라는 것은 앞사람이 이미 괴란시킨 나머지이다. 여러 효에는 모두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이 있다.’ 한 것은 아마도 이를 가리켜서 말한 것인 듯하다.”
[주D-001]융산 이씨(隆山李氏) : 남송(南宋)의 학자인 이순신(李舜臣)을 가리킨다. 이순신은 자가 자사(子思)이며, 고금의 학문에 통달하였고 특히 역(易)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역본전(易本傳)》, 《군경의(群經義)》가 있다.
[주D-002]고괘(蠱卦) …… 것이다 : 고괘, 승괘(升卦), 정괘(鼎卦), 대유괘(大有卦)에는 모두 “크게 선하고 형통하다.[元亨]” 하였고, 손괘(損卦)에는 “손괘는 성실함을 두면 크게 선하여 길하다.[損 有孚 元吉]” 하였다.
[주D-003]융산 이씨가 운운하였다 : 융산 이씨가 말하기를, “산 아래에 바람이 있으면 바람이 산을 떨구는 것은, 산의 나무가 부러져서 괴란(壞亂)되는 상(象)을 이른 것이다. 괴란된 것을 바로잡는 자는 반드시 진작시켜 일으켜 세워야 하는 법이다. 백성을 진작시키는 것은 풍(風)인 손(巽)이 북을 쳐 호령하는 것과 같다. 덕을 기르는 것은 산(山)인 간(艮)이 재목감을 기르는 것과 같다. 역(易) 가운데에서는 덕을 기르는 것을 대부분 산(山)에서 취하고 있다. 그러므로 몽괘(蒙卦)에도 말하기를, ‘행실을 과단성 있게 하여 덕을 기른다.[果行育德]’ 하였다.” 하였다.
[주D-004]손(巽)의 …… 간(艮)인데 : 이 부분은 원문이 ‘巽之伏震 三變則艮’으로 되어 있는데, 손(巽)의 삼효가 변하면 감(坎)이 되고, 진(震)의 삼효가 변하면 이(離)가 되니, 간(艮)으로 되는 경우가 없다. 간(艮)이 되기 위해서는 손(巽)의 이효가 변해야 되니 ‘巽之伏震 二變則艮’으로 바로잡아야 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