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1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비괘(否卦)]
비괘(否卦)의 성격은 안은 소인(小人)이고 밖은 군자(君子)인데, 아래에 있는 세 음효는 소인의 상(象)이다. 그런데 《정전(程傳)》에서는 아래에 있는 군자로 본 것은 어째서인가? 초육의 “띠 뿌리를 뽑는 것 같다.[拔茅]”고 한 것에 대해 《본의(本義)》에서는 “소인이 무리 지어 나오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왕씨(王氏)는 “군자가 무리를 이끌고 물러가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초육의 “길하면서 형통하다.[吉亨]”고 한 것에 대해 《본의》에서는 소인이 길하면서 형통한 것으로 보았고 혹자는 군자의 길하면서 형통한 것으로 여겼는데, 어느 것이 옳은가?
이 괘로 말하면 안은 소인이고 밖은 군자이므로, 비색하여 막히는 상이 있습니다. 만약 아래에 있는 세 음효를 가리켜 “아래에 있는 군자이다.”라고 한다면 태(泰)와 비(否)의 구별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그래서 주자(朱子)가 동수(董銖)의 질문에 대답하기를, “아마도 견강부회(牽强附會) 같은데 그런 뜻은 아니다.” 한 것입니다. 그러니 이 괘의 뜻은 본의대로 따라야 할 것입니다. 초육의 “띠 뿌리를 뽑는 것 같다.”고 한 뜻은 태괘(泰卦) 초구(初九)에서 “띠 뿌리를 뽑는 것 같다.”고 한 상(象)과는 참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정(征)’과 ‘정(貞)’ 두 자의 뜻을 구분해 보면 그 말뜻이 각각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왕씨와 혹자가 군자로 풀이한 것은 비록 《정전》의 뜻을 따른 것이기는 하나 아마도 《본의》의 풀이처럼 순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평지도 비탈이 될 수 있고 간 것은 돌아오게 되어 있으며 비색함이 극에 달하면 태평이 오는 것은 당연한 천리(天理)이다. 그런데 여기 상구(上九)의 효사에서 “비색함이 기울어진다.[否傾]”고 하지 않고 “기울어지는 비색함이다.[傾否]”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왕종전(王宗傳)은 “사람의 힘의 비중이 더 많다.”고 하였고 선대의 학자는 “하늘과 사람은 서로 이기는 이치가 있다.”고 하였는데, 그 태평함과 비색함이 교차되는 시점에 처하거나 그러한 기회를 당하게 되면 반드시 그 변화에 따라 지켜 가는 방법이 있게 마련이다. 만약에 그러하다면 이 세상은 영원히 태평스러우며 편하기만 하고 비색한 시기는 없단 말인가? 마침내 천운(天運)과 사람의 힘이 서로 이기는 비율은 어느 쪽이 더 많은가?
아무리 큰 실과라도 심지 않으면 싹이 나지 않고 기울어지려는 그릇은 붙들어 주지 않으면 바로 놓이지 않습니다. 비율로써 계산한다면 사람의 힘이 차지하는 비율이 더 많은데, 이것이 신포서(申包胥)가 “사람이 많으면 하늘을 이긴다.”고 말한 까닭입니다. 그런데 후세의 군신(君臣)들이 위기를 당하여 망해 가는 것을 그대로 보고 있으면서 구제하지 않은 것은 그 이치를 몰랐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비괘(否卦) 상구(上九)에서 “비색함이 기울어진다.[否傾]”고 하지 않고 “기울어지는 비색함이다.[傾否]”라고 한 것도 사람의 힘이 천운을 이길 수 있기 때문인 듯합니다. 선대 학자들의 말이 어찌 생각 없이 그렇게 하였겠습니까. 세상이 영원히 태평스러우며 편할 때만 있을 수 없는 것은 비록 천운이 바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람의 힘이 하늘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어찌 천운만을 탓하며 변화에 따라 지켜 가는 방법을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주D-002]정(征)과 …… 뜻 : 여기서의 ‘정(征)’은 태괘(泰卦) 초구(初九)의 ‘무리로 가면 길하다.[以其彙征吉]’고 할 때의 정을 말한 것이고, ‘정(貞)’은 비괘(否卦) 초육(初六)의 ‘무리와 같이 정고함을 지키면 길하면서 형통하다.[以其彙貞吉亨]’고 할 때의 정을 가리킨 것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강의(經史講義)38 - 대유괘 (0) | 2010.12.21 |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동인괘 (0) | 2010.12.21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태괘 (0) | 2010.12.21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리괘 (0) | 2010.12.21 |
경사강의(經史講義)38 - 소축괘 (0) | 201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