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1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대유괘(大有卦)]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에서는 믿음을 이행하고[履信], 순응하길 생각하고[思順], 어진 이를 높이는 것[尙賢]을 상구(上九)의 일로 보았는데, 곽옹(郭雍)은 육오(六五)의 일이라 하였다. 지금 “믿음을 이행한다.[履信]”고 한 이(履) 자를 관찰해 보면 육오는 성실한 믿음이 있는 자인데, 상구가 그 위에 있어서 성실한 믿음을 밟고 있는 뜻이 있으니, 《정전》의 말이 옳을 듯하다. 또 “어진 이를 높인다.[尙賢]”고 한 상(尙) 자를 관찰해 보면 상구는 어진 이가 되는데 육오가 그 밑에 있으면서 어질고 덕 있는 이를 높이는 뜻이 있으니, 이는 곽옹의 말이 옳은 듯하다. 어느 학설이 더 좋은지 모르겠다. 모든 괘의 공통적인 예를 생각해 보면 상효(上爻)는 쓸모없는 자리이고 오효(五爻)는 임금의 자리인데, 괘의 중요함은 군효(君爻)에 있는 것이고 보면 믿음을 이행하고, 순응하길 생각하고, 어진 이를 높이는 것을 육오에 배속시키는 것이 이치로 보아 더 낫다고 할 수 있겠는가?

[이익진이 대답하였다.]
효(爻)에 여섯 자리가 있는데 그중에서 오효를 임금으로 삼고, 유독 위의 한 효만을 지위는 없으면서 높은 자리에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그래서 제가(諸家)의 학설 중에 손님과 스승의 뜻으로 보거나 물러나 쉬는 자리로 말을 하기도 하는데, “기러기가 점점 공중으로 나아간다.[鴻漸于逵]”라든가 “왕후를 섬기지 않는다.[不事王侯]”는 것들이 그러한 것입니다. 이 괘에서 육오의 임금은 아래에 여러 어진 이들의 보필이 있지만, 상구는 강명(剛明)한 덕을 가지고 풍성한 대유(大有)에 처해 있으면서 뚜렷하게 하는 일도 없이 하늘에게 도움 받는 복을 누리고 있으니, 믿음을 이행하고 순응하길 생각하고 어진 이를 높이는 일은 다만 이치에 순응하고 도리에 맞게 하여 하늘과 사람의 도움을 얻는 경사를 말한 것입니다. 《정전》과 《본의》의 해석은 모두 이러한 뜻을 위주로 한 것인데, 만약 곽옹의 말대로라면 애당초 계사(繫辭)에서 어찌하여 육오의 효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다만 “하늘로부터 돕는다.[自天祐之]”고 한 이하의 것만을 들어서 이어 말하였겠습니까. 이 육오 효의 자리는 아마도 손님과 스승의 뜻으로 보거나 물러나 쉬는 자리로 미루어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합니다. 그러나 64괘 중에 대유괘(大有卦)보다 더 풍성한 것이 없으니, 풍성하면 반드시 쇠퇴하는 것은 진실로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래서 구사(九四)의 효사에서는 이미 “풍성함을 내세우지 않아야 한다.[匪其彭]”고 한 경계가 있었습니다. 더구나 대유(大有)의 마지막 자리에 처해 있으니 반드시 감손(減損)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나, 다만 대유가 끝난 다음에는 겸괘(謙卦)로 이어져서 풍부하게 소유하였으면서도 있는 체하지 않고 윗자리에 있으면서도 높은 체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른바 “믿음을 이행하고 순응하길 생각한다.[履信思順]”고 하는 것은 사실상 겸(謙)이 그렇게 하는 것이지 대유가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닌데, 어찌 육오만을 해당시킬 수 있겠습니까.


양(陽)은 풍부함이 되고 음(陰)은 가난함이 되며 양은 크고 음은 작은 것이 되는데, 지금 이 괘는 음효(陰爻) 하나가 상괘(上卦)의 중간에 있고 그것을 다섯 양이 종주(宗主)로 삼고 있으니, “큰 것이 소유하였다.[大者有之]”는 말이 아니고 “소유한 것이 크다.[所有之大]”는 것이다. 그런데 《정전》에서는 대유(大有)를 부유(富有)로 풀이하였으나, 정여해(鄭汝諧)는 “곧바로 대유를 부유와 성대(盛大)로 보는 것은 그 본뜻을 잃은 것이다.” 하였다. 그러나 만약에 “소유한 것이 크다.”고 하는 뜻으로 미루어 보면 그 ‘부유’라고 한 것도 “소유한 것이 부유하다.”고 할 수는 없겠는가?

[이곤수가 대답하였다.]
대유를 풀이한 이는 모두가 “그 소유함이 크다.”고만 하고 “크면서도 부유하다.”고는 하지 않았습니다. 삼가 고찰해 보면 왕필(王弼)의 주석에서는 “크게 형통하지 않으면 어떻게 대유를 얻겠는가.” 하였고, 공영달(孔穎達)의 소(疏)에서는 “소유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유’라고 일컬었다.”고 하였으며, 《본의》에서는 “대유는 소유함이 큰 것이다.” 하였으니, 이는 모두 그 소유함이 큼을 말한 것입니다. 유독 《정전》에서만 “대유는 성대하고 풍부하게 소유한 것이다.” 하였고, 또 말하기를, “대유는 번성하고 많다는 뜻이다.” 하였으며, 또 말하기를, “부유하게 되면 해가 없는 경우가 적다.”고 하였으니, 이는 크면서도 부유함을 말한 것입니다. 정여해가 “그 본뜻을 잃은 것이다.”라고 한 것은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역리(易理)를 잘 연구하려면 그 상(象)을 완미(玩味)하고 말에는 매달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이 대유괘로 말하면 음유(陰柔)한 한 효가 높은 자리에 있고 많은 양이 아울러 순응하고 있으니 “그 소유함이 크다.”고도 할 수 있고 “크면서도 부유하다.”고도 할 수 있는데, 어찌 그 뜻을 잃었다고 논할 수 있겠습니까. 만약에 반드시 ‘소유함의 풍부함’을 가지고 “소유함이 크다.”고 풀이한다면 이는 아마도 《정전》의 본뜻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상은 대유괘(大有卦)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