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대유괘(大有卦)]

 

‘공용형(公用亨)’이라고 할 때의 ‘형(亨)’에 대하여 《정전》에서는 고주(古註)를 따라 형통(亨通)의 뜻으로 풀이하였으나 《본의》에서는 《춘추전(春秋傳)》의 글을 인용하여 향헌(享獻)의 ‘향(享)’으로 보았다. 지금 자서(字書)를 참고하여 보면 형(亨)ㆍ향(享)ㆍ팽(烹)은 모두 통용(通用)하며, 《역경》 중에서도 많이 호용(互用)하였으니, 예를 들면 ‘왕이 상제에게 제향한다[王用亨于帝]’와 ‘왕이 기산에서 제향한다[王用享于岐山]’ 함이 그러한 경우다. 진 문공(晉文公)이 근왕(勤王)하려고 할 적에 복언(卜偃)에게 점을 치게 하니 대유괘(大有卦)가 규괘(睽卦)로 변한 것을 만나 하는 말이 “길합니다. 전쟁에 이기고 왕(王)에게 향연(饗宴)을 받음이니 그보다 더 길한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하였다. 이것도 역시 형(亨)을 향(享)의 뜻으로 본 분명한 증거이니, 이를 근거로 하면 《본의》의 해석을 정론으로 보아야 하는 것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섬기는 데에는 반드시 성의가 먹혀들어 가는 것이 귀한 것이므로, 《정전》에서는 ‘천자(天子)에게 너의 뜻이 통하는 것’으로 풀이한 것입니다. 그러나 형(亨)과 향(享)은 이미 통용하는 전례가 있으니, 《본의》의 해석이 비교적 순탄합니다.


효사(爻辭)에서 “소인(小人)은 할 수 없다.”고 한 것은, 소인의 경우는 비록 이 효(爻)를 얻었더라도 감당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 대전(大傳)에서는 “소인은 해로울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할 수 없을 뿐만이 아니고 또 해로움이 있다는 것이다. 구삼(九三)은 양(陽)으로 양강(陽剛)의 자리에 있어 정도(正道)를 얻었으니, 군자로서 덕도 있고 지위도 있는 자이다. 일찍이 음유(陰柔)한 자처럼 올바르지 못한 마음을 먹은 적이 없는데 성인이 마침내 여기에서 소인으로 단정 지어 경계하였으니, 그 뜻이 과연 어디에 있는 것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대유(大有)는 풍성하게 많음을 말한 것입니다. 무릇 사람의 심정은 풍부하면 교만하기가 쉬운 것이니, 진실로 겸손하게 스스로를 지키지 않거나 검소하며 예를 좋아하지 않게 되면 물욕에 끌려가지 않는 경우가 적어서 마침내는 소인이 됨을 면치 못하는 것입니다. 성인이 반드시 이렇게 경계한 데에는 어찌 그만한 뜻이 없겠습니까.


이미 “그 믿음이 통한다.”고 하고 또 “위엄 있게 하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선대 학자들의 “위엄 있게 하라.”고 한 뜻에 대한 해석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혹자는 “임금의 도리는 강해야지 너무 부드러우면 명령이 서지 않으므로 위엄으로 성사시키도록 경계한 것이다.”라고 하고, 혹자는 “나의 화평한 마음으로 상대의 경계심을 없애는 것이다.”라고 하고, 혹자는 “임금이 훌륭한 재상을 얻어 믿음이 통하면 모든 정치가 절로 잘 다스려져서 기강이 떨치게 되어 내외(內外)와 원근(遠近)에서 감동하여 두려워하며 승복하게 되는데, 이는 그 위엄 있는 도가 매우 평이하게 되어서 그런 것이지 처음부터 방비책을 세워서 위엄을 기른 것은 아니다. 그래서 단전(彖傳)에 ‘위엄 있게 함이 길하다는 것은 평이하게 한 것이지 대비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하였다. 이 세 가지 말 중에 어느 말을 정설(正說)로 삼아야 하겠는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육오(六五)는 유순(柔順)한 자로 높은 자리에 있으니 혹시라도 유순함만을 숭상하다가 무능하게 될까 염려하였으므로, 위엄 있게 하라고 경계한 것입니다. 《정전》과 《본의》에서 모두 이 말을 주장하였으니, 그 뜻이 훨씬 더 낫습니다.


 

이상은 대유괘(大有卦)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괘(艮卦)  (0) 2010.12.22
익괘(益卦)  (0) 2010.12.22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이괘(履卦)  (0) 2010.12.22
소축괘(小畜卦)  (0) 2010.1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