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이괘(履卦)]

 

‘색색(愬愬)’이라는 두 글자에 대하여 《정전(程傳)》에서는 왕필(王弼)의 주(註)를 따라 ‘두려워하는 모양’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색(愬) 자를 다른 경문(經文)에서는 모두 소(訴) 자의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시경》에서 ‘잠깐 가서 하소연하다[薄言往愬]’라고 한 것과 《논어》에서 ‘피부로 받는 하소연[膚受之愬]’이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전국책(戰國策)》에서는 “위(衛)의 임금이 위(魏)에게 고소(告遡)하였다.”고 하여 ‘소(愬)’를 ‘소(遡)’로 바꾸었으나 글자의 뜻은 차이가 없다. 전적(典籍)들을 고찰하여 보아도 소(愬) 자를 두렵다는 뜻으로 본 데는 없는데, 왕필은 어디에 근거하여 그러함을 알았는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색(愬)’은 ‘혁(虩)’과 통용하는데,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이 효사(爻辭)를 인용(引用)하여 그 색(愬) 자를 ‘혁(虩)’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고, 또 풀이하기를 “혁혁(虩虩)은 두려워하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왕필의 주는 아마 여기에 근거하여 말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상구(上九)는 밟아 온 것을 보아 상서로움을 고찰하되 두루두루 완벽하였으면 크게 길하다.”라고 하였는데, 대개 점치는 자의 길흉(吉凶)에 대하여서는 하나같이 그동안 밟아 온 것의 선악(善惡)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지 본래 일정한 점의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무릇 착한 일을 하면 상서로움이 내려오고 착하지 못한 일을 하면 재앙이 내려와서 형(亨)ㆍ통(通)ㆍ회(悔)ㆍ인(吝)이 각각 유(類)에 따라 이르는 것은 그 이치가 매우 밝으며 그 증험이 어긋나지 않았으니, 64괘(卦) 384효(爻)가 이 이치가 아닌 것이 없다. 그런데도 성인이 유독 여기에서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대개 이괘(履卦)는 실천하는 뜻이 있고, 상구는 또 이괘의 마지막에 있다. 그러므로 특별히 여기에서 크게 드러내어 밝혀서 이를 후세에 보여 줌으로써 읽는 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갖고 반성하게 하는 한편, 다른 괘(卦)의 점사(占辭)도 유추(類推)할 수 있게 하였으니, 그 의의가 어찌 단순한 것이었겠는가. 그래서 일찍이 논하기를, “《시경》 삼백편의 의의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생각에 사(邪)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고, 《주역》 64괘의 의의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밟아 온 것을 보아 상서로움을 고찰한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렇게 보는 것이 과연 어떻겠는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성상(聖上)의 말씀은 진실로 우(禹)가 말한 “도(道)를 따르면 길하고 악함을 따르면 흉하다.”고 한 뜻과 부합하는 것이므로, 신(臣)으로서는 다시 더 말씀드릴 것이 없습니다.


‘기선(其旋)’이라고 할 때의 선(旋) 자에 대하여 《정전(程傳)》에서는 “주선(周旋)함이 완비(完備)하다.”고 풀이하였는데, 그 밟아 온 바를 고찰하여 진실로 두루 완벽하여 결함이 없는 것은 그것이 어떠한 지위(地位)인가?

[이서구가 대답하였다.]
모든 동작과 주선을 할 때 예(禮)에 맞지 않음이 없는 것은 덕이 완성된 군자만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명(明) 나라 학자 양인(梁寅)이 이 효(爻)의 뜻에 대하여 논하기를, “모든 동작과 주선을 함이 예(禮)에 맞게 하는 것은 훌륭한 덕이 지극함이다.”라고 하였는데, 강원(講員)의 말은 여기에 근거한 것 같다. 그러나 《정전》의 본뜻과는 매우 어긋나는 것 같다. 《정전》에서 “주선함이 완비하다.”고 한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결함이 없다.”고 말한 것과 같다. 그래서 “선(旋)은 주선함이 완비하여서 이르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고, 또 “시종(始終) 두루 완벽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뜻은 본래 절로 환한 것이다. 그러나 양씨(梁氏)는 ‘주선’이라는 두 글자의 뜻을 잘못 알고서 ‘동작과 주선’의 뜻으로 여겼으니 정자(程子)의 뜻과는 크게 맞지 않는 것인데, 도리어 그 잘못을 답습한단 말인가? 사마 온공(司馬溫公)이 스스로 “평생에 사람을 대하여 말 못할 것이 없다.”고 하였으니, 정자가 “주선함이 완비하다.”고 한 것은 아마 그러한 사람을 가리킨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은 이괘(履卦)이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유괘(大有卦)  (0) 2010.12.22
동인괘(同人卦)  (0) 2010.12.22
소축괘(小畜卦)  (0) 2010.12.22
수괘(需卦)  (0) 2010.12.22
몽괘(蒙卦)  (0) 2010.1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