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5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2 ○ 역(易) 5 갑진년(1784, 정조8)에 선발된 이서구(李書九)ㆍ정동관(鄭東觀)ㆍ한치응(韓致應)ㆍ한상신(韓商新)ㆍ홍의호(洪義浩) 등이 답변한 것이다
[동인괘(同人卦)]
“건(乾)에 응한다.”고 할 때의 ‘건’에 대하여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에서는 모두 구오(九五)를 가리킨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동인괘(同人卦)는 이미 아래는 이(離)이고 위는 건(乾)으로 구성되었으니 경문(經文)에서 일컬은 ‘건’은 아마도 외괘(外卦)를 통틀어 가리킨 것 같은데, 정자(程子)와 주자(朱子)는 반드시 구오만을 가리킨 것이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이괘(履卦)에서 “건(乾)에 응한다.”고 한 것에 대하여서는 태(兌)가 건에 응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동인괘에서 “건에 응한다.”고 한 것에 대하여서는 구오만을 가리킨 것이라고 한 것은 과연 앞뒤가 안 맞는 것이 아닌가?
단전(彖傳)에서 ‘유(柔)함이 정(正)을 얻었다’느니 ‘중(中)을 얻었다’느니 하는 것은 대개 육이(六二)를 가리킨 것인데, 육이와의 상응(相應)은 곧 구오(九五)입니다. 따라서 “건에 응한다.”고 할 때의 ‘건’은 구오에만 해당시키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단사(彖辭)에 “야(野)에서 동인(同人)을 한다.”고 할 때의 ‘야’의 뜻은 광활한 들판에서 사욕(私欲)이 없음을 말함인데, 만약에 “건(乾)에 응한다.”고 하는 것을 가지고 구오(九五) 한 효(爻)만을 가리킨 것으로 본다면 아마도 “야(野)에서 동인(同人)을 한다.”고 하는 뜻에는 맞지 않을 것 같다. 혹자는 “건은 양효(陽爻)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니, 이 괘의 상(象)은 한 음효(陰爻)가 속을 비워 놓고 위아래의 다섯 양효와 상응(相應)하므로 ‘건에 응한다.’고 한 것이다.”라고 하는데, 그것이 과연 일설(一說)에 대비할 수 있겠는가?
단전(彖傳)의 문세로 말하면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에서 풀이한 것은 진실로 올바른 뜻입니다. 만약 괘체(卦體)를 통틀어 말한다면 혹자의 말도 버릴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본의》에서 “이 괘는 음효 하나에 다섯 양효가 함께 어울린다.”고 한 말이 있으니, 그 뜻은 주자가 이미 먼저 말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