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향법개요(向法槪要)
 

풍수지리학은 용(龍), 혈(穴), 사(砂), 수(水)의 형세(形勢)와 음양오행 이법(理法) 작용에 의해서 혈의 융결(融結)과 그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용, 혈, 사, 수 형세에 의해서 혈을 찾았다면 혈의 좌향(坐向)을 어떻게 하여 우주의 좋은 기운을 취할 것인가를 논하는 것이 향법론(向法論)이다. 향법론은 취길피흉(取吉避凶) 즉 길한 기운은 취하고 흉한 기운은 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옛날부터 용, 혈, 사, 수, 향을 지리오결(地理五訣)이라 하여 매우 중요시하였다.

 

비록 용진혈적(龍眞穴的)하여 지기(地氣)가 충만한 곳이라도 우주의 나쁜 기운이 비추는 방향이면 부귀(富貴)는 불발(不發)하고 크고 작은 재앙이 뒤따르게 된다고 보는 것이 향법의 길흉화복론(吉凶禍福論)이다.

 

따라서 용진혈적한 진혈지를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혈이 제대로 발복(發福)할 수 있도록 좌향(坐向)을 우주 이법에 맞게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지기가 충만한 용진혈적지가 아니더라도 향법(向法)이라도 제대로 하여 천기(天氣)의 좋은 기운을 받게 하자는 것이 이기론(理氣論)이다.

 

풍수지리에는 각종 향법이 많이 있고 학설(學說)도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 포태법(胞胎法)에 의한 구빈(救貧) 양균송(楊筠松) 선생의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과 구성법(九星法)이다.

포태법이나 구성법 모두 용과 물과 좌향을 하나로 조화시켜 취길피흉(取吉避凶)하는 법칙이라는 것은 똑같으나 그 결과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어느 법이 더 정확한지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과제로 남아 있다.


 
 2. 팔십팔향법 (八十八向法)
 
 (1) 팔십팔향법 개요 (八十八向法 槪要)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의 연원은 당(唐)나라 때 구빈(救貧) 양균송(楊筠松) 선생의 14진신수법(十四進神水法)과 10퇴신법(十退神法)에 두고 있다.

 

양균송 선생께서 이 법칙으로 불쌍한 백성들을 가난으로부터 구제해 주었다하여 선생의 별호를 구빈(救貧)이라고 불렀다. 이후로 후대 선사(先師)들이 본법을 계승 발전시켜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많이 쓰이는 풍수지리 이법이다.

옛 사람들은 이 법을 찬양하여 “능지팔십팔향(能知八十八向)이면 횡행천지(橫行天地)에 무기지(無棄地)”라 하여 팔십팔향법만 잘 맞추어 쓰면 온 천지를 다녀도 버릴 땅이 없다고 하였다.

 

또 팔십팔향법의 정확성을 극찬하여 “팔십팔향(八十八向)이 지정지덕(至正至德)하여 대지(大地)는 대발(大發)하고 소지(小地)는 소발(小發)하는 진백발백중지결(眞百發百中之訣)”이라고 하였고, “의수입향(依水立向)이면 당변살위관(?變煞爲官)”이라 하여 물에 의지하여 향을 세우면 문득 살이 변하여 벼슬이 된다고 까지 신봉하고 추종하였다.

 

또한 “무맥평지(無脈平地)에도 능지팔십팔향(能知八十八向)이면 부귀(富貴)는 난망(難望)이나 단연불사절(斷然不嗣絶)에 족이의식(足以衣食)” 이라 하여 용맥이 없는 사절룡(死絶龍)도 팔십팔향법으로 향을 잘 놓게 되면 비록 부귀는 못한다하더라도 자손 보존과 의식(衣食)은 충족된다고 하였다.

 

향법(向法)은 풍수지리의 기본 공식이다. 용, 혈, 사, 수의 형세적 관찰과 판단은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향법은 공식화되어 있기 때문에 누가 보아도 똑같은 길흉화복으로 평가된다.



 (2)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의 기본원칙(基本原則)
 
팔십팔향법에 의해서 좌향을 결정하고 운영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다.

1) 나경패철 24방위를 12쌍산(雙山) 배합으로 운용한다

임(壬),자(子),계(癸),축(丑),간(艮),인(寅),갑(甲),묘(卯),을(乙),진(辰),손(巽),사(巳),병(丙),오(午),정(丁),미(未), 곤(坤),신(申),경(庚),유(酉)신(辛),술(戌),건(乾),해(亥) 24방위를 양인 4유8천간(四維八天干)과 음인 12지지(地支)를 음양이 서로 배합되도록 배열한 것이 쌍산(雙山)이다.

 

이를 정리하면 임자(壬子),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신술(辛戌), 건해(乾亥)가 된다.
이때 오행은 지지(地支)오행을 따르며 불배합(不配合) 쌍산은 사용하지 않는다.


2) 파구(破口)를 중심으로 사국(四局)을 결정한다.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오행 중 토(土)는 중앙을 나타내므로 빠지고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의 사국(四局)을 가지고 운용한다.

 

각국의 결정은 보국(保局) 안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파구(破口)를 기준으로 한다. 목국은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이고, 화국은 신술(辛戌), 건해(乾亥), 임자(壬子)이며, 금국은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이고, 수국은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이다.


3) 향(向)을 기준으로 국(局)을 정할 때는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한다.

향을 기준으로 사국(四局)을 정하는 것을 향상작국(向上作局)이라 하며 이때 오행은 삼합오행(三合五行)이다.

 

해묘미(亥卯未)는 목(木)이므로 향이 건해(乾亥), 갑묘(甲卯), 정미(丁

未)일 때는 향상목국(向上木局)이 되며, 인오술(寅午戌)은 화(火)이므로 간인(艮寅), 병오(丙午), 신술(辛戌) 향은 향상화국(向上火局)이고, 사유축(巳酉丑)은 금(金)이므로 손사(巽巳), 경유(庚酉), 계축(癸丑)은 향상금국(向上金局)이 되며, 신자진(申子辰)은 수(水)이므로 곤신(坤申), 임자(壬子), 을진(乙辰) 향은 향상수국(向上水局)이다.

 
4) 득수(得水)한 물이 혈의 향과 음양교배(陰陽交配)하는 물을 기준한다. 

팔십팔향법은 의수입향(依水立向)이 원칙이지만 모든 물이 다 입향(立向)의 의지수(依支水)가 아니다. 오직 혈을 감싸고돌아 향과 마주보고 음양교배할 수 있는 물만이 의지수다.

 

혈의 좌측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을 감싸고돌아 우측으로 파구(破口)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는 물이나, 우측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을 감싸고돌아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는 물을 보고 입향을 한다.

아무리 크고 좋은 물이라도 혈 앞을 지나지 않으면 용수교배(龍水交配)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의 대소(大小)에 구애받지 말고 항상 용혈(龍穴)을 감싸고 흐르는 물을 기준 해야 한다.

 
5) 좌선룡(左旋龍)에 우선수(右旋水),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先水)가  원칙이지만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라.  

용이 혈을 결지(結地)하는 방법에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旋水), 좌선룡(左旋龍)에 우선수(右旋水)가 원칙이다. 그러나 실제 용진혈적(龍眞穴的)한 곳이라도 이를 가늠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따라서 용의 좌우선(左右旋)에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고 좌우 어떠한 물이든 확실하게 용혈(龍穴)을 감싸주는 물이 혈의 향과 음양교배 할 수 있는 물이다.


6) 내파(內破)가 우선이고, 외파(外破)는 차선이다.

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은 혈에서 제일 가까운 물이다. 대부분 혈지는 내파(內破)와 외파(外破)가 같은 방위에 있는 경우가 많으나 다른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내파와 외파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방위로 입향(立向)해야 한다.

그러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내파를 우선하고 외파는 다음이다. 내파 기준 입향은 당대(當代) 혹은 빠른 시기의 길흉을 관장하고, 외파 기준 입향은 후대(後代) 혹은 늦은 시기의 길흉을 관장한다.

 
7) 파구(破口)는 혈 앞을 지나는 물이 최종적으로 나가는 곳이다.

물은 산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이 원칙이다. 비록 좌청룡 우백호가 낮아 보이지 않더라도 청룡 또는 백호가 물길 따라 있다고 생각해야 된다.

 

물이 흐른다는 것은 지세가 그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는 뜻이다. 좌청룡 우백호가 서로 교차한 지점에서 좌우수가 합수(合水)되고 보국 밖으로 나간다.

따라서 혈 앞을 지나는 물이 다른 물과 합수되는 지점이 내당수(內堂水)가 최종적으로 나가는 파구(破口)다.
내파(內破)는 이곳의 방위를 나경패철 8층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 측정하여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3) 12포태(十二包胎) 득파수(得波水)의 길흉화복(吉凶禍福)
 
12포태 궁위의 득수와 파구처에 대한 기본적인 길흉화복은 다음과 같다.

1) 절, 태수 (絶, 胎水)
절태궁(絶胎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아이가 생기지 않아 자손이 끊기고, 부자(父子)간에는 불목(不睦)하고 부부간에는 불화(不和)한다. 절태수가 장대(長大)하면 여인이 음란하게 된다.
반대로 절태궁으로 파구되면 모든 자손이 나란히 발전하나 작은 벼슬과 작은 부자가 된다.
 
2) 양. 생수 (養. 生水)  

양궁(養宮)이나 장생(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모든 자손이 균등하게 대발복하여 문명 높은 자손과 부귀(富貴)가 기약된다.

반대로 양궁이나 생궁으로 파구되면 어릴 때 집안이 망하며, 도박과 사치로 집안을 망하게 한다. 특히 청상과부와 단명한 자손이 우려된다.


3) 목욕수 (沐浴水)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제주는 뛰어나나 사치와 음란으로 패가망신한다.
반대로 목욕궁으로 파구되면 문장과 그림에 뛰어나 풍류를 즐기고, 작은 부자가 된다.

4) 관대수 (冠帶水)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칠세아동능작시(七世兒童能作詩)’라 하여 모든 자손이 잘되며, 총명한 자손이 나와 이름과 가문을 빛낸다.

반대로 관대궁으로 파구되면 자손과 재물에 발전이 없고 고아나 과부가 나오며 집안은 가난해진다

 
5) 임관수 (臨官水)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소년등과(少年登科)에 관로(官路)가 양양하다.
반대로 임관수로 파구되면 ‘성재지자조귀음(成才之子早歸陰)’이라 하여 집안의 대들보가 될 똑똑한 자손이 빨리 죽는다.

6) 제왕수 (帝旺水)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부귀쌍전(富貴雙全)하고 대대장상(代代將相)이 기약된다.
반대로 제왕궁으로 파구되면 석숭(石崇)같은 거부(巨富)도 하루아침에 패망하고 전사자(戰死者)가 나온다.

7) 쇠방수 (衰方水)
쇠방수(衰方水)는 득수한 물이나 파구되는 물 모두 길하다. 쇠방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거나 파구되면 총명한 자손이 소시등과(少時登科)하여 그 문명(文名)이 드높다.

8) 병. 사수 (病. 死水)
병궁(病宮)이나 사궁(死宮)에서 득수하거나 파구되면 모두 흉하다. 득수나 파구 모두 이혼, 병사(病死), 전상(戰傷) 등 재앙이 우려된다. 그러나 득수는 흉하지만 파구는 길하다는 이론도 있다.

9) 묘. 고장수 (墓. 庫藏水)
묘궁(墓宮) 즉 고장궁(庫藏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에 들어오면 모든 자손이 발전이 없으며, 사람이 상하고 집안이 망한다.
반대로 묘궁으로 파구되면 부귀하고 자손이 번창하는 길격이 된다.

(4) 불립 6향 (不立六向)

파구(破口)가 각 국의 묘, 고장궁(墓, 庫藏宮)일 때 입향(立向)할 수 없는 태향(胎向), 목욕향(沐浴向), 관대향(冠帶向), 임관향(臨官向),, 쇠향(衰向), 병향(病向) 등 6개의 향을 불립 6향(不立六向)이라 한다.

 

예를 들어 정미(丁未) 파구(破口)는 목국(木局)의 묘, 고장궁(墓, 庫藏宮)이다. 이 때 경유(庚酉)는 태향(胎向), 임자(壬子)는 목욕향(沐浴向), 계축(癸丑)은 관대향(冠帶向), 간인(艮寅)은 임관향(臨官向), 을진(乙辰)은 쇠향(衰向), 손사(巽巳)는 병향(病向)이다.

 

만약 불립 6향에 해당되는 방위로 향을 놓으면 용혈(龍穴)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패가상정(敗家傷丁), 즉 집안이 망하고 젊은 사람이 다친다. 설사 용진혈적지(龍眞穴的地)라 하더라도 이기(理氣)에 따른 재앙은 면할 수 없다.


 
(5)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의 종류(種類)
 
1) 정생향(正生向)

사국(四局)의 묘(墓), 고장궁(庫藏宮)으로 파구(破口)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생향(生向)을 정생향(正生向)이라 한다. 물은 우측 왕궁(旺宮)에서 득수(得水)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여야 하며, 용은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은 임관수(臨官水), 관대수(冠帶水), 목욕수(沐浴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생향(生向)에서 혈에 좋은 기운을 공급해주고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왕거영생(旺去迎生)이라 한다.

 

물이 12포태의 왕궁(旺宮)에서 득수하고 생궁(生宮)에서 향과 만나 묘궁(墓宮)으로 파구되니 생왕묘(生旺墓) 삼합(三合)이 이루어지면서 혈을 금성전요(錦城纏腰)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생향(正生向)이면 주로 부귀쌍전(富貴雙全)하고 처현자효(妻賢子孝)하여 오복(五福)이 임문(臨門)한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倒右)는 소망패절(少亡敗絶)에 도산가빈(倒産家貧)이 우려된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정미(丁未) 건해(乾亥)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화국(火局) 신술(辛戌) 간인(艮寅)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금국(金局) 계축(癸丑) 손사(巽巳)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수국(水局) 을진(乙辰) 곤신(坤申)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2) 정왕향(正旺向)

사국(四局)의 묘(墓), 고장궁(庫藏宮)으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의 왕향(旺向)을 정왕향(正旺向)이라고 한다. 물은 좌측 생궁(生宮)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우측으로 파구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야 하며, 용은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혈 좌측 장생궁(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은 목욕수(沐浴水), 관대수(冠帶水), 임관수(臨官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왕향(旺向)에서 혈에 좋은 기운을 공급해주고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생래회왕(生來會旺)이라 한다.

 

물이 12포태의 생궁(生宮)에서 득수하고 왕궁(旺宮)에서 향과 만나 묘궁(墓宮)으로 파구되니 생왕묘(生旺墓) 삼합(三合)이 이루어지면서 혈을 옥대전요(玉帶纏腰)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왕향(正旺向)이면 주로 부귀상전(富貴雙全)에 필출(必出) 총명영재(聰明英才)하여 필발귀현(必發貴顯)에 발부왕정(發富旺丁)한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倒左)는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정미(丁未) 갑묘(甲卯)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화국(火局) 신술(辛戌) 병오(丙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금국(金局) 계축(癸丑) 경유(庚酉)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수국(水局) 을진(乙辰) 임자(壬子)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좌향(午坐子向)


 

3) 정양향(正養向)

사국(四局)의 절태궁(絶胎宮)으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양향(養向)을 정양향(正養向)이라고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여야 하며, 용은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한 물은 관대수(冠帶水), 목욕수(沐浴水), 장생수(長生水)의 길한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양향(養向)에서 혈에 기운을 공급해주고 절태궁(絶胎宮)으로 파구된다. 이를 귀인녹마상어가(貴人祿馬上御街)라 하며 혈을 금성환포(錦城環抱)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양향(正養向)이면 정재양왕(丁財兩旺)에 공명현달(功名顯達)하고 발복이 가장 큰 지리(地理) 중 최고의 향이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倒右)는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곤신(坤申) 신술(辛戌)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화국(火局) 건해(乾亥) 계축(癸丑)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금국(金局) 간인(艮寅) 을진(乙辰)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수국(水局) 손사(巽巳) 정미(丁未)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4) 정묘향(正墓向)

사국(四局)의 절포궁(絶胞宮)으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묘향(墓向)을 정묘향(正墓向)이라고 한다. 물은 혈 좌측에서 득수하여 혈 앞 명당을 지난 다음 우측으로 파구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야하며, 용은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혈 좌측의 장대(長大)한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이 쇠방수(衰方水), 병수(病水), 사수(死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묘향(墓向)에서 혈에 기운을 공급해주고, 절포궁(絶胞宮)으로 파구된다.

 

그리고 우측 작은 소수(小水)는 장생궁(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절포궁(絶胞宮)에서 서로 합수(合水)하여 파구된다. 좌, 우측 물이 혈을 감싸고 양수협출(兩水夾出)하는 길국형세(吉局形勢)가 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정묘향(正墓向)이면 발부발귀(發富發貴)에 복수상전(福壽雙全)한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倒左)하면 대흉(大凶)하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곤신(坤申) 정미(丁未)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화국(火局) 건해(乾亥) 신술(辛戌)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금국(金局) 간인(艮寅) 계축(癸丑)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수국(水局) 손사(巽巳) 을진(乙辰)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5) 태향태류(胎向胎流)

사국(四局) 태궁(胎宮)의 천간자(天干字)로 파구되고, 정국(正局)의 12포태의 태향(胎向)을 태향태류(胎向胎流)라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명당에 모인 다음 혈 앞으로 파구되는 당문파(當門破)이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한 물이 목욕수(沐浴水),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에 모여 태향(胎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向) 앞 태궁(胎宮)으로 빠져나가므로 당문파(堂門破)이고, 당면출살법(當面出煞法)이라 한다.

 

당문파는 물이 곧장 빠져나가면 안되고 구불구불하게 천천히 흐르면서 파구가 완벽하게 관쇄(關鎖)되는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태향태류는 주로 대부대귀(大富大貴)에 인정흥왕(人丁興旺)한다.

 

그러나 용약비혈(龍弱非穴)이 되거나 수범지지자(水犯地支字)이면 비패즉절(非敗卽絶)하므로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한 좌수도우(左水倒右)하여 당면직거(當面直去)하면 견동토우(牽動土牛)라 하여 패산적빈(敗産赤貧)이 우려된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경(庚) 경유(庚酉)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화국(火局) 임(壬) 임자(壬子)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금국(金局) 갑(甲) 갑묘(甲卯)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수국(水局) 병(丙) 병오(丙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6) 절향절류(絶向絶流)

사국(四局) 절궁(絶宮)의 사유자(四維字 : 乾坤艮巽)로 물이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절향(絶向)을 절향절류(絶向絶流)라 한다. 물은 혈 우측에서 득수하여 명당에 모인 다음 혈 앞으로 파구되는 당문파(堂門破)이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혈 우측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에 모여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向) 앞 절궁(絶宮)으로 물이 빠져나가므로 당문파(堂門破)이며, 이를 당면출살법(當面出煞法)이라 한다.

 

당문파는 물이 곧장 빠져나가면 안되고 구불구불하게 천천히 흐르면서 파구가 완벽하게 관쇄(關鎖)되어 백보전란(百步轉欄)에 불견직거(不見直去)해야 한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절향절류는 주로 대부대귀(大富大貴)에 인정흥왕(人丁興旺)한다.

 

그러나 용약비혈(龍弱非穴)이나 파구되는 물이 지지자(地支字)를 범하면 패절빈궁(敗絶貧窮)하므로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 당면직거(當面直去)하면 견동토우(牽動土牛)하므로 비패즉절(非敗卽絶)이 우려된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곤(坤) 곤신(坤申)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화국(火局) 건(乾) 건해(乾亥)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금국(金局) 간(艮) 간인(艮寅)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辛坐寅向)
수국(水局) 손(巽) 손사(巽巳)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7) 쇠향태류(衰向胎流)

사국(四局) 태궁(胎宮)으로 물이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의 쇠향(衰向)을 쇠향태류(衰向胎流)라 한다. 물은 혈 좌측 또는 혈 앞에서 득수하여 명당으로 들어오는 조입당전(朝入堂前)해서, 혈 우측을 감싸고돌아 혈좌(穴坐) 바로 우측 태궁(胎宮) 천간자(天干字)로 파구된다.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혈 좌측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관대수(冠帶水), 임관수(臨官水), 제왕수(帝旺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당에 모여 쇠향(衰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병(病), 사(死), 묘(墓), 절(絶)의 흉한 기운을 모두 태궁(胎宮)으로 유출시킨다.

 

태향태류는 백호는 없고 청룡이 혈장을 완전하게 감아준 형태이며, 주산과 주룡이 낮아 혈 우측 뒤로 파구가 보여야 하기 때문에 산간지(山間地)에서는 불가능하며 평양지(平洋地)에서만 가능하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쇠향태류는 발부발귀(發富發貴)에 복수쌍전(福壽雙全)한다.

사국(四局) 파구(破口) 향(向) 좌 향 (坐 向)
목국(木局) 경(庚) 을진(乙辰) 신좌을향(辛坐乙向), 술좌진향(戌坐辰向)
화국(火局) 임(壬) 정미(丁未) 계좌정향(癸坐丁向), 축좌미향(丑坐未向)
금국(金局) 갑(甲) 신술(辛戌) 을좌신향(乙坐辛向), 진좌술향(辰坐戌向)
수국(水局) 병(丙) 계축(癸丑) 정좌계향(丁坐癸向), 미좌축향(未坐丑向)


 

 8) 자생향(自生向)

사국(四局)의 정고(正庫)로 파구되고, 정국(正局) 12포태로는 절향(絶向)인데 향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향상생향(向上生向)을 자생향(自生向)이라 한다. 본국(本局)으로 따지면 타국(他局)의 정고(正庫)를 빌려 파구되므로 차고소수(借庫消水)라고도 하며, 스스로 남의 정고를 빌려 생향을 만들었다하여 자생향(自生向)이라고 부른다.

 

정국으로는 절향(絶向)이지만 향상으로는 생향(生向)이므로 절처봉생(絶處逢生)이란 용어를 쓴다.

물은 우측 본국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하여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 태수(胎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좌측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왕궁(向上旺宮)으로 향상임관수(向上臨官水), 향상관대수(向上冠帶水), 향상목욕수(向上沐浴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생궁(向上生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양궁(向上養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우수도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자생향(自生向)이면 조빈석부(朝貧夕富)에 부귀왕정(富貴旺丁)이라 하여 매우 길한 향이다.
그러나 좌수도우(左水到右)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丁未 곤신(坤申) 向上水局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火局 辛戌 건해(乾亥) 向上木局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金局 癸丑 간인(艮寅) 向上火局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水局 乙辰 손사(巽巳) 向上金局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9) 자왕향(自旺向)

사국(四局)의 정고(正庫)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로는 사향(死向)인데 향상작국(向上作局)을 하여 향상왕향(向上旺向)을 자왕향(自旺向)이라 한다. 본국(本局)으로 따지면 타국(他局)의 정고(正庫)를 빌려 파구되므로 차고소수(借庫消水)라 하고, 스스로 남의 정고를 빌려 왕향을 만들었다하여 자왕향(自旺向)이라고 부른다.

 

정국으로는 사향(死向)이지만 향상으로는 왕향(旺向)이므로 화사위자왕향(化死爲自旺向)이란 용어를 쓴다.

물은 좌측 본국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하여 제왕수(帝旺水), 쇠수(衰水), 병수(病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사향(死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우측 묘궁(墓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생궁(向上生宮)으로 향상목욕수(向上沐浴水), 향상관대수(向上冠帶水), 향상임관수(向上臨官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왕궁(向上旺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쇠궁(向上衰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야 하며,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자왕향(自旺向)이면 남총여수(男聰女秀)에 부귀정재(富貴丁財)가 왕성한 매우 길한 향이다. 그러나 우수도좌(右水到左)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丁未 병오(丙午) 向上火局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火局 辛戌 경유(庚酉) 向上金局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金局 癸丑 임자(壬子) 向上水局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水局 乙辰 갑묘(甲卯) 向上木局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10) 문고소수(文庫消水)

사국(四局) 정국(正局) 태궁(胎宮)으로 파구되고, 정국 12포태로는 절향(絶向)이며 향상작국(向上作局)으로는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되고 향상생향(向上生向)이 되는 것을 문고소수(文庫消水)라 한다.

 

물은 좌측 본국(本局) 쇠궁(衰宮)에서 득수하여 병수(病水), 사수(死水), 묘수(墓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들어와 절향(絶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우측 태궁(胎宮)으로 파구 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묘궁(向上墓宮)으로 향상절수(向上絶水), 향상태수(向上胎水), 향상양수(向上養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생궁(向上生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좌수도우(左水到右)하여야 하며, 우선룡(右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문고소수(文庫消水)는 이른바 녹존유진(祿存流盡)이면 패금어(佩金魚)라 하여 필출(必出) 총명수재(聰明秀才)하여 특출문장(特出文章)에 부귀쌍전(富貴雙全)이다.

 

그러나 조금만 어긋나도 비음패절(非淫敗絶)이라 하였으니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 우수도좌(右水到左)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庚酉 곤신(坤申) 向上水局 간좌곤향(艮坐坤向), 인좌신향(寅坐申向)
火局 壬子 건해(乾亥) 向上木局 손좌건향(巽坐乾向), 사좌해향(巳坐亥向)
金局 甲卯 간인(艮寅) 向上火局 곤좌간향(坤坐艮向), 신좌인향(申坐寅向)
水局 丙午 손사(巽巳) 向上金局 건좌손향(乾坐巽向), 해좌사향(亥坐巳向)


 

 

11) 목욕소수(沐浴消水)

사국(四局)의 본국(本局) 12포태로는 태궁(胎宮)으로 파구되고 목욕향(沐浴向)이며, 향상작국(向上作局)으로는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되고 향상왕향(向上旺向)이 되는 것을 목욕소수(沐浴消水)라고 한다.

 

물은 우측 본국(本局) 쇠궁(衰宮)에서 득수하여 제왕수(帝旺水), 임관수(臨官水), 관대수(冠帶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들어와 목욕향(沐浴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좌측으로 돌아 장생수(長生水), 양수(養水)와 함께 태궁(胎宮)으로 파구된다.

 

그러나 향상작국을 하면 물의 득수처는 향상묘궁(向上墓宮)으로 향상사수(向上死水), 향상병수(向上病水), 향상쇠수(向上衰水)의 기운이 되며 향상왕궁(向上旺宮)에서 혈의 향과 만나 향상임관(向上臨官水), 향상관대수(向上冠帶水)와 함께 향상목욕궁(向上沐浴宮)으로 파구된다. 물은 반드시 우수도좌(右水到左)하여야 하며, 좌선룡(左旋龍)이 원칙이다.

 

용진혈적(龍眞穴的)에 목욕소수(沐浴消水)는 이른바 녹존유진(祿存流盡)이면 패금어(佩金魚)라 하여 필발부귀(必發富貴)에 인정창성(人丁昌盛)한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어긋나거나 물이 지지자(地支字)를 침범하면 비음즉절(非淫卽絶)이라 하였으니 불가경용(不可輕用)이다. 또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는 대흉(大凶)하다.

本局 破口 향(向) 向上作局 좌 향 (坐 向)
木局 임자(壬子) 向上水局 병좌임향(丙坐壬向), 오좌자향(午坐子向)
火局 갑묘(甲卯) 向上木局 경좌갑향(庚坐甲向), 유좌묘향(酉坐卯向)
金局 병오(丙午) 向上火局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水局 경유(庚酉) 向上金局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6) 88향법(八十八向法) 조견표(早見表)

의수입향(依水入向)의 원칙에 의하여 파구(破口)를 보고(內破基準) 물이 좌수도우(左水到右) 또는 우수도좌(右水到左)하는지를 살핀 다음 어떤 향(向)을 놓을 것인가를 판단한다.


 

 

<팔십팔향법을 쉽게 외우는 또 한가지 방법>


88향법은 쌍산으로 하기 때문에 木火金水 四局이 있고 각 局에 3개의 파구가 있다. 3개의 파구는 각각 墓破 아니면 絶(胞)破, 胎破로만 되어있다. 즉


1. 墓破는 丁未(목국), 辛戌(화국), 癸丑(금국), 乙辰(수국)

2. 絶破는 坤申(목국), 乾亥(화국), 艮寅(금국), 巽巳(수국)

3. 胎破는 庚酉(목국), 壬子(화국), 甲卯(금국), 丙午(수국)


1.

墓破(辰戌丑未)이고 우수도좌 4간방(寅申巳亥)향은 정생향, 또는 자생향

(파구 바로 우측)

墓破(辰戌丑未)이고 좌수도우 4정방(子午卯酉)향은 정왕향, 또는 자왕향

(파구 바로 좌측)


2.

絶破(寅申巳亥)이고 우수도좌 墓向(辰戌丑未)은 정양향

絶破(寅申巳亥)이고 좌수도우 墓向(辰戌丑未)은 정묘향

絶破(寅申巳亥)이고 우수도좌 絶向(寅申巳亥)은 절향절류(천간자로만 파구 - 艮坤巽乾)


3,

胎破(子午卯酉)이고 우수도좌 胎向은 태향태류

(천간자로만 파구 - 壬丙甲庚)

胎破(子午卯酉)이고 좌수도우 衰向(子午卯酉)은 쇠향태류

(천간자로만 파구 - 壬丙甲庚)

胎破(子午卯酉)이고 우수도좌 향상왕향(子午卯酉)은 목욕소수

(천간자로만 파구 - 壬丙甲庚)

胎破(子午卯酉)이고 좌수도우 향상생향(寅申巳亥)은 문고소수


지지자만 외우고 천간자는 자동으로 붙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좌선수는 정왕향.좌왕향.정묘향.쇠향태류.문고소수

(좌선수.왕.묘.쇠.문.하고 암기)

 

우선수는 정생향.자생향.정양향.절향절류.태양태류.목욕소수

(우선수.생.양.절.태.목하고 암기)




쇼킹차이나놀라운세상공포엽기동영상섹시엽기클릭

출처 : 열 린 바 다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천상열차분야지도

 

10. 각종 음양오행의 길흉 방위 (各種 陰陽五行의 吉凶 方位)

 

음양오행에 따르면, 길흉방위는 다음과 같이 대략 10가지로 분류된다.



(1) 귀인방 (貴人方)


귀인방은 등과급제(登科及第)하여 벼슬에 출사(出仕)하는 매우 길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좌(坐)를 기준으로 귀인 방위에 용(龍)과 문필봉(文筆峰), 귀인봉(貴人峰), 고축봉(告軸峰) 등

의 사격(砂格)이 있거나 물이 득수(得水)하면 매우 길하다.

. 건(乾), 갑(甲), 인(寅), 해(亥) 좌는 축(丑)과 미(未) 방위가 귀인방이다.
. 곤(坤), 을(乙), 묘(卯), 진(辰), 미(未) 좌는 자(子)와 신(申)이 귀인방이다.
. 간(艮), 병(丙), 오(午), 정(丁), 술(戌) 좌는 유(酉)와 해(亥)가 귀인방이다.
. 손(巽), 신(辛), 경(庚), 축(丑), 사(巳), 유(酉) 좌는 인(寅)과 오(午)가 귀인방이다.
. 임(壬), 자(子), 계(癸), 신(申) 좌는 사(巳)와 묘(卯)가 귀인방이다.
. 손(巽), 신(辛), 태(兌=酉), 정(丁), 간(艮), 병(丙), 진(震=卯), 경(庚)은 좌향에 상관없이 그 방위에 용맥이나, 수려 단아한 사격이 있거나, 물이 득수하면 매우 길한 최관(催官)귀인방이 된다.



(2) 녹방 (祿方)


녹방은 부(富)를 상징하는데, 재물을 얻어 부를 누리는 매우 길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향(向)을 기준하여 녹방에 풍만하고 원만한 부봉(富峰)이나 창고사(倉庫砂) 등이 있거나,

청정구곡수(淸淨九曲水)가 득수하면 매우 길하게 여긴다.

정록(正祿)
갑(甲)향에 인(寅)방, 을(乙)향에 묘(卯)방, 병(丙)향에 사(巳)방
정(丁)향에 오(午)방, 경(庚)방에 신(申)방, 신(辛)향에 유(酉)방
임(壬)향에 해(亥)방, 계(癸)향에 자(子)방

차록(借祿)
임(壬)향에 건(乾)방, 갑(甲)향에 간(艮)방, 병(丙)향에 손(巽)방
경(庚)향에 곤(坤)방

녹방(祿方)은 천간자(天干字) 향의 바로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3) 역마방 (驛馬方)


역마는 속발부귀(速發富貴)를 상징하는 매우 길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좌(坐)를 기준으로 역마방에 천마

사가 있거나 또는 수려하고 특이한 사격이 있으면 매우 길하게 여긴다.

신(申), 자(子), 진(辰) 좌는 인(寅)이 역마방이다.
해(亥), 묘(卯), 미(未) 좌는 사(巳)가 역마방이다.
인(寅), 오(午), 술(戌) 좌는 신(申)이 역마방이다.
사(巳), 유(酉), 축(丑) 좌는 해(亥)가 역마방이다.
건(乾)과 오(午)방위에 천마사(天馬砂)가 있으면, 좌향에 관계없이 속발부귀(速發富貴)하는 역마사(驛馬砂)가 된다.



(4) 삼길육수 (三吉六秀)


삼길육수는 지극히 귀한 방위다. 풍수지리에서는 좌향(坐向)에 관계없이 아래와 같은 방위에 용맥과 수려

양명한 사격이 있거나, 득수처가 있으면 관직에 있는 사람은 권력을 얻고, 선비나 학자는 자리를 얻으며,

일반 백성은 재물을 얻는다고 한다.

. 삼길(三吉)방위 : 진<震[卯]>, 경(庚), 해(亥)
. 육수(六秀)방위 : 간(艮), 병(丙), 손(巽), 신(辛), 태<兌[酉]>, 정(丁)




(5) 겁살방 (劫煞方)


겁살은 지극히 흉한 살이다. 풍수지리에서는 좌(坐)를 기준으로 하여 겁살방에 용맥 또는 깨어진 산과 흉한

바위로 이루어진 사격이 있거나, 득수처가 있으면 살상(殺傷) 등의 극히 흉한 일을 당한다고 여긴다.

임(壬)좌에 신(申)방 자(子)좌에 사(巳)방 계(癸)좌에 사(巳)방
축(丑)좌에 진(辰)방 간(艮)좌에 정(丁)방 인(寅)좌에 미(未)방
갑(甲)좌에 병(丙)방 묘(卯)좌에 정(丁)방 을(乙)좌에 신(申)방
진(辰)방에 미(未)방 손(巽)좌에 계(癸)방 사(巳)좌에 유(酉)방
병(丙)좌에 신(辛)방 오(午)좌에 유(酉)방 정(丁)좌에 인(寅)방
미(未)좌에 계(癸)방 곤(坤)좌에 을(乙)방 신(申)좌에 계(癸)방
경(庚)좌에 오(午)방 유(酉)좌에 인(寅)방 신(辛)좌에 축(丑)방
술(戌)좌에 축(丑)방 건(乾)좌에 묘(卯)방 해(亥)좌에 을(乙)방




(6) 대장군방 (大將軍方)


건물이나 헛간, 변소, 축사 등을 지으면 안 좋다는 방위인데, 이 대장군 방위는 다음과 같이 3년마다 바뀐다.

. 인(寅), 묘(卯), 진(辰)년은 감(坎)방 즉 북쪽
. 사(巳), 오(午), 미(未)년은 진(震)방 즉 동쪽
. 신(申), 유(酉), 술(戌)년은 이(離)방 즉 남쪽
. 해(亥), 자(子), 축(丑)년은 태(兌)방 즉 서쪽


(7) 삼재년 (三災年)


12포태법의 포, 태, 양,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 가운데 병, 사, 묘에 해당하는 년으로 사람의 출생

년에 따라 3년간씩이다.

. 해(亥), 묘(卯), 미(未)년 출생한 사람은 사(巳), 오(午), 미(未)년 3년 간
. 인(寅), 오(午), 술(戌)년 출생한 사람은 신(申), 유(酉), 술(戌)년 3년 간
. 사(巳), 유(酉), 축(丑)년 출생한 사람은 해(亥), 자(子), 축(丑)년 3년 간
. 신(申), 자(子), 진(辰)년 출생한 사람은 인(寅), 묘(卯), 진(辰)년 3년 간


(8) 오귀삼살방 (五鬼三煞方)


당년도 기준으로 12포태법의 포, 태, 양,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 가운데 포, 태, 양에 해당하는

방위다.

. 해(亥), 묘(卯), 미(未)년은 삼합(三合)으로, 신(申), 유(酉), 술(戌)방 서쪽
. 인(寅), 오(午), 술(戌)년은 삼합(三合)으로, 해(亥), 자(子), 축(丑)방 북쪽
. 사(巳), 유(酉), 축(丑)년은 삼합(三合)으로, 인(寅), 묘(卯), 진(辰)방 동쪽
. 신(申), 자(子), 진(辰)년은 삼합(三合)으로, 사(巳), 오(午), 미(未)방 남쪽



(9) 팔요수 (八曜水)


이는 형벌을 받아 죽게된다는 일명 형륙수(刑戮水)라고 하는데, 물의 득수나 파구처가 모두 해당된다.

. 감산(坎山 : 壬子癸 용 또는 좌)에 진방수(辰方水)와 술방수(戌方水)
. 간산(艮山 : 丑艮寅 용 또는 좌)에 인방수(寅方水)
. 진산(震山 : 甲卯乙 용 또는 좌)에 신방수(申方水)
. 손산(巽山 : 辰巽巳 용 또는 좌)에 유방수(酉方水)
. 이산(離山 : 丙午丁 용 또는 좌)에 해방수(亥方水)
. 곤산(坤山 : 未坤申 용 또는 좌)에 묘방수(卯方水)
. 태산(兌山 : 庚酉辛 용 또는 좌)에 사방수(巳方水)
. 건산(乾山 : 戌乾亥 용 또는 좌)에 오방수(午方水)


(10) 황천살 (黃泉殺)


향(向)을 기준으로 물이 득수하거나 파구되는 방위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이론이 분분하다.

들러오거나 나가는 물 모두가 황천살이라고 주장하는 학설이 있는가 하며, 들어오는 물만 황천수고 나가는

물은 황천수가 아니라는 학설도 있다.

반대로 들어오는 물은 황천수가 아니고 나가는 물만 황천수라는 주장도 있다.



. 경(庚), 정(丁) 향에 곤방수(坤方水) . 곤(坤) 향에 경(庚), 정(丁) 수
. 갑(甲), 계(癸) 향에 간방수(艮方水) . 간(艮) 향에 갑(甲), 계(癸) 수
. 을(乙), 병(丙) 향에 손방수(巽方水) . 손(巽) 향에 을(乙), 병(丙) 수
. 신(辛), 임(壬) 향에 건방수(乾方水) . 건(乾) 향에 신(辛), 임(壬) 수

 

 

.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9. 구성법 (九星法)


 

구성(九星)이란 우주천체의 중심인 북극성 주위를 운행하며 우주를 지배하는 북두칠성(北斗七星)과

좌보성(左輔星), 우필성(右弼星)을 합한 아홉개의 별을 가리킨다.



제일성(第一星)은 탐랑성(貪狼)이며 천추생기궁(天樞生氣宮)으로 오행은 목(木)이다.
제이성(第二星)은 거문성(巨文星)이며 천의제왕궁(天醫帝王宮)으로 오행은 토(土)다.
제삼성(第三星)은 녹존성(祿存星)이며 천기절체궁(天機絶體宮)으로 오행은 토(土)다.
제사성(第四星)은 문곡성(文曲星)이며 천권유혼궁(天權遊魂宮)으로 오행은 수(水)다.
제오성(第五星)은 염정성(廉貞星)이며 천형오귀궁(天衡五鬼宮)으로 오행은 화(火)다.
제육성(第六星)은 무곡성(武曲)이며 합양복덕궁(闔陽福德宮)으로 오행은 금(金)이다.
제칠성(第七星)은 파군성(破軍)이며 요광절명궁(瑤光絶命宮)으로 오행은 금(金)이다.
제팔성(第八星)은 좌보성(左輔星)이며 천과귀혼궁(天寡歸魂宮)으로 오행은 토(土)이고, 북두의 제육성

무곡성의 좌변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이다.
제구성(第九星)은 우필성(右弼星)이며 천과귀혼궁(天寡歸魂宮)으로 오행은 금(金)이고, 북두의 제칠성

파군성의 우변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제팔성 좌보성과 제구성 우필성은 천과귀혼궁(天寡歸魂宮)으로 같다. 때문에 좌보성과 우필성을 합하여

보필성(輔弼星)이라 하고, 팔괘에 배속할 때도 한 궁위(宮位)로 취급한다.

 



 


(1) 구성의 방위와 화복

 


1) 탐랑성(貪狼星) : 간(艮), 병(丙)방위에 위치하고 총명(聰明), 문필(文筆), 귀(貴), 관직(官職)을 관장한다.
2) 거문성(巨門星) : 손(巽), 신(辛)방위에 위치하고 총명, 귀, 장수(長壽), 재물을 관장한다.
3) 녹존성(祿存星) : 건(乾), 갑(甲)방위에 위치하고 질병(疾病)을 관장한다.
4) 문곡성(文曲星) : 오(午), 임(壬), 인(寅), 술(戌)방위에 위치하고 음탕(淫蕩), 질병을 관장한다.
5) 염정성(廉貞星) : 묘(卯), 경(庚), 해(亥), 미(未)방위에 위치하고 형살(刑殺)과 흉폭(凶暴)을 관장한다.
6) 무곡성(武曲星) : 유(酉), 정(丁), 사(巳), 축(丑)방위에 위치하고 부(富)를 관장한다.
7) 파군성(破軍星) : 자(子), 계(癸), 신(申), 진(辰)방위에 위치하고 형겁(刑劫), 악질(惡疾)을 관장한다.
8) 보필성(輔弼星) : 곤(坤), 을(乙)방위에 위치하고 소부(小富), 소귀(小貴)를 관장한다.



(2) 구성법의 운용 방법


구성법(九星法)은 용법, 수법, 사법, 생기복덕법, 양택가상이법 등 풍수지리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하는 법에 따라 기준과 순서가 제각각이다. 지상구성법(地上九星法)처럼 그 위치

가 고정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작괘(作卦)를 하여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이법(理法)에 따라 수구(水口)방위를 기준으로 하여 작괘하는 법, 좌(坐)를 기준으로 작괘하는 법,

향(向)을 기준으로 작괘하는 법이 있다.

양택가상학의 경우는 집의 기두(起頭)를 기준으로 하여 작괘하고,

생기복덕법의 경우는 나이의 괘를 기준으로 작괘한다.



【예】 용의 길흉화복을 가늠하는데 사용하는 선천산법(先天山法)의 경우 수구(水口)의 방위를 기준하여

기본괘를 만든다. 그리고 나서 상지선동(上指先動)하여, 일상문곡(一上文曲), 이중녹존(二中祿存), 삼하거문(三下巨門), 사중탐랑(四中貪狼), 오상염정(五上廉貞), 육중파군(六中破軍), 칠하무곡(七下武曲), 팔중보필(八中輔弼)의 순서로 작괘(作卦)한다.


여기서 일상(一上)이라 함은 제일 먼저 상(上)효가 음(?)이면 양(?)으로 바꾸고, 양(?)이면 음(?)으로 바꾸라

는 말이다.

이중(二中)도 두 번째로 가운데 효가 양이면 음으로, 음이면 양으로 바꾸라는 말이다.

삼하(三下)도 세 번째로 아래 효가 음이면 양으로, 양이면 음으로 바꾸라는 뜻이다.

사중(四中), 오상(五上), 육중(六中), 칠하(七下), 팔중(八中) 모두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정(丁) 수구에 신(辛) 입수룡의 혈이 있다면 정(丁)을 팔괘에 배납하면 유정사축(酉丁巳丑)은

동궁(同宮)으로 태괘(兌卦)가 기본괘가 된다.
여기서 일상문곡(一上文曲)하면 ?(건괘)가 되고, 이중녹존(二中祿存)하면 (이괘), 삼하거문(三下巨門)하면 (간괘), 사중탐랑(四中貪狼)하면 (손괘), 오상염정(五上廉貞)하면 (감괘), 육중파군(六中破軍)하면 (곤괘),

칠하무곡(七下武曲)하면 (진괘), 팔중보필(八中輔弼)하면 (태괘)가 된다.
그런데 신(辛) 입수룡은 손신(巽辛)은 동궁(同宮)으로 손괘(巽卦, ?)이므로 사중탐랑(四中貪狼)에 해당된다. 즉 정(丁)파구에 신(辛)입수룡은 선천산법으로 탐랑(貪狼)에 해당되므로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매우 길한

 용이 된다.

이를 왼손의 손가락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둘째 검지는 상효(上爻), 가운데 중지는 중효(中爻), 넷째 약지는 하효(下爻)를 나타낸다.

각각의 효에 엄지손가락이 붙으면 양이고 떨어지면 음이 된다.

 



 

 

 

.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8. 정음정양법 (淨陰淨陽法)

 

나경패철에 있는 24방위를 팔괘(八卦)에 배속시켜 팔괘의 음양을 가리는 것을 정음정양법(淨陰淨陽法)이라고 한다.


나경패철의 24방위는 임(壬), 자(子), 계(癸), 축(丑), 간(艮), 인(寅), 갑(甲), 묘(卯), 을(乙), 진(辰), 손(巽), 사(巳), 병(丙), 오(午), 정(丁), 미(未), 곤(坤), 신(申), 경(庚), 유(酉), 신(辛), 술(戌), 건(乾), 해(亥)다.

이를 팔괘(八卦)에 배납(配納)하면 다음과 같다.



건(乾)과 갑(甲)은 동궁(同宮)으로 건괘(乾卦,?)가 된다.
곤(坤)과 을(乙)은 동궁(同宮)으로 곤괘(坤卦,?)가 된다.
간(艮)과 병(丙)은 동궁(同宮)으로 간괘(艮卦,?)가 된다.
손(巽)과 신(辛)은 동궁(同宮)으로 손괘(巽卦,?)가 된다.
태[유]정사축<兌[酉]丁巳丑>은 동궁(同宮)으로 태괘(兌卦,?)가 된다.
진[묘]경해미<震[卯]庚亥未>는 동궁(同宮)으로 진괘(震卦,?)가 된다.
이[오]임인술<離[午]壬寅戌>은 동궁(同宮)으로 이괘(離卦,?)가 된다.
감[자]계신진<坎[子]癸申辰>은 동궁(同宮)으로 감괘(坎卦,?)가 된다.



팔괘 중에서 가운데 효(爻)를 뺀 다음, 아래 효와 위 효의 음(?)과 양(?)이 서로 같으면 정양(淨陽)이 되고,

음양이 다르면 정음(淨陰)이 된다.
즉 건, 곤, 이, 감괘는 가운데 효를 빼면, 아래 효와 위 효가 서로 같은 음양으로 정양(淨陽)이다.
간, 손, 태, 진괘는 가운데 효를 빼면, 아래 효와 위 효가 서로 다른 음양으로 정음(淨陰)이다.

풍수지리를 비롯해서 모든 동양철학은 음과 양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져야 길하다고 보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정음은 길(吉)한 것이 많고 정양은 흉(凶)한 것이 많다.


예를 들어, 길한 방위를 나타내는 삼길육수(三吉六秀)는 모두 정음이다.

삼길(三吉)방위는 진(震=卯), 경(庚), 해(亥)이고

육수(六秀)방위는 간(艮), 병(丙), 손(巽), 신(辛), 태(兌=酉), 정(丁)이다.


이밖에도 사문(赦文)방위인 손(巽), 병(丙), 정(丁)도 정음이고,

장수(長壽)방위인 간(艮), 병(丙),정 (丁), 태(兌=酉)도 정음이다.


구성(九星)에서 삼길성(三吉星)인 탐랑(貪狼 : 艮丙), 거문(巨門 : 巽辛), 무곡(武曲 : 兌丁巳丑)방위도 모두

정음이다.

참고로 구성 방위는 다음과 같다.


탐랑(貪狼)은 간병(艮丙), 거문(巨門)은 손신(巽辛), 녹존(祿存)은 건갑(乾甲), 문곡(文曲)은 이[오]임인술<離[午]壬寅戌>, 염정(廉貞)은 진[묘]경해미<震[卯]庚亥未>, 무곡(武曲)은 태[유]정사축<兌[酉]丁巳丑>, 파군(破軍)은 감[자]계신진<坎[子]癸申辰>, 보필(輔弼)은 곤을(坤乙)에 해당한다.

 

 

 

.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7. 십이포태법 (十二胞胎法)

 

십이포태법(十二胞胎法)은 인간과 우주만물의 생성소멸의 과정을 12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사주학을 비롯하여 동양철학에서 길흉화복을 가릴 때 많이 쓰이는 법으로, 풍수지리에서는 사국법(四局法)과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에서 주로 사용한다.


12포태란 포(胞). 태(胎). 양(養). 생(生). 욕(浴). 대(帶). 관(官). 왕(旺). 쇠(衰). 병(病). 사(死). 묘(墓)로

분리된다. 인간의 일생과 우주만상의 생성과 소멸과정을 열두 단계로 나누어 적용시킨 것이다.


그런데 이중에서 포는 혹 절(絶)이라고도 하며, 생은 장생(長生), 대는 관대(冠帶), 관은 임관(臨官),

왕은 제왕(帝旺)이라고도 한다.

묘는 고(庫) 또는 장(藏)이라고도 하고 고장(庫藏)이라고 묶어 부르기도 한다.
12포태 중 생(生). 왕(旺). 관(官)은 대길(大吉)하다.

양(養). 대(帶). 쇠(衰)는 평길(平吉)하다.

포(胞). 태(胎). 욕(浴)은 소흉(小凶)하고,

병(病). 사(死). 묘(墓)는 대흉(大凶)하다.



1) 포(胞)


절(絶)이라고도 하며 모든 형체가 절멸(絶滅)된 상태이다. 모든 것이 끊어져서 쉬고 있다.

기(氣)도 아직은 완전한 형상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단지 나중에 기운을 형성할 수 있다는 막연한 희망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남녀 즉 음양이 포옹하여 결합하는 과정으로 만물이 무에서 유를 창조하려고 계획하고 준비하는 단계다.

사업의 경우 이제 구상과 계획하는 과정이므로 지출은 있어도 수입은 없다.
화복은 가난과 고통이 따르며 자손이 없다. <빈고핍사(貧苦乏嗣)>



2) 태(胎)


내부적으로는 생명을 향해서 나아가려는 기운을 받고 있으나, 외부적으로는 아무런 형상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씨앗이 싹을 틔웠으니 만반의 준비가 완료된 상태다.
정자와 난자가 수태(受胎)되는 과정으로 구상과 계획을 마치고 실천하는 단계다. 희망과 발전을 꿈꾸며

시작에 들어갔기 때문에, 아직 매출은 없고 투자로 인하여 지출은 더 많아진다.
화복은 가난과 고통이 따르며 자손이 귀하다. <빈고핍사(貧苦乏嗣)>


3) 양(養)


어머니 뱃속에서 태아가 자라 10달을 다 채우고 이제 태어나기만을 기다리는 과정이다.

긴 암흑에서 벗어나 이제 좋은 일만 남았으니, 모든 일이 체계가 잡인 단계다. 새롭게 출발하려는 기대와 포부

로 자신만만하다. 매출은 늘고 있지만 아직 손익 분기점에 미치지는 못하고 적자 상태에 있다.
화복은 타향살이를 하던가 다른 집에 양자로 가서 장남구실을 한다. <별무발복(別無發福)>


4) 생(生)


장생(長生)이라고도 하는데, 드디어 태아가 세상에 태어나는 과정으로 최고의 귀(貴)한 길성(吉星)이다.

천지(天地)의 기운을 다 머금고 태어났으니 경사스러울 뿐이다. 매출이 손익 분기점을 넘어 드디어 흑자를

내기 시작한다.
화복은 부귀를 다하고 자손이 번창한다. <왕정발재(旺丁發財)>


5) 욕(浴)


목욕(沐浴)이라고도 하고, 태어난 아이가 목욕하는 과정이다. 씻고 닦으면서 아픔과 괴로움이 있다.

세상에 태어났다하여 모두 좋은 것만 있는 것이 아니다. 태어나 처음은 아픔을 겪는다. 경쟁 업체의 견제로

인하여 매출이 줄고 가격 경쟁으로 손해가 많아 고비에 처한다.
화복은 음란하고 도박, 사치를 좋아하여 좌절하고 실패한다. <음란도사(淫亂賭奢)>


6) 대(帶)


관대(冠帶)라고도 하며, 옷을 입고 띠를 두르는 과정이다. 10대에서 성년이 되기까지 학생으로 공부하는

단계다. 꿈이 크고 장래에 대한 희망으로 가득 찬다. 사업은 도산의 위기를 넘기고 다시 발전하여 흑자를

낸다.
화복은 자녀가 총명하고 영리하여 각종 시험에 합격한다. <등과급제(登科及第)>


7) 관(官)


임관(臨官)이라고도 하며, 학교를 졸업하고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가거나 취직하는 과정이다.

20, 30대의 혈기왕성한 단계다. 벼슬을 하였으니 이 보다 더 기쁜 일이 어디 있으며, 거기다 결혼도 하게 되었

으니 이제 젊은 기상을 한껏 드높일 시기다. 사업도 재도약하여 생궁(生宮) 만큼은 아니더라도 큰 흑자를 내고

 번창한다.
화복은 승진을 거듭하여 관로(官路)가 창창하고 부귀한다. <등과부귀(登科富貴)>


8) 왕(旺)


제왕(帝旺)이라고도 하며, 일생일대의 가장 왕성한 전성기다. 40, 50대 장년(壯年)으로 벼슬도 높고 재물도

많다. 생궁(生宮)과 함께 최고의 길성(吉星)이다. 생궁이 귀(貴)를 더 관장한다면 왕궁(旺宮)은 부(富)를 더

관장한다. 사업은 최고의 전성기를 맞아 큰 기업으로 성장한다. 관직에 있는 사람은 최고의 직위에 오른다.
화복은 부와 귀를 다하고 자손 또한 번창한다. <부귀왕정(富貴旺丁)>


9) 쇠(衰)


인생의 최고 정점인 50대 후반에 해당하는 시기로, 이제 더 이상 오를 곳이 없으므로 쇠퇴의 길로 접어드는

과정이다. 그렇지만 높은 경륜으로 일을 처리하니 모든 것이 안정되어 있다.

사업도 더 이상 발전은 없는 정체 상태로 안정이 된다. 그러나 이제 사양길로 접어드는 첫 과정이다.
화복은 재물과 자손이 모두 안정된다. <정재안정(丁財安定)>


10) 병(病)


60대와 70대로, 노화되어 병들어 가는 과정이다. 젊은 날의 높은 기상은 사라지고 죽을 날만 기다리니

흉하기 짝이 없다. 사업도 점점 쇠퇴하여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삼재(三災)가 들어온다.
화복은 병이 많고 재산은 도산 위기에 처한다. <장병패산(長病敗産)>


11) 사(死)
사망하여 일생을 마감하는 시기이다. 사업도 결국 도산하여 어려움과 고난에 처하게 된다.

삼재(三災)가 머물고 있다.
화복은 병이 많고 자손과 재산이 모두 망하여 흩어진다. <장병패산(長病敗散)>

 


12) 묘(墓)


고(庫) 또는 장(藏). 고장(庫藏)이라고도 한다. 죽어서 땅속에 묻혔으니, 일생을 마치고 휴식하는 단계로

다시 내일을 기다린다. 모든 활동을 중지하고 쉬어야만 다음을 기대할 수 있다.

삼재(三災)가 나가지만 조심해야 한다.
화복은 병이 많고 재산과 자손이 모두 망한다. <장병패망(長病敗亡)>




◎ 풍수지리에서 포태법 운용방법


풍수지리에서 12포태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른다.

1) 파구[수구]의 방위를 측정하여 목, 화, 금, 수 사국(四局)을 정한다.


목국(木局) :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수구
화국(火局) : 신술(辛戌), 건해(乾亥), 임자(壬子) 수구
금국(金局) : 계축(癸丑), 간인(艮寅), 갑묘(甲卯) 수구
수국(水局) : 을진(乙辰), 손사(巽巳), 병오(丙午) 수구

2) 각국(各局)의 기포점(起胞點)에서 포(胞)를 시작하여 한다.


차례로 포, 태, 양,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를 짚어가면서 측정하고자 하는 입수룡(入首龍)이나

물의 득수처(得水處) 또는 파구처(破口處)의 방위가 12포태중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보고 길흉화복을

가늠한다.
기포점은 사국의 정고(正庫: 목국은 정미, 화국은 신술, 금국은 계축, 수국은 을진)를 기준한다.

물은 동(動)하는 양(陽)이므로 정고에서 한 궁위(宮位) 앞에서 기포하여 순행한다.

용은 정지한 음(陰)이므로 정고에서 한 궁위 뒤에서 기포하여 역행한다.




【예】혈지에서 나경패철 8층으로 파구의 방위를 측정하니 정미(丁未)였고, 득수(得水) 방위는 갑묘(甲卯)

방위 였다. 또 입수도두에서 4층으로 측정한 입수1절룡의 방위가 계축(癸丑)이었다면 이 혈지의 득수와

파구 입수룡의 길흉화복은 어떠한지 가늠해보자.

【답】정미파는 목국이고, 갑묘(甲卯) 득수는 왕(旺)에 해당하므로 부귀왕정(富貴旺丁)하는 득수다.
파구는 묘파로 매우 길한 파구다.

왜냐하면 물은 좋은 궁위에서 얻어야 길하고, 파구는 흉한 궁위로 빠져나가야 길하다.

용은 대(帶)룡에 해당하므로 등과부귀(登科富貴)하는 길한 용이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