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구는 발에 차꼬를 채워 발꿈치를 상하게 한다.[初九 屨校 滅趾]

○ ‘지(趾)’는 진(震)의 상을 취한 것이다. 초구가 변하면 진체(震體)를 잃어버리니 상하게 하는 멸(滅)의 상이 있다.


육이는 살을 깨물되 코가 없어지게 함이다.[六二 噬膚 滅鼻]

정강중(鄭剛中)이 말하기를, “‘부(膚)’는 육이의 음유(陰柔) 상이다.” 하였고, 운봉 호씨(雲峯胡氏)는 말하기를, “육이는 유(柔)로서 유(柔)의 자리에 있다. 그러므로 깨묾에 있어서 살을 깨무는 것이 쉬움을 형상하였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이효부터 상효까지는 전체의 모양이 간(艮)과 비슷한데, 간은 신부(身膚)가 되니 신(身)을 인하여 상을 취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부(膚)라는 것은 돼지 배의 부드러운 살이다. 초효부터 사효까지의 모양이 이체(離體)와 비슷한데, 이(離)는 복(腹)이 된다. 삼효부터 오효까지는 호체(互體)가 감(坎)인데, 감은 시(豕)가 된다. 그러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이효가 이체(離體)와 비슷한데, 이(離)의 복체(伏體)가 감(坎)으로 감은 시(豕)가 된다. 초효는 이효의 아래에 있다. 그러므로 상을 취한 것이다. 이효가 변하면 간체(艮體)를 잃어버리므로 멸(滅)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구사는 뼈가 섞인 말린 포를 씹어 금과 화살을 얻는다.[九四 噬乾胏 得金矢]

○ 혹자가 말하기를, “세 개의 양이 건(乾)으로 금(金)이 되고, 두 개의 음이 곤(坤)으로 황(黃)이 된다.” 하였다. ‘시(矢)’는 감(坎)의 목(木) 상이며, 감(坎)의 복체(伏體)가 태(兌)로 금(金)이 번쩍이는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어렵게 여기고 정고(貞固)함이 이로우니 길하다는 것은 광대(光大)하지 못한 것이다.” 하였다.[象曰 利艱貞吉 未光也]

○ ‘광(光)’은 간(艮)의 상이다. ‘미광(未光)’은 오효가 그것을 가린 것이다.


상구는 목에 차꼬를 쓰고 있어서 귀가 파묻혀 없어졌다.[上九 何校 滅耳]

○ ‘이(耳)’는 감(坎)의 하(下) 상을 취한 것이다. -쌍호 호씨(雙湖胡氏)의 설이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이(離)의 복체(伏體)는 감(坎)으로, 감은 귀인 이(耳)가 된다. 상효가 변하면 감체(坎體)를 잃어버리므로 ‘멸(滅)’이라 한 것이다.

운봉 호씨(雲峯胡氏)의 설이 좋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정강중(鄭剛中) : 송나라의 학자로, 금화(金華) 사람이며, 자가 형중(亨仲)이고 호가 북산(北山)이다. 저서로는 《주역규여(周易窺餘)》, 《북산집(北山集)》이 있다.
[주D-002]운봉 호씨(雲峯胡氏)의 설 : 운봉 호씨가 이르기를, “본의(本義)를 보면, 초효에 대해서는 허물이 작다고 하였고, 상효에 대해서는 악(惡)이 극에 달하였다고 하였다. 대개 허물이 있는데도 고치지 아니하면 반드시 악을 짓는 데로 흐르게 된다. 초효는 능히 허물을 고쳐서 악이 싹틀 적에 그쳤으므로 허물이 없다고 한 것이다. 상효의 경우는 끝까지 악을 행하였으므로 곧장 흉하다고 한 것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괘(剝卦 )  (0) 2010.08.29
비괘(賁卦 )  (0) 2010.08.29
관괘(觀卦 )  (0) 2010.08.29
임괘(臨卦 )  (0) 2010.08.29
고괘(蠱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