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4권

경사강의(經史講義) 41 ○ 역(易) 4

 

[계사전 하(繫辭傳下) 제6장]

 

“지나간 것을 밝히고 오는 것을 살핀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주자의 정론(定論)이 이미 상세하다. 그러나 일설(一說)에서는 “8괘로 말하면 진괘(震卦)로부터 건괘(乾卦)까지가 지나간 것을 밝힌 것이고 손괘(巽卦)부터 곤괘(坤卦)까지가 오는 것을 아는 것이며, 중괘(重卦)인 64괘를 가지고 말하면 앞의 괘가 지나간 것이 되고 뒤의 괘가 오는 것이 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도 취할 만한 점이 있는가?

[이익진이 대답하였다.]
《역경》 중에서 ‘지나간 것과 오는 것’에 대해 말한 것은 매우 많습니다. 예를 들면 ‘해가 지면 달이 뜬다’는 것은 천도(天道)로써 말한 것이고, ‘작은 것이 가면 큰 것이 온다’는 것은 소장(消長)으로 말한 것이며, ‘지나간 것을 헤아리고 오는 것을 안다’는 것은 선천도(先天圖)의 방위로 말한 것이고, ‘강(剛)이 오고 유(柔)가 간다’는 것은 괘변도(卦變圖)의 효위(爻位)로 말한 것입니다. 이 장에서 “지나간 것을 밝히고 오는 것을 살핀다.”고 한 말에 대해서는 《본의(本義)》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만 경전(經傳)의 글 뜻을 가지고 찾아보면 ‘지나간 것을 밝힌다’고 하는 것은 《맹자》에서 “진실로 그 소이연(所以然)을 구하면 천 년 후의 동지(冬至)가 되는 날을 앉아서 계산할 수 있다.”고 한 것이 그것이고, ‘오는 것을 살핀다’고 하는 것은 《중용》에서 “지성(至誠)의 도는 미리 알 수 있으니, 좋을 것을 반드시 먼저 알고 좋지 못할 것을 반드시 먼저 안다.”고 한 것이 그것입니다. 혹자의 주장에 “8괘에서 오고 간다.”고 한 것은 선천도를 따라 말한 것이고 “중괘(重卦)에서 오고 간다.”고 한 것은 괘변도를 따라 말한 것인데, 이러한 말이 또한 반드시 그렇지 않다는 것을 어찌 장담하겠습니까.


“이(貳)로 인해 백성의 행함을 구제한다.”고 할 때의 ‘이(貳)’를 《본의(本義)》에서는 의심한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곽씨(郭氏)는 곧 득(得)과 실(失)이라는 두 가지로 해석하였고, 정경승(程敬承)은 “천하의 이치는 항상 하나로 돌아가게 하는 것인데, 백성들이 두 가지로 보아 득과 실이 있기 때문에 이(貳)라고 한 것이다. 그러니 저 득실의 응보(應報)를 밝히면 천하는 분명하게 하나의 이치에 돌아가서 백성들의 행함을 구제할 수 있다. 구제한다는 것은 위태로운 상황에서 벗어나게 하여 편안하고 길(吉)한 자리에 처하도록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정씨(程氏)의 주장이 비교적 정밀한 듯한데, 어떠한가?

[성종인이 대답하였다.]
복서(卜筮)의 법은 전적으로 의심나는 것을 살피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상고(上古) 시대에는 민심(民心)이 순박하였기 때문에 순일(純一)하여 두 마음을 품지 않았고 질박하여 의심이 없었으므로 다만 역(易)의 획만을 두어 길흉의 상을 드러냈을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후대로 내려올수록 풍속이 더욱 각박해졌고 풍속이 각박해지자 의심이 날로 심해져서 득실의 상황에 처하면 선택의 갈림길에서 의심하고 일의 변화된 상황을 만나면 정회(貞悔)에 현혹되었으므로 역이라는 글이 비로소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민심이 의심하는 단서로 인해 사물에 있어서의 길흉의 응보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들이 행한 일을 이루어 주었던 것입니다. 정씨(程氏)의 주장은 ‘이(貳)’를 해석하여 득과 실이라는 두 가지로 나누었고, ‘백성을 구제하는 것’을 위험에서 구제하여 편안한 데에 두고 천하 사람들을 일깨워 주어서 득실이 없는 순일한 데로 돌아가게 한 것으로 보았으니, 밝혀낸 것이 많기는 합니다. 다만 아래 구에서 이미 ‘득실의 응보를 밝힌다’고 했으니, 굳이 ‘이’를 득과 실이라고 해석하여 말과 뜻이 중첩되는 병통을 범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말이 비록 곽씨(郭氏)에게서 나오기는 했지만, 천착한다는 혐의와 견강부회한 결론이라는 데에서는 벗어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이상은 계사전 하(繫辭傳下) 제6장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