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괘(損卦
)
손(損)은 성실함을 두면 크게 선하여 길하고 허물이 없어서 정(貞)할 수 있다.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損 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 ‘부(孚)’는 전체의 가운데가 빈 상이다. ‘정(貞)’은, 괘(卦)가 이루어진 것이 상구(上九)에서 말미암았는데, 구(九)가 삼효의 자리에 있으면 정(正)이고 상효의 자리에 있으면 부정(不正)이다. 그러므로 정(貞)할 수 있다고 한 것이다. ‘왕(往)’은 구(九)를 가리키는바, 삼효에서 가는 상이다.
어디에 쓰겠는가. 두 그릇만 가지고도 제향(祭享)할 수 있다.[曷之用 二簋可用享]
○ ‘궤(簋)’는, 진(震)이 죽(竹)이고 간(艮)이 수(手)이니 궤(簋)가 되는 상이 있는 것이다. ‘이궤(二簋)’에 대해서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그 상이 없는데도 뜻을 손(損)에서 취하였다.” 하였고, 혹자는 말하기를, “하괘의 세 효에서 한 효를 덜어 내면 이궤(二簋)의 상이 된다. 두 효는 모두 상괘에 응하니 제향하는 상이 있다.” 하였다.
단에 이르기를, “손(損)은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어 그 도가 올라가 행함이다.” 하였다.[彖曰 損 損下益上 其道上行]
○ 하체는 본디 건(乾)이고 상체는 본디 곤(坤)이다. 건의 구삼(九三)이 변하여서 상구(上九)가 되었고 곤의 상육(上六)이 변하여서 육삼(六三)이 되었으니, 이는 건의 구삼을 덜어서 곤의 상육에 보태 준 것이다. ‘상행(上行)’은 삼효에서 올라가서 그 보태 줌이 상효에 있으므로 ‘그 도가 올라가 행함이다.[其道上行]’ 한 것이다.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하기를, “하체(下體)는 본디 건(乾)으로 세 획이 모두 양(陽)이니, 지나치게 부(富)하고 실(實)하여 마땅히 덜어 내야 할 바이다. 상체(上體)는 본디 곤(坤)으로 세 획이 모두 음이니, 지나치게 허(虛)하고 핍(乏)하여 마땅히 보태 주어야 할 바이다. 덜어 내야 마땅한데 덜어 내고 보태 주어야 마땅한데 보태 주니, 이는 바로 이치에 있어서 바른 것이고 일에 있어서 마땅한 것이다. 성인(聖人)이 어찌 부족한 백성들에게서 덜어 내는 것으로 덜어 냄을 삼겠는가.” 하였다.
덜고 더하며 채우고 비움을 때에 따라 함께 행하여야 한다.[損益盈虛 與時偕行]
○ ‘손(損)’은 구삼을 덜어 내는 것이고, ‘익(益)’은 상육에 보태 주는 것이다. ‘영(盈)’은 상구(上九)를 가리키는데, 음(陰)이어서 허(虛)하므로 채워 주는 것이다. ‘허(虛)’는 육삼(六三)을 가리키는데, 양(陽)이어서 실(實)하므로 비워 주는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산 아래에 못이 있음이 손(損)이니, 군자가 보고서 분노를 징계하고 욕심을 막는다.” 하였다.[象曰 山下有澤 損 君子以 懲忿窒慾]
○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산 아래에 못이 있는 것은 산을 윤택하게 깎아서 그 못을 메꾸는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산의 높음을 윤택하게 하면 그 높음이 손상되고, 못의 깊음을 메꾸면 그 깊음이 손상되는 것이 손(損)의 상이다. ‘징분(懲忿)’은 산의 높음을 손상시키는 상을 본받은 것이고, ‘질욕(窒慾)’은 못의 깊음을 손상시키는 상을 본받은 것이다.
초구는 일을 마쳤거든 빨리 떠나가야 허물이 없으리니, 짐작하여 덜어야 한다.[初九 已事 遄往 无咎 酌損之]
○ 초효는 사효에 응하는데 사효가 지(止)인 간체(艮體)이니 일을 마치는 ‘이사(已事)’의 상이 있다. 사효는 초효에 응하는데 초효가 열(說)인 태체(兌體)이면서 양(陽)으로서 동(動)이 되니 빨리 떠나가는 ‘천왕(遄往)’의 상이 있다. 열(說)인 태(兌)가 사효에 보태 주면서도 능히 그치니 짐작하는 ‘작(酌)’의 상이 있다.
구이는 정(貞)함이 이롭고 가면 흉하니, 자신의 지조를 덜어 내지 않아야 유익하게 된다.[九二 利貞 征 凶 弗損 益之]
○ 구이는 부정(不正)이므로 정(貞)함이 이롭다. 이효의 호체가 진(震)인데 양으로서 진동(震動)에 있으므로 가면 흉하다는 경계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효로서 음의 자리에 있는바, 강(剛)과 유(柔)가 중도(中道)에 맞는데 덜어 내면 중도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불손(弗損)’이라고 한 것이다. 또한 열(說)인 태(兌)는 능히 그치는 상이다. 오효는 가운데가 비었으니 보태 줌을 받는 상이다.
육사는 그 병을 덜되 빠르게 하면 기쁨이 있어 허물이 없다.[六四 損其疾 使遄 有喜 无咎]
○ ‘질(疾)’에 대해서 양씨(楊氏)가 말하기를, “사물이 강(剛)과 유(柔)의 중도를 얻지 못한 것을 모두 질(疾)이라고 한다. 사효는 유(柔)로서 유(柔)의 자리에 있으니 유(柔)에 치우친 것이다.” 하였다. ‘사천(使遄)’은 사효의 호체가 진(震)으로 진의 동(動) 상이다. ‘유희(有喜)’는 사효가 태(兌)에 가까이 있는 데에서 상을 취하였다. 또 초효는 태체(兌體)로서 열(說)인데, 사효에 보태 준다. 그러니 사효가 기뻐하는 것은 초효를 인하여 얻은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효부터 상효까지는 이체(離體)와 비슷하며, 복체는 감체(坎體)와 비슷한데 감은 질(疾)이 된다.” 하였다.
○ 돈괘(遯卦)는 하체(下體)가 간(艮)인데 구삼효에서 질(疾)을 말하였고, 손괘(損卦)는 상체(上體)가 간(艮)인데 육사효에서 질(疾)을 말하였다. 간(艮)은 위가 성하고 아래가 허한바 질(疾)의 상인 것이다.
육오는 혹 더해 주면 열 벗이 도와주는지라 거북점도 능히 어기지 못한다.[六五 或益之 十朋之 龜 弗克違]
○ ‘십붕(十朋)’은 곤(坤)의 상이다. ‘구(龜)’는 이체(離體)와 비슷한 상이다. ‘불극위(弗克違)’는 음(陰)인 육(六)의 유(柔) 상이다. 오효는 가운데가 비었으니 보태 줌을 받는 상이 있다.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하기를, “오효는 이효의 보태 줌을 받으면서 또 상효의 보태 줌을 얻는다. 그러므로 ‘혹익지(或益之)’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
○ 본의(本義)의 주(註)에 나오는 요(幺) 자는 음(音)이 어(於) 자와 서(徐) 자의 반절(反切)이다.
상구는 덜지 말고 더해 주면 허물이 없으며 정하고 길한바,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 신하를 얻음이 집안에서만이 아니다.[上九 弗損 益之 无咎 貞吉 利有攸往 得臣 无家]
○ 상효는 삼효의 보태 줌을 받으니 다시 덜어 내어 삼효에 보태 주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불손(弗損)’이라고 한 것이다. 또한 간(艮)의 지(止) 상이다. ‘익(益)’은 삼효의 유(柔)하고 허(虛)한 상이다. 상효가 부정(不正)이므로 ‘정길(貞吉)’이라고 한 것이다. ‘이유유왕(利有攸往)’은, 단사(彖辭)에서는 상구(上九)를 위주로 하여 말하였는데 효사(爻辭)에서도 역시 그것을 말하였다. ‘득신(得臣)’은 아래의 다섯 효를 가리킨다. ‘가(家)’는 오효와 사효와 삼효를 가리키는데, 괘체(卦體)가 바깥은 실(實)하고 가운데는 허(虛)하니 가(家)의 상이 있는 것이다. 또 간(艮)의 문정(門庭) 상이다. 오효와 사효는 같은 체이며, 삼효가 그와 응(應)의 관계에 있다. ‘무가(无家)’는 이효와 초효를 가리키는데, 이효와 초효는 다른 체이면서 응의 관계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