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괘(姤卦 )

 

상에 이르기를, “어물(魚物)이 없음의 흉함은 백성을 멀리하기 때문이다.” 하였다.[象曰 无魚之凶 遠民也]

○ ‘어(魚)’는 초효의 상이다. 초효가 이미 이효를 만났으니 어물이 없는 ‘무어(无魚)’의 상인 것이다. ‘민(民)’은 초효가 음효(陰爻)인 상이다. 양(陽)은 임금이 되고 음(陰)은 백성이 된다. 또 사효가 양으로서 위에 있으니 임금의 상이며, 초효가 음으로서 아래에 있으니 백성의 상인 것이다.

구오는 기(杞)나무 잎으로 오이를 싸는 것이다.[九五 以杞包瓜]

○ ‘기(杞)’는 양효의 상으로, 오효를 가리킨다. 나무인 목(木)이 소양(少陽)이므로 이로써 양효를 형상하였다. ‘과(瓜)’는 음(陰)한 물체로, 초효의 상이다. ‘기포과(杞包瓜)’는 양으로써 음을 감싸고 있는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기(杞)’는 전체의 괘 모양인 손(巽)의 목(木) 상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괘(升卦 )  (0) 2010.08.29
췌괘(萃卦 )  (0) 2010.08.29
쾌괘(夬卦 )  (0) 2010.08.29
익괘(益卦 )  (0) 2010.08.29
손괘(損卦 )  (0) 2010.08.29

쾌괘(夬卦 )

 

쾌(夬)는 왕의 조정에서 드러냄이다.[夬 揚于王庭]

○ ‘양(揚)’은 양(陽)의 명(明) 상이다. 괘 전체의 복체가 박괘(剝卦)이니 ‘왕정(王庭)’의 상이 있다.

   사읍(私邑)부터 고하고 병란(兵亂)에 나아감은 이롭지 않으며,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告自邑 不利卽戎

   利有攸往]

 

○ ‘고(告)’는 태(兌)의 구(口) 상이다. ‘읍(邑)’은 태(兌)가 곤(坤)의 상효(上爻)를 얻었으니 읍의 상이 된다. 혹자가 말하기를, “하괘인 건(乾)의 복체인 곤(坤)의 상이다.” 하였다. ‘융(戎)’은 태(兌)의 금(金) 상이다. ‘불리즉융(不利卽戎)’은 태(兌)의 열(說) 상이다. ‘이왕(利往)’은 가면 쾌괘(夬卦)를 말미암아서 건(乾)이 된다.

상에 이르기를, “못이 하늘에 올라감이 쾌(夬)이니, 군자가 보고서 녹(祿)을 베풀어 아래에 미친다.” 하였다.[象曰 澤上於天 夬 君子以 施祿及下]

 

○ 못의 기운이 하늘로 올라가면 수증기가 되었다가 비로 변하니, 바로 터지는 궤결(潰決)의 상이다. 군자가 이를 본받아서 녹(祿)을 베풀어 아래에 미치게 하는 것이다. 못이 어찌 하늘로 올라갈 리가 있겠는가. 기(氣)로써 말한 것일 뿐이다. 한자(韓子)가 말하기를, “하늘에서 장차 비가 오려고 하면 수증기가 위로 올라간다.” 하였다.

초구는 앞발에 건장함이다.[初九 壯于前趾]

 

○ 양효로서 양의 자리에 있는 데다가 또 건체(乾體)이기까지 하니 건장한 상이 있는 것이다. ‘지(趾)’는 초효가 아래에 있는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이길 수 없는데도 가는 것이 허물이다.” 하였다.[象曰 不勝而往 咎也]

○ ‘왕(往)’은 양(陽)의 진(進) 상이다. ‘불승(不勝)’은 초효의 미약한 상이다. 반씨(潘氏)가 말하기를, “포의(布衣)를 입고 있으면서 권신(權臣)을 논핵(論劾)하는 것과 같으니, 전혀 자신의 힘을 헤아리지 못한 것이다.” 하였다.

구이는 두려워하고 하소연함이니, 늦은 밤에 적병이 있더라도 걱정할 것이 없다.[九二 惕號 莫夜 有戎 勿恤]

○ ‘척(惕)’은 태(兌)의 상이다. 《소문(素問)》에, “금(金)을 뜻에 두는 것이 걱정이 된다.” 하였다. ‘호(號)’는 태(兌)의 구(口) 상이다. ‘막야(莫夜)’는 하체(下體)가 이위(離位)의 끝인 상이다. ‘융(戎)’은 태(兌)의 금(金) 상이다. ‘물휼(勿恤)’은 점사(占辭)이다.

     구삼은 광대뼈에 건장하여 흉함이 있고, 홀로 가서 비를 만나니, 군자는 결단함을 쾌하게 한다. 젖는 듯이

     여겨 노여워함이 있다.[九三 壯于頄 有凶 君子夬夬 獨行遇雨 若濡有慍]

○ ‘장(壯)’은 괘 전체의 모양이 대장괘(大壯卦)와 비슷한 데서 상을 취한 것이다. ‘구(頄)’는 건(乾)의 수(首) 상이다. ‘군자(君子)’는 삼효의 상이다. ‘쾌쾌(夬夬)’에 대해서 식재 여씨(息齋余氏)가 말하기를, “삼효와 오효에서 모두 쾌쾌(夬夬)라고 하였다. 한 효는 음과 응(應)의 관계이고 한 효는 양과 비(比)의 관계로, 배(倍)가 아니어서 결단할 수가 없는 것이다. ‘독(獨)’은, 구삼이 다섯 양효 가운데에 있으면서 상육과 응의 관계에 있으므로 ‘독행(獨行)’이라고 한 것이다. ‘우(雨)’는, 상괘인 태(兌)의 택(澤) 상으로, 못의 기운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가니 비가 내리는 상이 있다. ‘유(濡)’는 우(雨)를 인하여 상을 취하였다. ‘온(慍)’은 여럿을 어기고 상효에 응하는 데에서 상을 취하였다.” 하였다.

구사는 볼기짝에 살이 없으며 그 감을 머뭇거리니, 양을 끌듯이 하면 뉘우침이 없겠으나 말을 들어도 믿지 않으리라.[九四 臀无膚 其行次且 牽羊 悔亡 聞言 不信]

○ ‘둔(臀)’은, 태(兌)가 손(巽)의 반체인데 손이 고(股)가 된다. 사효는 고(股)의 위에 있으니, 바로 볼기짝인 ‘둔(臀)’의 상이 되는 것이다. 피부인 ‘부(膚)’는 음유(陰柔)한 물체이니, ‘무부(无膚)’는 구사효의 강(剛) 상이다. ‘행차저(行次且)’는 손(巽)이 나아가고 물러남을 과감히 하지 못하는 상이 된다. ‘양(羊)’은 태(兌)의 상이다. 사효가 태체(兌體)의 뒤에 있으니 양을 끄는 ‘견양(牽羊)’의 상이 있는 것이다. ‘언(言)’은 태(兌)의 구(口) 상이다. ‘문언 불신(聞言不信)’은 태체(兌體)가 감이(坎耳)의 안을 막은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볼기짝인 ‘둔(臀)’은 앉으면 아래에 있고 서면 위에 있게 된다. 태(兌)는 손(巽)의 반체이니 앉는 상이 있다. 쾌괘(夬卦)의 사효에서 말한 둔(臀)은 앉아 있을 때의 볼기짝 상이고, 구괘(姤卦)의 삼효에서 말한 둔(臀)은 서 있을 때의 볼기짝 상이다.” 하였다.

구오는 비름나물을 쾌하게 끊듯이 하면 중도(中道)를 행한다.[九五 莧陸夬夬 中行]

○ ‘현(莧)’과 ‘육(陸)’은 모두 연못에서 자라는 풀이다. 태(兌)가 택(澤)이 되므로 상을 취한 것이다. ‘쾌쾌(夬夬)’는 양효인 강(剛)으로서 강(剛)의 자리에 있는 상이다. ‘중행(中行)’은 오효가 가운데에 있는 상이다.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쾌괘(夬卦)는 삼월(三月)의 괘이니, 비름나물[莧]이 처음으로 자라는 때이다. 구괘(姤卦)는 오월(五月)의 괘이니, 오이[瓜]가 처음으로 맺히는 때이다. 그러므로 그것으로써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상육은 소리침이 없으니, 끝내 흉함이 있다.[上六 无號 終有凶]

○ ‘호(號)’는 태(兌)의 구(口) 상이다. ‘무호(无號)’에 대해서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구이(九二)의 ‘척호(惕號)’는 뭇 양(陽)에게 소리치는 것이다. 상육은 한 음(陰)뿐이니 어디에다가 소리치겠는가.” 하였다. ‘종(終)’은 상효의 상이다. ‘종유흉(終有凶)’은 끝내 다섯 양(陽)이 결단하여 한 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주D-001]반씨(潘氏) : 반병(潘柄)을 가리킨다. 반병은 송나라 사람으로, 자가 겸지(謙之)이다. 주희의 문하에서 종유하였으며, 세상에서는 과산 선생(瓜山先生)이라고 칭한다. 저서로는 《역해(易解)》, 《상서해(尙書解)》가 있다.
[주D-002]식재 여씨(息齋余氏) : 여사서(余芑舒)를 가리킨다. 송나라 사람으로 주희의 학문을 배웠다. 저서로는 《채서전의(蔡書傳疑)》, 《서전해(書傳解)》, 《역해(易解)》가 있다.
[주D-003]구괘(姤卦)의 …… 둔(臀) : 구괘 삼효의 효사에 “구삼은 볼기짝에 살이 없으나 그 감을 머뭇거리니, 위태롭게 여기면 큰 허물이 없다.[九三 臀无膚 其行 次且 厲 无大咎]” 하였다.
[주D-004]구괘(姤卦)는 …… 때이다 : 구괘 오효의 효사에 “구오는 기(杞)나무 잎으로 오이를 싸는 것이니, 아름다움을 함축하면 하늘로부터 떨어짐이 있으리라.[九五 以杞包瓜 含章 有隕自天]” 하였다.
[주D-005]구이(九二) : 원문에는 ‘九三’으로 되어 있는데, 잘못된 것이기에 바로잡았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췌괘(萃卦 )  (0) 2010.08.29
구괘(姤卦 )  (0) 2010.08.29
익괘(益卦 )  (0) 2010.08.29
손괘(損卦 )  (0) 2010.08.29
해괘(解卦 )  (0) 2010.08.29

익괘(益卦 )

 

익(益)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益 利有攸往]

○ 한 음(陰)이 가서 한 양(陽)을 바꾸어 오므로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운 것이다. 초효부터 오효까지가 가운데가 비었으니, 배인 주(舟)의 상이다.

○ 부자(夫子)가 이효와 오효로써 가면 이로운 뜻을 해석하였는데, 이는 문왕(文王)의 본뜻이 아니다.


익은 동함에 공손하여 날로 나아감이 무궁하다.[益 動而巽 日進无疆]

○ ‘일진(日進)’은 이체(離體)와 비슷하니 일(日)이 되고, 진(震)은 동(動)이니 진(進)이 된다. ‘무강(无疆)’은 호체인 곤(坤)의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바람과 우레가 익(益)이니, 군자가 보고서 선을 보면 옮겨 가고 허물이 있으면 고친다.” 하였다.[象曰 風雷 益 君子以 見善則遷 有過則改]

○ 곤(坤)의 초육이 건(乾)의 사효로 올라가서 손(巽)이 되고, 건의 구사가 곤의 초효로 내려와서 진(震)이 되었으니, 역시 바람과 우레가 서로 보태 주는 상이다. 곤(坤)은 지나치게 유(柔)하고 건(乾)은 지나치게 강(剛)하다. 곤의 초육이 변하여 초구가 되었으니 착한 데로 옮겨 가는 ‘천선(遷善)’의 상이 있고, 건의 구사가 변하여 육사가 되었으니 허물을 고치는 ‘개과(改過)’의 상이 있다.

익괘(益卦)의 상은 항괘(恒卦) 상전(象傳) 아래에 있는 건안 구씨의 설이 아주 좋다.


초구는 크게 일으킴이 이롭다.[初九 利用爲大作]

○ ‘작(作)’은 진(震)의 동(動) 상이다. ‘대작(大作)’에 대해서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음(陰)은 소(小)가 되고 양(陽)은 대(大)가 된다. 초효는 음이 아래에 있어서 본디 작은 것이다. 그런데 건(乾)의 양(陽)을 덜어서 초효에 보태 주니 큰 것이 된다.” 하였다.


육이는 혹 보태 주게 되면 열 벗이 도와주는지라 거북점도 능히 어기지 못할 것이나, 영구히 정고(貞固)하게 하면 길하니, 왕이 상제(上帝)에게 제향하더라도 길하다.[六二 或益之 十朋之 龜 弗克違 永貞 吉 王用享于帝 吉]

○ 이효는 음효(陰爻)로서 음의 자리에 있으니 정(貞)한 것이다. 그런데 유(柔)인 탓에 혹 지킴을 잃으므로 그 정(貞)함을 영구히 하면 길하다고 경계한 것이다. 그리고 이효는 가운데가 비었으면서 오효에 응하는데, 오효와 상효는 하늘의 자리이다. 그러므로 상제에게 제향(祭享)하는 상이 있는 것이다. 왕자(王者)가 그것을 쓰면 길하다고 하였는데,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왕(王)’은 오효를 가리킨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이는 점(占)으로써 말한 것이지 반드시 오효를 가리켜 말한 것은 아니다.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이효는 오효의 보태 줌을 받고 또 초효의 보태 줌을 받는다. 그러므로 ‘혹익지(或益之)’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


상에 이르기를, “혹 유익하게 한다는 것은 밖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하였다.[象曰 或益之 自外來也]

○ ‘외(外)’는 외괘(外卦)를 가리킨다.


육삼은……성실함이 있고 중도를 행하여야 공(公)에게 아뢸 적에 규(圭)를 쓰듯이 할 것이다.[六三……有孚中行 告公用圭]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고(告)’는 초효부터 오효까지에 이구(頤口) 상이 있다.” 하였다. ‘공(公)’은 삼효를 가리킨다. ‘규(圭)’는 옥(玉)으로 만드는데, 세 양효가 건(乾)이니 옥(玉)이 된다. 또 전체의 모양새가 규(圭)와 비슷하다. 삼효의 호체는 간(艮)으로 수(手)이다. 그러니 규를 잡는 상이 있는 것이다. ‘유부(有孚)’는 가운데가 빈 상이다. ‘고(告)’는 전체의 모양새인 이구(頤口) 상이다.


육사는 중도로 행하면 공에게 고하매 따르리니, 의지하며 국도(國都)를 옮김이 이롭다.[六四 中行 告公從 利用爲依 遷國]

○ 사효는 본디 곤체(坤體)인데 위로 올라가 사효로 옮겨 갔으니, 국도를 옮기는 ‘천국(遷國)’의 상이 있는 것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공(公)’은 사효를 가리킨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공(公)’은 오효를 가리킨다. ‘종(從)’은 오효가 사효를 따르는 것이고, ‘의(依)’는 사효가 오효에 의지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음과 양이 서로 비(比)의 관계가 되는 데에서 상을 취한 것이다. ‘공(公)’은 반드시 오효를 가리켜 공(公)으로 삼은 것이 아니라, 공가(公家)와 같은 말일 뿐이다.


구오는 은혜로운 마음에 정성을 두고 있다. 묻지 않아도 크게 선하여 길하니, 정성을 두어 나의 덕을 은혜롭게 여기리라.[九五 有孚惠心 勿問 元吉 有孚 惠我德]

○ ‘심(心)’은 오효가 감(坎)의 자리에 있는 상이다. ‘문(問)’은 이구(頤口) 상이다. ‘물(勿)’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아(我)’는 오효를 가리킨다. ‘혜(惠)’는 괘의 이름을 인하여 뜻을 취한 것이다.


상구는 유익하게 해 주는 이가 없다. 혹 공격하리니 마음을 세우되 항상하지 말아야 하니, 흉하다.[上九 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 ‘막익(莫益)’은 보태 줌이 극하여 변하는 상이다. ‘격(擊)’은 육효의 아래에 있는 간(艮)의 수(手) 상이다. ‘심(心)’은 상효가 변하면 감(坎)이 되며, 또 상괘가 감의 자리에 있으니 심(心)의 상이 있는 것이다. ‘입심물항(立心勿恒)’은 손(巽)의 상이다.


[주D-001]익괘(益卦)의 …… 좋다 :

항괘(恒卦)의 상전(象傳)에 대해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손(巽)은 입(入)인데 안에 있고 진(震)은 출(出)인데 밖에 있어, 두 물체가 각각 제자리에 있으니 그것을 일러 항(恒)이라 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그것을 체받아 제자리에 서서 방소(方所)를 바꾸지 않는다. 우레가 들어가서 바람을 따르고 바람이 나와서 우레를 따라, 두 물체가 자리를 바꾸어 서로 따르니 그것을 일러 익(益)이라 한다. 그러므로 군자가 그것을 체받으니, 역시 개과천선하는 뜻이 있는 것이다. 이것이 항괘와 익괘의 두 상이 같지 않은 이유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괘(姤卦 )  (0) 2010.08.29
쾌괘(夬卦 )  (0) 2010.08.29
손괘(損卦 )  (0) 2010.08.29
해괘(解卦 )  (0) 2010.08.29
건괘(蹇卦 )  (0) 2010.08.29

손괘(損卦 )

 

손(損)은 성실함을 두면 크게 선하여 길하고 허물이 없어서 정(貞)할 수 있다.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損 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 ‘부(孚)’는 전체의 가운데가 빈 상이다. ‘정(貞)’은, 괘(卦)가 이루어진 것이 상구(上九)에서 말미암았는데, 구(九)가 삼효의 자리에 있으면 정(正)이고 상효의 자리에 있으면 부정(不正)이다. 그러므로 정(貞)할 수 있다고 한 것이다. ‘왕(往)’은 구(九)를 가리키는바, 삼효에서 가는 상이다.

어디에 쓰겠는가. 두 그릇만 가지고도 제향(祭享)할 수 있다.[曷之用 二簋可用享]

○ ‘궤(簋)’는, 진(震)이 죽(竹)이고 간(艮)이 수(手)이니 궤(簋)가 되는 상이 있는 것이다. ‘이궤(二簋)’에 대해서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그 상이 없는데도 뜻을 손(損)에서 취하였다.” 하였고, 혹자는 말하기를, “하괘의 세 효에서 한 효를 덜어 내면 이궤(二簋)의 상이 된다. 두 효는 모두 상괘에 응하니 제향하는 상이 있다.” 하였다.

단에 이르기를, “손(損)은 아래를 덜어 위에 보태어 그 도가 올라가 행함이다.” 하였다.[彖曰 損 損下益上 其道上行]

○ 하체는 본디 건(乾)이고 상체는 본디 곤(坤)이다. 건의 구삼(九三)이 변하여서 상구(上九)가 되었고 곤의 상육(上六)이 변하여서 육삼(六三)이 되었으니, 이는 건의 구삼을 덜어서 곤의 상육에 보태 준 것이다. ‘상행(上行)’은 삼효에서 올라가서 그 보태 줌이 상효에 있으므로 ‘그 도가 올라가 행함이다.[其道上行]’ 한 것이다.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하기를, “하체(下體)는 본디 건(乾)으로 세 획이 모두 양(陽)이니, 지나치게 부(富)하고 실(實)하여 마땅히 덜어 내야 할 바이다. 상체(上體)는 본디 곤(坤)으로 세 획이 모두 음이니, 지나치게 허(虛)하고 핍(乏)하여 마땅히 보태 주어야 할 바이다. 덜어 내야 마땅한데 덜어 내고 보태 주어야 마땅한데 보태 주니, 이는 바로 이치에 있어서 바른 것이고 일에 있어서 마땅한 것이다. 성인(聖人)이 어찌 부족한 백성들에게서 덜어 내는 것으로 덜어 냄을 삼겠는가.” 하였다.

덜고 더하며 채우고 비움을 때에 따라 함께 행하여야 한다.[損益盈虛 與時偕行]

○ ‘손(損)’은 구삼을 덜어 내는 것이고, ‘익(益)’은 상육에 보태 주는 것이다. ‘영(盈)’은 상구(上九)를 가리키는데, 음(陰)이어서 허(虛)하므로 채워 주는 것이다. ‘허(虛)’는 육삼(六三)을 가리키는데, 양(陽)이어서 실(實)하므로 비워 주는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산 아래에 못이 있음이 손(損)이니, 군자가 보고서 분노를 징계하고 욕심을 막는다.” 하였다.[象曰 山下有澤 損 君子以 懲忿窒慾]

○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산 아래에 못이 있는 것은 산을 윤택하게 깎아서 그 못을 메꾸는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산의 높음을 윤택하게 하면 그 높음이 손상되고, 못의 깊음을 메꾸면 그 깊음이 손상되는 것이 손(損)의 상이다. ‘징분(懲忿)’은 산의 높음을 손상시키는 상을 본받은 것이고, ‘질욕(窒慾)’은 못의 깊음을 손상시키는 상을 본받은 것이다.

초구는 일을 마쳤거든 빨리 떠나가야 허물이 없으리니, 짐작하여 덜어야 한다.[初九 已事 遄往 无咎 酌損之]

○ 초효는 사효에 응하는데 사효가 지(止)인 간체(艮體)이니 일을 마치는 ‘이사(已事)’의 상이 있다. 사효는 초효에 응하는데 초효가 열(說)인 태체(兌體)이면서 양(陽)으로서 동(動)이 되니 빨리 떠나가는 ‘천왕(遄往)’의 상이 있다. 열(說)인 태(兌)가 사효에 보태 주면서도 능히 그치니 짐작하는 ‘작(酌)’의 상이 있다.

구이는 정(貞)함이 이롭고 가면 흉하니, 자신의 지조를 덜어 내지 않아야 유익하게 된다.[九二 利貞 征 凶 弗損 益之]

○ 구이는 부정(不正)이므로 정(貞)함이 이롭다. 이효의 호체가 진(震)인데 양으로서 진동(震動)에 있으므로 가면 흉하다는 경계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효로서 음의 자리에 있는바, 강(剛)과 유(柔)가 중도(中道)에 맞는데 덜어 내면 중도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불손(弗損)’이라고 한 것이다. 또한 열(說)인 태(兌)는 능히 그치는 상이다. 오효는 가운데가 비었으니 보태 줌을 받는 상이다.

육사는 그 병을 덜되 빠르게 하면 기쁨이 있어 허물이 없다.[六四 損其疾 使遄 有喜 无咎]

○ ‘질(疾)’에 대해서 양씨(楊氏)가 말하기를, “사물이 강(剛)과 유(柔)의 중도를 얻지 못한 것을 모두 질(疾)이라고 한다. 사효는 유(柔)로서 유(柔)의 자리에 있으니 유(柔)에 치우친 것이다.” 하였다. ‘사천(使遄)’은 사효의 호체가 진(震)으로 진의 동(動) 상이다. ‘유희(有喜)’는 사효가 태(兌)에 가까이 있는 데에서 상을 취하였다. 또 초효는 태체(兌體)로서 열(說)인데, 사효에 보태 준다. 그러니 사효가 기뻐하는 것은 초효를 인하여 얻은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효부터 상효까지는 이체(離體)와 비슷하며, 복체는 감체(坎體)와 비슷한데 감은 질(疾)이 된다.” 하였다.
돈괘(遯卦)는 하체(下體)가 간(艮)인데 구삼효에서 질(疾)을 말하였고, 손괘(損卦)는 상체(上體)가 간(艮)인데 육사효에서 질(疾)을 말하였다. 간(艮)은 위가 성하고 아래가 허한바 질(疾)의 상인 것이다.

육오는 혹 더해 주면 열 벗이 도와주는지라 거북점도 능히 어기지 못한다.[六五 或益之 十朋之 龜 弗克違]

○ ‘십붕(十朋)’은 곤(坤)의 상이다. ‘구(龜)’는 이체(離體)와 비슷한 상이다. ‘불극위(弗克違)’는 음(陰)인 육(六)의 유(柔) 상이다. 오효는 가운데가 비었으니 보태 줌을 받는 상이 있다.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하기를, “오효는 이효의 보태 줌을 받으면서 또 상효의 보태 줌을 얻는다. 그러므로 ‘혹익지(或益之)’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
○ 본의(本義)의 주(註)에 나오는 요(幺) 자는 음(音)이 어(於) 자와 서(徐) 자의 반절(反切)이다.

상구는 덜지 말고 더해 주면 허물이 없으며 정하고 길한바,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니, 신하를 얻음이 집안에서만이 아니다.[上九 弗損 益之 无咎 貞吉 利有攸往 得臣 无家]

○ 상효는 삼효의 보태 줌을 받으니 다시 덜어 내어 삼효에 보태 주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불손(弗損)’이라고 한 것이다. 또한 간(艮)의 지(止) 상이다. ‘익(益)’은 삼효의 유(柔)하고 허(虛)한 상이다. 상효가 부정(不正)이므로 ‘정길(貞吉)’이라고 한 것이다. ‘이유유왕(利有攸往)’은, 단사(彖辭)에서는 상구(上九)를 위주로 하여 말하였는데 효사(爻辭)에서도 역시 그것을 말하였다. ‘득신(得臣)’은 아래의 다섯 효를 가리킨다. ‘가(家)’는 오효와 사효와 삼효를 가리키는데, 괘체(卦體)가 바깥은 실(實)하고 가운데는 허(虛)하니 가(家)의 상이 있는 것이다. 또 간(艮)의 문정(門庭) 상이다. 오효와 사효는 같은 체이며, 삼효가 그와 응(應)의 관계에 있다. ‘무가(无家)’는 이효와 초효를 가리키는데, 이효와 초효는 다른 체이면서 응의 관계가 아니다.

[주D-001]돈괘(遯卦)는 …… 말하였고 : 돈괘 구삼효의 효사에, “구삼은 매어 있는 돈(遯)이라 병이 있어서 위태로우니, 신첩(臣妾)을 기름에는 길하다.[九三 係遯 有疾 厲 畜臣妾 吉]”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쾌괘(夬卦 )  (0) 2010.08.29
익괘(益卦 )  (0) 2010.08.29
해괘(解卦 )  (0) 2010.08.29
건괘(蹇卦 )  (0) 2010.08.29
규괘(睽卦 )  (0) 2010.08.29

해괘(解卦 )

 

해(解)는 서남이 이로우니 갈 필요가 없다. 와서 돌아옴이 길하니, 갈 바가 있거든 일찍하면 길하다.[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 吉]

○ ‘서남이 이롭다.[利西南]’는 것은 구사(九四)를 가리킨다. ‘갈 필요가 없다. 와서 돌아옴이 길하다.[无所往 其來復 吉]’는 것은 구이(九二)를 가리킨다. ‘갈 바가 있거든 일찍하면 길하리라.[有攸往 夙 吉]’는 것은 구이가 가면 오효로 들어가는데, 그러면 감(坎)의 험함이 변하여 곤(坤)의 평탄함이 되므로 길한 것이다.

천지가 풀려서 우레와 비가 일어나고, 우레와 비가 일어나서 온갖 과목(果木)과 초목(草木)이 모두 껍질이 터지니, 해(解)의 때가 크다.[天地解而雷雨作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圻 解之時大矣哉]

○ 초효와 이효는 땅이고, 오효와 상효는 하늘인데, 감(坎)이 아래에 있으니 비가 하늘에서 내려와 베풀어지는 상이다. 그리고 진(震)이 위에 있으니 우레가 땅에서 나와 진동하는 상이다. ‘과(果)’는 양의 상으로, 박괘(剝卦)의 경우 한 양이 과(果)를 형상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초목(草木)’은 음(陰)의 상으로, 손괘(巽卦)가 한 음을 얻어서 목(木)을 형상하는 것과 같다. ‘갑(甲)’은 양(陽)의 기(奇) 상이다. ‘탁(圻)’은 음(陰)의 우(偶) 상이다.

구이는 사냥하여 세 마리의 여우를 잡아 누런 화살을 얻었다.[九二 田獲三狐 得黃矢]

○ ‘시(矢)’는, 감(坎)이 견목(堅木)이니 시(矢)의 상이 있다. 이효부터 사효까지는 이(離)가 되니 과병(戈兵)의 상이다. ‘황(黃)’은 곤(坤)의 색깔인데, 감(坎)은 본디 곤체(坤體)가 건(乾)과 사귀어서 감(坎)이 된 것이다.

육삼은 지고 있어야 하는데도 타고 있는지라 도적을 오게 한다.[六三 負且乘 致寇至]

○ ‘부(負)’는, 삼효가 사효를 받들고 있으니 부(負)의 상이 있다. ‘승(乘)’은 삼효가 이효를 타고 있으니 승(乘)의 상이 있다. 또 삼효가 감체(坎體)이면서 감체의 윗자리에 있으니 수레를 타고 있는 상이 있는 것이다. ‘구(寇)’는, 감(坎)이 도(盜)가 된다.

상에 이르기를, “……나로부터 도적을 불러들였다.” 하였다.[象曰……自我致戎]

○ ‘융(戎)’은 이(離)의 과병(戈兵) 상이다.

구사는 네 엄지발가락을 풀어 버리면 벗이 이르러 믿을 것이다.[九四 解而拇 朋至 斯孚]

○ ‘무(拇)’는 초효가 아래에 있는 상이다. 진(震)은 족(足)이 되는바 족을 인하여 상을 취한 것이다. ‘부(孚)’는 양(陽)의 실(實) 상이다.

육오는 군자가 풀어 버림이 있으면 길하니, 소인에게서 징험함이 있다.[六五 君子維有解 吉 有孚于小人]

○ ‘군자(君子)’는 오효를 가리킨다. ‘소인(小人)’은 세 음(陰)이 동류(同類)인 것을 가리킨다.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오효는 중(中)을 얻었으니 군자(君子)가 될 수 있다. 육효는 음(陰)이 되니 역시 소인(小人)과 동류(同類)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역(易) 가운데에서 부(孚) 자는 모두 미덥고 성실하다는 뜻인 부신(孚信)의 뜻으로 쓰인다. 그런데 유독 이곳에서만 징험한다는 뜻인 부험(孚驗)의 뜻으로 쓰였다는 것은 온당치 못한 듯하다. 내가 중계 장씨(中溪張氏)의 설을 인해서 생각해 보니, ‘부(孚)’는 오효의 가운데가 빈 상으로 여겨진다. 군자가 풀어 버리는 바가 있으면 길하여서 소인의 마음에 미더움을 줄 수 있다. 이는 마치 순(舜) 임금이 사흉(四凶)을 물리친 것과 같으니 어찌 심복(心服)하지 않을 리가 있겠는가.

상육은 공(公)이 새매를 높은 담장 위에서 쏘아 잡는다.[上六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용(墉)’은 사효를 가리킨다.” 하였다. 감(坎)은 궁(弓)이 되는데 삼효부터 오효까지는 호체가 감(坎)이며, 그 위에 진체(震體)가 있는데 진(震)은 동(動)이 된다. 그러니 활을 쏘는 ‘사(射)’의 상이 있는 것이다. ‘준(隼)’은, 이(離)가 나는 새인 비조(飛鳥)의 상이 되는데 이효부터 사효까지는 호체가 이(離)이다. ‘용(墉)’은, 삼효부터 상효까지는 세 음(陰)이 있어서 곤토(坤土)가 되며, 진목(震木)이 간(幹)이 되는바, 용(墉)의 상이 있는 것이다.
동인괘(同人卦)의 사효는 세 기획(奇畫)이 잇달아 뻗쳐 있는 상을 취하였으므로 단지 ‘용(墉)’이라고만 하였다. 해괘(解卦)의 상효에서는 곤토(坤土)와 진목(震木)의 상을 취하였으므로 ‘고용(高墉)’이라고 하였는바, 상을 취함이 무궁하다. 이런 점 때문에 역(易)이 되는 것이다.

[주D-001]동인괘(同人卦)의 …… 하였다 : 동인괘 사효의 효사에 “구사는 담에 올라가나 공격하지 못하니, 길하다.[九四 乘其墉 弗克攻 吉]”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괘(益卦 )  (0) 2010.08.29
손괘(損卦 )  (0) 2010.08.29
건괘(蹇卦 )  (0) 2010.08.29
규괘(睽卦 )  (0) 2010.08.29
가인괘(家人卦 )  (0) 2010.08.29

험함을 보고 멈춘다.[見險而能止]

○ 감(坎)이 바깥에 있고 간(艮)이 안에 있으며 호체인 이(離)가 가운데에 있으니, 험함을 보고 멈추는 ‘견험이지(見險而止)’의 상이 있는 것이다. 내괘가 감(坎)이고 외괘가 간(艮)이면서 가운데에 이체(離體)가 없는 것은 몽괘(蒙卦)가 된다.

초육은 가면 어렵고 오면 명예가 있다.[初六 往蹇 來譽]

○ 가면 험함으로 들어가므로 어려운 것이다. ‘내(來)’는 가지 않는 것을 이른다. 간체(艮體)는 독실(篤實)하고 광채로우니, 명예를 오게 하는 근본이다.

상에 이르기를, “가면 어렵고 오면 제자리로 돌아옴은 안이 기뻐하기 때문이다.” 하였다.[象曰 往蹇來反 內喜之也]

○ ‘희(喜)’는, 양(陽)이란 것은 음(陰)이 기뻐하는 바이다.

상육은 가면 어렵고 오면 여유로워 길하리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上六 往 蹇 來 碩 吉 利見大人]

○ ‘왕(往)’은 오지 않는 것을 이른다. ‘내(來)’는 와서 삼효로 나아가는 것이다. ‘석(碩)’은 크다는 뜻인 대(大)이니, 양(陽)이 대(大)가 되므로 석(碩)이라 한 것이다. ‘대인(大人)’은 오효를 가리킨다. -건안 구씨(建安丘氏)의 설이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괘(損卦 )  (0) 2010.08.29
해괘(解卦 )  (0) 2010.08.29
규괘(睽卦 )  (0) 2010.08.29
가인괘(家人卦 )  (0) 2010.08.29
명이괘(明夷卦 )  (0) 2010.08.29

초구는 뉘우침이 없어지니, 말을 잃고 쫓지 않아도 스스로 돌아올 것이다.[初九 悔亡 喪馬 勿逐 自復]

○ ‘마(馬)’는 감(坎)의 상이다. 초효가 사효와 응(應)의 관계가 아닌데 사효는 삼효와 비(比)의 관계에 있으니, 말을 잃어버리는 ‘상마(喪馬)’의 상이 있는 것이다. 감함(坎陷) 안으로 들어가므로 쫓지 않는 것이다. ‘자복(自復)’은 태(兌)의 열(說) 상이다.


구이는 군주를 골목에서 은밀히 만나면[九二 遇主于巷]

○ ‘주(主)’는 오효를 가리키니 임금의 자리이다. ‘항(巷)’은 음(陰)의 우(偶) 상이다. 괘의 뜻을 인하여 만난다는 ‘우(遇)’ 상을 취하였다.

○ ‘우(遇)’는 응하지 않기 때문에 그 상을 취한 것이다.


육삼은 수레가 뒤로 끌리고 소가 앞이 가로막히며, 그 사람이 머리가 깎이고 코가 베임을 보니 처음은 없고 끝은 있다.[六三 見輿曳 其牛掣 其人 天且劓 无初 有終]

○ 삼효의 호체는 감(坎)으로, 감(坎)은 여(輿)가 된다. 육삼이 두 강(剛)의 사이에 끼어 있으면서 아래로 이효에게 제압을 당하니, 수레가 뒤로 끌려가는 ‘여예(輿曳)’의 상이 있는 것이다. 또 감(坎)은 예(曳)가 된다. 위로는 사효에 막혀 있는데 사효는 이체(離體)로 우(牛)가 되니, 소가 앞이 가로막히는 ‘우체(牛掣)’의 상이 있는 것이다. ‘천(天)’은 머리가 깎이는 것[髡首]이고, ‘의(劓)’는 코가 베이는 것[截鼻]이다. 감(坎)은 형(刑)이 되고 태(兌)는 훼절(毁折)의 상이 된다.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천(天) 자는 이(而) 자로 되는 것이 합당한바, 수염을 깎는 것이다.[天合作而 剃鬚也]”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이(離)는 이구(頤口)의 상이 된다. 육삼은 이체(離體)의 아래에 붙어 있으니 수(鬚)의 상이며 태(兌)의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태(兌)는 손(巽)의 반체인데 손(巽)이 과발(寡髮)이 되니 머리가 깎이는 ‘천(天)’의 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태(兌)의 복체는 간(艮)인데 간(艮)은 비복(鼻伏)이 되며 태(兌)는 훼절(毁折)이 되므로 코가 베이는 ‘의(劓)’의 상이 있는 것이다. ‘종(終)’은 삼효가 끝인 상이다. ‘초(初)’는 종(終)에 대치되는 말이다.” 하였다.


육오는……감에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六五……往 何咎]

○ ‘왕(往)’은 유(柔)한 음효가 위에서 행하는 상이다. 오효는 사효로부터 나아가 중간에 위치해 있으면서 응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나아감에 허물이 없는 것이다.


상구는 어그러짐에 외로워서 돼지가 진흙을 진 것과 귀신이 한 수레에 가득히 실려 있는 것을 봄이다. 먼저는 활줄을 당기다가 뒤에는 활줄을 풀어놓아 적(敵)이 아니라 혼구(婚媾)이니, 가서 비를 만나면 길하다.[上九 睽孤 見豕負塗 載鬼一車 先張之弧 後說之弧 匪寇 婚媾 往遇雨 則吉]

‘규고(睽孤)’에 대해서는 구사효(九四爻)에 대한 운봉 호씨의 설에 나온다. ‘견(見)’은 이(離)의 목(目) 상이다. ‘시(豕)’는 감(坎)의 상이다. ‘도(塗)’는 감(坎)의 상이다. 삼효가 감체(坎體)의 아래에 있으니 진흙을 진 ‘부도(負塗)’의 상이 있는 것이다. ‘귀(鬼)’는 감(坎)의 상인데 감(坎)은 유음(幽陰)의 방위이니 귀신인 ‘귀(鬼)’의 상이 있는 것이다. ‘거(車)’는 감(坎)의 상이다. 삼효가 감체의 안에 있으니 귀신이 수레에 실려 있는 ‘재귀(載鬼)’의 상이 있는 것이다. ‘호(弧)’는 전체에서 상을 취하였다. 또 감(坎)은 궁(弓)의 상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태(兌)는 손목(巽木)의 반체이니 궁(弓)의 상이 있다. 손승(巽繩)은 현(弦)의 상이 된다.” 하였다. ‘우(雨)’는 감(坎)의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비를 만남이 길함은 모든 의심이 없어진 것이다.” 하였다.[象曰 遇雨之吉 群疑亡也]

○ ‘군의(群疑)’는 돼지[豕]가 아닌데도 돼지라고 여기고 귀신[鬼]이 아닌데도 귀신이라고 여기는 따위를 말한다.


[주D-001]천(天) 자는 …… 것이다 : 천(天) 자와 이(而) 자는 전자(篆字)의 모양이 아주 흡사하여 잘못 쓴 것이니 이(而) 자로 고쳐야 한다는 뜻이다. 이(而) 자에는 구레나룻[頰毛]이라는 뜻이 있다.
[주D-002]규고(睽孤)에 …… 나온다 : 구사(九四)에 대해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양효인 구(九)는 본디 오효의 자리에 있는 것이다. 그럴 경우 이효의 구(九)와 서로 비(比)의 관계가 되어서 외롭지 않다. 그런데 지금은 구(九)가 와서 사효의 자리에 있으니, 상효가 외롭고 사효 역시 외롭다. 그러므로 모두 고(孤)의 상이 있는 것이다. 다른 효에서 어그러졌다가 합해지는 것은 강(剛)과 유(柔)가 서로 만난 것이다. 그런데 사효와 초효가 어그러졌다가 합해지는 것은 강(剛)과 강(剛)이 만난 것이니, 피차간에 강실(剛實)로써 서로 사귀어야만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반드시 위태로워야만 허물이 없는 것은, 다른 괘에서는 삼효의 자리가 위태로운 자리이므로 대부분 여(厲)로써 말하였다. 그런데 규괘(睽卦)의 사효는 위태로운 자리가 아니다. 그러나 규(睽)의 때를 당해서는 반드시 위태로움에 처하는 방도로 대처하여야만 허물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괘(解卦 )  (0) 2010.08.29
건괘(蹇卦 )  (0) 2010.08.29
가인괘(家人卦 )  (0) 2010.08.29
명이괘(明夷卦 )  (0) 2010.08.29
진괘(晉卦 )  (0) 2010.08.29
서괘전(序卦傳)에 “안에서는 밝고 밖에서는 공손하다.[明於內而巽於外]” 하였는데, 안에서 밝고 밖에서 공손하다는 것은, 정자(程子)의 뜻은, 남자와 여자로써 말한 것이다. 오효의 전(傳)에서 그러한 사실을 볼 수가 있다.

단에 이르기를, “가인(家人)은 여자가 안에서 위치를 바르게 하고 남자가 밖에서 위치를 바르게 하니, 남자와 여자의 바름이 천지의 대의이다.” 하였다.[彖曰 家人 女正位乎內 男正位乎外 男女正 天地之大義也]
○ ‘여정위호내(女正位乎內)’는 음(陰)인 육(六)으로서 음의 자리인 이효에 있으니 음효로서 음효의 자리를 얻은 것이다. ‘남정위호외(男正位乎外)’는 양(陽)인 구(九)로서 양의 자리인 오효에 있으니 양효로서 양효의 자리를 얻은 것이다. 남자와 여자가 바른 것이 천지(天地)의 대의(大義)이다. 풍씨(馮氏)가 말하기를, “삼재(三才)를 겸해서 둘로 하면, 오효는 천(天)이고 이효는 지(地)이다.” 하였다.

상에 이르기를, “바람이 불로부터 나옴이 가인(家人)이니, 군자가 보고서 말에 진실함이 있고 행실에 항상함이 있게 한다.” 하였다.[象曰 風自火出 家人 君子以 言有物而行有恒]
○ 내가 생각해 보건대, 화(火)는 풍(風)의 어미이고, 신(身)은 가(家)의 근본이다. 군자가 바람이 불로부터 나오는 상을 보고는 먼저 자신의 몸을 닦는다. 언행(言行)은 신(身)의 추기(樞機)이다. 진실함이 있고 항상함이 있으면 자신의 몸이 닦이고 집안이 다스려질 것이다.

초구는 집에서 예법으로 막으면[初九 閑有家]
○ 이효가 가운데가 비었는데 초효가 아래에 있으면서 연결되어 있으니 막는 상이 있는 것이다.

육이는 이루는 바가 없고 규중(閨中)에 있으면서 음식을 장만하면[六二 无攸遂 在中饋]
○ 초효부터 삼효까지와 삼효부터 오효까지의 괘체(卦體)가 이(離)가 겹쳐 있으니 이궁(異宮)의 상이 있는 것이다. 이효는 아래에 있는 부(婦)이고, 사효는 집안의 어미이다. 그러므로 이효는 음식을 장만함이고 사효는 집이 부유함이다. ‘무유수(无攸遂)’는 음(陰)이 이루는 바가 없는 상이다. 이효가 하괘(下卦)의 가운데에 있으므로 ‘재중(在中)’이라고 한 것이다. 이효의 호체인 감(坎)에는 음식(飮食)의 상이 있다.

구삼은 가인이 원망하니 뉘우치나 길하다. 부인과 자식이 희희낙락하면 끝내 부끄럽다.[九三 家人嗃嗃 悔厲 吉 婦子嘻嘻 終吝]
○ ‘학학(嗃嗃)’은 구삼이 두 이(離)의 사이에 있는데, 이(離)는 이구(頤口)의 상이 된다. 삼효의 자리는 위태로운 곳이므로 대부분 ‘여(厲)’라고 말하였다. ‘부자(婦子)’는 이효와 사효를 가리킨다. ‘희희(嘻嘻)’ 역시 이(離)의 구(口) 상이다. 또 이화(離火)에는 성(聲)의 상이 있다. ‘종(終)’은 삼효의 상이다. 진재 서씨(進齋徐氏)가 말하기를, “구삼은 강(剛)으로서 강(剛)의 자리에 있으나 중간이 아니다. 그러므로 원망하는 ‘학학(嗃嗃)’의 상이 있는 것이다. 이효와 사효와 비(比)의 관계에 있어서 두 유(柔)의 사이에 있으므로 또 희희낙락하는 ‘희희(嘻嘻)’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구오는 왕이 집안을 둔 도(道)를 지극히 함이다.[九五 王假有家]
○ 본의(本義)에 나오는 ‘왕(王)’은 오효를 가리키니 임금의 자리이다. ‘가(家)’는 하체(下體)를 가리키니 이(離)의 상이다. ‘격(假)’은 이효에 응하는 상이다. -격(假)은 대(大)이다.

[주D-001]풍씨(馮氏) : 풍거비(馮去非)를 가리킨다. 풍거비는 송나라 사람으로, 자가 가천(可遷)이다.
[주D-002]진재 서씨(進齋徐氏) : 송나라 숭안(崇安) 사람인 서기(徐幾)를 가리킨다. 서기는 자가 자여(子與)로, 경사(經史)에 널리 통하였으며, 특히 역(易)에 밝았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괘(蹇卦 )  (0) 2010.08.29
규괘(睽卦 )  (0) 2010.08.29
명이괘(明夷卦 )  (0) 2010.08.29
진괘(晉卦 )  (0) 2010.08.29
대장괘(大壯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