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손괘(損卦)]

 

“질병을 덜어 낸다.[損疾]”고 한 질(疾) 자에 대한 해설이 매우 많다. 질병의 병이라느니, 음유(陰柔)의 병이라느니, 근망(勤望)의 병이라느니 한 것과, 위에서 의심하는 것은 초구(初九)와 육사(六四)의 병이라느니, 초구는 육사를 보태 주는 것을 임무로 삼고 육사는 상응(相應) 관계로서 이를 받아들이니 이는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이라느니 한 것들이다. 《정전》과 《본의》의 해석은 진실로 평이(平易)한 것인데 이른바 “초구의 병을 덜어 준다.”고 한 것도 그 뜻이 분명하다. 대개 초구는 육사와 상응 관계로서 한결같은 마음으로 서로 원하기 때문에, 상대의 유약함을 가엾게 여겨서 보태 주기를 생각하고 나의 강함을 발판으로 하여 상대의 병을 덜어 내 줄 생각을 마치 자기에게 있는 질병 이상으로 여기는 듯이 한다. 그러니 육사가 초구에 응하여 받아들이는 것이 어찌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이 아니겠는가?

[신복이 대답하였다.]
“병을 덜어 준다.”고 한 뜻에 대해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으로 보는 것은 너무도 분명치가 않습니다. 저 육사는 음유(陰柔)이고 초구는 강양(剛陽)입니다. 음유함은 병이 되고 강양함은 현자(賢者)가 되며, 도움을 구하는 자는 병이 있는 자이지만 도와주는 자는 병이 있는 것이 아니니, 여기서의 질(疾) 자는 곧 육사의 병을 가리킨 것이지 어떻게 초구의 병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육사는 음유한 바탕으로 마땅히 덜어 내야 할 시기에 처하였으니, 바야흐로 그 자신의 병을 덜어 내기에도 바쁜 처지인데 어느 겨를에 남의 병을 덜어 줄 수 있겠습니까. 혹자가 “초구는 육사를 보태 주지 않는 것을 병으로 삼고 육사는 상응 관계로서 받아들이니, 이것이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이다.”라고 한 것은 올바르지 못한 견해로서 문리(文理)가 통하지 않는 것인데, 취할 점이 어디에 있습니까. 《정전》과 《본의》의 풀이는 진실로 평이한 것인데 후세의 학자들이 자기 견해를 내세우려고 하여 마디 위에 마디가 생기게 한 꼴이 되었으니, 매우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본의》에서 “두 마리의 거북을 붕(朋)이라고 하는데 십붕(十朋)의 거북은 큰 보배이다.”라고 하였고, 《이아(爾雅)》 석어편(釋魚篇)에서는 “십붕의 거북은 신귀(神龜)ㆍ영귀(靈龜)ㆍ섭귀(攝龜)ㆍ보귀(寶龜)ㆍ문귀(文龜)ㆍ서귀(筮龜)ㆍ산귀(山龜)ㆍ택귀(澤龜)ㆍ수귀(水龜)ㆍ화귀(火龜)이다.”라고 하였는데, 그 뜻을 자세히 말해 줄 수 있겠는가?

[이면긍이 대답하였다.]
《이아》 석어편에 열 마리의 거북을 차례로 나열하였으나 십붕(十朋)이라는 두 글자는 없으며, 신귀ㆍ영귀ㆍ섭귀ㆍ보귀ㆍ문귀ㆍ서귀ㆍ산귀ㆍ택귀ㆍ수귀ㆍ화귀라고 한 것은 곧 거북의 별명을 다르게 일컬은 것입니다. 형병(邢昺)의 소(疏)에서 “손괘(損卦)의 십붕에 대해서 마씨(馬氏)와 정씨(鄭氏)는 모두 이 글을 취해서 풀이하였으니, 이 《이아》에서 열 마리의 거북을 예시(例示)한 것은 《역경》을 풀이하기 위한 것입니다.”라고 하였는데, 마씨와 정씨가 반드시 《이아》에서 말한 열 마리의 거북을 가리켜 십붕의 거북이라고 한 것은 고증할 수가 없습니다. 아마도 거북에는 열 가지 종류가 있고, 귀패(龜貝 고대의 화폐임)는 반드시 붕(朋 두 개의 단위를 이름)으로 썼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에서 “원귀(元龜)ㆍ공귀(公龜)ㆍ후귀(侯龜)ㆍ자귀(子龜)라는 이름이 있고 대패(大貝)ㆍ장패(壯貝)ㆍ요패(么貝)ㆍ소패(小貝)의 구분이 있는데, 모두 십붕으로 일컬으며 크기가 1촌(寸) 2푼(分)이 안 되는 것은 그 패(貝)에 들지 못하므로 붕(朋)이 될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본의》에서 “십붕의 거북은 큰 보배이다.”라고 한 것은 아마도 귀패가 큰 보배가 됨을 종합하여 말한 것 같습니다.


 

이상은 손괘(損卦)이다.


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해괘(解卦)]

 

“여우 세 마리를 잡고 누런 화살을 얻었다.”고 한 뜻을 상세히 말해 줄 수 있겠는가? 《본의》에서는 ‘미상(未詳)’이라고 단정하였다. 그러나 혹자의 말과 《정전》에서는 모두 ‘간사함과 아첨을 제거하고 중도와 정직함을 얻는 것’으로 풀이하였다. 그래서 호병문(胡炳文)도 “한 괘(卦) 여섯 효에서 소인(小人)을 제거하는 것이 다섯에 해당한다.”고 말하였으나, 마침내 그 말이 반드시 그러하다는 것을 알 수가 없다. 지금 살펴보건대, 육씨(陸氏)의 말은 “여우 세 마리를 잡은 것은 어려움이 풀리고 많은 의혹이 제거된 것이다. 구이가 비록 감험(坎險)의 성품이라고 하더라도 중도(中道)를 얻었으니, 그 중도로써 어려움을 해결하면 반드시 정직함을 얻을 것이다.”라고 하였고, 왕씨(王氏)도 “구이가 비록 제자리는 얻지 못하였으나 강한 중(中)으로서 육오와 응하므로 크게 보람된 일을 하여 여럿의 의혹을 받으면서도 순종하게 할 수 있다.”고 하였으니, 이렇게 보면 말도 순하고 뜻도 명확한 것 같은데 그 밖에도 참고할 만한 말이 있는지 모르겠다.

[신복이 대답하였다.]
진괘(晉卦) 구사(九四)의 소인(小人)은 다람쥐에 비하고 서합괘(噬嗑卦)의 중직(中直)한 구사는 금과 화살에 비하였는데, 역(易)에는 진실로 그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해괘(解卦)의 구이(九二)로 말하면 어려움을 겪고 난 뒤에 바야흐로 천하의 어려움이 풀리는 시기에 해당하나, 괘에 세 음효(陰爻)가 있으니 그것이 세 마리 여우의 상이 되는 것이고, 구이는 중(中)의 자리에 있으며 정(正)을 얻었으니 그것이 누런 화살의 뜻입니다. 《본의》에서는 비록 ‘미상(未詳)’이라고 단정하였으나, 그 아래에 이어서 “간사함과 아첨을 제거하고 중도와 정직함을 얻는 상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주자가 《정전》이 잘못되었다고 한 적이 없는 것입니다. 무릇 《역경》을 볼 적에는 마땅히 《정전》과 《본의》를 정도로 삼아야 하는데, 육씨는 무엇을 근거로 그런 말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육씨의 말대로라면 그것은 세 마리의 여우라고 할 때의 호(狐) 자를 호의(狐疑)라고 하는 의(疑) 자의 뜻으로 보아야 한다는 말이 되는데, 그 논리는 비록 교묘하다고 하더라도 본뜻과는 거리가 멀어서 매우 밝지 못한 것이니, 아마도 믿을 만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높은 담 위의 새매는 상육(上六)이 아니면 마침내 쏠 수 없다는 말인가? 구이(九二)는 여우를 잡는 상이 있고 구사(九四)는 엄지발가락을 풀어 버리는 뜻이 있으니 구이와 구사도 시킬 수 있을 것 같고, 초육(初六)은 허물이 없는 자리에 있고 육오(六五)는 험난함을 풀어야 하는 책임을 맡고 있으니 초육이나 육오도 맡길 수 있을 것 같은데, 어찌 마지막의 상육을 기다린 뒤에야 비로소 쏠 수 있다는 말인가? 대체로 구이와 구사 두 양(陽)이 끊임없이 다투는 것은 육삼(六三)이 제거되지 않아서이다. 구이와 구사를 시키려고 하면 구이와 구사가 함께 얻으려고 할 것이고, 초육과 육오에게 맡기려고 하면 초육과 육오는 두 양의 짝이 되니 육삼이 의심하게 될 것이다. 무릇 다투는 것을 끝내고 싸움을 말리려고 하면 편당에 관련되지 않은 자라야 가능하다. 그래서 상육이라야 쏘아서 잡을 수 있다. 이러한 논리가 어떨는지 모르겠지만, 《정전》과 《본의》의 뜻은 반드시 이와 같다고 할 수 없는 것인가?

[윤행임이 대답하였다.]
순상(荀爽)의 《구가역(九家易)》에 “진(震)이 고니[鵠]가 된다.”고 한 글이 있는데, 고니와 새매는 모두 날짐승입니다. 꿩이 변화하여 대합[蜃]이 되고 매가 변화하여 비둘기가 되는 것이니, 고니가 새매로 변화하는 것은 이치상 그럴 수 있는 것입니다. 괘체(卦體)의 안과 밖의 한계는 마치 언덕이나 담이 막은 것과 같으므로 “그 높은 언덕에 올라간다.”고 한 것과 같은 유가 이따금 있는 것입니다. 해괘(解卦)의 괘덕(卦德)은 곧 군자가 소인을 제거하는 괘입니다. 괘 중의 육삼 효 하나가 음흉하고 간사한 소인으로서 여우와 물여우[蜮]처럼 사나움이 비할 데가 없으므로, 상육이 높은 자리에 있으며 반드시 소인을 제거하고자 하여 새매를 쏘는 상이 있는 것입니다. 비록 상육이 아니더라도 여러 효(爻) 모두에게 소인을 물리치려는 뜻이 있으므로,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하기를, “구이가 육삼의 아래에 있으니 여우를 잡았다는 것은 육삼을 잡은 것이고, 구사는 육삼의 위에 있으니 엄지발가락을 풀어 버렸다는 것은 육삼을 풀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리고 육오는 해괘의 주인으로서 소인에게 믿음이 있다고 한 것은 육삼을 물리친 것이다. 오직 초육에만 허물이 없다고 한 것은 여섯 효의 큰 뜻을 풀이한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상육이 편당에 관련되지 않았다는 말은 너무 편견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이상은 해괘(解卦)이다.


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건괘(蹇卦)]

 

대상(大象)에서 “몸을 반성하고 덕을 닦는다.”고 한 뜻에 대해서는 제가(諸家)의 설명이 다 갖추어졌다. 그런데 지금 혹자의 말에 의하면 “덕(德)은 은덕을 말함이니 그 해로움을 인하지 않으면 어떻게 은덕을 드러내겠는가. 만약 강강(剛強)하게 어려움을 쳐부수려고 하면 그 어려움이 더 깊어진다.”라고 하였는데, 여기서의 ‘덕’ 자는 제가가 풀이한 덕 자와 같은가 다른가? 저쪽에서는 자기를 닦는 것으로 말하였고 여기서는 남에게 베푸는 것으로 말하였으니, 굳이 끌어다가 같게 볼 필요는 없겠다. 그러면 경문(經文)의 본뜻은 과연 어느 쪽으로 봐야 하는가?
[김희조가 대답하였다.]
“몸을 반성하고 덕을 닦는다.”고 한 뜻에 대해서는 《정전》에서 풀이한 것이 지극하여 더할 것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혹자의 말로써 본다면 근본정신은 마치 둔괘(屯卦) 구오(九五)에서 “조금 바르게 하면 길하지만 크게 바르게 하면 흉하다.”고 한 뜻과 같은데, 그 학설도 일가견(一家見)이 없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옛날 성인이 어려움에 대처할 적에 자기에게 반성하지 않은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선대 학자들이 감괘(坎卦)에서 “오직 마음이 형통하다.”고 한 뜻을 풀이하면서 “비록 험난함에 처하였으나 마침내 반드시 크게 형통할 수 있음은 그 스스로를 닦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경문의 본뜻은 과연 《정전》의 풀이와 같은 것이며, 혹자의 말은 일설(一說)의 대비에 불과한 것입니다.

“육이(六二)가 비록 중정(中正)하여도 재능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가 없으므로 어려운 중에 어려운 것이다.”라고 한 것은 정자(程子)의 말이고, “혼신의 힘을 쏟아 나라를 바로잡는 데에는 일이 한 가지 길만이 아니므로 어려운 중에 어렵다.”고 한 것은 설씨(薛氏)의 말이다. 그리고 “육이와 구오는 중정한 것으로서 서로 어울려 여기에서 덕을 닦아 저쪽의 어려움을 해결하였다.”고 한 것은 왕씨(王氏)의 말이다. 그러면 “일이 한 가지 길만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어려운 중에 어렵다.”고 한 어려움이 아니며 “덕을 닦아 어려움을 해결한다.”고 한 것은 또 “일이 한 가지 길만이 아니다.”라고 한 어려움은 아니다. 그러나 소상(小象)에서 “마침내 허물이 없다.”고 한 글로 보면 왕씨의 말이 비교적 의미가 있는 것 같은데, 어떤지 모르겠다.
[이청(李晴)이 대답하였다.]
몸을 버려 가면서라도 어려움을 해결하려는 것은 신하의 직분이지만, 재능이 모자라서 해결을 못하는 것은 그의 죄가 아닙니다. 육이는 구오와 서로 응하면서 어려움을 해결하려는 뜻이 있으니 마땅히 해결하지 못함이 없을 것 같으나, 재질이 본래 음으로서 유약한 데다가 시대가 지극히 어려운 때이므로 해결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이 이른바 “어려운 중에 어렵다.”고 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 재능은 비록 모자라더라도 그 뜻은 가상하므로 비록 성공하지 못하였어도 마침내 허물 될 것이 없으니, 이것이 곧 그 뜻을 아름답게 여겨서 그 모자라는 재능은 용서하는 것입니다. 정자가 효상(爻象)을 풀이한 것은 바로 이러한 뜻인데, 설씨가 “일이 한 가지 길만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다만 시사(時事)의 어려움이 많은 점만 말하고 재질이 음으로서 유약한 것은 말하지 않은 것이며, 왕씨가 “덕을 닦아 어려움을 해결한다.”고 한 것은 설씨의 말에 비교할 때는 더욱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 도리만 올바르게 행하고 이익은 계산하지 않으며 그 도만 밝히고 그 공은 계산하지 않는다.”고 한 뜻에 있어서는 오히려 분명치가 않으니, 아마도 《정전》의 해석만큼 완벽하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이상은 건괘(蹇卦)이다.

 

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규괘(睽卦)]

 

규괘(睽卦)의 구성이 위는 불이고 아래는 못인데, 어찌하여 같으면서도 다른 상(象)이 되는가? 만물 중에 서로 어긋나는 것은 물과 불의 관계만 한 것이 없는데 오행(五行)이 생겨남에 있어서는 그 이치가 같지 않은 적이 없으니, 그것이 다르면서도 같은 점이다. 그래서 단사(彖辭)에서는 “하늘과 땅의 운행이 같지 않으면서도 그 일은 같고, 남자와 여자의 본질이 같지 않으면서도 그 뜻이 통하며 만물의 생태는 같지 않으면서도 그 일이 같다.”고 하였으니, 이는 모두 다른 것 중에서도 같은 곳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어찌하여 유독 대상(大象)에서만 같은 것 중에 다른 점을 말하였는가?

[신복이 대답하였다.]
단사에서는 어긋남을 합하는 도(道)를 말하였기 때문에 다른 것으로부터 같다고 하였고 상사에서는 처세(處世)의 도를 말하였기 때문에 같은 것으로부터 다르다고 한 것인데, 이는 의의(意義)를 어떻게 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만물 중에 서로 어긋남은 물과 불의 관계만 한 것이 없습니다. 불길은 움직이면서 올라가는 것이고 못의 물은 움직이면서 내려가는 것으로서 서로 부합하는 뜻은 없으나, 그 처음을 말하면 모두 한 이치입니다. 만약에 끝까지 어긋나기만 한다면 천지(天地)의 변화(變化) 육성(育成)하는 일이 어떻게 이루어지겠습니까. 하늘은 높고 땅은 낮으므로 높고 낮음은 같지 않아도 양기(陽氣)는 내려오고 음기(陰氣)는 올라가니 이에 천지가 같은 것이 되고, 남자는 양이고 여자는 음으로서 음과 양은 같지 않아도 남편이 부르면 아내가 따르니 이에 남자와 여자가 같은 것이 됩니다. 이러한 것은 성인(聖人)이 같지 않음을 부합시키는 도가 그러한 것입니다. 만약에 같기만 하고 다르지 않다면 이는 흐린 경수(涇水)와 맑은 위수(渭水)가 혼합된 격이고, 합쳐지기만 하고 나뉘지 않는다면 옥과 돌이 뒤섞인 격입니다. 그 작은 것을 예로 말하면 군자와 소인이 사람임은 같으나 군자는 소인과 다르고 중녀(中女)와 소녀(少女)가 거처는 같이하되 그 뜻은 같이 행해지지 않습니다. 그 큰 것을 예로 말하면 우(禹)와 직(稷)과 안자(顔子)가 도는 같으면서도 지향하는 것이 다르고 백이(伯夷)와 유하혜(柳下惠)가 성인임은 같으면서도 행적은 달리하였습니다. 이러한 것은 군자의 처세하는 도가 그러한 것입니다.
근원이 하나인 이치가 없다면 다른 것이 어떻게 같게 될 것이며, 체(體)가 둘로 어긋남이 없다면 같은 것이 어찌하여 다르게 되겠습니까. 진실로 단전(彖傳)의 뜻을 체득하여 천하의 어긋남을 합치는 방안을 구하고 상전(象傳)의 상을 관찰하여 구차하게 합치려고 하지 않게 되면, 어찌 규괘에 대처하는 최선의 도리가 아니겠습니까.


한상 주씨(漢上朱氏 주진(朱震))가 말하기를, “임금을 골목에서 만난다는 것은 구불구불 돌아간 뒤에 도달한다는 것이니, 어긋남을 합하고자 하므로 그렇게 어려운 것이다.”라고 하였고, 백운 곽씨(白雲郭氏 곽옹(郭雍))는 “골목은 마을의 길인데 마을의 길은 문에서 나가면 만나는 것이니, 이는 임금을 만나기가 쉬움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다 같이 골목에서 만나는 것인데, 어렵다고 말한 것은 어째서이며 쉽다고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윤행임이 대답하였다.]
옛날 범수(范睢)가 진왕(秦王)의 영항(永巷 궁궐 안의 골목임)에서 진왕을 만나고서 마침내 진 나라 정승이 되었습니다. 범수는 본래 위(魏) 나라 사람이니 위 나라 사람으로서 진왕과는 부합하기가 매우 어려운 관계이므로, 이는 불길과 못의 물이 서로 어긋나는 것보다 더 어려운 때입니다. 그러나 임금을 영항의 길에서 만났으니 그 영항은 곧 범수가 임금을 만난 곳입니다. 지금 저 규괘(睽卦)의 구이(九二)에서 “임금을 골목에서 만났다.”고 한 것은 어쩌면 그렇게도 기이합니까. 대개 골목은 구불구불한 길입니다. 위아래의 사정이 어긋날 즈음에는 서로 만날 적에 만약 곡진한 정성을 표하지 않으면 임금이 있는 당폐(堂陛)는 지극히 멀어서 스스로 나아갈 수가 없으므로 골목의 상을 취하여 그 어려운 점을 말하였으니, 주씨의 말이 옳습니다. 곽씨가 말한 것은 아마도 온당치 않을 것 같습니다.


 

이상은 규괘(睽卦)이다.


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가인괘(家人卦)]

 

 

가인괘(家人卦)에서는 길(吉)하다고 말한 것이 많다. 육이(六二)에서는 “바르고 길할 것이다.”라고 하였고 구삼(九三)에서는 “후회하고 위태하나 길할 것이다.”라고 하였고 구오(九五)에서는 “근심이 없어서 길할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유독 육사(六四)에서만 “집을 부유하게 한다.”고 한 아래에 “크게 길하다.”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가정생활을 하는 도리는 진실로 그 부(富)를 보유함이 귀한 것이기는 하나, 남자와 여자가 제자리를 올바르게 지키며 각각 그 법도를 따르면 가인(家人)으로서의 길함이 이보다 더 큰 것이 없을 것이므로 부유하고 부유하지 않음은 거론할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음으로서 음의 자리에 있는데 어찌하여 부유한 상(象)이 되는가?

[김희조가 대답하였다.]
가인괘에서 “길하다.”고 말한 것은 진실로 하나 둘이 아닌데 유독 육사에서 “집을 부유하게 한다.”고 한 아래에 특별히 대(大) 자 하나를 더하여 길한 상징이 가장 큰 것을 나타냈다고 하신 그 말씀은 진실로 옳습니다. 《서경(書經)》 홍범(洪範)을 고찰해 보면 “두 번째가 부(富)이다.”라고 하였고 《시경(詩經)》 노송(魯頌)에는 “너로 하여금 수명을 누리고 부유하게 한다.”라고 하였으니, 가정생활의 도리가 부유함보다 더 앞서는 것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그러나 창름(倉廩)의 옥백(玉帛)이 아무리 풍부하다고 하더라도 만약에 가도(家道)가 올바르지 못하면 그 창름의 옥백을 비록 보유하려고 해도 될 수가 있겠습니까. 반드시 남자는 밖에서 바른 위치를 지키고 여자는 안에서 바른 위치를 지켜서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집안에 가득해야 바야흐로 그 부유함을 보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육사(六四) 효(爻) 하나는 가도의 가장 올바름을 얻은 것이므로, 성인이 특별히 대(大) 자 하나를 덧붙여서 이 효의 길함이 “후회하고 위태하나 길할 것이다.”라고 한 것과 “근심이 없어서 길할 것이다.”라고 한 것보다 더 나은 뜻으로 표현한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또 《예기(禮記)》를 고찰해 보면 “부자(父子)간에 돈독하고 형제(兄弟)간에 화목하고 부부(夫婦)간에 화합한 것은 집안이 살찐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 한마디 말도 “집을 부유하게 하고, 크게 길하다.”고 한 증거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부(富) 자를 유독 이 효에서만 제시한 이유는 손(巽)은 설괘전(說卦傳)에 의하면 “이익을 가까이하여 세 배의 이득을 남긴다.”고 하였으니 부의 상징이기 때문입니다. 손의 아래 획이 변하면 건(乾)이 되는데 건은 설괘전에 의하면 금(金)과 옥(玉)이 되므로 역시 부의 상징이니, 효사(爻辭)에서 말한 것도 그러한 의미일 것입니다.


“근심이 없어서 길하다.”고 한 것에 대해 《정전》에서는 “근심과 수고를 하지 않아도 천하가 다스려진다.”고 하였고 《본의》에서는 “근심과 걱정을 하지 않아도 길함을 기필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혹자는 “만약에 불순(不順)할 것을 걱정하여 지나치도록 강하게 다스리면 엄격하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정전》과 《본의》의 말을 따르면 근심을 하지 않아도 다스려지고 근심을 하지 않아도 길하다는 것이 되며, 혹자의 말을 따르면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야 길하다는 것이 되는데, 어느 말이 옳은가?

[이면긍(李勉兢)이 대답하였다.]
성인(聖人)이 몸가짐을 공손하게 하고 제가(齊家)를 잘하게 되면 왕도(王道)에 이르는 것은 애당초 걱정할 것이 없지만, 가인(家人)들이 불순(不順)하고 부정(不正)하여 근심스러운 일이 있게 되면 다스리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대개 이 구오(九五)에서 “왕이 가도(家道)를 지극히 함이니 근심이 없어서 길하다.”고 한 것은 성왕(聖王)이 집안에 본보기가 된 것을 지극히 말한 것이니, 진실로 문왕(文王)이 아니고서는 거기에 해당할 수가 없습니다. 그 문왕이 임금이 되고 태사(太姒)가 후비(后妃)가 되며 왕계(王季)가 아버지가 되고 태임(太任)이 어머니가 되며 무왕(武王)이 아들이 되고 읍강(邑姜)이 며느리가 되어 서로 사랑하며 집안을 다스렸으니, 이것이 이른바 “걱정이 없는 자는 그 문왕이다.”라고 한 것입니다. 그러니 어찌 엄격함과 희희덕거림을 말할 게 있겠습니까. 그래서 《정전》과 《본의》에서는 모두 “근심과 수고가 없다.”고 하고 또는 “근심과 걱정이 없다.”고 풀이한 것입니다. 만약에 “지나치게 걱정하지 않아야 길하다.”고 한다면 걱정 그 자체는 비록 지나치게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애당초 걱정이 있음은 면치 못하는 것이니, 이것이 어찌 성왕이 가도를 지극히 하는 것이 되겠습니까. 그리고 구오는 강건(剛健)하면서도 중정(中正)한데, 어찌 지나치게 강할 것을 염려하여 지나치게 강한 데 대한 경계를 해야 하겠습니까. 아마도 《정전》과 《본의》를 따르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이상은 가인괘(家人卦)이다.


 

 

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명이괘(明夷卦)]

 

 

해설자들은 단전(彖傳)과 효사(爻辭)에 문왕(文王)과 기자(箕子)를 가리킨 글이 있음으로 인하여 마침내 여섯 효(爻)를 나누어 배속하여 말하기를, “초구(初九)는 백이(伯夷)이고, 육이(六二)는 문왕이고, 구삼(九三)은 무왕(武王)이고, 육사(六四)는 미자(微子)이고, 육오(六五)는 기자이고, 상육(上六)은 은(殷) 나라 주(紂)임금이다.”라고 하였다. 대체로 초구에서 “군자가 가는 것이다.”라고 한 것은 동해(東海)에 피하는 기풍(氣風)과 같고, 구삼에서 “남쪽으로 사냥하여 괴수를 잡았다.”고 한 것은 맹진(孟津)에 모인 일과 같고, 육사에서 “문 앞 뜰에 나왔다.”고 한 것은 은둔(隱遁)을 한 행위와 같고, 상육에서 “밝지 못해서 …… 땅으로 들어간다.”고 한 것은 피혼(彼昏)의 상(象)과 같다. 그리고 육이에서 “다리를 상하였다.”고 한 것을 유리(羑里)에 비유한 것도 비슷함이 없는 것이 아니며, 육오는 곧 부사(父師 기자(箕子)를 가리킴)가 됨은 진실로 경문(經文)에서도 말하였다. 이렇게 말한다면 어찌 대략은 통하지 않겠는가마는, 주공(周公)의 뜻이 과연 그러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단사(彖辭)에서 “안은 문명하고 밖은 유순해서 …… 문왕이 그렇게 하였다.”고 하였는데, 이는 이(離)와 곤(坤)의 두 체(體)로써 문왕의 일을 풀이한 것이지 육이의 한 효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다. 또 “안으로 어려운데도 뜻을 바르게 하였으니 기자가 그것을 본받았다.”고 말한 것은 괘사(卦辭)의 ‘간정(艱貞)’ 두 자를 풀이한 것인데, 괘사의 예(例)는 한 괘의 뜻을 총괄하는 것이고 보면 그 기자의 일은 또 육오 한 효에만 그치는 것도 아니니 비록 괘 전체에 배속시키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성인의 본뜻이 어찌 고의적으로 명이괘(明夷卦) 하나를 가지고 상(商) 나라와 주(周) 나라 일을 기술(記述)하려고 하였겠는가. 만약에 하나의 우연한 상징으로 인하여 글에 따라 새로운 해석을 하고 효에 따라 억지 정의를 내린다면, 이는 선대 학자들이 이른바 “64괘는 64가지의 일만 기재되었다.”고 한 것과 거의 가깝지 않겠는가?

[신복이 대답하였다.]
무릇 괘의 뜻은 하나에 집착해서 말할 수는 없으니, 선대 학자들이 “어떤 효는 어떤 일이다.”라고 한 것도 후세에서 보면 그 한 가지 일만을 예를 들어서 말한 것일 뿐입니다. 승괘(升卦)의 육사에서 “왕이 기산(岐山)에서 형통한다.”고 하고 소축괘(小畜卦)의 단사(彖辭)에서 “구름만 빽빽하고 비가 오지 않음은 우리 서교(西郊)로부터 왔기 때문이다.”라고 한 것에 대해 주자(朱子)는 “문왕의 도는 소축에 있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어찌 태왕(太王)이나 문왕을 위해서 한 말이겠습니까. 그러나 후세에서 보면 어떤 일이 마침 어떤 효와 어떤 괘에 해당하므로 이런 말이 있게 된 것입니다. 그러니 명이괘(明夷卦)에서 어떤 일이고 어떤 일이라고 지적한 것은 어찌 상 나라와 주 나라의 일을 기록하기 위해서 그렇게 한 것이겠습니까. 여섯 효(爻)로써 말한다면 “군자가 간다.”고 한 것은 백이가 동해 가로 피해 간 일에 해당하며, “왼쪽 다리가 상하였다.”고 한 것은 문왕이 유리에 유폐(幽閉)된 일에 해당하며, 남쪽으로 사냥 간 일은 무왕이 그와 같이 하였고, 문밖에 나간 것은 미자(微子)가 그렇게 하였고, 간정(艱貞)을 겪은 것은 기자에 해당하며, 땅에 들어감이 상 나라 주(紂)임금에 해당한다는 것은 그러한 일을 지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주공(周公)이 해설을 붙인 본뜻이 어찌 그러한 것이겠습니까. 건괘(乾卦)의 다섯 효에 대해 《정전(程傳)》에서는 모두 순(舜)임금의 일에 해당시킨 것을 주자도 그르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만, “만약에 이 효는 순임금의 어떤 일과 같다.”고 한다면 또한 무슨 불가(不可)함이 있겠습니까. 그런데 《역경》 중의 여러 효는 진실로 한 가지 일로써 해당시킬 수 없는 것이니, 이는 역(易)을 잘 관찰하는 이가 같은 부류끼리 유추하여 확장해 나갈 뿐입니다. 만약에 효에 따라 억지 정의를 내려 어떤 효는 기자의 일에만 해당하고 어떤 효는 문왕의 일에만 해당한다고 한다면, 진실로 역의 본뜻을 아는 것이 아닐 것입니다.


풍괘(豐卦)와 명이괘(明夷卦)의 하체(下體)는 모두 이(離)인데 풍괘에서는 “오른팔이 부러졌다.”고 하였고 명이괘에서는 “왼쪽 다리가 상하였다.”고 하였으니, 좌우의 다리와 팔 사이에 말할 만한 의의가 있는가? 환괘(渙卦)와 명이괘에서 모두 “구원하는 말[馬]이다.”라고 하였는데, 혹은 구이(九二)의 양강(陽剛)을 취하여 말이라고 하기도 하고 혹은 구삼(九三)의 양강은 취하지 않고서도 말이라고 하기도 한다. 구이와 구삼의 즈음에도 취하거나 버리는 것으로 논할 만한 것이 있는가?

[김계락이 대답하였다.]
풍괘에서는 “오른팔이 부러진다.”고 하고 명이괘에서는 “왼쪽 다리가 상하였다.”고 한 것은 대개 왼쪽은 약하고 오른쪽은 강하며, 왼쪽은 음(陰)이고 오른쪽은 양(陽)인 의의를 취한 것입니다. 그런데 손과 발을 씀에는 모두 오른쪽을 편리하게 여기니, 풍괘에서 오른쪽을 말한 것은 상처가 심하여 쓸 수 없기 때문이고 명이괘에서 왼쪽을 말한 것은 상처가 심하지 아니하여 쓸 수 있기 때문이며, 명이괘는 상처가 아래에 있는 것이므로 다리라고 말한 것이고 풍괘의 경우는 상처가 위에 있는 것이므로 팔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이상이 왼쪽과 오른쪽, 그리고 다리와 팔의 구분이 있는 까닭입니다
환괘의 초육과 같은 경우는 유약한 음(陰)의 바탕으로서 어려움을 구제할 자질이 못 되므로 반드시 구이(九二)의 양강(陽剛)을 취해 와야 구원해 주는 말로서의 길(吉)함이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명이괘의 육이와 같은 경우는 유약한 자로서 중간 위치에 있으며 유순하면서도 법칙이 있으므로 굳이 구삼의 양강을 기다리지 아니하더라도 절로 구원해 주는 씩씩한 말이 있는 격입니다. 이는 다 효(爻)에 의거하여 상(象)을 취한 것이니, 구이와 구삼에서 취하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 것은 아마도 분변하기 어렵지 않을 듯합니다.


 

이상은 명이괘(明夷卦)이다.


 

[주D-001]동해(東海)에 피하는 기풍(氣風) : 혼란할 조짐을 보고 미리 피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백이(伯夷)가 은(殷) 나라 주왕(紂王)을 피하여 동해 가에서 산 고사에서 인용된 말이다. 《孟子 離婁上》
[주D-002]맹진(孟津)에 모인 일 :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왕을 치기 위하여 병력(兵力)을 맹진에 모이게 한 것을 말한다. 《書經 泰誓》
[주D-003]은둔(隱遁)을 한 행위 : 은 나라가 망하게 되자 미자(微子)가 은둔한 것을 가리킨 말이다.
[주D-004]피혼(彼昏) : 피혼부지(彼昏不知)의 준말로,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완(小宛)에 “저 혼암(昏暗)하여 알지 못하는 자들은, 한결같이 술에 취해 있는 것이 날로 심해지도다.”라고 하였다.
[주D-005]유리(羑里) : 은 나라 주왕이 주 나라 문왕(文王)을 유폐(幽閉)시켰던 곳이다. 《史記 卷3 殷本紀》

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진괘(晉卦)]

 

 

단사(彖辭)에 이르기를,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에게 말[馬]을 많이 하사하고 하루에 세 번씩 만나 본다.”라고 하였는데, 지금 여섯 효(爻)로써 고찰해 보면 어느 것이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의 상(象)이 되며, 어느 것이 말을 많이 주는 상이 되며, 어느 것이 하루에 세 번씩 만나 보는 상이 되는가? 혹자는 임금 가까이 있는 구사(九四)가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가 된다.”고 하였으나, 효사에서 “나아감이 다람쥐와 같다.”고 한 것으로 보아서는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라고 할 수가 없다. 또 “육오의 음유(陰柔)가 중(中)으로서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이다.”라고도 하는데, 그 육오는 임금의 자리이니 총애를 받는 신하라고 할 수 없다. 혹자의 말에 의하면 “말이니 하루니 한 것은 이(離)와 오(午)의 상(象)이고, 많다느니 세 번 만난다느니 한 것은 곧 곤(坤)의 대중이 되고 문채가 되는 상이다.”라고 하였으며, 호병문(胡炳文)은 말하기를, “곤에는 땅의 뜻도 있고 백성의 뜻도 있으니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의 상이 있으며, 곤은 암말도 되고 대중도 되니 말을 많이 주는 상이 있으며, 이(離)는 해도 되고 속이 빈 것도 되니 하루에 세 번 만나는 상이 있다.”라고 하였는데, 이 말이 그 본뜻에 가장 가깝다. 그러나 상전에서 일컬은 “음유(陰柔)가 나아가서 위로 간다.”고 한 말로 보면, 또 육오를 가리켜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의 상으로 삼은 것 같기도 하다. 결국 어느 의견이 더 나은가?

[이익진이 대답하였다.]
《역경》에서 상(象)을 취한 것은 본래 일정한 예(例)가 없습니다. 괘(卦)에는 괘 중의 상이 있고 효(爻)에는 효 중의 상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곤괘(坤卦)에는 암말의 상이 있어도 여섯 효 중에서는 말을 말하지 아니하였고 이괘(離卦)에는 암소의 상이 있으나 여섯 효 중에서는 소를 말하지 아니하였으니, 괘는 효에 매달릴 필요가 없고 효는 괘에 매달릴 필요가 없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 괘에서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에게 말을 많이 하사한다.”고 한 것과 “하루에 세 번씩 만나 본다.”고 한 상(象)에 대해서는 생각건대 이 괘 중에 원래 이러한 상이 있으므로 성인(聖人)이 이를 우연히 발견하고서 그러한 말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선대 학자들이 “곤은 암말의 상이나 땅의 뜻도 있고 백성의 뜻도 있으니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의 상이 되며, 이는 하루의 상이 된다.”고 말한 것도 아마 상의 한 부분을 취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지금 만약 어떤 효는 어떤 상에 해당하고 어떤 자리는 어떤 일에 해당한다고 한다면, 이는 천착한 견해를 가지고 억지로 꿰맞추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이 아니고 장차 한 괘는 한 건의 일에만 해당시키고 여섯 효는 여섯 건의 일에만 해당시키게 될 것이니 그것이 어찌 역(易)을 만든 뜻이겠습니까.
또 단전(彖傳) 중에 있는 글을 인용하여 하신 말씀은 또한 그렇지 않은 점이 있습니다. 이 한 장(章)은 아마도 세 절로 나누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밝은 것이 땅 위로 나온다.[明出地上]”고 한 것은 정치 교화가 밝아지는 때를 처음으로 말한 것이고, “순응하는 것으로 크게 밝은 데 걸렸다.[順而麗乎大明]”고 한 것은 제후의 법도를 성실하게 이행하여 천자가 하는 것을 순응하며 받드는 것을 말한 것이고, “유(柔)한 것이 나아가 위로 올라간다.[柔進上行]”고 한 것은 곧 마음을 비우고 아랫사람을 예우하며 천자의 자리에 나아감을 말한 것이니 사실상 육오(六五)의 상이고 크게 밝은 임금입니다.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는 반드시 이러한 시대에 이러한 덕을 닦아 이러한 임금을 만나서 바야흐로 총애를 받는 사람일 것이니, 단전의 뜻도 아마 반드시 이러할 것입니다. 어찌 위의 두 부분은 잘라 버리고 아래의 한 부분만 취하여 나라를 편안하게 다스린 제후의 일로 증명할 수 있겠습니까.


진(晉)은 나아가는 것이다. 모든 효가 다 나아가는 것을 의의로 삼았으니, 초육(初六)ㆍ육이(六二)ㆍ육삼(六三)ㆍ육오(六五)는 유(柔)한 것이 나아가는 것이고 구사(九四)와 상구(上九)는 강(剛)한 것이 나아가는 것이다. 그런데 음(陰)은 길(吉)한 것이 많고 양(陽)은 위태로움이 많은 것은 어째서인가? 혹자의 말에 의하면 “진은 유순(柔順)함을 좋아하고 강함을 싫어하는 것인데, 구사가 나아가는 것은 그 정당한 도가 아니므로 다람쥐가 되고, 상구는 이미 다 나아간 것인데도 더 나아가려고 하므로 뿔에 나아가는 것이 되며, 오직 육오만이 유순하며 현명한 자로서 높은 자리에 있는 것이므로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하는데, 여기서 “진은 유순함을 좋아하고 강함을 싫어한다.”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비록 단전으로 본다고 하더라도 “순응하는 것으로 크게 밝은 데 걸렸다.”고 말한 것과 “유한 것이 나아가 위로 올라간다.”고 말한 것은 오로지 유한 것이 나아가는 것만을 위주로 말한 것인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들려줄 수 있겠는가?

[윤행임이 대답하였다.]
밝은 것이 땅 위로 나온 것이 진(晉)인데, 크게 밝음은 이(離)가 되고 유순(柔順)한 땅은 곤(坤)이 되니 이는 마치 곤(坤)의 유순한 신하가 이(離)의 밝은 임금을 섬기는 격입니다. 말을 많이 하사받는다는 것은 임금이 그 아랫사람을 대우하는 것이고, 하루에 세 번씩 만난다는 것은 아랫사람이 그 윗사람에게 총애를 얻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래에 있는 도리는 유순함을 위주로 하는 것이니 비록 임금의 뜻을 반대할 수 있는 자리에 있다고 하더라도 넘치는 성의(誠意)는 통하는 것이며, 비록 임금의 일은 따르거나 거역하는 경우가 있어도 뜻만은 어긋나지 않는 믿음을 주는 것이 있습니다. 그래서 진괘(晉卦)는 유순함을 좋아하고 강함을 싫어한다고 하여 신하가 임금 섬기는 도를 보여 준 것입니다. 구사의 경우는 위로 올라가려는 뜻이 있으면서 다람쥐와 같은 탐욕이 있으므로 ‘다람쥐’에 비유한 것이고, 상구는 강으로서 마지막 자리에 있으면서 뿔로 승부를 거는 뜻이 있으므로 ‘뿔에 나아가는 것’으로 비유한 것입니다. “다 빼앗지 않으면 만족해하지 않는다.”고 한 것은 맹자(孟子)의 훈계인데 구사가 그와 같은 것이고, 비읍(費邑)의 성(城)을 허물고 후읍(郈邑)의 성을 허물어 버린 것은 노(魯) 나라의 강성한 신하에게 죄가 있었기 때문인데 상구가 그와 비슷합니다. 그래서 공자(孔子)가 《역경》에 찬사(贊辭)를 붙이면서 구사에서는 “고집되게 하면 위태롭다.[貞厲]”고 하고 상구에서는 “정도(貞道)에는 인색하다.[貞吝]”고 하여 스스로 선(善)으로 갈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는데, 만약 오래도록 구사와 상구에 집착한다면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도가 아닙니다. 비록 단전(彖傳)에서 풀이한 것을 기준으로 보더라도 괘체(卦體)와 괘덕(卦德)에 대해서만 말하다가 “유순함이 나아가 위로 올라간다.”고까지 하였으니, 이는 한 괘 전체에 대한 단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천고(千古)를 통하여 신하 된 자가 거울로 삼아야 할 바가 되는 것입니다.


 

이상은 진괘(晉卦)이다.


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대장괘(大壯卦)]

 

 

구삼(九三)의 상사(象辭)에 “소인은 강장(強壯)함을 쓰지만 군자는 그러함이 없다.[小人用壯 君子罔也]”라고 하였는데, 이는 바로 돈괘(遯卦)에서 “군자는 물러나기를 좋아하나 소인은 그렇지 않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의 문세(文勢)이다. 그 뜻은 이를테면 소인은 강장함을 쓰려고 하지만 군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대개 대장괘(大壯卦)의 구성으로 말하면 네 양(陽)은 바야흐로 왕성한 상태이나 두 음(陰)은 물러나는 격인데, 강한 건(乾)으로서 움직이는 진(震)의 동(動)을 받아서 찢는 듯이 포효하는 기세가 바야흐로 나아가고 중지하지 않으니, 강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강장은 군자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강강(剛強)함이 지나칠 것을 걱정하였다. 그래서 “숫양이 울타리를 받는다.”고 한 비유로써 구삼이 지나치게 강함을 내비치며 말하기를, “소인은 강장함을 쓰고 군자는 그러함이 없다.[小人用壯 君子用罔]”라고 하였으니, 이는 군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 주면서 억제시키는 말이다. 그러나 선대의 학자 중에 혹 ‘그러함이 없다’고 할 때의 망(罔) 자를 ‘망라(網羅)’라고 할 때의 망(網)으로 보는 이도 있는데, 이는 아주 잘못된 것이다. 그리고 《정전》과 《본의》에서는 또 ‘멸시’의 뜻으로 보았는데, 감히 꼭 그러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오직 곽옹(郭雍)의 설(說)만이 이것과 부합하는데, 과연 경문(經文)의 뜻에 어긋나지 않는 것인가?

[이익진이 대답하였다.]
여기의 망(罔) 자는 소상전(小象傳)의 문세(文勢)로 보면 ‘그러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풀이해도 잘못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경문(經文)에서 글자를 놓은 의도를 자세히 보면 “군자는 망(罔)을 쓴다.[君子用罔]”고 한 것으로 “소인은 장(壯)을 쓴다.[小人用壯]”고 한 것의 대구(對句)를 삼아 망(罔) 자를 바탕으로 삼고 용(用) 자를 먼저 놓았으니, 대개 “소인은 장을 쓰고 군자는 망을 쓴다.”고 한 말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소인은 장을 쓰고 군자는 그렇지 않다.”고 한 것이라면 당연히 상전(象傳)의 글처럼 ‘군자망야(君子罔也)’라고만 하였을 것인데, 굳이 용(用) 자를 첨가하여 ‘용망(用罔)’이라고 함으로써 용장(用壯)이란 글에 대구로 삼았겠습니까. 다만 상전에서는 글을 생략하여 위 글에서 용장이라고 한 글을 그대로 따랐으되 ‘용망’이란 말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학자들이 그로 인하여 문득 여러 갈래의 해석을 한 것인데, 그러한 학자들의 말은 경문의 뜻과 어찌 거리가 없겠습니까.
상전(象傳) 중에 그러한 문세(文勢)는 진실로 많습니다. 환괘(渙卦)의 상구(上九) 본문(本文)에는 ‘환기혈거(渙其血去)’라고 되었으나 상전에서는 ‘환기혈(渙其血)’이라고만 하였으니, 이와 같은 경우는 어찌 글을 생략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효사 중의 아래 문단의 문세로 보면 ‘정려(貞厲)’라는 두 글자를 ‘군자용망(君子用罔)’이라고 한 아래에 붙여 놓았으니, 이는 군자이거나 소인이거나 모두 융통성 없이 고수(固守)하기만 하면 위태롭다는 뜻입니다. 진실로 혹자의 말대로 군자로 하여금 강장함을 쓰지 않게 한 것이라면, 그 끝에 어찌 고수하면 위태롭다는 경계가 있을 리가 있겠습니까. 대체로 구삼(九三) 효로 말하면 이중(二重)으로 강하면서 중(中)의 자리도 아니니 대장(大壯)의 시대에 군자는 뜻이 강하고 소인은 힘을 숭상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뿔이 걸린 격이어서 고집하면 위태로운 상(象)이 있습니다. 《정전》과 《본의》의 풀이가 명백하여 의심할 여지가 없으니 아마도 다른 해설을 별도로 구할 것이 없을 것 같습니다. 고주(古註)의 ‘망라(網羅)’라고 풀이한 학설은 선대 학자들도 이미 취택하지 않은 것인데, 굳이 따질 필요가 있겠습니까.


장(壯)과 양(羊)은 음이 서로 비슷한 데다가 괘(卦)의 호체(互體)로서는 태(兌)가 되는데, 태도 양(羊)에 배속된다. 이것이 대장괘에서 반드시 숫양의 상을 취한 까닭인가? 《본의》에서 “구삼(九三) 앞에 구사(九四)가 있음은 울타리가 있는 상이 되고, 구사 앞에 두 음효(陰爻)가 있음은 울타리가 터진 상(象)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렇게 미루어 보면 육오(六五)에서 “양을 잃었다.”고 하는 것은 또한 울타리가 터져서 양이 뛰쳐나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상육(上六)에 이르러서는 울타리가 이미 터진 것인데 어찌하여 “울타리를 받았다.”고 하였는가?

[김계락(金啓洛)이 대답하였다.]
이 괘에서 양(羊)을 취한 것은 쾌괘(夬卦)에서 양을 끌고 가는 것에 비유한 것과 같은 뜻입니다. 대개 이 괘의 구성체는 네 양(陽)이 함께 나아가는데, 구사(九四)와 육오(六五)의 두 효가 한 괘의 주체입니다. 그런데 강(剛)으로 유(柔)를 결단(決斷)함에 있어 그 강함을 다하지 않는 상이 있으므로 구사는 울타리가 터지는 길(吉)함이 있는 것이고, 육오의 양(羊)을 잃은 것과 같은 경우는 이미 뛰쳐나간 상이 있습니다. 따라서 상육의 경우는 울타리가 이미 터진 것이므로 또다시 ‘울타리를 받는다’는 말을 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정전》과 《본의》의 풀이를 보면 육오는 음유(陰柔)로서 중(中)의 자리에 있으니 그 강장(強壯)함을 잃어서 들이받을 수가 없는 상이 있고, 상육은 강장함이 끝나고 움직임이 극에 달하여 물러갈 수도 없고 그대로 나아갈 수도 없는 상이 있습니다. 대개 양(羊)은 뿔로 들이받는데 상육은 마침 뿔의 자리에 해당하므로 비록 음효(陰爻)라도 “울타리를 받는다.”고 한 것입니다. 이는 진괘(晉卦)에서 “그 뿔에 나아감이다.”라고 한 것 및 구괘(姤卦)에서 “그 뿔에서 만남이다.”라고 한 것과 참고해 볼 수 있으니, 그렇다면 대장괘가 울타리를 들이받는 데에서 경계를 취한 뜻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은 대장괘(大壯卦)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