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재전서 제102권
경사강의(經史講義) 39 ○ 역(易) 2 |
[손괘(損卦)] |
“질병을 덜어 낸다.[損疾]”고 한 질(疾) 자에 대한 해설이 매우 많다. 질병의 병이라느니, 음유(陰柔)의 병이라느니, 근망(勤望)의 병이라느니 한 것과, 위에서 의심하는 것은 초구(初九)와 육사(六四)의 병이라느니, 초구는 육사를 보태 주는 것을 임무로 삼고 육사는 상응(相應) 관계로서 이를 받아들이니 이는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이라느니 한 것들이다. 《정전》과 《본의》의 해석은 진실로 평이(平易)한 것인데 이른바 “초구의 병을 덜어 준다.”고 한 것도 그 뜻이 분명하다. 대개 초구는 육사와 상응 관계로서 한결같은 마음으로 서로 원하기 때문에, 상대의 유약함을 가엾게 여겨서 보태 주기를 생각하고 나의 강함을 발판으로 하여 상대의 병을 덜어 내 줄 생각을 마치 자기에게 있는 질병 이상으로 여기는 듯이 한다. 그러니 육사가 초구에 응하여 받아들이는 것이 어찌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이 아니겠는가?
“병을 덜어 준다.”고 한 뜻에 대해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으로 보는 것은 너무도 분명치가 않습니다. 저 육사는 음유(陰柔)이고 초구는 강양(剛陽)입니다. 음유함은 병이 되고 강양함은 현자(賢者)가 되며, 도움을 구하는 자는 병이 있는 자이지만 도와주는 자는 병이 있는 것이 아니니, 여기서의 질(疾) 자는 곧 육사의 병을 가리킨 것이지 어떻게 초구의 병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육사는 음유한 바탕으로 마땅히 덜어 내야 할 시기에 처하였으니, 바야흐로 그 자신의 병을 덜어 내기에도 바쁜 처지인데 어느 겨를에 남의 병을 덜어 줄 수 있겠습니까. 혹자가 “초구는 육사를 보태 주지 않는 것을 병으로 삼고 육사는 상응 관계로서 받아들이니, 이것이 초구의 병을 덜어 주는 것이다.”라고 한 것은 올바르지 못한 견해로서 문리(文理)가 통하지 않는 것인데, 취할 점이 어디에 있습니까. 《정전》과 《본의》의 풀이는 진실로 평이한 것인데 후세의 학자들이 자기 견해를 내세우려고 하여 마디 위에 마디가 생기게 한 꼴이 되었으니, 매우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본의》에서 “두 마리의 거북을 붕(朋)이라고 하는데 십붕(十朋)의 거북은 큰 보배이다.”라고 하였고, 《이아(爾雅)》 석어편(釋魚篇)에서는 “십붕의 거북은 신귀(神龜)ㆍ영귀(靈龜)ㆍ섭귀(攝龜)ㆍ보귀(寶龜)ㆍ문귀(文龜)ㆍ서귀(筮龜)ㆍ산귀(山龜)ㆍ택귀(澤龜)ㆍ수귀(水龜)ㆍ화귀(火龜)이다.”라고 하였는데, 그 뜻을 자세히 말해 줄 수 있겠는가?
《이아》 석어편에 열 마리의 거북을 차례로 나열하였으나 십붕(十朋)이라는 두 글자는 없으며, 신귀ㆍ영귀ㆍ섭귀ㆍ보귀ㆍ문귀ㆍ서귀ㆍ산귀ㆍ택귀ㆍ수귀ㆍ화귀라고 한 것은 곧 거북의 별명을 다르게 일컬은 것입니다. 형병(邢昺)의 소(疏)에서 “손괘(損卦)의 십붕에 대해서 마씨(馬氏)와 정씨(鄭氏)는 모두 이 글을 취해서 풀이하였으니, 이 《이아》에서 열 마리의 거북을 예시(例示)한 것은 《역경》을 풀이하기 위한 것입니다.”라고 하였는데, 마씨와 정씨가 반드시 《이아》에서 말한 열 마리의 거북을 가리켜 십붕의 거북이라고 한 것은 고증할 수가 없습니다. 아마도 거북에는 열 가지 종류가 있고, 귀패(龜貝 고대의 화폐임)는 반드시 붕(朋 두 개의 단위를 이름)으로 썼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에서 “원귀(元龜)ㆍ공귀(公龜)ㆍ후귀(侯龜)ㆍ자귀(子龜)라는 이름이 있고 대패(大貝)ㆍ장패(壯貝)ㆍ요패(么貝)ㆍ소패(小貝)의 구분이 있는데, 모두 십붕으로 일컬으며 크기가 1촌(寸) 2푼(分)이 안 되는 것은 그 패(貝)에 들지 못하므로 붕(朋)이 될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본의》에서 “십붕의 거북은 큰 보배이다.”라고 한 것은 아마도 귀패가 큰 보배가 됨을 종합하여 말한 것 같습니다.
'주역 > 홍재전서경사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강의(經史講義)39 - 쾌괘 (0) | 2010.12.22 |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익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해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건괘 (0) | 2010.12.22 |
경사강의(經史講義)39 - 규괘 (0) | 2010.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