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집 제3권
시(詩)
月夜。女兒輩登寒碧樓。久不下。余方坐翛然齋。不覺起興隨至。眞所謂老子於此。興復不淺也。
달밤에 딸들이 한벽루(寒碧樓)에 올라가 오래도록 내려오지 않았다. 나는 소연재(翛然齋)에 앉아 있다가 자신도 모르게 흥이 나서 뒤따라가 한벽루에 이르렀으니, 진정 이른바 “내 이 늙은이가 이런 곳에서는 흥이 물씬 일어난다.”고 한 경우라 하겠다.
명월 아래 웃음소리 떠들썩하니 / 月明笑語喧
누각 위 아이들이 놀고 있구나 / 樓頭兒女游
얼음 녹은 푸른 강 봄날 같은데 / 綠江渙如春
청둥오리 한 쌍이 물위에 둥둥 / 花鴨一雙浮
주렴 걷고 어울려 바라보면서 / 卷簾相指似
추운데도 누각을 아니 내려와 / 夜寒不下樓
늙은 몸 바야흐로 혼자 앉아서 / 老子方獨坐
빈 배만 마주하고 시를 읊노라 / 微吟對虛舟
두 번째
별세계라 한적한 여기 이곳은 / 洞天此窈窕
사계절 맑은 기운 간직하였네 / 淸眞蘊四時
이곳에 저 옛날의 옥부자 신선 / 何年玉斧子
영지 캐는 이 몸을 기다렸겠지 / 期我采玄芝
허나 백학 밤 깊어도 오지를 않아 / 白鶴夜不來
누구를 기다리듯 앉아 있는데 / 高樓坐待誰
서른 여섯 늘어선 누각의 난간 / 闌干三十六
달빛 아래 그림자만 어수선하네 / 明月空參差
세 번째
밤안개 자욱한 금병산 보소 / 錦屛凝夜煙
그림자 깊은 강 빠져 들어가 / 綠影淪江深
흐르는 물결 함께 가지 않으니 / 波流不俱逝
도사의 속마음과 흡사하여라 / 一似靜者心
초라한 복건 하나 머리에 쓰고 / 蕭然一幅巾
사방을 둘러보며 누굴 찾는지 / 四顧誰招尋
구름 가의 밝은 달 저게 내 촛불 / 雲月皎我燭
바람결 물소리는 나의 거문고 / 風瀨鳴我琴
내 이 …… 일어난다 : 진(晉)나라 태위(太尉) 유량(庾亮)이 무창(武昌)에 있을 때, 어느 날씨 좋은 가을밤 은호(殷浩)와 왕호지(王胡之) 등 젊은이들에게 남루(南樓)에 올라가 놀도록 하고 혼자 남아 있다가 자기도 흥이 일어나서 그들을 뒤따라가 그들에게 한 말이다. 《晉書 卷73 庾亮列傳》
옥부자(玉斧子) : 옥부는 전설상의 신선 허훼(許翽)의 어릴 적 이름으로, 신선을 뜻한다.
'청풍광의리 > 고전 청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보(李同甫) 형제의 《해산수창록(海山酬唱錄)》의 뒤에 쓰다. (0) | 2013.07.13 |
---|---|
자익이 배에 오르기 전에 한벽루(寒碧樓) 앞의 배나무 한 그루를 읊었는데, 홍생(洪生)과 함께 그에 화답하다. (0) | 2013.07.13 |
응청각에서 또 ‘호(壺)’ 자 운을 얻어 짓다. (0) | 2013.07.13 |
달밤에 배 안에서 한벽루(寒碧樓)에서 들려오는 피리소리를 감상하며 율시 한 수를 짓다. (0) | 2013.07.13 |
강기슭에 물결을 스치는 수양버들이 있어 지나가는 배를 덮었다. (0) | 201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