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과(大過)는 대들보가 휘어짐이다.[大過 棟橈]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동요(棟橈)’는 손(巽)이 태(兌)를 만난 전체의 모양에서 상을 취하였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순상의 《구가역》에서는 손(巽)이 동(棟)의 상이 되니, 하체가 손(巽)이고 상체가 태(兌)인데 태는 손의 반체(反體)인바, 모두 동(棟)의 상이 있다.


초육은 깔되 흰 띠풀을 사용함이다.[初六 藉用白茅]

○ 절재 채씨(節齋蔡氏)가 말하기를, “‘자(藉)’는 초육의 상이고, ‘모(茅)’는 상육의 상이다.” 하였고, 중계 장씨(中溪張氏)가 말하기를, “‘모(茅)’는 부드러운 물건이고, 손(巽)은 백(白)이 된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초육이 구사(九四)의 강(剛)을 받들므로 ‘자(藉)’가 된다. ‘모(茅)’는, 손(巽)이 초목(草木)의 상이 된다.


구이는 마른 버드나무에 뿌리가 생기며, 늙은 지아비가 젊은 아내를 얻었다.[九二 枯楊 生稊 老夫 得其女妻]

○ 내가 생각해 보건대, 순상의 《구가역》에서는 손(巽)이 ‘양(楊)’이 된다. 하체가 이(離)의 자리에 위치하였는데, 이(離)는 고목(槁木)이 된다. 또 전체의 모양이 감(坎)과 비슷한데, 감의 복체는 이(離)이다. ‘제(稊)’는, 나무로써 말하면 줄기는 양(陽)이 되고 뿌리는 음(陰)이 되며, 효(爻)로써 말하면 초효는 땅속이고 이효는 땅 위이다. 음(陰)으로서 땅속에 있는 것이 뿌리가 된다. 구이(九二)와 초육(初六)은 비(比)의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뿌리가 생기는 ‘생제(生稊)’의 상이 있는 것이다. 구이는 의당 장녀(長女)인 손(巽)보다는 어릴 것이다. 그런데 구이가 초육보다 위에 있으므로 ‘노부(老夫)’라고 칭한 것이다. 간(艮)은 소남(少男)의 상인데, 구이가 변하면 간(艮)이 된다. ‘처(妻)’는 손(巽)의 장녀(長女) 상이다. 초육이 한 괘의 시작이 되는 곳에 있으므로 ‘여(女)’라고 칭한 것이다.


구삼은 대들보가 휘어짐이다.[九三 棟橈]

○ 하괘(下卦)는 손(巽)이고, 상괘는 손의 반체로, 반복해서 보아도 모두 손체(巽體)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네 효가 모두 목(木)을 취하여 상으로 삼은 것이다. ‘동(棟)’은 손(巽)의 목(木) 상이다.

○ 지나치게 강(剛)하므로 무거운 짐을 이기지 못하는 법인데, 구사는 강(剛)한 양(陽)이면서도 유(柔)한 음(陰)의 자리에 있으므로 무거운 짐을 이기는 것이다. -본의(本義)의 설이 이와 같다.


구오는 마른 버드나무에 꽃이 피며 늙은 부인이 젊은 남편을 얻은 것이다.[九五 枯楊 生華 老婦 得其士夫]

○ 상체는 태(兌)이며 태의 반체는 손(巽)이다. 하체는 손(巽)이며 손의 반체는 태(兌)이다. 버드나무는 연못 가까이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그러므로 상체와 하체의 상을 취한 것이 모두 똑같이 고양대과(枯楊大過)의 상인 것이다. -이상은 운봉 호씨(雲峯胡氏)의 예(例)이다.- 또 순상의 《구가역》을 보면, 손(巽)은 양(楊)이 된다. ‘고(枯)’는 호체인 이(離)에 위치해 있는 것이다. ‘화(華)’는 구오가 변하면 진(震)이 되는데, 진은 부()의 상이 된다. 구오는 상육과 비(比)의 관계에 있어서 아래는 연결되고 위는 나누어졌으니, 화(花)의 상이 있는 것이다. ‘부(婦)’는, 태(兌)는 소녀(少女)의 상인데 상육이 한 괘의 끝에 있다. 그러므로 ‘노부(老婦)’라고 칭한 것이다. ‘부(夫)’는, 진(震)이 장남(長男)의 상인데, 구오가 변하면 진(震)이 되며, 태(兌)의 소녀(少女)보다는 의당 늙었을 것이고 오효가 육효보다는 다음이므로 ‘사부(士夫)’라고 칭한 것이다.

○ 마른 버드나무에 아래로 뿌리가 생겨나면 능히 다시 살아날 수 있는 것이 마치 대과괘(大過卦)의 양(陽)이 일어나면 일과 공을 이룰 수 있는 것과 같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양(楊)’은 손(巽)의 상이다. ‘동(棟)’은 손의 상이다.” 하였다.


상육은 지나치게 건너 이마까지 빠졌다.[上六 過涉滅頂]

○ 전(傳)에서는 택(澤)의 상을 인하여 건너는 뜻을 취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정(頂)’은 상육의 상이다. 위(位)로써 말하면 상육은 정(頂)의 상이 되며, 괘(卦)로써 말하면 상육이 태체(兌體)에 있으니 정(頂)과 택(澤)이 나란한바, 건너는 상이 되고 빠지는 상이 되는 것이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중계 장씨(中溪張氏) : 원(元)나라의 학자인 장청자(張淸子)로, 자가 희헌(希獻)이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괘(離卦 )  (0) 2010.08.29
감괘(坎卦 )  (0) 2010.08.29
이괘(頤卦 )  (0) 2010.08.29
대축괘(大畜卦 )  (0) 2010.08.29
무망괘(无妄卦 )  (0) 2010.08.29

이(頤)는 정하면 길하니 길러 주며 스스로 음식을 찾는 것을 살펴보아야 한다.[頤 貞 吉 觀頤 自求口實]

○ 주(註)에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구(求)’와 ‘실(實)’은 턱[頤]과 입[口]에서 상을 취한 것이다. ‘관(觀)’은, 괘 전체의 모양이 이(離)와 비슷한바, 이(離)의 목(目)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頤)’는 이효부터 상효까지와 초효부터 오효까지가 반복되는데, 모두 관괘(觀卦)의 체(體)와 비슷하다. 그러므로 단전(彖傳)에서는 ‘관이(觀頤)’로 말하고, 효사(爻辭)에서는 ‘관아(觀我)’로 말한 것이다.” 하였다.


상에 이르기를, “산 아래에 우레가 있음이 이(頤)이니, 군자가 보고서 언어를 삼가며 음식을 절제한다.” 하였다.[象曰 山下有雷 頤 君子以 愼言語 節飮食]

○ 우레가 산 아래에 있으니, 안에서는 동하고 밖에서는 그치는 상이 있다. 막 마음에서 발하는데 혀가 말을 하지 못하게 먼저 경계하며, 막 입에서 좋아하는데 손이 이미 젓가락을 놓는 데에 급한바, 이는 모두가 안에서 동하고 밖에서 그치는 상인 것이다.


초구는 너의 신령스런 거북을 버리고 나를 보고서 턱을 늘어뜨린다.[初九 舍爾靈龜 觀我 朶頤]

○ ‘아(我)’는 사효를 가정(假定)한 것이 아니라 초효를 이른 말이다. 다만 이미 초효를 가리켜서 ‘이(爾)’라고 하였으니, 사효를 가리켜서 ‘아(我)’라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으로, 이는 범범히 가설(假說)한 말이다.


상에 이르기를, “나를 보고서 턱을 늘어뜨리니 또한 귀하게 여길 만하지 못하다.” 하였다.[象曰 觀我朶頤 亦不足貴也]

○ 양(陽)은 귀하고 음(陰)은 천하다.


육이는 전도(顚倒)되어 길러 주기를 구하므로 경도(經道)에 위배되니, 언덕에게 길러 주기를 구하여 가면 흉하다.[六二 顚頤 拂經 于丘 頤 征 凶]

○ 괘 전체가 턱[頤]을 형상하는데, 이효가 아래로 초효를 따르니 초효가 도리어 이효의 위가 된다. 이는 턱과 입이 전도된 상이다. ‘정(征)’은 진(震)의 동(動) 상이다.


육사는……호랑이가 상대를 탐탐(眈眈)히 노려보듯이 하며 그 하고자 함이 쫓고 쫓아 계속되면 허물이 없다.[六四……虎視耽耽 其欲逐逐 无咎]

○ 남헌(南軒) 선생이 이르기를, “호랑이가 볼 적에는 항상 머리를 늘어뜨리고서 본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순상(荀爽)의 《구가역(九家易)》에서는 간(艮)이 호(虎) 상이 된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시(視)’는, 전체의 모양이 이(離)와 비슷한바 이(離)의 목(目)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사효가 변하면 이(離)가 된다.” 하였다. ‘탐탐(耽耽)’은 아래로 내려다보는 모양이다. 이괘(離卦)의 세 획은, 상획은 홀수로 위의 속눈썹을 형상하고, 중획은 짝수로 눈의 눈동자를 형상하고, 하획은 홀수로 아래의 속눈썹을 형상한다. 무릇 아래쪽을 내려다보면 윗 속눈썹은 바로 보이고 아래 속눈썹은 양쪽 끝만 조금 드러나 보이는바, 바로 간괘(艮卦) 세 획의 상이다. 그러므로 아래로 내려다보는 상을 취한 것이다. ‘욕(欲)’은 음이 양을 찾아가는 상이다. ‘축축(逐逐)’은 경계하는 말로, 간(艮)이 지(止)이므로 경계하는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전이(顚頤)의 길함은 위의 베풂이 빛나기 때문이다.” 하였다.[象曰 顚頤之吉 上施光也]

○ ‘광(光)’은 간체(艮體)로, 광채가 빛나는 것이다.


육오는……대천을 건너서는 안 된다.[六五……不可涉大川]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불가섭(不可涉)’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상체(上體)가 감(坎)의 자리에 위치하였는바, 대천(大川)의 상이 있는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괘(頤卦)의 원래 획은 이(離)이며, 복체(伏體)로 보면 원래의 획이 감(坎)이다.” 하였다.


상구는……대천을 건넘이 이롭다.[上九……利涉大川]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이섭(利涉)’은 양효(陽爻)의 상이다. 또 전체의 모양이 빈 배의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대천(大川)’은 감의 자리에 위치한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복체의 원래 획인 감(坎)의 상이다.” 하였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건안 구씨(建安丘氏)가 운운하였다 : 건안 구씨가 이르기를, “이(頤)는 턱[頷]이며 기름[養]이다. 광대뼈[輔]는 상구(上九)의 상이고, 잇몸[車]은 초구(初九)의 상이다. 가운데의 네 음효(陰爻)는 여러 이빨의 상이다. 위에서 덮고 아래에서 받쳐서 여러 이빨이 삼엄한바, 온전하게 기르는 상이 보인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괘(坎卦 )  (0) 2010.08.29
대과괘(大過卦 )  (0) 2010.08.29
대축괘(大畜卦 )  (0) 2010.08.29
무망괘(无妄卦 )  (0) 2010.08.29
복괘(復卦 )  (0) 2010.08.29

전(傳)을 보면, 서괘(序卦)에 운운하였다고 하였다.

무망(无妄)이면 성실(誠實)함이 있으므로 따르는 자가 있으며, 따르는 자가 있으면 모이는 것이다.


집에서 밥을 먹지 않으면 길하다.[不家食 吉]

○ ‘가(家)’는 간(艮)의 문정(門庭) 상이다. ‘식(食)’은 태(兌)의 택(澤) 상이다. ‘불(不)’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또 대축괘의 변함은 수괘(需卦)로부터 온 것인데, 수괘에는 음식(飮食)의 상이 있다. 감(坎)이 변하여 간(艮)이 되었으니, 역시 ‘불식(不食)’의 상이 있다. 상구(上九)가 상효의 자리에 있는데 육오가 존귀하면서도 상구를 떠받들고 있다. 그러므로 집에서 밥을 먹지 않는 ‘불가식(不家食)’이 되는 것이다.


단에 이르기를, “대축은 강건하고 독실하고 빛나서 날로 덕을 새롭게 한다.” 하였다.[彖曰 大畜 剛健 篤實 輝光 日新其德]

○ ‘강건(剛健)’은 건(乾)의 덕(德)이고, ‘독실(篤實)’은 곤(坤)의 덕이다. ‘휘광(輝光)’은, 간(艮)의 밝은 양효(陽爻)가 밖에 있으므로 빛나는 상이 있는 것이다. ‘일신(日新)’은 하늘인 건(乾)의 운행은 하루에 한 바퀴를 돌기 때문에 날로 새롭게 하는 상이 있는 것이다.


대천을 건넘이 이로움은 하늘에 응하는 것이다.[利涉大川 應乎天也]

○ ‘이섭(利涉)’은 건(乾)의 건(健) 상이고 진(震)의 목(木) 상이다. 또 삼효부터 상효까지는 가운데가 빈 배의 상이다. ‘대천(大川)’은 태(兌)의 택(澤) 상이다. 또 삼효부터 상효까지가 이체(離體)인데, 그 복체(伏體)가 수(水)인 감(坎)의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는 것이 대축이니, 군자가 보고서 옛 성현들의 말씀과 지나간 행실을 많이 알아 덕을 쌓는다.” 하였다.[象曰 天在山中 大畜 君子以 多識前言往行 以畜其德]

○ ‘언(言)’은 건(乾)의 상이고 ‘행(行)’은 간(艮)의 상이다. 순상(荀爽)의 《구가역(九家易)》에서는 건(乾)이 ‘언(言)’이 되고, 간지(艮止)가 ‘행(行)’이 된다고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언(言)’은 태(兌)의 상으로, 규괘(睽卦)로부터 왔으니 태구(兌口)가 변하여 건(乾)이 되었는바, 옛날의 말인 ‘전언(前言)’의 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괘(需卦)로부터 왔으니, 구오(九五)가 가서 간지(艮止)가 되었는바, 지나간 행실인 ‘왕행(往行)’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 ‘전언(前言)’에 대해서 좌씨(左氏)는 간(艮)이 ‘언(言)’이 된다고 하였고, 순상의 《구가역》에서는 건(乾)이 ‘언(言)’이 된다고 하였다. ‘왕행(往行)’은, 간(艮)이 멈추게 하고 건이 자강(自強)한다.


구이는 수레가 바퀴통이 빠졌도다.[九二 輿說輹]

○ ‘여(輿)’는 감(坎)의 상이다. 이(離)의 복체(伏體)가 감이다. 구이는 건체(乾體)인데, 건은 환륜(圜輪)의 상이다. ‘복(輹)’은 수레바퀴 사이에 가로지르는 나무이다. 구이가 변하면 가운데가 허해져서 탈[說] 상이 있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탈[說]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구이가 변하면 간이다.” 하였다.


구삼은 좋은 말이 달려가는 것이니, 어렵게 여기고 정함이 이로운바, 날마다 수레 타는 것과 호위하는 것을 익히면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九三 良馬逐 利艱貞 日閑輿衛 利有攸往]

○ 하체(下體)인 건(乾)은 ‘양마(良馬)’가 되며, 호체(互體)는 진(震)으로 족(足)이 되는바, 좋은 말이 달려가는 ‘양마축(良馬逐)’의 상이 있는 것이다. ‘일한(日閑)’은 전체의 괘 모양이 이일(離日)과 비슷하며, 호체(互體)가 진동(震動)인바, 날마다 달려가서 동하는 ‘축일이동(逐日而動)’의 상이 있는 것이다. ‘여(輿)’는 건(乾)의 상이다. 또 구삼이 변하면 감체(坎體)가 되는데, 감은 여(輿)가 된다. ‘위(衛)’는 무위(武衛)로, 병기(兵器)가 수레에 있는 것이니, 이(離)가 건(乾)의 위에 있는 상이다.


육사는 어린 소에 곡(牿)을 가한 것이다.[六四 童牛之牿]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우(牛)’는 간(艮)의 상이다. 또 전체의 모양이 이(離)와 비슷한바, 그 상을 취하였다. ‘동(童)’은 간(艮)의 상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육사는 초구를 저지하니, 이 상은 아마도 온당치 못한 듯하다. 쌍호 호씨가 일찍이 건(乾)의 복체(伏體)가 곤(坤)이라는 이유로 우(牛)의 상을 취하였고, 하체(下體)가 이(離)의 자리에 있다는 이유로 일(日) 상을 취하였다. 이것을 예로 삼아 보면, 하괘에는 우(牛)의 상이 있다. ‘동(童)’은 초구의 상이다. ‘곡(牿)’은 진(震)의 목(木)과 간(艮)의 지(止) 상을 취하였다.


육오는 멧돼지를 거세하여 이빨을 쓰지 못하게 한다.[六五 豶豕之牙]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분시(豶豕)’는 간(艮)의 지(止)의 뜻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쌍호 호씨가 초구(初九)의 상을 취한 예를 미루어 보면, 괘가 수괘(需卦)로부터 왔는바, 상체(上體)는 본디 감(坎)으로 감은 시(豕)가 되며, 변하면 간(艮)이 되는데, 간은 검은 부리와 어금니[黔喙牙]의 상이 된다. 다만 육오가 구이를 저지하니 아마도 이와 같지는 않을 것 같다. 쌍호 호씨가 일찍이 건해(乾亥)로써 시(豕)의 상을 취하였는데, 이것을 예로 하여 보면 건(乾)에는 시(豕)의 상이 있는 것이다.

‘아(牙)’는 호체(互體)인 태(兌)의 구(口)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효부터 사효까지는 호체(互體)인 감체(坎體)에 위치해 있다.”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이효부터 사효까지는 호체가 태체(兌體)이며 태는 손(巽)의 반체(反體)인데, 손은 음조(陰躁)한 괘이니 이로써 ‘시(豕)’를 형상한다. 구괘(姤卦)에 나오는 ‘이시(羸豕)’나 중부괘(中孚卦)에 나오는 ‘돈어(豚魚)’는 모두 손(巽)의 상을 취한 것이다. 이효가 손(巽) 위에 있으니 바로 아(牙)의 상이다.” 하였는데, 역시 통한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전(傳)을 …… 하였다 : 대축괘(大畜卦)의 서괘전(序卦傳)에, “무망이 있은 뒤에 모일 수 있으므로 대축괘로 받았다.” 하였다.
[주D-002]순상(荀爽) : 동한(東漢) 때의 경학가(經學家)로, 일명 순서(荀諝)라고도 한다. 영천(潁川) 사람으로, 자가 자명(慈明)이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자질이 있어서 당시 사람들이 “순씨네 집 여덟 형제 가운데 자명이 가장 뛰어나다.” 하였다. 저서로는 《예전(禮傳)》, 《역전(易傳)》, 《시전(詩傳)》, 《상서정경(尙書正經)》, 《춘추조례(春秋條例)》, 《신서(新書)》가 있는데, 그가 지은 《역전》의 설은 그 영향이 아주 컸다.
[주D-003]탈[說] : 원문에는 ‘說’로 되어 있는데, 이는 빠진다는 뜻인 탈(脫) 자와 같은 뜻을 가진 글자이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과괘(大過卦 )  (0) 2010.08.29
이괘(頤卦 )  (0) 2010.08.29
무망괘(无妄卦 )  (0) 2010.08.29
복괘(復卦 )  (0) 2010.08.29
박괘(剝卦 )  (0) 2010.08.29

무망은 크게 형통하고 정(貞)함이 이로우니, 바르지 않으면 허물이 있을 것이다.[无妄 元亨 利貞 其匪正 有眚]

○ ‘비정(匪正)’은 하늘의 이치를 위반하는 것이다. ‘생(眚)’은, 쌍호 호씨(雙湖胡氏)가 눈병[目疾]이라고 하였다. 괘를 살펴보면 초효부터 사효까지가 이체(離體)인데, 이(離)는 목(目)이 된다. 삼효부터 오효까지는 손체(巽體)인데, 손(巽)은 안(眼)이 된다. 그러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대개 ‘생(眚)’ 자는 본디 눈병인데, 괘 가운데에서는 비록 이를 인하여 상을 취하였으나 전(轉)하여 과생(過眚)이라고 할 때의 생(眚)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이정(利貞)’은 이효와 오효를 가리킨다.

무망의 감이 어디로 가겠는가. 천명이 돕지 않는 것을 행하겠는가?[无妄之往 何之矣 天命不祐 行矣哉]

○ ‘무망(无妄)’은 성(誠)이요, 성은 하늘의 도이다. 그러므로 ‘천명(天命)’이라고 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하늘 아래에서 우레가 행하여 물건마다 무망을 주니, 선왕이 보고서 천시(天時)에 성하게 합하여 만물을 기른다.” 하였다.[象曰 天下雷行 物與无妄 先王以 茂對時 育萬物]

○ ‘무망(无妄)’은 성(誠)이다. 성은 바로 태극(太極)으로, 이른바 만물(萬物)이 각각 한 태극을 갖추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대시(對時)’는 하늘 아래에서 우레가 행하는 것을 본받은 것이고, ‘육물(育物)’은 물건마다 무망을 준 것을 본받은 것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천시에 합하고 만물을 기르는 것은 성인의 우레가 행해져서 물건마다 무망을 준 것이다.” 하였다.

상에 이르기를, “무망으로 감은 뜻을 얻는다.” 하였다.[象曰 无妄之往 得志也]

○ ‘왕(往)’은, 동하는 체(體)이므로 그 상을 취하였다. ‘득지(得志)’는 그 본래의 뜻을 얻은 것이다.

육이는 밭갈지 않고서도 수확하며, 일 년된 밭을 만들지 않고서도 삼 년된 밭이 된다.[六二 不耕 穫 不菑 畬]

○ 진(震)은 동방(東方)에 거하여 있는바 시(時)에 있어서는 봄이 되고, 건(乾)은 서북방에 거하여 있는바 시에 있어서는 가을과 겨울이 교차하는 때가 된다. 진(震)은 봄 농사를 짓는 시초가 되고, 건(乾)은 가을 추수를 하는 마침이 된다. ‘경확(耕穫)’과 ‘치여(菑畬)’는 괘기(卦氣)를 인하여 상을 취한 것이다. 두 ‘불(不)’ 자는 괘의 의(義)를 인하여 상을 취한 것이다. ‘경확’과 ‘치여’는 이효의 전(田) 상이다.
○ 초효부터 오효까지는 전체의 모양이 익괘(益卦)와 비슷하니, 나무를 깎아서 쟁기를 만들고 나무를 휘어서 쟁기자루를 만드는 ‘착목위거 유목위뢰(斲木爲耟 揉木爲耒)’의 상이 있다. 육이는 땅 위에 있으니, 전(田)의 상이 있다. 그러므로 ‘경확’과 ‘치여’의 상이 되는 것이다. 두 ‘불(不)’ 자는 경계하는 말이다. 진(震)은 가(稼)가 된다. ‘불(不)’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밭 갈지 않고서도 수확하는 것은 부유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다.” 하였다.[象曰 不耕穫 未富也]

○ ‘미부(未富)’는 음(陰)의 허(虛) 상이다.

육삼은 무망의 재앙이니, 설혹 소를 매어 놓았다 하더라도 행인이 얻음은 읍인의 재앙이로다.[六三 无妄之災 或繫之牛 行人之得 邑人之災]

○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우(牛)’는 체(體)가 이체(離體)와 비슷한 상을 취한 것이다. 또 호체(互體)가 간(艮)의 상인바, ‘계(繫)’는 지(止)인 간(艮)의 뜻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무망괘는 송괘(訟卦)로부터 왔다. 이효에서 사효까지의 호체는 이체(離體)인데, 이(離)는 우(牛)가 된다. 삼효부터 오효까지는 호체가 손체(巽體)인데, 손(巽)은 승(繩)이 된다. 손승(巽繩)이 이우(離牛)의 위에 있으며, 간수(艮手)가 그것을 저지하고 있으니, 소를 매어 놓는 ‘계우(繫牛)’의 상이 있는 것이다. 구이(九二)가 변하면 이체(離體)를 잃어버리니, 이는 소를 잃어버리는 상이다. ‘행인(行人)’은 구이를 가리킨다. 구이가 초구(初九)보다 낮아지면 잃어버린 소가 있는 곳이 되니, 이는 소를 끌고 가는 상인 것이다. ‘읍인(邑人)’은 삼효를 가리킨다. 감(坎)은 본디 곤(坤)이 재차 구하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양구(陽九)가 곤체(坤體)에 있으면서 왕래한다. 그러므로 육삼을 가리켜서 읍인이라 한 것이다. ‘읍(邑)’은 곤(坤)의 토(土) 상이다.

구오는, 무망의 병은 약을 쓰지 않으면 기쁨이 있다.[九五 无妄之疾 勿藥 有喜]

○ ‘질(疾)’은 이효와 오효가 정응(正應)인데, 사효가 그 사이에 끼어 있으니 망녕됨이 없는데도 병이 있는 상이 되는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오효가 변하면 감(坎)이 되는데, 감(坎)은 병이 낫는 것이 된다. 오효는 본디 감체(坎體)이다. 그러므로 고질병인 정질(貞疾)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효는 본디 건체(健體)이므로 망녕됨이 없는데도 병이 있는 ‘무망지질(无妄之疾)’이 되는 것이다.” 하였다. ‘약(藥)’은, 중정(中正)함은 병을 오게 하는 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약을 쓰지 않으면 저절로 기쁨이 있는 ‘물약자희(勿藥自喜)’의 상이 있는 것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약(藥)’은, 하체(下體)가 진(震)이고 호체(互體)가 손(巽)인데, 손은 초목(草木)의 상이다.” 하였다. ‘희(喜)’는, 희(喜)가 양(陽)에 속하고 노(怒)가 음(陰)에 속하는데, 양은 밖으로 흩어서 발산하고 음은 안으로 거두어 모은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괘기(卦氣) : 역(易)의 64괘를 사시(四時), 월령(月令), 기후(氣候) 등에 배치시키는 법을 말한다. 이에 의하면, 감괘(坎卦), 이괘(離卦), 진괘(震卦), 태괘(泰卦)를 사시(四時)의 괘로 삼고, 이들 4괘의 24효(爻)를 나누어서 24절기(節氣)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복괘(復卦), 임괘(臨卦), 태괘(泰卦), 대장괘(大壯卦), 쾌괘(夬卦), 건괘(乾卦), 구괘(姤卦), 돈괘(遯卦), 비괘(否卦), 관괘(觀卦), 박괘(剝卦), 곤괘(坤卦)를 12간지(干支)에 배치시켜 열두 달의 괘로 삼으며, 이들 12괘의 72효를 72후(候)에 나누어 배치시킨다. 그 나머지 48괘는 열두 달에 나누어 배치시켜 매 달마다 5개의 괘가 속하게 한다. 이들 5괘의 30효를 한 달의 날짜 수에 배치시킨다. 이러한 설은 한(漢)나라 때 맹희(孟喜)와 경방(京房) 등에게서 나왔다.
[주D-002]이효에서 …… 상이다 : 이 부분은 모두 송괘(訟卦)를 가지고 설명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괘(頤卦 )  (0) 2010.08.29
대축괘(大畜卦 )  (0) 2010.08.29
복괘(復卦 )  (0) 2010.08.29
박괘(剝卦 )  (0) 2010.08.29
비괘(賁卦 )  (0) 2010.08.29

그 도를 반복하여 칠일 만에 와서 회복한다.[反復其道 七日 來復]

○ ‘칠일(七日)’의 뜻에 대해서는 임괘(臨卦)의 ‘팔월(八月)’에 대한 운봉 호씨의 설에 상세하게 나온다.
○ 전(傳)에서 말한 ‘소장지도(消長之道)’에서 도(道)는 길[路]과 같은 뜻이다. 진(震)이 대도(大塗)가 되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동하여 순함으로 행하기 때문에 나가고 들어옴에 병이 없으며 벗이 와서 허물이 없는 것이다.[動而順行 是以出入无疾 朋來无咎]

○ 밖으로부터 오는 것을 입(入)이라 하니, 곤괘로부터 초효의 한 양이 회복되는 것이 마치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것과 같다. 안으로부터 나가는 것을 출(出)이라 하니, 초효의 한 양이 바야흐로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것이다. 동하여 순함으로 행하므로 병이 없는 것이다. ‘붕(朋)’은 여러 양을 가리키는데, 역시 동하여 순함으로 행하기 때문에 허물이 없는 것이다.

그 도를 반복하여 칠일 만에 와서 회복함은 하늘의 운행이다.[反復其道七日來復 天行也]

○ 양이 가면 음이 오고, 음이 가면 양이 온다. 그러므로 반복하는 것이 된다. ‘도(道)’는 본의(本義)에 도로(道路)라고 할 때의 도(道)로 되어 있다. 내괘(內卦)가 진(震)이며 전체가 진의 모양으로, 진은 대도(大塗)가 된다. ‘천행(天行)’은 구괘(姤卦)로부터 하늘의 운행을 회복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우레가 땅속에 있음이 복(復)이니, 선왕(先王)이 보고서 동짓날에 관문을 닫아 장사꾼과 여행자가 다니지 못하게 하며, 임금은 사방을 시찰하지 않는다.” 하였다.[象曰 雷在地中 復 先王以 至日 閉關 商旅不行 后不省方]

○ 주(註)에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우레가 땅속에 있는 것은 정한 가운데에 동함이 숨어 있는 상이다. 관문을 닫고 장사꾼들이 쉬며 지방을 시찰하지 않는 것은 모두 정한 가운데 동함이 숨어 있는 뜻이다.
○ 본의(本義)에 ‘월령(月令)’ 운운하였다. 이달에는 해가 길어지는 날이 있어서 음과 양이 다툰다. 이에 군자는 재계(齋戒)한 다음 처함에 있어서 반드시 몸을 가리고, 성색(聲色)을 가까이하지 않으며 기욕(嗜欲)을 금하여 음과 양이 정해지기를 기다린다. -주(註)에 “재계하여 그 마음을 안정시키고, 엄폐하여 그 몸을 방비한다.” 하였다.

초구는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오는지라 뉘우침에 이름이 없다.[初九 不遠復 无祗悔]

○ 내가 생각해 보건대, 괘(卦)에 있어서 기(氣)의 운행은 대개 30분(分)을 쌓아야만 한 획이 소멸되며, 또한 30분을 쌓아야만 한 획이 이루어진다. 박괘는 9월의 괘이다. 하루에 1분씩 깎여서 30일에 이른 다음에야 다 깎이며, 30분을 얻어서 한 양이 소멸되어 곤괘(坤卦)가 이루어진다. 곤괘는 10월의 괘이다. 하루에 1분씩 자라나서 30일에 이른 다음에야 능히 자라나며, 30분을 얻어서 한 양을 얻어 복괘(復卦)가 된다. 소멸되고 자라나는 즈음에는 조금의 쉼도 용납하지 않으며, 초효는 또 복괘의 맨 앞에 있다. 그러므로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오는 ‘불원복(不遠復)’의 상이 있는 것이다. 초구는 천지(天地)의 마음이고 성선(性善)의 단서로, 깎이면 즉시 회복되고 허물이 있으면 즉시 고친다. 그러니 무슨 후회할 일이 있겠는가. -지(祗)는 다(多)와 예(禮)의 반절(半切)이다.

육이는 아름다운 돌아옴이니 길하다.[六二 休復 吉]

○ 살펴보건대, 《서경(書經)》 홍범(洪範)의 휴징(休徵)과 구징(咎徵)을 보면, 음양이 조화로우면 휴징이고, 음양이 어그러지면 구징이다. 여기에서의 휴(休) 자와 뜻이 같으니, 음이 양을 따르는 것이 휴이다.

상육은 돌아옴에 혼미하므로 흉하니, 재앙과 허물이 있어서 군대를 동원하는 데에 쓰면 끝내 대패(大敗)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쓰면 군주가 흉하여 십 년에 이르도록 능히 가지 못한다.[上六 迷復 凶 有災眚 用行師 終有大敗 以其國 君 凶 至于十年 不克征]

○ ‘생(眚)’은 자신의 허물이니 혼미해서 불러온 바이고, ‘재(災)’는 하늘이 내리는 화(禍)이니 허물이 있어서 불러온 바이다. 모두 돌아옴에 혼미하므로 이런 상이 있는 것이다. ‘국(國)’과 ‘군(君)’은 육효와 오효를 가리킨다. ‘불극정(不克征)’은 유(柔)가 끝나는 상이다.
○ 괘의 끝에 있어서 가려고 해도 갈 곳이 없으므로 행하면 허물이 있다고 경계한 것이며, 손체(巽體)에 있으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복괘는 전체의 모양이 진(震)과 비슷하며, 진의 복체(伏體)는 손(巽)인데, 손은 안(眼)이 된다. 그러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생(眚)’은 눈병이다.” 하였다. 상효가 하늘의 자리에 있으므로 ‘재(災)’라고 한 것이다. ‘행(行)’은 양(陽)이 동하는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돌아옴에 혼미한 것이 흉함이 되는 것은 임금의 도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하였다.[象曰 迷復之凶 反君道也]

○ ‘군(君)’은 육오를 가리킨다. 육오는 돌아옴에 도타울 수가 있으며, 상육은 그와 반대로 한다. 그러므로 ‘반군도(反君道)’라고 한 것이다. -쌍호 호씨는 오효를 가리켜서 임금이 된다고 하였고, 운봉 호씨는 초효를 가리켜서 임금이 된다고 하였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임괘(臨卦)의 …… 설 : 임괘의 “팔월에 이르러서는 흉함이 있다.[至于八月 有凶]”에 대한 주에, “본의(本義)에서 임(臨) 자를 해석한 것은 제가(諸家)들이 미처 밝혀내지 못했던 바이다. 대개 ‘근(近)’이라 새기고 ‘대(大)’라고 새긴 것은 바로 위에서 아래에 임함만을 본 것이지, 아래의 강(剛)이 유(柔)에 임하는 뜻은 보지 못한 것이다. 본의에서는 ‘깊은 못에 임한다.[臨深淵]’고 할 때의 임(臨) 자와 같은 데에 의거하여, 나아가서 못에 가까이 다가간다고 하였다. 이것은 임(臨)이란 것이 강(剛)이 나아가서 유(柔)에 가까이 다가간 것임을 이른 것이다. 대개 그것을 일러 복(復)이라고 한 것은 칠일 만에 와서 회복한 것으로, 음이 극에 달하여 양이 처음으로 온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일러 임(臨)이라고 한 것은 벗이 와야 허물이 없는 것으로, 두 양이 모두 와서 음에 가까이 다가간 것이다. 그러므로 복(復)은 형통하고 임(臨)은 크게 형통한 것이다. 복괘에서 ‘이정(利貞)’을 말하지 않은 것은 복괘는 바로 첫 양이 싹트는 것이어서 선하지 않음이 없어서이다. 임괘의 경우에는 두 양이 조금씩 성해져서 방자한 데에 이르기가 쉬우므로 경계시킨 것이다.” 하였다.
[주D-002]건안 구씨(建安丘氏)가 운운하였다 : 건안 구씨가 이르기를, “땅은 정(靜)하고 우레는 동(動)하는 것이다. 우레가 땅속에 있는 것은 정한 가운데에서 동함을 기르는 것이다. 관문은 열어 두어야 마땅한 것인데 닫아 두었고, 장사꾼은 길을 나다녀야 하는 것인데 길을 가지 않으며, 옛날에 해마다 십이월 초하루가 되면 순수(巡守)를 하는데도 임금이 이날에는 지방을 시찰하지 않는다. 이는 모두가 우레가 땅속에 있는 뜻을 본받아서 미약한 양(陽)을 기르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3]서경(書經) …… 구징이다 : 《서경》 홍범(洪範)에 “휴징은, 엄숙하매 제때에 비가 내리며, 조리가 있으매 제때에 날이 개며, 지혜로우매 제때에 날이 따뜻하며, 헤아리매 재때에 날이 추우며, 성스러우매 제때에 바람이 부는 것이다. 구징은, 미친 짓을 하매 항상 비가 내리며, 참람한 짓을 하매 항상 볕이 나며, 게으르매 항상 날씨가 더우며, 급박하매 항상 날씨가 추우며, 몽매하매 항상 바람이 부는 것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축괘(大畜卦 )  (0) 2010.08.29
무망괘(无妄卦 )  (0) 2010.08.29
박괘(剝卦 )  (0) 2010.08.29
비괘(賁卦 )  (0) 2010.08.29
서합괘(噬嗑卦 )  (0) 2010.08.29

박(剝)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剝 不利有攸往]

○ 내가 생각해 보건대, ‘왕(往)’은 음(陰)이 가는 것을 가리킨다. 박괘(剝卦)에서 이롭지 않다고 말한 것은 경계시킨 것이고, 복괘(復卦)에서 이롭다고 한 것은 기뻐한 것이다. 이는 양(陽)을 돕고 음(陰)을 억제하는 뜻이다.

상에 이르기를, “산이 땅에 붙어 있는 것이 박(剝)이니, 윗사람이 보고서” 하였다.[象曰 山附於地 剝 上以]

○ 운봉 호씨가 말하기를, “군자(君子)라고 하지 않고 ‘상(上)’이라고 한 것은, 상(上)은 한 양(陽)을 가리킨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대상(大象)에서 범범히 선왕(先王)이라 하고 천자(天子)라 하고 군자(君子)라 한 것은 모두 역(易)을 사용하는 사람을 범범히 가리킨 것이며, 괘(卦) 가운데에는 그 상(象)이 없다. 그러니 이곳에서만 유독 괘 가운데의 양을 가리켰다고 하는 것은 본의(本意)가 아닌 듯하다. 내 생각으로는, 선왕이라고 말하면 고금(古今)의 분변에 구애되고, 군자라고 말하면 상하(上下)의 구별에 혼동된다. 그러므로 이곳에서만 ‘상(上)’이라고 칭한 것이다. 상이란 윗자리에 있는 사람을 범범히 가리킨 것이다. 위로는 천자, 가운데로는 제후(諸侯), 아래로는 경대부(卿大夫)로, 무릇 백성들에게 임하고 일에 임하는 자가 모두 ‘상(上)’인 것이다.

초육은 상(牀)을 깎되 상의 발을 깎음이니, 정도(貞道)를 멸하여 흉하다.[初六 剝牀以足 蔑貞 凶]

○ ‘정(貞)’은 양효(陽爻)를 가리키는데, 괘는 본디 건(乾)이다. 초효가 비로소 양(陽)을 깎으므로 ‘멸정(蔑貞)’이라 하였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초효가 정도(貞道)를 멸함은 구(姤)의 때이다.” 하였다.

육삼은 박의 때에 허물이 없다.[六三 剝之无咎]

○ 깎을 때에는 양(陽)에 응한다. 그러므로 허물이 없는 것이다. 이는 양을 돕는 뜻이다.

육오는 물고기를 꿰듯이 하여 궁인(宮人)이 총애를 받듯이 하면[六五 貫魚 以宮人寵]

○ ‘총(寵)’은 양(陽)이 음(陰)을 좋아하는 상이다.
○ 내가 생각해 보건대, 박(剝)은 양이 소멸되는 괘이다. 그런데 아직은 다행히도 한 양이 위에 있으므로 아래에 있는 다섯 효가 모두 이를 인하여 뜻을 취하였다. 전체로써 말하면, 위는 실(實)하고 아래는 허(虛)하니, 침상인 ‘상(牀)’의 상이 있는 것이다. 두 체(體)로써 말하면, 하체(下體)는 침상이고 상체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초효는 침상의 다리이고 이효는 침상의 몸체이다. 삼효는 몸과 침상이 닿은 즈음인데, 깎이는 것을 말하지 않은 것은 위태롭게 여긴 것이다. 사효는 살갗이다. 오효는 심복(心腹)인데, 깎임이 심복에 이르면 몸이 장차 없어진다. 성인(聖人)이 그것을 걱정하였으므로 별도로 양에게 제압을 받는 뜻을 취하였다. 이것은 양을 돕고 음을 억제하는 뜻이다.

상구는 큰 과일이 먹히지 않음이다.[上九 碩果不食]

○ ‘석과불식(碩果不食)’은 턱[頤]과 입[口]의 아래가 없으므로 먹히지 않는 상이 있는 것이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복괘(復卦)에서 …… 것 : 복괘에 “그 도를 반복하여 칠일 만에 와서 회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다.[反復其道 七日 來復 利有攸往]”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망괘(无妄卦 )  (0) 2010.08.29
복괘(復卦 )  (0) 2010.08.29
비괘(賁卦 )  (0) 2010.08.29
서합괘(噬嗑卦 )  (0) 2010.08.29
관괘(觀卦 )  (0) 2010.08.29

유(柔)가 와서 강(剛)을 문채롭게 꾸미기 때문에 형통하고, 강(剛)을 나누어서 올라가 유(柔)를 문채롭게 꾸미기 때문에 가는 바를 둠이 조금 이롭다.[柔來而文剛 故亨 分剛 上而文柔 故 小利有攸往]

○ 강(剛)하면서도 밝으므로 형통하고, 유(柔)하면서도 그치므로 가는 바에 조금 이로운 것이다.

천문을 관찰하여 사시의 변화를 살피며, 인문을 관찰하여 천하를 화성(化成)한다.[觀乎天文 以察時變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 ‘시변(時變)’은 역시 유(柔)가 오고 강(剛)이 가는 상이다. ‘화성(化成)’ 역시 강이 유로 변하고 유가 강으로 변하는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산 아래에 불이 있는 것이 비(賁)이니, 군자가 보고서 여러 정사를 밝히되, 옥사를 결단함에 과감히 하지 않는다.” 하였다.[象曰 山下有火 賁 君子以 明庶政 无敢折獄]

○ 내가 생각해 보건대, 정사를 밝힘은 사물을 분변하는 데 있고, 옥사(獄事)를 결단함에 있어서는 실정(實情)을 알아내는 것이 귀중하다. 불이 산에 대해서는 품류(品類)를 분변할 수 있고 깊고 두텁기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품류를 분변할 수 있으므로 그것을 써서 서정(庶政)을 밝히고, 깊고 두텁기를 헤아릴 수 없으므로 그것을 써서 옥사를 결단함에 과감히 하지 않는 것이다.

초구는 발을 꾸밈이니, 수레를 버리고 도보로 걷는다.[初九 賁其趾 舍車而徒]

○ 감(坎)은 윤(輪) 상이다. 타는 자가 아래에 있고, 탈 것이 위에 있다. 초효는 감체(坎體)의 아래에 있으니, 수레를 버리고 걸어서 가는 ‘사거도(舍車徒)’의 상이 있는 것이다.

육사는 꾸밈이 희며 백마가 나는 듯이 달려간다.[六四 賁如皤如 白馬翰如]

○ ‘한(翰)’은 이(離)의 상이며, 또 발이 빠른 작족(作足)의 상이다. ‘백마(白馬)’는 진(震)의 이마가 흰[的顙] 상이며, 진(震)의 복체(伏體)가 손(巽)이므로 백(白)이 된다. 손(巽)은 혹 머리털이 적은 선발(宣髮)이 되는바, 머리털이 빠지는 것이다.
○ ‘백마(白馬)’에 대해 전(傳)에서는, 초효를 가리키므로 타고 있는 바가 아래에서 움직인다고 하였다.

육오는 구원(丘園)에서 꾸밈이다.[六五 賁于丘園]

○ ‘구(丘)’는 간(艮) 상이다. ‘원(園)’은 삼효부터 오효까지의 호체(互體)가 진(震)이고, 사효부터 상효까지의 반체(反體)가 진(震)인데, 진은 번(藩)이 되며, 사효와 오효가 가운데가 비었으니 원(園)의 상이 있는 것이다.

상구는 꾸밈을 희게 하면[上九 白賁]

○ 상효는 본디 유(柔)이며, 백색은 유(柔)의 색이다. 강(剛)이 올라가서 문채롭게 하므로 꾸밈을 이루는 것이다. 꾸밈이 극에 달하면 변하게 되니, 강(剛)이 변하면 유(柔)가 되어 본질(本質)을 회복한다. 그러므로 ‘백비(白賁)’라 한 것이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괘(復卦 )  (0) 2010.08.29
박괘(剝卦 )  (0) 2010.08.29
서합괘(噬嗑卦 )  (0) 2010.08.29
관괘(觀卦 )  (0) 2010.08.29
임괘(臨卦 )  (0) 2010.08.29

초구는 발에 차꼬를 채워 발꿈치를 상하게 한다.[初九 屨校 滅趾]

○ ‘지(趾)’는 진(震)의 상을 취한 것이다. 초구가 변하면 진체(震體)를 잃어버리니 상하게 하는 멸(滅)의 상이 있다.


육이는 살을 깨물되 코가 없어지게 함이다.[六二 噬膚 滅鼻]

정강중(鄭剛中)이 말하기를, “‘부(膚)’는 육이의 음유(陰柔) 상이다.” 하였고, 운봉 호씨(雲峯胡氏)는 말하기를, “육이는 유(柔)로서 유(柔)의 자리에 있다. 그러므로 깨묾에 있어서 살을 깨무는 것이 쉬움을 형상하였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이효부터 상효까지는 전체의 모양이 간(艮)과 비슷한데, 간은 신부(身膚)가 되니 신(身)을 인하여 상을 취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부(膚)라는 것은 돼지 배의 부드러운 살이다. 초효부터 사효까지의 모양이 이체(離體)와 비슷한데, 이(離)는 복(腹)이 된다. 삼효부터 오효까지는 호체(互體)가 감(坎)인데, 감은 시(豕)가 된다. 그러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이효가 이체(離體)와 비슷한데, 이(離)의 복체(伏體)가 감(坎)으로 감은 시(豕)가 된다. 초효는 이효의 아래에 있다. 그러므로 상을 취한 것이다. 이효가 변하면 간체(艮體)를 잃어버리므로 멸(滅)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구사는 뼈가 섞인 말린 포를 씹어 금과 화살을 얻는다.[九四 噬乾胏 得金矢]

○ 혹자가 말하기를, “세 개의 양이 건(乾)으로 금(金)이 되고, 두 개의 음이 곤(坤)으로 황(黃)이 된다.” 하였다. ‘시(矢)’는 감(坎)의 목(木) 상이며, 감(坎)의 복체(伏體)가 태(兌)로 금(金)이 번쩍이는 상이다.


상에 이르기를, “어렵게 여기고 정고(貞固)함이 이로우니 길하다는 것은 광대(光大)하지 못한 것이다.” 하였다.[象曰 利艱貞吉 未光也]

○ ‘광(光)’은 간(艮)의 상이다. ‘미광(未光)’은 오효가 그것을 가린 것이다.


상구는 목에 차꼬를 쓰고 있어서 귀가 파묻혀 없어졌다.[上九 何校 滅耳]

○ ‘이(耳)’는 감(坎)의 하(下) 상을 취한 것이다. -쌍호 호씨(雙湖胡氏)의 설이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이(離)의 복체(伏體)는 감(坎)으로, 감은 귀인 이(耳)가 된다. 상효가 변하면 감체(坎體)를 잃어버리므로 ‘멸(滅)’이라 한 것이다.

운봉 호씨(雲峯胡氏)의 설이 좋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정강중(鄭剛中) : 송나라의 학자로, 금화(金華) 사람이며, 자가 형중(亨仲)이고 호가 북산(北山)이다. 저서로는 《주역규여(周易窺餘)》, 《북산집(北山集)》이 있다.
[주D-002]운봉 호씨(雲峯胡氏)의 설 : 운봉 호씨가 이르기를, “본의(本義)를 보면, 초효에 대해서는 허물이 작다고 하였고, 상효에 대해서는 악(惡)이 극에 달하였다고 하였다. 대개 허물이 있는데도 고치지 아니하면 반드시 악을 짓는 데로 흐르게 된다. 초효는 능히 허물을 고쳐서 악이 싹틀 적에 그쳤으므로 허물이 없다고 한 것이다. 상효의 경우는 끝까지 악을 행하였으므로 곧장 흉하다고 한 것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괘(剝卦 )  (0) 2010.08.29
비괘(賁卦 )  (0) 2010.08.29
관괘(觀卦 )  (0) 2010.08.29
임괘(臨卦 )  (0) 2010.08.29
고괘(蠱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