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觀)은 손만 씻고 제수를 올리지 않았을 때처럼 하면 백성들이 정성을 다하여 우러러 존경한다.[觀 盥而不薦 有孚 顒若]

○ ‘천(薦)’은 날고기와 익은 고기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곤(坤)은 우(牛)가 된다. 이(而)는 지(止)인 간(艮)이 멈추어서 올리지 않는 상이다. ‘부(孚)’는 네 음효(陰爻)의 음허(陰虛) 상을 취하였다. ‘옹(顒)’은 우러러보는 것으로, 두 양이 위에 있고 네 음이 그를 향하고 있는바, 우러러보는 옹(顒)의 상이 있는 것이다.

○ 관괘의 전체에는 종묘(宗廟)의 상이 있다. 정강성(鄭康成)이 이르기를, “간(艮)은 문궐(門闕)이 되고, 손목(巽木)은 궁궐(宮闕)의 상이다.” 하였다. 또 간(艮)은 수(手)가 되고, 손(巽)에는 깨끗하게 한다는 뜻이 있다. 손(巽)은 동남쪽으로, 바로 손을 씻는 자리이다. 수(手)인 간(艮)이 안에서 그것을 향하여 깨끗하게 하니, 손을 씻는 관(盥)의 상이 있는 것이다.


단에 이르기를, “큰 볼 것으로 위에 있어 순하고 공손하며, 중정함으로 천하에 보여 준다.” 하였다.[彖曰 大觀 在上 順而巽 中正 以觀天下]

○ 중정(中正)한 도는 쉽사리 남을 복종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강강(剛強)한 자에 이르러서는 깊고 통렬하게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의(義)에 있어서 해롭지 않은 것이다.


하늘의 신도(神道)를 보매 사시(四時)가 틀리지 않다. 성인이 신도로 가르침을 베푸니 천하가 복종한다.[觀天之神道而四時不忒 聖人 以神道設敎而天下服矣]

○ ‘천지신도(天之神道)’는 두 양이 하늘의 자리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사시(四時)’는 여섯 효의 자리에 사시의 상이 갖추어져 있는바, 음과 양이 여섯 효의 자리에서 유행(流行)하여 세공(歲功)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성인(聖人)’은 오효를 가리킨다. 이는 단지 관(觀)의 도(道)만을 말한 것이지만, 상(象) 역시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


상에 이르기를, “바람이 땅 위에서 행함이 관(觀)이니, 선왕(先王)이 보고서 지방을 살피고 백성을 관찰하여 가르침을 베푼다.” 하였다.[象曰 風行地上 觀 先王以 省方觀民 設敎]

○ 내가 생각해 보건대, ‘방(方)’이라 하고 ‘민(民)’이라 한 것은 지(地)인 곤(坤)이 실은 바를 형상한 것이고, ‘성(省)’이라 하고 ‘관(觀)’이라 한 것은 풍(風)인 손(巽)이 이른 바를 형상한 것이다. ‘설교(設敎)’는 바람이 위에서 행해지매 사물이 아래에서 느끼는 상을 취한 것이다.


육삼은 내가 행하는 것을 보아서 나아가고 물러간다.[六三 觀我生 進退]

○ ‘아(我)’는 본효(本爻)인 삼효를 가리킨다. ‘생(生)’은 자신에게서 나온 것을 가리키니, 언동(言動)이나 사위(事爲)가 그것이다. ‘관아생(觀我生)’은 간체(艮體)의 독실(篤實) 상으로, 육삼의 호체(互體)가 간(艮)이며 전체의 모양 역시 간(艮)과 비슷하다. ‘진퇴(進退)’는 삼효가 위와 아래의 사이에 있어 나아가고 물러나는 진퇴(進退)의 상이 있는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내가 행하는 것을 보아서 나아가고 물러간다.’는 것은 간(艮)의 상이다. 때에 맞게 행하고 때에 맞게 그쳐 동정(動靜)에 있어서 제때를 놓치지 않는 것이 그것이다.” 하였다.


구오는 내가 행하는 것을 보니 군자다우면[九五 觀我生 君子]

○ ‘생(生)’은 자신에게서 나온 것을 가리키니, 풍속(風俗)의 좋고 나쁨과 신민(臣民)의 따르고 거역함이 그것이다. ‘관아생(觀我生)’은 역시 간(艮)의 상이다. ‘군자(君子)’는 본효(本爻)인 오효를 가리킨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오효와 상효의 행함은 강양(剛陽)하고, 오효는 또 중정(中正)하다. 그러므로 모두 군자를 칭하였다. 삼효는 음(陰)으로서 음의 자리에 있으니 행하는 바가 음유(陰柔)하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정강성(鄭康成) : 후한(後漢) 때의 학자인 정현(鄭玄)을 가리킨다. 정현은 자가 강성(康成)이고, 고밀(高密) 출신이며, 마융(馬融)의 제자이다. 《모시전(毛詩箋)》, 《삼례주(三禮註)》, 《주역주(周易註)》 등을 저술하여, 한대(漢代) 경학(經學)의 집성자로 불린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괘(賁卦 )  (0) 2010.08.29
서합괘(噬嗑卦 )  (0) 2010.08.29
임괘(臨卦 )  (0) 2010.08.29
고괘(蠱卦 )  (0) 2010.08.29
수괘(隨卦 )  (0) 2010.08.29

상에 이르기를, “감동하여 임함이니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란 것은 명령을 순히 하려고 한 것이 아니다.” 하였다.[象曰 咸臨吉无不利 未順命也]

○ 전(傳)에 “미는 완전히 그러한 것은 아니란 말이다.[未者 非遽之辭]” 하였는데, ‘비거(非遽)’는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라는 것으로, 미(未) 자의 뜻을 곧이곧대로 해석한 것은 아니다. 미(未) 자는 불(不) 자와는 뜻이 같지 않으므로, 말을 놓는 사이에 그러한 뜻을 둔 것이다.

육삼은 감으로 임하여 이로운 바가 없으나, 이미 근심하므로 허물이 없다.[六三 甘臨 无攸利 旣憂之 无咎]

○ ‘감(甘)’은, 태(兌)가 미(味)가 되고, 삼효부터 오효까지의 호체(互體)가 곤토(坤土)인데, 오미(五味) 중에 감(甘)이 토에 속한다. 그러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우(憂)’는 태(兌)의 금(金) 상이다. 《소문(素問)》에 “금을 뜻에 두는 것이 근심이 된다.[金在志爲憂]”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무릇 일에 있어서 근심을 하여 고치면 기쁠 수 있다.” 하였다. ‘기(旣)’는 이미 지나갔다는 말이다. 태(兌)가 열(說)이 되는바, 이미 근심한 ‘기우(旣憂)’의 상이 있는 것이다.
○ ‘감(甘)’은 태(兌)의 열(說) 상을 취한 것이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소문(素問) : 중국의 의서(醫書) 가운데 가장 오래된 책으로, 《황제내경(黃帝內經)》 가운데 하나이다. 황제와 기백(岐伯)이 문답한 말을 기록한 책이라고 하며, 모두 2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합괘(噬嗑卦 )  (0) 2010.08.29
관괘(觀卦 )  (0) 2010.08.29
고괘(蠱卦 )  (0) 2010.08.29
수괘(隨卦 )  (0) 2010.08.29
예괘(豫卦 )  (0) 2010.08.29

고는 크게 선하고 형통하니, 대천을 건넘이 이롭다.[蠱 元亨 利涉大川]

융산 이씨(隆山李氏)가 말하기를, “고괘(蠱卦), 승괘(升卦), 정괘(鼎卦), 대유괘(大有卦)에 모두 ‘원형(元亨)’이라고 하였는데, 양효(陽爻)인 구가 이효의 자리에 있고 음효인 육이 오효의 자리에 있으므로 모두 원형이라고 한 것이다. 손괘(損卦)에는 ‘원길(元吉)’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강(剛)인 양의 획이 상효에 응하고 있음을 위주로 하여 말한 것이다.” 하였다.

○ ‘이섭(利涉)’은, 하괘(下卦)가 손목(巽木)이고, 삼효부터 오효까지가 진목(震木)이며, 또 삼효부터 상효까지가 이체(頤體)로 가운데가 빈 배의 상이 있음을 취한 것이다. ‘대천(大川)’은, 이효부터 사효까지가 태택(兌澤)이고, 또 초효부터 사효까지가 감체(坎體)이며, 삼효부터 상효까지가 이체(離體)로 그 복체(伏體)가 감체인바, 모두 대천(大川)의 상이 있음을 취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이 고(蠱)이니, 군자가 보고서 백성을 진작시키며 덕을 기른다.” 하였다.[象曰 山下有風 蠱 君子以 振民 育德]

○ 내가 생각건대, 산(山)은 본디 고요한데 바람이 그것을 어지럽히고, 성품은 본디 선한데 욕심이 그것을 어지럽힌다. 그러므로 군자가 이 상(象)을 보고서 자신에게 그런 것이 있으면 배양하고, 남에게 그런 것이 있으면 새롭게 진작시켜 준다. 혹자가 말하기를, “가르쳐서 교화시키는 것[漸摩]은 손(巽)의 입(入) 상이고, 머물러서 고요한 것[定靜]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하였다.

○ 바람이 산을 만나서 돌면 물건이 다 흩어져서 어지럽게 되어 일이 생기게 된다. 흩어져서 어지럽게 되어 일이 생기는 상을 보고는, 백성에 대해서는 덕을 진작시켜서 어지러움을 구제하고, 자신에 대해서는 덕을 길러서 잘못됨이 없게 한다. 먼저 백성을 말한 것은 어긋나고 어지러운 것을 다스리는 것으로써 말한 것이다. 덕을 기르는 것은 백성을 진작시키는 근본이다.

○ 본의(本義)의 주(註)에 융산 이씨가 운운하였다. ‘바람이 산을 떨군다[風落山]’는 것은 ‘바람이 산을 만나면 물건이 어지러워진다’는 말을 증명하고, 이를 인하여 아래의 한 구절을 해석한 것이지, 윗글의 뜻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초육은 아버지의 일을 주관함이니, 훌륭한 아들이 있으면 아버지가 허물이 없을 것이며, 위태롭게 여겨야 끝내 길하다.[初六 幹父之蠱 有子 考无咎 厲 終吉]

○ 초효부터 사효까지가 감체(坎體)와 비슷하고, 삼효부터 오효까지가 진체(震體)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손(巽)의 복체(伏體)가 진(震)이고, 삼효가 변하면 간(艮)인데, 모두 자(子)의 상이 있다.” 하였다, ‘고(考)’는 건체(乾體)를 가리키고, ‘여(厲)’는 음(陰)의 유(柔) 상이다. ‘종(終)’은 시(始)의 대(對)가 되는 말로, 《서경》에서 말한 ‘처음에서 끝을 삼간다[愼終于始]’와 같은 말이다.


구이는 어머니의 일을 주관함이니, 곧고 굳세게만 해서는 안 된다.[九二 幹母之蠱 不可貞]

○ ‘정(貞)’은 곧고 굳세다는 뜻인 정견(貞堅)으로, 구이가 강(剛)한 양이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육사는 아버지의 일을 너그럽게 처리함이니, 계속하여 가면 부끄러움을 당할 것이다.[六四 裕父之蠱 往 見吝]

○ 육사는 유(柔)로서 유의 자리에 있으므로 ‘유(裕)’의 상인 것이다. ‘견(見)’은 체(體)가 이(離)와 흡사한 상이다.


상구는 왕후를 섬기지 않고 그 일을 고상히 한다.[上九 不事王侯 高尙其事]

○ ‘왕(王)’은 오효를 가리키고, ‘후(侯)’는 사효를 가리킨다. 상효는 자리[位]가 없으므로 ‘불사(不事)’라고 한 것이며, 상효의 위치에 있으므로 ‘고상기사(高尙其事)’라고 한 것인데, 역시 간(艮)의 상이다.

○ 건안 구씨(建安丘氏)가 말하기를, “상효가 아버지가 되므로 본효(本爻)에서는 아버지를 칭하지 않고서 다른 효에서 아버지를 말하였으며, 오효가 어머니가 되므로 본효에서는 어머니를 말하지 않고서 다른 효에서 어머니를 말하였다. 집안의 일로써 말한다면, 상효가 아버지가 되고 오효가 어머니가 되며 다른 효들이 자식이 된다. 나라의 일로써 말한다면, 오효가 임금이 되고 아래의 네 효가 일을 하는 신하가 되며 상효 한 효는 섬김이 없는 신하가 된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고괘(蠱卦)는 태괘(泰卦)로부터 변한 것이니, 하체(下體)는 본디 건(乾)으로 아버지의 도(道)이고, 상체(上體)는 본디 곤(坤)으로 어머니의 도이다. 그러므로 여러 효들이 모두 자식이 되는 상을 취한 것이다. 이효는 오효에 응하여 어머니를 칭해 상체가 어머니가 됨을 밝혔고, 오효는 이효에 응하여 아버지를 칭해 하체가 아버지가 됨을 밝혔다. 초효는 건체(乾體)의 하효를 이어받았고 삼효는 건체의 끝에 있으며 사효는 건체의 뒤를 이었는데, 모두 아버지를 칭하고 건체(乾體)를 인하여 상을 취하였다. 상효는 안에서 응함이 없고 또 섬기는 밖에 있으므로 그 뜻을 취한 것이 각별하다.

혹자가 말하기를, “하늘이 높고 땅이 낮은 것은 바꿀 수 없는 정해진 이치이다. 지금 내괘(內卦)를 아버지로 삼고 외괘(外卦)를 어머니로 삼았으니, 존비(尊卑)의 나뉨과 내외(內外)의 구별에 있어서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하였다. 이에 내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하늘과 땅으로써 말한다면,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아래에 있는 것이 정해진 체(體)이니, 아래에서 위로 사귀고 위에서 아래로 사귀는 것은 그 쓰임을 다하는 것이다. 임금과 신하로써 말한다면, 임금이 위에 있고 신하가 아래에 있는 것이 정해진 위치이니, 아래에 있으면서 명을 듣고 위에 있으면서 말을 따라 주는 것은 정(情)으로 사귀는 것이다. 집안으로써 말한다면, 아버지가 존귀하여서 위에 있는 것이 하늘의 경(經)이고, 어머니가 낮아서 아래에 있는 것은 땅의 의(義)이니, 의로써 아래로 접하는 것은 하늘이 땅과 사귀는 것이고, 순(順)으로써 위에 화합하는 것은 땅이 하늘과 사귀는 것이다.
만약 위에 있으면서 굳세기만 하고 아래에 있으면서 부드럽기만 하여 서로 접하는 정(情)이 없다면, 내 생각에는 집안의 도가 막히지나 않을까 염려된다. 더구나 고괘(蠱卦)는 태(泰)가 변하여 고(蠱)가 되었으니, 다스림이 극해진 뒤에 어지러움이 생겨난 것이다. 그리고 괘 안에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이 없다. 여러 효(爻)에 대해서 아버지라 칭하고 어머니라 칭한 것은 모두가 자식을 가리켜서 말한 것이다. 그러니 이른바 아버지와 어머니란 것이 과연 어디에 있는가. 주자(朱子)가 ‘고(蠱)라는 것은 앞사람이 이미 괴란시킨 나머지이다. 여러 효에는 모두 아버지와 어머니의 상이 있다.’ 한 것은 아마도 이를 가리켜서 말한 것인 듯하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융산 이씨(隆山李氏) : 남송(南宋)의 학자인 이순신(李舜臣)을 가리킨다. 이순신은 자가 자사(子思)이며, 고금의 학문에 통달하였고 특히 역(易)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역본전(易本傳)》, 《군경의(群經義)》가 있다.
[주D-002]고괘(蠱卦) …… 것이다 : 고괘, 승괘(升卦), 정괘(鼎卦), 대유괘(大有卦)에는 모두 “크게 선하고 형통하다.[元亨]” 하였고, 손괘(損卦)에는 “손괘는 성실함을 두면 크게 선하여 길하다.[損 有孚 元吉]” 하였다.
[주D-003]융산 이씨가 운운하였다 : 융산 이씨가 말하기를, “산 아래에 바람이 있으면 바람이 산을 떨구는 것은, 산의 나무가 부러져서 괴란(壞亂)되는 상(象)을 이른 것이다. 괴란된 것을 바로잡는 자는 반드시 진작시켜 일으켜 세워야 하는 법이다. 백성을 진작시키는 것은 풍(風)인 손(巽)이 북을 쳐 호령하는 것과 같다. 덕을 기르는 것은 산(山)인 간(艮)이 재목감을 기르는 것과 같다. 역(易) 가운데에서는 덕을 기르는 것을 대부분 산(山)에서 취하고 있다. 그러므로 몽괘(蒙卦)에도 말하기를, ‘행실을 과단성 있게 하여 덕을 기른다.[果行育德]’ 하였다.” 하였다.
[주D-004]손(巽)의 …… 간(艮)인데 : 이 부분은 원문이 ‘巽之伏震 三變則艮’으로 되어 있는데, 손(巽)의 삼효가 변하면 감(坎)이 되고, 진(震)의 삼효가 변하면 이(離)가 되니, 간(艮)으로 되는 경우가 없다. 간(艮)이 되기 위해서는 손(巽)의 이효가 변해야 되니 ‘巽之伏震 二變則艮’으로 바로잡아야 할 듯하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괘(觀卦 )  (0) 2010.08.29
임괘(臨卦 )  (0) 2010.08.29
수괘(隨卦 )  (0) 2010.08.29
예괘(豫卦 )  (0) 2010.08.29
겸괘(謙卦 )  (0) 2010.08.29

크게 형통하고 정(貞)한바, 허물이 없어서 천하가 때를 따른다.[大亨 貞 无咎 而天下隨時]

○ 전(傳)에 나오는 ‘천한 사람에게 낮추는 것[下賤]’과 ‘기뻐할 수 있는 것[可悅]’이 바로 크게 형통하여 바름을 얻는 도이다. 그런 다음에야 천하가 그와 더부는 것이니, 괘사(卦辭)와는 조금 다르다.


상에 이르기를, “못 가운데에 우레가 있는 것이 수(隨)이니, 군자가 보고서 날이 어둠을 향하거든 방 안에 들어가 편안히 쉰다.” 하였다.[象曰 澤中有雷 隨 君子以 嚮晦入宴息]

○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진(震)이 아래에 있고 태(兌)가 위에 있는 것은 바로 우레가 땅속으로 들어가는 상이다. 우레는 때에 따라서 은밀히 숨어 있다. 그러므로 군자 역시 날이 어둠을 향하면 방 안에 들어가서 편안히 쉬는 것이다.” 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우레는 한 해를 주기로 동하고 쉬며 사람은 하루를 주기로 동하고 쉰다. 우레가 봄에 발동하고 가을에 쉬는 것은 사람이 낮에 움직이고 밤에 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군자가 그것을 본받아서 들어가 쉬는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향회입(嚮晦入)’은 손(巽)의 입(入) 상이고, ‘연식(宴息)’은 간(艮)의 지(止) 상이다.” 하였다.


초구는 주장하여 지킴이 변함이 있으니 정(貞)하면 길하다. 문을 나가 사귀면 공이 있다.[初九 官有渝 貞 吉 出門交 有功]

○ ‘문(門)’은 음(陰)의 우(偶) 상으로, 육이와 육삼을 가리킨다. 초구는 수(隨)의 때에 있어 구사와 서로 응(應)하는 곳에 있으니, 따르는 것이 마땅한 자이다. 다만 양이 음에게 구하면서 육이와 육삼과 은밀히 비(比)의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문을 나서서 구사와 교제하면 공이 있는 것이다. 구사는 임금의 자리에 가까이 있어 구오와 덕(德)을 함께하는 자이다. 초구가 양강(陽剛)의 재주로써 그를 따르니, 반드시 공이 있는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문(門)’은 구사의 호체(互體)인 간(艮)의 상이다, ‘공(功)’ 역시 간의 성(成) 상이다.” 하였다.

○ 본의(本義)에 나오는 ‘편주(偏主)’의 주(主)는 따르는 자를 가리키니, 주장하여 지키는 것과는 그 뜻이 같지 않다.


육이는 소자에 얽매이면[六二 係小子]

○ ‘계(係)’는 간(艮)의 지(止) 상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간의 수(手) 상이다.” 하였다.


육삼은 장부에 얽매이고 소자를 잃으니, 따름에 구함을 얻으나 정(貞)에 거함이 이롭다.[六三 係丈夫 失小子 有求得 利居貞]

○ 육삼이 구사를 따라서 음과 양이 서로 더부는 까닭에 구함을 얻는 ‘유구득(有求得)’의 상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육삼은 정(正)이 아니므로 정(貞)에 거하라고 경계한 것이다.


구사는 따름에 얻음이 있으면 바르더라도 흉하니, 정성이 있고 도에 있고 밝음을 쓰면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九四 隨 有獲 貞 凶 有孚 在道 以明 何咎]

○ 구사는 구오와 덕을 함께하니 따름에 얻음이 있는 ‘수유획(隨有獲)’의 상이 있는 것이다. ‘도(道)’는 길과 같으니, 간(艮)의 노(路) 상을 취한 것이다. ‘명(明)’은 초구에서 구사까지의 모양이 이체(離體)와 비슷하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상육은 붙잡아 묶어 놓고 따라서 동여매니, 왕이 서산(西山)에서 형통하게 하였다.[上六 拘係之 乃從維之 王用亨于西山]

○ ‘유(維)’는 손(巽)의 승(繩) 상이다. 상육이 구오를 따르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구계(拘係)’는 괘 전체에 간(艮)이 있으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또 태(兌)의 복체(伏體)가 간(艮)이다. ‘유(維)’는 상괘(上卦)가 손(巽)의 반체(反體)이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왕(王)’은 구오를 가리킨다. ‘형(亨)’은 기뻐하여 위로 올리는 상이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천한 …… 것 : 전(傳)에 “윗사람으로서 아랫사람에게 낮추고 귀한 사람으로서 천한 사람에게 낮추는 것이니, 이와 같이 하면 상대가 기뻐하여 따른다. 또 아래가 동하고 위가 기뻐함은 동하매 기뻐할 수 있는 것이니, 이 때문에 따르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2] : 원문에는 ‘雖’로 되어 있으나, 잘못된 것이기에 《주역》 권7에 의거하여 바로잡았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괘(臨卦 )  (0) 2010.08.29
고괘(蠱卦 )  (0) 2010.08.29
예괘(豫卦 )  (0) 2010.08.29
겸괘(謙卦 )  (0) 2010.08.29
대유괘(大有卦 )  (0) 2010.08.29

예는 후(侯)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함이 이롭다.[豫 利建侯行師]

○ ‘천지(天地)’는, 괘(卦)에는 삼재(三才)가 있는데, 제후를 세우고 군사를 출동하는 것은 인(人)에 해당된다. 여섯 효의 자리에 두루 유행(流行)하는 것은 사시(四時)의 상이다. ‘천지(天地)’는 괘에 삼재가 있음을 형상한 것이고, ‘일월(日月)’은 위(位)에 감리(坎離)가 있음을 형상한 것이다. ‘성인(聖人)’은 역시 삼재를 형상한 것이고, ‘형벌(刑罰)’은 역시 감리(坎離)를 형상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비록 순(順)함으로 동(動)하는 이치만을 말하였으나, 역시 상(象)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이것이 역(易)의 묘한 이치이다.

○ 진남(震男)이 곤지(坤地)의 위에 있으니, 제후를 세우는 ‘건후(建侯)’의 상이다. 곤(坤)의 많음으로써 진이 동하니, 군대를 출동하는 ‘행사(行師)’의 상인 것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초효부터 오효까지가 사괘(師卦)의 반체(反體)이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단에 이르기를, “예는 강(剛)이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순함으로 동함이 예이다.” 하였다.[彖曰 豫 剛應而志行 順以動 豫]

○ 한 양이 위에 있으면서 다섯 음이 그에 따른다. 자기를 좋아하는 자가 많으면 즐거울 수가 있다. 그러므로 즐겁다는 뜻인 ‘예(豫)’라고 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우레가 땅에서 나와 분발함이 예(豫)이니, 선왕이 이를 보고서 음악을 지어 덕(德)을 높임으로써 성대하게 상제께 올려 조고(祖考)로 배향하였다.” 하였다.[象曰 雷出地奮 豫 先王以 作樂崇德 殷薦之上帝 以配祖考]

○ 우레가 땅에서 나와 분발하면 그 소리가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상이 있다. 음악을 짓는 자는 우레의 소리를 본받는다. ‘덕을 높인다[崇德]’ 하고, ‘상제께 올린다[薦上帝]’ 하고, ‘조고로 배향한다[配祖考]’ 한 것은,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상을 취한 것이다. 또 한 양이 하괘(下卦) 위에 있으니, 덕을 높이는 ‘숭덕(崇德)’의 상이 있는 것이다. 진(震)이 소리가 있는 유성(有聲)이 되는데 하늘의 자리에 있다. 그러니 상제께 올리는 ‘천상제(薦上帝)’의 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한 양이 하늘의 자리 아래에 있으니, 조고로 배향하는 ‘배조고(配祖考)’의 상이 있는 것이다.


초육은 즐거움을 울림이다.[初六 鳴豫]

○ 초육이 변하면 턱과 입인 이구(頤口)와 흡사한 상이 된다.


육이는 돌 사이에 끼어 있다.[六二 介于石]

○ 둘 사이를 개(介)라고 하는바, 개(介)는 한계를 나눈다는 뜻이다. 육이가 초육과 육삼의 사이에 끼어 있다. 초육은 즐거움을 울림[鳴豫]이고, 육삼은 즐거움을 올려 봄[盱豫]인데, 육이만은 홀로 가운데에 자리해 있으면서 바름을 지키는바, 돌 사이에 끼어 있는 ‘개우석(介于石)’의 상이 있는 것이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천지(天地)는 …… 이치이다 : 이 부분은 예괘(豫卦) 단전(彖傳)에 “예(豫)는, 강(剛)이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순함으로 동함이 예이다. 예는 순하고 동한다. 그러므로 천지도 똑같이 하는데, 하물며 후를 세우고 군대를 출동함에 있어서랴. 천지가 순함으로 동하기 때문에 일월이 틀리지 않아 사시가 어그러지지 않고, 성인이 순함으로 동하기 때문에 형벌이 맑아져서 백성들이 복종한다. 그러니 예의 때와 뜻이 크다.[豫 剛應而志行 順以動 豫 豫順以動 故天地如之 而況建侯行師乎 天地以順動 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 聖人 以順動 則刑罰淸而民服 豫之時義 大矣哉]” 한 데 대하여 해설한 것이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괘(蠱卦 )  (0) 2010.08.29
수괘(隨卦 )  (0) 2010.08.29
겸괘(謙卦 )  (0) 2010.08.29
대유괘(大有卦 )  (0) 2010.08.29
동인괘(同人卦 )  (0) 2010.08.29

단에 이르기를, “……천도는 아래로 교제하여 광명하다.” 하였다.[彖曰……天道下濟而光明]

○ 주(註)에 절재 채씨(節齋蔡氏)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천도하제(天道下濟)’는 간(艮)을 가리킨다. 간은 건(乾)의 상효(上爻)를 얻어서 곤(坤)의 아래에 처함이 구괘(姤卦)와 같은바, 구괘에 상세히 나온다.


하늘의 도는 가득 찬 것을 이지러지게 하고 겸손한 것을 더해 주며, 땅의 도는 가득 찬 것을 변하게 하고 겸손한 데로 흐르게 하며, 귀신은 가득 찬 것을 해치고 겸손한 것에 복을 주며, 사람의 도는 가득 찬 것을 싫어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 겸(謙)은 높고 빛나며, 낮되 넘을 수가 없다. 그러니 군자의 끝마침이다.[天道 虧盈而益謙 地道 變盈而流謙 鬼神 害盈而福謙 人道 惡盈而好謙 謙 尊而光 卑而不可踰 君子之終也]

○ 여섯 획이 이루어져서 삼재(三才)의 도(道)가 갖추어진다. 위의 두 효(爻)가 하늘이 되는데, 하늘을 세우는 도를 음(陰)과 양(陽)이라 한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오효는 양이고 상효는 음이다. 음양은 해와 달, 추위와 더위 따위이다. 가득 찬 것을 이지러지게 하고 겸손한 것을 더해 주는 것은, 해가 가면 달이 뜨고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가운데의 두 효는 사람이 되는데, 사람을 세우는 도를 인(仁)과 의(義)라고 한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삼효는 인이고 사효는 의이다. 가득 찬 것을 싫어하는 것은 인을 미루어 나아간 것이고, 겸손한 것을 좋아하는 것은 의의 용(用)인 것이다.

아래의 두 효는 땅이 되는데, 땅을 세우는 도는 유(柔)와 강(剛)이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초효는 강이고 이효는 유이다. 강과 유는 산과 시내, 흐름과 솟음 따위를 가리킨다. 가득 찬 것을 변하게 하고 겸손한 데로 흐르게 하는 것은, 높은 언덕이 골짜기가 되고 깊은 골짜기가 구릉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귀신(鬼神)이란 것은 하늘의 공용(功用)이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오효는 신(神)이고 상효는 귀(鬼)인데, 신은 양(陽)이고 귀는 음(陰)이다. 가득 찬 것을 해치고 겸손한 것에 복을 주는 것은, 상서를 내리고 재앙을 내리며, 착한 자에게 복을 주고 나쁜 자에게 화를 내리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 주(註)에 동계 왕씨(童溪王氏)가 운운하였다. 내 생각에는, ‘뛰어넘을 수 없다[不可踰]’는 것은 간(艮)의 산(山) 상을 취한 것으로, 《시경(詩經)》 거할(車舝)에 ‘높은 산을 우러른다[高山仰止]’ 한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땅 가운데 산이 있는 것이 겸이니, 군자가 보고서 많은 데에서 거두어 모아 적은 데에 더해 줌으로써 물건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 하였다.[象曰 地中有山 謙 君子以 裒多益寡 稱物平施]

○ ‘부(裒)’는 ‘부(掊)’로, 거두어 모은다는 뜻인 취(聚)와 같은 말이다. 주(註)에 임천 오씨(臨川吳氏)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땅 가운데에 산이 있으니, 산의 높음을 땅의 낮음에 맞게 낮춤으로써 높고 낮음을 고르게 하는 것이 겸(謙)의 상(象)이다. 군자가 간(艮)이 곤(坤)보다 아래에 있는 것을 본받아서 많은 데에서 취하여 적어지게 하고, 곤(坤)이 간(艮)보다 위에 있는 것을 본받아서 적은 데에다 보태 주어 많아지게 하여, 많고 적음을 고르게 해 겸(謙)의 도를 행하는 것이다.

‘칭물(稱物)’은 거두어 모아 보태 주는 것보다 앞서 있으며, ‘평시(平施)’는 거두어 모아 보태 주는 것보다 뒤에 있다. 전(傳)과 본의(本義)에 나오는 온고(蘊高)의 설(說)은 아마도 거두어 모아 보태 주는 뜻과 서로 가리는 것이 아니니, 학자가 상세히 알아야 할 것이다.


육이는 겸손함이 들림이다.[六二 鳴謙]

○ ‘명(鳴)’은, 들림이 있는 것을 이른 것이지 스스로 울리는 것은 아니다. 육이(六二)의 명예가 많은 상을 취한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육이가 변하면 그 호체(互體)가 태(兌)가 되는바, 태의 구(口) 상을 취한 것이다.” 하고, 또 말하기를, “간(艮)의 복체(伏體)가 태(兌)이니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육사는……겸손함을 베풂이다.[六四……撝謙]

○ ‘위(撝)’는 진(震)의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진(震)은 간(艮)의 반체(反體)인바, 간의 수(手) 상을 취한 것이다.” 하고, 또 말하기를, “곤(坤)과 간(艮)의 합체(合體)인바, 간의 수(手)가 아래에 있으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상에 이르기를, “겸손함을 베풂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법칙을 어기지 않는 것이다.” 하였다.[象曰 无不利撝謙 不違則也]

○ ‘칙(則)’은, 감(坎)이 법(法) 상이 된다.


육오는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이웃을 얻으니, 침벌함이 이로운바, 이롭지 않음이 없다.[六五 不富以其隣 利用侵伐 无不利]

○ 임금이 겸순(謙順)함을 잡아서 아랫사람을 대하면 사람들이 귀의한다. 사람들이 귀의한 다음에야 침벌(侵伐)을 행함이 이롭다. 이는 마치 동쪽을 정벌하매 서쪽이 원망하는 것과 같으니, 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 ‘인(隣)’은 상하(上下)의 다섯 효(爻)를 가리키는데, 이른바 오가(五家)가 인(隣)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침벌(侵伐)’은, 육오가 변하면 이체(離體)가 되는데, 이(離)에는 과병(戈兵) 상이 있다.


상육은 겸손함이 들림이니,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함이 이롭다.[上六 鳴謙 利用行師 征邑國]

○ ‘명(鳴)’은, 상육(上六)이 변하면 이구(頤口)의 상이 된다. 내 생각에는, 삼효부터 오효까지는 진(震)이고 사효부터 상효까지는 곤(坤)으로, 곤이 많음으로써 진이 동(動)하므로 ‘군대를 출동한다[行師]’ 한 것이다.

건안 구씨(建安丘氏)의 설로써 미루어 보면, 초육은 구삼과 육이로 막혀 있으므로 대천(大川)을 건너는 것이고, 육오는 구삼과 육사로 막혀 있으므로 침벌을 하는 것이고, 상육은 구삼과 육오 및 육사로 막혀 있으므로 군대를 출동시키는 것이다. ‘정읍국(征邑國)’은, 육사와 육오가 곤체(坤體)로 읍국(邑國)의 상이 있다. 구삼이 한 양(陽)으로서 괘의 주인인데, 음은 양을 구(求)하는 법이므로 여러 효들은 구삼과의 멀고 가까움을 가지고 상을 취하였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절재 채씨(節齋蔡氏)가 운운하였다 :

절재 채씨가 이르기를, “아래로 교제하여 광명하다는 것은, 간(艮)에는 광명의 상이 있어서이다. 그러므로 간의 단사(彖辭)에 이르기를, ‘그 도가 광명한 것을 간이라고 한다.’ 하였다. 양(陽)이 위에 머물러 있어서 아래에 있는 음(陰)이 가리지 못하므로 광명한 것이다.” 하였다.

[주D-002]간은 …… 같은바 : 구괘(姤卦)는 한 음이 다섯 양의 아래에 처해 있고, 간괘(艮卦)는 한 양이 다섯 음의 아래에 처해 있다.

[주D-003]

동계 왕씨(童溪王氏)가 운운하였다

:

동계 왕씨는 송나라의 학자인 왕종전(王宗傳)을 가리킨다. 왕종전은 자가 경맹(景孟)이며, 《동계역전(童溪易傳)》을 지었다.
동계 왕씨가 말하기를, “‘존(尊)’은 구삼(九三)이 하괘(下卦)의 상효에 있는 것이다. ‘광(光)’은 간(艮)의 체(體)이다. ‘비(卑)’는 구삼이 상괘(上卦)의 아래에 있는 것이다. ‘불가유(不可踰)’는 자리는 비록 아랫자리에 처해 있지만 덕(德)은 강하여 그것을 뛰어넘는 자가 없는 것이다. 대개 겸손함으로써 존귀한 자리에 처해 있어 도가 빛나는 것이며, 겸손함으로써 낮은 자리에 처해 있어서 덕을 뛰어넘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는 전적으로 구삼효(九三爻)로써 말한 것으로, 군자에게 끝마침이 있다는 뜻이다.” 하였다.

[주D-004]임천 오씨(臨川吳氏)가 운운하였다 :

임천 오씨가 말하기를, “산이 땅 가운데에 있으니, 높은 것은 깎아내리고 낮은 것은 돋우어 하나는 높이고 하나는 낮춤으로써 높고 낮음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물건의 많은 것에서 거두어 모아 적어지게 하는 것은, 산의 높음을 깎아내려 산을 낮아지게 하는 것과 같다. 물건의 적은 것에 더 보태 주어 많아지게 하는 것은, 낮은 땅을 높이는 것과 같다. 어떤 하나에서 취하여 다른 하나에 보태 줌으로써 많고 적음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칭물평시(稱物平施)’는 사물의 많고 적음을 재어서 덜고 보태어 고르게 해 줌으로써, 많은 자만 치우치게 많게 하지 않고 적은 자 역시 치우치게 적게 하지 않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5]온고(蘊高)의 설(說) :

전(傳)에 “땅의 체(體)가 낮으니 산이 고대(高大)하면서 땅 가운데에 있음은 밖은 비하(卑下)하면서 안에 고대함을 쌓은 상이다. 그러므로 겸(謙)이라 한 것이다.” 하였고, 본의(本義)에 “낮음으로써 높음을 쌓음은 겸(謙)의 상이다.” 하였다.


[주D-006]건안 구씨(建安丘氏)의 설 :

건안 구씨는 송나라의 학자인 구부국(丘富國)을 가리킨다. 구부국은 자가 행가(行可)이며, 주자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저서로는 《주역집해(周易輯解)》, 《경세유서(經世遺書)》, 《학역설약(學易說約)》이 있다.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겸괘(謙卦)의 여섯 효(爻)는 다섯 음과 한 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양은 실(實)하고 음은 허(虛)한바 음은 모두 양에게 구하는 것이 있는 법이다. 그러므로 구삼의 한 양으로써 괘의 주인으로 삼은 것이며, 여러 음효(陰爻)는 구삼과의 거리가 멀고 가까움을 가지고 뜻을 취한 것이다. 육이와 육사 두 효는 구삼과 가장 가까우므로 모두 양에게 얻은 것이 있다. 그러므로 육이에 대해서는 ‘겸손함이 들림이니 정하고 길하다[鳴謙 貞 吉]’ 하고, 육사에 대해서는 ‘겸손함을 베풂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撝謙]’ 하였다. 초육은 아래에 있어서 올라가 구삼과 만나고자 하면 육이가 막고 있으며, 육오와 상육은 위에 있어서 내려가 구삼과 만나고자 하면 육사가 막고 있다. 그러므로 초육에 대해서는 ‘건넌다[用涉]’ 하고, 육오에 대해서는 ‘침벌한다[侵伐]’ 하고, 상육에 대해서는 ‘군대를 출동한다[行師]’ 한 것이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괘(隨卦 )  (0) 2010.08.29
예괘(豫卦 )  (0) 2010.08.29
대유괘(大有卦 )  (0) 2010.08.29
동인괘(同人卦 )  (0) 2010.08.29
비괘(否卦 )  (0) 2010.08.29

서괘(序卦)에, “대유괘가 이 때문에 동인괘의 다음이 된 것이다.[大有所以次同人也]” 운운하였는데, 동인괘는 한 음(陰)이 사람의 자리인 이효에 있으면서 다섯 양(陽)이 그와 함께한다. 그러므로 동인이라 한 것이다. 대유괘는 한 음이 임금의 자리인 오효에 있으면서 다섯 양이 그에 귀의한다. 그러므로 대유라고 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불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이 대유이니, 군자가 보고서 악을 막고 선을 드날려 하늘의 아름다운 명을 따른다.” 하였다.[象曰 火在天上 大有 君子以 遏惡揚善 順天休命]

○ 불이 하늘 위에 있으면 능히 만물을 두루 비출 수가 있어서 만물이 그 형체를 숨길 수가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이를 본받아서 악을 막고 선을 드날리는 것이다. 또 ‘알악(遏惡)’은 건(乾)의 강건함을 본받은 것이고, ‘양선(揚善)’은 이(離)의 밝음을 본받은 것이다. ‘천(天)’과 ‘명(命)’은 건(乾)의 상이다. ‘순천휴명(順天休命)’은 이(離)의 오효(五爻)가 건(乾)에 응함을 본받은 것이다. 또 괘의 체(體)를 보면, 건천(乾天)이 안에 있고 이명(離明)이 바깥에 있는바, 선(善)을 밝히고 성(性)을 회복하는 상이 있으며, 바깥에서 밝히기 때문에 안에서 보존되는 것이다. 본의(本義)에서 이른바 ‘자신에게 돌이킨다[反之於身]’는 것은 이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초구는 해(害)가 되는 것에 사귐이 없으니 허물이 있는 것은 아니나, 어렵게 여기고 조심하면 허물이 없다.[初九 无交害 匪咎 艱則无咎]

○ 초구는 건체(健體)이면서 바른 자리에 거하였다. 초효(初爻) 자리에 있어서 응함이 없으니, 해가 되는 것에 사귀지 않는 상이 있다. 해가 되는 것에 사귀지 않으므로 ‘비구(匪咎)’라고 한 것이다. 양(陽)의 성질은 움직이기를 좋아하는 데다 건체(健體)에 있으니, 반드시 잃어버리기 쉬운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간(艱)’으로써 경계시킨 것이다. 또 그렇게 하면 능히 해를 면할 수 있으므로 ‘무구(无咎)’라고 한 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큰 수레로 실으니, 가운데에 많이 쌓아도 무너지지 않는 것이다.” 하였다.[象曰 大車以載 積中不敗也]

○ ‘적중(積中)’은 부드럽고 텅 비어서 능히 다른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을 취한 것으로, 이효(二爻)를 가리킨다. ‘불패(不敗)’는 강건(剛健)하여 능히 행하는 상을 취한 것으로, 양(陽)인 구(九)를 가리킨다.


상에 이르기를, “……소인은 해롭다.” 하였다.[象曰……小人 害也]

○ 구삼이 변하면 유(柔)한 음(陰)이 되어 바르지 않으며, 또 감체(坎體)에 있게 된다. 그러니 어찌 해(害)를 면할 수 있겠는가.


구사는 지나치게 성하게 하지 않는다.[九四 匪其彭]

○ 구사는 강(剛)한 양(陽)으로서 유(柔)한 음(陰)의 자리에 있으니 겸양하는 것이며, 체(體) 또한 이명(離明)이다. 겸양하여 마음을 비우고 밝게 분변하니, 이 때문에 지나치게 성하게 하지 않는 ‘비기팽(匪其彭)’의 상이 있는 것이다.


위엄이 있으면 길한 것은 쉽게 여겨 대비함이 없기 때문이다.[威如之吉 易而无備也]

○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일정한 자리에 있어서 서로 교제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이(易)’는 여러 양(陽)이 쉽게 여기는 것이다.


상구는 하늘로부터 돕는다.[上九 自天祐之]

○ 오효의 윗자리는 하늘의 자리이다. 그러므로 ‘천(天)’이라고 한 것이다. 상효가 오효를 밟고 있는 것은 믿는 것이고, 윗자리에 있는 것은 순응하는 것이며, 오효를 따르는 것은 어진 이를 숭상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는 하늘이 돕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로부터 돕는다’ 한 것이다. 또 상효는, 전체로써 말하면 일[事]의 바깥에 있고, 한 괘로써 말하면 이(離)의 지극함에 있고, 자리[位]로써 말하면 부드러우면서도 비어 있는 것이다. 밝음은 이치를 밝히기에 충분하고, 강함은 의(義)로 결단하기에 충분하며, 비우고서 차지하지 않음은 덕이 지극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로부터 돕는 상이 있는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오효가 유(柔)한 음으로서 상효를 받드므로 하늘이 돕는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괘(豫卦 )  (0) 2010.08.29
겸괘(謙卦 )  (0) 2010.08.29
동인괘(同人卦 )  (0) 2010.08.29
비괘(否卦 )  (0) 2010.08.29
태괘(泰卦 )  (0) 2010.08.29

상에 이르기를, “하늘과 불이 동인(同人)이니, 군자가 보고서 나누어진 족(族)으로써 사물을 분변한다.” 하였다.[象曰 天與火 同人 君子以 類族 辨物]

○ 하늘은 불과 그 성(性)은 같으나 그 질(質)은 다르다. 군자가 그 성의 같음을 본받으면 그 족(族)을 나누고, 그 질의 다름을 본받으면 그 사물을 분변한다. 족을 나누고 사물을 분변하는 것은 다름을 살펴서 한 종류로 되게 하는 것이니, 같음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육이는 남과 함께하되 종당(宗黨)과 한다.[六二 同人于宗]

‘종(宗)’에 대해서 절재 채씨(節齋蔡氏)와 운봉 호씨(雲峯胡氏)의 주(註)에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양(陽)은 음(陰)이 종당으로 삼는 바이다. 신하가 임금에 대해서나 자식이 아비에 대해서나 아내가 남편에 대해서는 모두 양을 종당으로 삼는 뜻이 있다.


구삼은 병사를 풀 속에 숨겨 두고 높은 언덕에 올라가서 삼 년이 되어도 일어나지 못함이다.[九三 伏戎于莽 升其高陵 三歲不興]

○ ‘융(戎)’은 이(離)의 과병(戈兵) 상이고, ‘망(莽)’은 손(巽)의 초목(草木) 상이다. 이효부터 사효까지는 손(巽)이 되는데, 이(離)가 손(巽)의 아래에 있으니, 풀 속에 병사가 숨어 있는 ‘복융우망(伏戎于莽)’의 상이 있는 것이다. ‘고(高)’는 손(巽)의 상이다. 쌍호 호씨가 말하기를, “구삼이 변하면 간(艮)이 되는바, 능(陵)의 상이 있다. 구삼은 한 괘의 상효 자리에 있으니 승(升)의 상이 있는 것이다.” 하였다. ‘삼세(三歲)’에 대해서 쌍호 호씨는 한 효를 일 년으로 보았다. ‘불흥(不興)’은 손(巽)의 복(伏) 상을 취한 것이다.


구오는 남과 함께하되 먼저는 울부짖다가 나중에는 웃으니, 큰 병력으로 이겨야 서로 만난다.[九五 同人 先號咷而後笑 大師克 相遇]

○ ‘호(號)’와 ‘소(笑)’는, 구오(九五)가 변하면 이(離)가 되는데 이(離)는 화(火)로서 소리가 있다. 또 이것의 호체(互體)는 태(兌)가 되는데 태에는 구(口) 상이 있다. ‘우(遇)’는, 이효부터 상효까지가 구체(姤體)가 되는데, 구체에는 만나는 우(遇)의 상이 있다.

○ ‘호도(號咷)’는 통곡하는 소리이다.


상구는 남과 함께하기를 교외에서 한다.[上九 同人于郊]

○ ‘교(郊)’는, 오효가 바로 임금이 있는 곳인데, 상효는 오효의 바깥에 있으니 교(郊) 상이 있는 것이다. 도성[國] 바깥을 교(郊)라고 한다. 혹자가 말하기를, “건(乾)의 복체(伏體)는 곤(坤)으로, 삼효부터 오효까지가 곤이 된다. 상구는 곤의 바깥에 있으므로 교(郊)라고 한다.” 하였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종(宗)에 …… 운운하였다 : 절재 채씨는 “이효와 오효는 본디 응하는 것이므로 종(宗)이라고 한 것이다.” 하였고, 운봉 호씨는 “이효가 가서 오효와 함께하면 다시 이(離)가 되고, 오효가 와서 이효와 함께하면 다시 건(乾)이 된다. 가고 와서 서로 함께하면 건과 이가 각각 본래 괘의 반대로 된다. 이것을 일러 종(宗)이라 한다.” 하였다.

'주역 > 지산집易象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괘(謙卦 )  (0) 2010.08.29
대유괘(大有卦 )  (0) 2010.08.29
비괘(否卦 )  (0) 2010.08.29
태괘(泰卦 )  (0) 2010.08.29
이괘(履卦 )  (0) 2010.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