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에 이르기를, “……천도는 아래로 교제하여 광명하다.” 하였다.[彖曰……天道下濟而光明]
○ 주(註)에 절재 채씨(節齋蔡氏)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천도하제(天道下濟)’는 간(艮)을 가리킨다. 간은 건(乾)의 상효(上爻)를 얻어서 곤(坤)의 아래에 처함이 구괘(姤卦)와 같은바, 구괘에 상세히 나온다.
하늘의 도는 가득 찬 것을 이지러지게 하고 겸손한 것을 더해 주며, 땅의 도는 가득 찬 것을 변하게 하고 겸손한 데로 흐르게 하며, 귀신은 가득 찬 것을 해치고 겸손한 것에 복을 주며, 사람의 도는 가득 찬 것을 싫어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 겸(謙)은 높고 빛나며, 낮되 넘을 수가 없다. 그러니 군자의 끝마침이다.[天道 虧盈而益謙 地道 變盈而流謙 鬼神 害盈而福謙 人道 惡盈而好謙 謙 尊而光 卑而不可踰 君子之終也]
○ 여섯 획이 이루어져서 삼재(三才)의 도(道)가 갖추어진다. 위의 두 효(爻)가 하늘이 되는데, 하늘을 세우는 도를 음(陰)과 양(陽)이라 한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오효는 양이고 상효는 음이다. 음양은 해와 달, 추위와 더위 따위이다. 가득 찬 것을 이지러지게 하고 겸손한 것을 더해 주는 것은, 해가 가면 달이 뜨고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가운데의 두 효는 사람이 되는데, 사람을 세우는 도를 인(仁)과 의(義)라고 한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삼효는 인이고 사효는 의이다. 가득 찬 것을 싫어하는 것은 인을 미루어 나아간 것이고, 겸손한 것을 좋아하는 것은 의의 용(用)인 것이다.
아래의 두 효는 땅이 되는데, 땅을 세우는 도는 유(柔)와 강(剛)이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초효는 강이고 이효는 유이다. 강과 유는 산과 시내, 흐름과 솟음 따위를 가리킨다. 가득 찬 것을 변하게 하고 겸손한 데로 흐르게 하는 것은, 높은 언덕이 골짜기가 되고 깊은 골짜기가 구릉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귀신(鬼神)이란 것은 하늘의 공용(功用)이다. 이를 나누어서 말하면 오효는 신(神)이고 상효는 귀(鬼)인데, 신은 양(陽)이고 귀는 음(陰)이다. 가득 찬 것을 해치고 겸손한 것에 복을 주는 것은, 상서를 내리고 재앙을 내리며, 착한 자에게 복을 주고 나쁜 자에게 화를 내리는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 주(註)에 동계 왕씨(童溪王氏)가 운운하였다. 내 생각에는, ‘뛰어넘을 수 없다[不可踰]’는 것은 간(艮)의 산(山) 상을 취한 것으로, 《시경(詩經)》 거할(車舝)에 ‘높은 산을 우러른다[高山仰止]’ 한 것과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상에 이르기를, “땅 가운데 산이 있는 것이 겸이니, 군자가 보고서 많은 데에서 거두어 모아 적은 데에 더해 줌으로써 물건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 하였다.[象曰 地中有山 謙 君子以 裒多益寡 稱物平施]
○ ‘부(裒)’는 ‘부(掊)’로, 거두어 모은다는 뜻인 취(聚)와 같은 말이다. 주(註)에 임천 오씨(臨川吳氏)가 운운하였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땅 가운데에 산이 있으니, 산의 높음을 땅의 낮음에 맞게 낮춤으로써 높고 낮음을 고르게 하는 것이 겸(謙)의 상(象)이다. 군자가 간(艮)이 곤(坤)보다 아래에 있는 것을 본받아서 많은 데에서 취하여 적어지게 하고, 곤(坤)이 간(艮)보다 위에 있는 것을 본받아서 적은 데에다 보태 주어 많아지게 하여, 많고 적음을 고르게 해 겸(謙)의 도를 행하는 것이다.
‘칭물(稱物)’은 거두어 모아 보태 주는 것보다 앞서 있으며, ‘평시(平施)’는 거두어 모아 보태 주는 것보다 뒤에 있다. 전(傳)과 본의(本義)에 나오는 온고(蘊高)의 설(說)은 아마도 거두어 모아 보태 주는 뜻과 서로 가리는 것이 아니니, 학자가 상세히 알아야 할 것이다.
육이는 겸손함이 들림이다.[六二 鳴謙]
○ ‘명(鳴)’은, 들림이 있는 것을 이른 것이지 스스로 울리는 것은 아니다. 육이(六二)의 명예가 많은 상을 취한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육이가 변하면 그 호체(互體)가 태(兌)가 되는바, 태의 구(口) 상을 취한 것이다.” 하고, 또 말하기를, “간(艮)의 복체(伏體)가 태(兌)이니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육사는……겸손함을 베풂이다.[六四……撝謙]
○ ‘위(撝)’는 진(震)의 상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진(震)은 간(艮)의 반체(反體)인바, 간의 수(手) 상을 취한 것이다.” 하고, 또 말하기를, “곤(坤)과 간(艮)의 합체(合體)인바, 간의 수(手)가 아래에 있으므로 그 상을 취한 것이다.” 하였다.
상에 이르기를, “겸손함을 베풂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법칙을 어기지 않는 것이다.” 하였다.[象曰 无不利撝謙 不違則也]
○ ‘칙(則)’은, 감(坎)이 법(法) 상이 된다.
육오는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이웃을 얻으니, 침벌함이 이로운바, 이롭지 않음이 없다.[六五 不富以其隣 利用侵伐 无不利]
○ 임금이 겸순(謙順)함을 잡아서 아랫사람을 대하면 사람들이 귀의한다. 사람들이 귀의한 다음에야 침벌(侵伐)을 행함이 이롭다. 이는 마치 동쪽을 정벌하매 서쪽이 원망하는 것과 같으니, 어디로 간들 이롭지 않겠는가. ‘인(隣)’은 상하(上下)의 다섯 효(爻)를 가리키는데, 이른바 오가(五家)가 인(隣)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내가 생각해 보건대, ‘침벌(侵伐)’은, 육오가 변하면 이체(離體)가 되는데, 이(離)에는 과병(戈兵) 상이 있다.
상육은 겸손함이 들림이니,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함이 이롭다.[上六 鳴謙 利用行師 征邑國]
○ ‘명(鳴)’은, 상육(上六)이 변하면 이구(頤口)의 상이 된다. 내 생각에는, 삼효부터 오효까지는 진(震)이고 사효부터 상효까지는 곤(坤)으로, 곤이 많음으로써 진이 동(動)하므로 ‘군대를 출동한다[行師]’ 한 것이다.
○ 건안 구씨(建安丘氏)의 설로써 미루어 보면, 초육은 구삼과 육이로 막혀 있으므로 대천(大川)을 건너는 것이고, 육오는 구삼과 육사로 막혀 있으므로 침벌을 하는 것이고, 상육은 구삼과 육오 및 육사로 막혀 있으므로 군대를 출동시키는 것이다. ‘정읍국(征邑國)’은, 육사와 육오가 곤체(坤體)로 읍국(邑國)의 상이 있다. 구삼이 한 양(陽)으로서 괘의 주인인데, 음은 양을 구(求)하는 법이므로 여러 효들은 구삼과의 멀고 가까움을 가지고 상을 취하였다.
[주A-001]역상설(易象說) :
본 역상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역(周易)의 기본 원리와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역상설 끝에 해설을 간략하게 덧붙였다.
[주D-001]절재 채씨(節齋蔡氏)가 운운하였다 :
절재 채씨가 이르기를, “아래로 교제하여 광명하다는 것은, 간(艮)에는 광명의 상이 있어서이다. 그러므로 간의 단사(彖辭)에 이르기를, ‘그 도가 광명한 것을 간이라고 한다.’ 하였다. 양(陽)이 위에 머물러 있어서 아래에 있는 음(陰)이 가리지 못하므로 광명한 것이다.” 하였다.
[주D-002]간은 …… 같은바 : 구괘(姤卦)는 한 음이 다섯 양의 아래에 처해 있고, 간괘(艮卦)는 한 양이 다섯 음의 아래에 처해 있다.
[주D-003]
동계 왕씨(童溪王氏)가 운운하였다
:
동계 왕씨는 송나라의 학자인 왕종전(王宗傳)을 가리킨다. 왕종전은 자가 경맹(景孟)이며, 《동계역전(童溪易傳)》을 지었다.
동계 왕씨가 말하기를, “‘존(尊)’은 구삼(九三)이 하괘(下卦)의 상효에 있는 것이다. ‘광(光)’은 간(艮)의 체(體)이다. ‘비(卑)’는 구삼이 상괘(上卦)의 아래에 있는 것이다. ‘불가유(不可踰)’는 자리는 비록 아랫자리에 처해 있지만 덕(德)은 강하여 그것을 뛰어넘는 자가 없는 것이다. 대개 겸손함으로써 존귀한 자리에 처해 있어 도가 빛나는 것이며, 겸손함으로써 낮은 자리에 처해 있어서 덕을 뛰어넘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는 전적으로 구삼효(九三爻)로써 말한 것으로, 군자에게 끝마침이 있다는 뜻이다.” 하였다.
[주D-004]임천 오씨(臨川吳氏)가 운운하였다 :
임천 오씨가 말하기를, “산이 땅 가운데에 있으니, 높은 것은 깎아내리고 낮은 것은 돋우어 하나는 높이고 하나는 낮춤으로써 높고 낮음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물건의 많은 것에서 거두어 모아 적어지게 하는 것은, 산의 높음을 깎아내려 산을 낮아지게 하는 것과 같다. 물건의 적은 것에 더 보태 주어 많아지게 하는 것은, 낮은 땅을 높이는 것과 같다. 어떤 하나에서 취하여 다른 하나에 보태 줌으로써 많고 적음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칭물평시(稱物平施)’는 사물의 많고 적음을 재어서 덜고 보태어 고르게 해 줌으로써, 많은 자만 치우치게 많게 하지 않고 적은 자 역시 치우치게 적게 하지 않는 것이다.” 하였다.
[주D-005]온고(蘊高)의 설(說) :
전(傳)에 “땅의 체(體)가 낮으니 산이 고대(高大)하면서 땅 가운데에 있음은 밖은 비하(卑下)하면서 안에 고대함을 쌓은 상이다. 그러므로 겸(謙)이라 한 것이다.” 하였고, 본의(本義)에 “낮음으로써 높음을 쌓음은 겸(謙)의 상이다.” 하였다.
[주D-006]건안 구씨(建安丘氏)의 설 :
건안 구씨는 송나라의 학자인 구부국(丘富國)을 가리킨다. 구부국은 자가 행가(行可)이며, 주자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저서로는 《주역집해(周易輯解)》, 《경세유서(經世遺書)》, 《학역설약(學易說約)》이 있다.
건안 구씨가 말하기를, “겸괘(謙卦)의 여섯 효(爻)는 다섯 음과 한 양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양은 실(實)하고 음은 허(虛)한바 음은 모두 양에게 구하는 것이 있는 법이다. 그러므로 구삼의 한 양으로써 괘의 주인으로 삼은 것이며, 여러 음효(陰爻)는 구삼과의 거리가 멀고 가까움을 가지고 뜻을 취한 것이다. 육이와 육사 두 효는 구삼과 가장 가까우므로 모두 양에게 얻은 것이 있다. 그러므로 육이에 대해서는 ‘겸손함이 들림이니 정하고 길하다[鳴謙 貞 吉]’ 하고, 육사에 대해서는 ‘겸손함을 베풂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撝謙]’ 하였다. 초육은 아래에 있어서 올라가 구삼과 만나고자 하면 육이가 막고 있으며, 육오와 상육은 위에 있어서 내려가 구삼과 만나고자 하면 육사가 막고 있다. 그러므로 초육에 대해서는 ‘건넌다[用涉]’ 하고, 육오에 대해서는 ‘침벌한다[侵伐]’ 하고, 상육에 대해서는 ‘군대를 출동한다[行師]’ 한 것이다.” 하였다.